Treating apparatus of bean sprouts

申请号 KR20090047845 申请日 2009-05-29 公开(公告)号 KR20100129083A 公开(公告)日 2010-12-08
申请人 LEE NAM YOUNG; 发明人 LEE NAM YOUNG;
摘要 PURPOSE: A treatment apparatus for bean sprout is provided to easily obtain only the stem part of bean sprout by removing sprout and root portions of bean sprout. CONSTITUTION: A treatment apparatus for bean sprout comprises a bean sprout transfer conveyor(200), a bean sprout aligning conveyor(300), a first cutting unit(500) and a second cutting unit(600) which cut the root portion and sprout portion, and a main frame(900). The bean sprout transfer conveyor has a first belt(208) and a second belt(212).
权利要求
  • 콩나물 유입부(100) 쪽으로 투입되는 콩나물을 수평이동시켜주는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 수평이동되는 콩나물을 길이 방향으로 정렬시켜주는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300), 정렬이동되는 콩나물의 뿌리부분과 싹부분을 각각 제거해주는 제1절단기구(500)와 제2절단기구(600) 그리고 이들이 지지되는 메인프래임(900)을 포함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는 상기 콩나물 유입부(100)와 상기 제2절단기구(500) 쪽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순환회전되며 콩나물의 줄기부분이 끼워지는 픽업핑거(202)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벨트(208)와 상기 콩나물 유입부(100)와 상기 제2절단기구(500)의 바깥쪽 하부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순환회전되는 제2벨트(2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300)에는 콩나물의 싹부분과 접하는 벨트(308)를 쳐주는 기구(4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절단기구(500)의 로터리형 커터(506)와 상기 제2절단기구(600)의 로터리형 커터(606)가 상기 메인프래임(900)으로부터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윗 쪽으로 연장된 상부 연장프래임(904)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906)에 의해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벨트(212)의 상부에는 콩나물의 줄기부분을 눌러주는 콩나물 가압 컨베이어(7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핑거(202)는 나사체결 안내구멍(214)을 가진 기 저편(216)과, 상기 기저편(216)의 한 쪽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픽커(218)와, 상기 픽커(218)의 뿌리 윗 쪽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콩나물 받침편(220)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308)를 쳐주는 기구(400)는 메인프래임
    (900)에 고정되는 하우징(402)에 구동축(404)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종동축(40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404)에는 상기 벨트(308)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풀리(408)와 전동풀리(410)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종동축(406)에는 종동풀리(412)와 한 쌍의 판(41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판(414)들 사이에는 롤러(416)의 주면이 상기 판(414)을 밖으로 노출되게 핀(418)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전동풀리(410)와 종동풀리(412)는 전동벨트(420)에 의해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가압 컨베이어(700)는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풀리축(230)에 고정된 기어(702)와 맞물려진 기어(704)의 축(706)에 고정된 구동풀리(708)와, 상기 축(706)에 한 쪽 끝부분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전방아암(710)과, 후방아암(712)의 선단부에 각각 피봇팅된 전방종동풀리(714)와 후방종동풀리(716) 그리고 상기 풀리(708,714,716)에 의해서 순환 회전되는 벨트(718)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
  • 说明书全文

    콩나물의 가공 장치 { Treating apparatus of bean sprouts }

    본 발명은 수확된 콩나물을 가지런하게 정렬시켜서 콩나물의 양단부에 있는 싹부분과 뿌리부분을 기계적으로 절단하는 콩나물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상품으로 유통되는 콩나물은 주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 즉, 싹부분과 뿌리부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상기 싹부분과 뿌리부분은 수확후 시간이 경과할 수록 쉽게 변색되어 상품적 가치를 떨어트리게 된다.

    또 콩나물을 각종 찜요리를 비롯한 고급요리의 식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콩나물의 줄기를 제외한 나머지 싹부분과 뿌리부분을 수작업으로 제거해 왔었다.

