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선별 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申请号 KR2019830000203 申请日 1983-01-12 公开(公告)号 KR2019870000360Y1 公开(公告)日 1987-02-13
申请人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야하시사도루;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벼껍질제거부(A)와 풍력선별부(B)와 회전선별부(C)로부터 이루어진 회전선별 정미기에 있어서, 회전선별부(C)는 내주면에 다수의 요함부(12)를 형성설치함과 아울러, 안쪽에 수납안내통(15)(16)을 설치하여 회동가능하게 옆방향 가로지르는 선별통체(a)(b)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한 풍력선별부(B)와 선별통체의 공급측(X)과는 접동낙하미 이송로에 의해서 연통시킴과 아울러, 배출측(Y)은 벼이송로에 의하여 벼껍질제거부(A)에 연통시키며 상기한 수납안내통(15)(16)은 현미를 회수하는 최종선별곡림 수납안내통(15)과 벼와 현미의 혼합곡림을 회수하는 재선별곡림 수납안내통(16)을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하고 이들 수납안내통(15)(16)은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15)이 회동방향 윗쪽 가까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접근시켜서 설치하며 최종선별곡림 수납안내통(15)은 기계 바깥에의 회수경로쪽에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은 기계내의 재선별 경로쪽에 각각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선별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선별부(C)는 선별통체(a)(b)를 상하 2단에 설치하며 상단의 1차선별통체(a)내에는 최종 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과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16)을 나란히 설치함과 아울러,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은 기계바깥의 회수경로쪽에 연통시키고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에서 하단의 2차선별통체(b)내에 이르는 혼합미 공급로를 설치하며 재선별곡립은 하단의 2차선별통체(b)내에서 재차 선별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15)과 기계 바깥의 회수경로와의 사이에는 쌀선별장치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 说明书全文

    회전선별 정미기에 있어서의 선별장치

    도면은 본 고안을 표시하는 실시예도로서,

    제 1 도는 그 회전선별 정미기의 외측면도.

    제 2 도는 동일한 후면도.

    제 3 도는 동일한 평면도.

    제 4 도는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 5 도는 동일한 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벼껍질 제거부 B : 풍력 선별부

    12 : 요함부 X : 공급측

    Y : 배출축 a : 1차 선별통체

    b : 2차 선별통체 c : 회전선별부

    15 : 최종선별 곡립 수납안내통 16 : 재선별 곡립수납안내통

    E : 쌀선별기

    본고안은 벼껍질 제거부와 풍력선별부와 내주면에 다수의 요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안쪽에 수납안내통을 설치하여 회동가능하게 옆방향 가로지르는 선별통체를 보유하는 회전선별부로부터 이루어지는 회전선별정미기의 회전선별부에 개량을 가하여 선별성능의 향상과 그 유기적인 연통구성에 의해서 선별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서 회전선별정미기 전체로서의 처리 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선별통체의 공급쪽에 접동낙하미를 차례로 공급하고 공급측에서 배출측으로 향하여 이동하면서 유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요함부에 끼여서 떠올려져 윗쪽에 이르러서 요함부에서 떨어져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는 벼와 현미 및 양자의 혼합물인 혼합미의 각각 낙하점이 다른것에 착안하여 선별통체의 안쪽에 현미를 회수하는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과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을 회수하는 재선별 곡립수납안내통을 나란히 설치하고 이들 수납안내통을 최종 선별곡립 수납안내통이 회동방향 위쪽 가까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접근시켜서 설치하며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은 기계 바깥의 회수경로에,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은 기계안쪽의 재선별경로쪽에 각각 연통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는 요함부에 의하여 떠올려지면 큰 포물선을 그리면서 멀리 방출되는 것에 대하여 벼는 현미에 비하여 작은 포물선을 그리면서 현미만큼 멀리는 방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선별통체의 회동방향 위쪽 가까이에 현미가 낙하하고, 아래쪽 가까이에 벼가 낙하하게 되지만 벼의 속에서도 비교적 곡립형의 작은 것은 보통의 벼에 비하여 멀리 방출되므로 현미의 낙하구역안에 벼가 일부분 혼입하여 낙하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 현미와 벼의 혼합하여 낙하하는 혼합미의 부분에 특히 수납안내통을 설치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현미수납안내통에서 현미만 받은 혼합미는 선별통체안에 낙하시키던가 또는 현미수납 안내통에서 혼합미도 받도록 조작하고 있다. 그 때문에 최종선별곡립으로서의 현미의 선별정도가 불충분하던지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현미중 작은 곡립의 것은 요함부에 깊게끼여서 떨어지기 때문에 최상부까지 들어올리므로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에 낙하하여 보통현미와 합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최종 선별곡립 수납안내통과 기계바깥에의 회수경로와의 사이에 쌀선별장치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현미의 회수전에 있어서의 작은곡립의 제거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본고안에대하여 실시예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는 벼탱크(1)와 한쌍의 벼껍질 제거용 로울(2)을 수장축가한 벼껍질 제거부(B)는 풍력선별부로서 앞쪽 끝부분에 흡인기(3)를 갖추어 흡인풍로(4)를 형성하는 접동낙하미 풍력선별부(B 1 )와, 뒷부분에 압풍용 풍구(5)를 보유하여 압풍로(6)를 형성한 현미 풍력선별부(B 2 )를 연통하여 흡인기(3)와 압풍용 풍구(5)의 흡인풍과 압풍이 압풍로(6)에서 흡인풍로(4)내를 흡인 송풍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 경우 흡인풍로(4)와 압풍로(6)의 폭은 각각 동일하게 하고 있다.