    콩나물의 싹부분과 뿌리부분을 기계적으로 절단 가공하는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008076호, 제2001-0058409호, 제2006-0026996호와 제2006-0007142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만 정렬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소정 길이 이상의 콩나물 만을 선별해주는 별도의 콩나물 선별 장치를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기술들에는 호퍼에 담겨진 콩나물들에 진동을 부여하면서 컨베어 쪽으로 낙하시키고 단부 정렬 부재로 콩나물을 그 길이방향으로 가지런히 해주면서 절단 장치를 향하여 이송해 줄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실제로 수확된 콩나물에는 물기가 묻어있기 마련이고, 특히 콩나물은 뿌리부분에 잔털을 갖고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줄기부분에도 상기 잔털보다 작은 미세한 털이 무수히 많은 것이기 때문에 콩나물들 끼리 들어붙으려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콩나물을 수확하거나 판매할 때 즉, 손으로 콩나물의 싹부분을 한 움큼씩 옮겨 담을 때 쉽게 관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콩나물의 특성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않은 종래기술들은 콩나물의 정렬, 이송 불량이 자주 발생하게 되어서 후 가공 공정인 절단 공정에서 절단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콩나물의 정렬, 이송 속도가 느린 까닭에 생산성이 낮아서 비용대 효과면에서 경제성이 낮은 등의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들에 개시되어 있는 뿌리 절단 장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특정한 길이를 갖는 콩나물의 뿌리 만을 절단할 수 밖에 없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콩나물 길이 선별 장치를 거치지 않은 수확된 콩나물을 대량으로 신속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원활하게 가지런히 정렬시켜서 이송함과 아울러서 가공할 콩나물의 양단부에 있는 싹부분과 뿌리부분을 제거하며 싹부분과 뿌리부분이 제거된 콩나물의 줄기부분을 보다 정확하게 이송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콩나물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할 콩나물의 길이에 맞추어서 콩나물 뿌리의 절단 위치를 조절하면서 콩나물 뿌리를 제거해 줄 수 있는 콩나물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가공할 콩나물의 이송 수단들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콩나물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콩나물 유입부 쪽으로 투입되는 콩나물을 수평이동시켜주는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 수평이동되는 콩나물을 길이방향으로 정렬시켜주는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 정렬 이동되는 콩나물의 뿌리부분과 싹부분을 각각 제거해주는 제1절단기구와 제2절단기구 그리고 이들이 지지되는 메인프래임을 포함하는 콩나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제2절단기구 쪽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순환회전되며 콩나물의 줄기부분이 끼워지는 픽업핑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벨트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제2절단기구의 바깥 쪽 하부 사이에서 전동식으로 순환회전되는 제2벨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에는 콩나물의 싹부분과 접하는 벨트를 쳐주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절단기구의 로터리형 커터와 상기 제2절단기구의 로터리형 커터가 상기 메인프래임으로부터 상기 콘마룰 이송 컨베이어의 윗 쪽으로 연장된 상부 연장프래임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에 의해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벨트의 상부에는 콩나물의 줄기 부분을 눌러주는 콩나물 가압 콘베이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콩나물 길이 선별 장치를 거치지 않은 수확된 콩나물을 바로 대량으로 신속정확하게 가지런히 정렬시켜서 이송해 줌과 아울러서 가공할 콩나물의 양단부에 있는 싹부분과 뿌리부분을 정확하게 제거함으로써 콩나물의 줄기부분만을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에서 콩나물 픽업 핑거들이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의 벨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보인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려주는 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과 도 3에서 보인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려주는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 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서 보인 세척용 살수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공할 콩나물 유입부(100)와, 상기 유입부(100) 쪽에서 투입되는 콩나물들의 줄기부분을 잡아 끌고 나가는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에 의해서 수평이동되는 콩나물들의 싹부분을 콩나물의 길이방향 쪽으로 밀어서 가지런하게 해주는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300)와,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에서 콩나물의 싹부분과 접하는 쪽을 두들겨주는 기구(400)와,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와 상기 두들겨주는 기구(400)에 의해서 가지런하게 정렬된 콩나물의 뿌리부분을 제거해주는 제1절단기구(500)와, 상기 콩나물의 싹부분을 제거해주는 제2절단기구(600)와, 상기 제1절단기구(500)와 제2절단기구(600)로 콩나물의 뿌리부분과 싹부분을 제거해줄 때 줄기부분을 눌러주는 콩나물 가압 컨베이어(700)와,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세척용 살수기구(80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콩나물 유입부(100)는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일측 상부로 연장된 경사진 슈트(10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슈트(102)에는 나중에 설명되는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에 구비된 픽업핑거(pick up fingers)(202)들이 통과하는 슬리트(104)가 구비되어서 작업자에 의해서 투입되는 가공할 콩나물들의 줄기부분을 연속적으로 잡아끌고 나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는 메인프래임(900)에 수평방향으로 축설치되어 있으며 전동식으로 회전하는 풀리(204,206)에 의해서 순환회전되고 상기 픽업 핑거(202)들이 구비된 제1벨트(208)와, 콩나물의 싹부분을 제거해주는 상기 제2절단기구(600)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프래임(900)의 일 측에서 아래 쪽으로 경사진 연장프래임(902)에 지지되어 있는 아이들풀리(210)와 상기 풀리(204,206)에 의해서 순환회전되는 제2벨트(2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에 구비된 픽업핑거(202)는 나사체결 안내구멍(214)을 가진 기저편(216)과, 이 기저편(216)의 한 쪽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픽커(picker)(218)와, 상기 픽커(218)의 뿌리 윗 쪽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콩나물 받침편(220)과, 상기 기저편(216)의 다른 쪽 중앙에서 상기 픽커(218)의 뿌리부분(222)과 대응하는 연결조립안내홈(224)으로 되어 있어서 픽업핑거(202)들을 제1벨트(208) 위에서 쉽게 일렬로 조립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픽업핑커(202)들은 상기 제1벨트(208)위에 스크류(226)와 너트(228)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300)는 도 1,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 윗 쪽에서 상기 픽업핑거(202)들과 대면하는 구동풀리(302), 제1종동풀리(304) 및 제2종동풀리(306)와, 상기 풀리(302,304,306)에 의해서 순환회전되는 벨트(30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풀리(302)는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풀리(204)에 있는 축(230)과 베벨기어(310,312)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축(230)은 제1구동모터

    (232)와 전동체인(234)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종동풀리(306)는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 위에서 상기 픽업핑거(202)들과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다.(도 5, 도 6)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의 벨트(308)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 제2벨트(208,212)와 동일한 선속도를 가지면서 순환회전하는 것으로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에 일렬로 구비된 픽업핑거(202)들 사이에 줄기부분(a)이 끼워진 콩나물(b)들의 싹부분(c)을 상기 구동풀리(302)와 제1종동풀리(304)의 구간에서는 콩나물(b)들의 길이방향 쪽으로 밀어주면서 콩나물(b)들의 싹부분(c)을 정렬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종동풀리(304)와 제2종동풀리(306)의 구간에서는 도 6에 에시한 바와 같이 제1절단기구(500)와 제2절단기구(600)에 의해서 콩나물(b)들의 뿌리부분(d)과 싹부분(c)이 제거될 때 콩나물(b)들의 정렬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주게 된다.

    상기 벨트(308)를 쳐주는 기구(400)는 도 1,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의 구동풀리(302)와 종동풀리(304) 사이에 위치하도록 메인프래임(90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메인프래임(900)에 고정되는 하우징(402)에 구동축(404)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종동축(40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404)에는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의 벨트(308)에 의해서 회전하는 구동풀리(408)와, 이 구동풀리(408)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진 전동풀리(41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종동축(406)에는 종동풀리(412)와, 한 쌍의 판(414)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판(414)들 사이에는 롤러(416)의 주면이 상기 하우징(402) 밖으로 노출되게 핀(418)으로 지지되어 있어 상기 롤러(416)가 상기 벨트(308)를 쳐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동풀리(410)와 종동풀리(412)는 전동벨트(420)에 의해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도 6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컨베이어(300)에서 순환회전하는 벨트(30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롤러(416)들이 공전과 자전을 하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에 구비된 픽업핑거(202)들에 줄기부분(a)이 끼워진체 수평이동하는 콩나물(b)들의 싹부분(c)을 밀어주는 상기 벨트(308)의 뒷 쪽을 쳐주게 되어서 콩나물(b)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지런하게 정렬시켜주게 된다.