    (7)은 접동낙하미 안내통, (8)은 2차 곡립안내통, (9)는 현미 안내통, (10)은 흡인풍로(4)에서 풍력선별된 접동낙하미를 기계 바깥으로 회수하여 벼껍질 제거 상태를 아는 개폐가 자유로운 벼껍질 제거를 확인밸브, (11)은 흡인풍로(4)내의 흡인풍과 흡인기(3)의 불어내는 바람을 조절하는 풍량조절 밸브이다. (C)는 회전선별부로서, 모두 내주면에 다시의 요함부(12)를 형성하고 벼껍질제거부(A)에 인접설치하는 쪽에 공급측(X)으로 하고, 그 반대쪽이 배출측(Y)으로 되도록 수개의 전륜(轉輸)(13)에 의하여 지지하여 회동가능하게 옆방향 가로지른 1차 선별통체(a)와 2차선별통체(b)를 상하로 설 치하며, 상기한 벼껍질 제거부(A)는 접동낙하미 풍력선별부(B 1 )위에, 또 이 회전선별부(C)는 현미풍력 선별부(B 2 )위에 재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1차선별통체(a)내에는 공급측(X)에서 배출측(Y)에 걸쳐서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과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이 병행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안내통(14), (15), (16)에는 스크류우 콘베이어(17)가 설치되어 이들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은 1차 선별통체(a)의 회동방향(제 5 도에 화살표(ㄱ)로서 표시함)아래쪽으로 재선별곡립 수납 안내통(16)을, 윗쪽에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을, 그리고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과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사이에 있어서의 이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9)의 아래쪽에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을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으며,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과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은 1차선별� �체(a)의 회동(화살표(ㄱ)로서 표시한다)에 의하여 요함부(12)에 끼여서 떠올려져 윗쪽에 이르러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는 곡립을 수납하도록 그 전체길이에 걸쳐서 앙각(仰)을 보유하게 하여 윗쪽을 개구하고,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의 공급측(X)에는 공급구(18)를 설치한다.

    (19)는 회전선별부(C)의 배출측(Y), 즉 벼탱크(1)의 윗쪽에 설치된 접동낙하미 탱크로서, 그 윗부분은 기체의 왼쪽에 입설한 양곡기(D)의 윗부분에, 아래부분은 상기한 접동낙하미 공급 안내통(14)의 시단부에 각각 연통시키고 있으며, 양곡기(D)의 아래부분은 풍력선별부(B)의 접동낙하미 안내통(7)에 연통하여 풍력선부(B)에서 1차 선별통체(a)내에 이르는 미끄러 떨어지는 쌀 이송로를 형성한다.

    또, 상기한 2차선별통체(b)내에는 1차선별통체(a)와 동일하게 공급측(X)에서 배출측(Y)에 걸쳐서 스크류우 콘베이어가 설치된 재최종 신별곡립 수납안내통(20)을 횡방향으로 설치하고, 또한 상기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과 동일하게 앙각을 보유하게 하여 윗쪽을 개구하고 있다. (E)는 종선에 의한 쌀선별기로서, 회전선별부(C)의 공급측(X)에 경사지게 설치되어서 그 윗부분과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의 종단부와는 배출통(21)으로서, 또 아래부분은 수납통(22)에 의하여 2차 선별통체(b)내의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의 시단부에 각각 연통하여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내의 선별 곡립이 재최종 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에 이르는 사이에 있어서 선별곡립중에 함유되는 작은 곡립은 제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제거된 작은 곡립은 뒤에서 설명하는 커버(42)의 옆부분을 통하여 기계바깥으로 회수된다.

    그리고, 1차선별통체(a)의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의 종단부는 아래부분이 2차선별통체(b)내의 공급측(X)에 삽입된 공급통(23)으로서 2차선별통체(b)내와 연통시켜서 혼합미 공급로를 형성하고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내의 선별곡립은 2차선별통체(b)에서 재차 선별작용을 받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1차선별통체(a)의 배출측(Y)끝은 벼탱크(1)위에 면하게하고, 벼껍질제거부(A)로 쌀이송로를 형성하며, 2차선별통체(b)의 배출측(Y)끝은 경사지게 설치된 환원판(24)으로서 접동낙하미 안내통(7)에, 그리고 또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의 종단부는 유동통로(25)를 경유하여 현미풍력선별부(B 2 )에 있어서 현미안내통(9)의 윗쪽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유하판(15)위에 연통시킴과 아울러, 현미안내통(9)은 기계 바깥 회수용의 송풍기에 연통시킨다.