    상기 제1절단기구(500)와 제2절단기구(600)는 도 1, 도 5 및 도 6에 에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래임(900)으로부터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윗 쪽으로 연장된 상부 연장프래임(904)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906)에 의해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유지보수를 보다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절단기구(500)는 원판형 블레이드(502)와 회전축(504)을 가진 로터리형 커터(50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로터리형 커터(506)의 하부에는 상기 원판형 블레이드(502)가 회전되는 슬로트(508)를 가진 절단안내부재(5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형 커터(506)의 회전축(504)은 절단뭉치(512)의 하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뭉치(512)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축(504)의 종동풀리(514)와 벨트(516)로 연결되는 구동풀리(518)를 가진 구동축(52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절단뭉치(512)의 양측에는 후단부 쪽에 래크기어(522)를 가진 슬라이드바아(52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아(524)는 상기 상부연장프래임(904)에 있는 지지체(526)속에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져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바아(524)의 래크기어(522)는 조작핸들(525)이 달린 축(526)에 고정된 피니언기어(528)와 맞물려져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525)을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서 전·후진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로터리형 커터(506)를 수평이동되는 콩나물(b)의 뿌리부분(d) 쪽을 향하여 전·후진 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구동축(520)의 후단부는 스플라인축부분(530)으로 되어 있으며, 이 스플라인축부분(530)은 스플라인 구멍을 가진 회전축(532)에 끼워져 있고, 상기 회전축(532)과, 상기 제2구동모터(906)에 의해서 회전되는 전동축(908)에는 풀리(534,536)가 고정되어 있으며, 풀리(534,536)는 벨트(538)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구동축(520)은 그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53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절단기구(600)는 원판형 블레이드(602)와 회전축(604)을 가진 로터리형 커터(60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제1벨트(208)에 구비된 픽업핑거(202)들의 픽커(218) 및 콩나물 받침편(220)과 근접되게 메인 프래임(90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604)에 있는 풀리(606)와, 상기 제2구동모터(906)에 의해서 회전되는 전동축(908)에 있는 풀리(608)가 벨트(610)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콩나물 가압 컨베이어(700)는 도 1,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풀리축(230)에 고정된 기어(702)와 맞물려진 기어(704)의 축(706)에 고정된 구동풀리(708)와, 상기 축(706)에 한쪽 끝부분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전방아암(710)과, 후방아암(712)의 선단부에 각각 피봇팅된 전방종동풀리(714)와 후방종동풀리(716) 그리고 상기 풀리(708,714,716)에 의해서 순환회전되는 벨트(718)로 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 종동풀리(714,716)은 일종의 무게추 역활을 하게 되어서 전·후방종동풀리(714,716) 사이를 순환회전하게 되는 벨트(718)는 상기 제1, 제 2절단기구(500,600) 사이에서는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에 의해서 수평 이송되는 콩나물(b)들을 눌러줌과 동시에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와 더불어서 이송시켜주게 된다.

    또 상기 제1, 제2 절단기구(500,600)에 의해서 뿌리부분(d)과 싹부분(c)이 제거된 줄기부분(a)만을 상기 제1, 제2 절단기구(500,600)와 이격되게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 이동시켜 주게 되어서 콩나물(b)의 줄기부분(a)과 뿌리부분(d) 그리고 싹부분(c)을 보다 원활하게 분리제거하면서 작업자가 콩나물(b)의 줄기부분(a)만을 수거하기 좋도록 해주게 된다.

    상기 세척용 살수기구(800)는 도 1과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밸브(802)가 구비된 급수관(804)과, 여러개의 분사공(806)이 상·하방향 쪽에 구비된 주 살수관(810)과, 상기 주살수관(8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여러개의 분사공(812)이 각각 전·후방향 쪽에 구비된 보조 살수관(814)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세척용수 살수관(800)은 도 1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200)의 풀리(204)와 풀리(20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살수관(81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벨트(208,212)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며, 보조살수관(814)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풀리(204,206)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해주게 되어서 상기 이물질에 의한 구동부분의 과도한 마찰이나 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서 보다 위생적으로 콩나물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 살수기구(800)의 직하부에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사되는 세척용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용수를 받아낼 수 있는 물받이(816)를 설치하고, 이 물받이(816)의 하부에는 드레인(818)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된 세척용수를 받아놓을 수 있는 저수탱크(820)를 설치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제 2절단기구(500,600)를 작동시켜주는 제2구동모터(906)와 슬라이드바아(524)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은 도 1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커버(822)로 차폐시켜주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에서 콩나물 픽업핑거들이 콩나물 이송 컨베이어의 벨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보인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려주는 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도 1과 도 3에서 보인 콩나물 정렬 컨베이어의 벨트를 두드려주는 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가공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1에서 보인 세척용 살수기구의 사시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