    따라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쌀선별기(E)에서 재최종 선별곡립수납안내통(20), 현미 풍력선별부(B 2 )를 경유하여 현미를 기계바깥으로 회수하는 회수경로가 형성되게 한다. (27)은 압풍로(6)아래쪽의 공간에 설치된 원동기이며, (28)은 벼껍질제거부(A)의 1쌍의 벼껍질 제거용 로울(2)중의 고정 벼껍질 제거용 로울부에 부착시킨 풀리와 원동기(27)의 풀리에 가교한 V벨트, (29)는 이 고정 벼껍질제거용 로울부와 흡인기(3)축과, 2차곡립안내통(8), 접동낙하미 안내통(7), 현미안내통(9)의 각 안내통내에 설치된 각각의 스크류우 콘베이어축을 연통시키는 V벨트, (30)은 접동낙하미 안내통(7)의 스크류우 콘베이어 축에서 양곡기(D)의 바켓트에 부착된 벨트를 회동시키는 V벨트, (30)은 접동낙하미 안내통(7)의 스크류우 콘베이어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V벨트이며, (31)은 기어박스(32)에 설치되는 베벨기어 등에 의하여 벼껍질 제거용 로울(2)축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어박스(32)에서 뒤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회전선별부(C)전동용의 구동� ��으로서, 2차 선별통체(b)를 지지하는 전륜(13)축에 배출측(Y)에 있어서 벨트 전동시킨다.

    (33)은 회전선별부(C)의 공급측(X)에 있어서 상기한 2차 선별통체(b)를 지지하는 전륜(13)축과 1차선별통체(a)를 지지하는 전륜(13)축과,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의 각 안내통에 내장된 스크류우 콘베이어(17)축과,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의 스크류우 콘베이어 축을 언동하는 1개의 V벨트이다. 또 (34), (35)는 기대의 앞쪽끝과 뒤쪽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륜(輪)이며, 쌍방이 모두 기대의 아래쪽에 출몰자재하게 구성되고, 또한 뒷쪽부분의 이동륜(35)은 레버(36)의 상하운동에 의하여 기체를 상하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기체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37)은 상기한 벼껍질 제거율확인밸브(10)부와 기체바깥을 연동하는 개구, (38)은 기체의 왼쪽에 설치한 변속박스로서, 상기한 기어박스(32)에서 뒷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구동측(31)또는 2차선별통체(b)의 전륜(13)축에 설치한 벨트전동용 풀리를 분할풀리로서 벨트의 긴장력에 의하여 유효 지름을 대소변경이 자유롭게하여 변속박스(38)의 변속레버(39)의 조작에 의하여 이 벨트의 장력을 바꾸는 텐선풀리를 개재하여 회전선별부(C)각축의 회전수를 변동하도록 되어있다(상세한 도면표시 생략). (40), (41)은 벼껍질 제거부(A)와 풍력선별부(B)의 오른쪽에 노출하는 상기한 각 V벨트(28), (29), (30)등의 전동장치를 피복하는 커버, (42)는 회전선별부(C)각축을 언동하는 V벨트(33), 쌀선별기(E)등의 커버이다.

    또한, 상기한 미접동낙하 공급안내통(14),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및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의 밑바닥부는 전체길이에 걸쳐서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되며, 이들을 링크나 연결간을 개재하여 공급측(X)에 설치한 조작간(43)으로서 연동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동기(27)의 동력은 V벨크(28)(29)(30)(30')를 개재하여 벼껍질 제거부(A)와 풍력선별부(B), 양곡기(D)에 전달됨과 아울러 구동측(31)에서 회전선별부(C)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벼탱크(1)에 공급되는 벼는 1쌍의 벼껍질 제거용 로울(2)에 의하여 접동낙하되어 흡인풍로(4)에서 풍력선별되어서 2차 선별곡립과 벼껍질 및 분진은 제거되어 접동낙하미 안내통(7)에 집합하고, 스크류우 콘베이어에 의하여 기계의 왼쪽에서 이송되어 양곡기(D)로서 접동낙하미 탱크(19)에 인양된다. 이때, 벼껍질 제거상태를 알려면 벼껍질 제거율 확인밸브(10)를 개방상태로하여 개구(37)에서 접동낙하미를 꺼내서 확인한다. 이 인양된 접동낙하미(현미와 벼의 혼합곡립)은 접동낙하미탱크(19)의 아래부분에 접동낙하미 공급안내통(14)으로서 1차선별통체(a)내를 뒷쪽으로 운반되어 공급구(18)에서 이선별통체(a)의 내주면에 낙하되어 들어간다.

    이 낙하된 혼합곡립은 화살표(ㄱ)방향으로 회동하는 1차선별통체(a)의 회동에 의한 요함부(12)의 떠올려지는 작용에 따라서 공급구(18)에서 떨어져 들어가는 싯점에 있어서는 융기상태를 나타내나, 점차로 회동방향쪽으로 편재하여 공급측(X)에서 배출측(Y)으로 향하여 이행하고, 그동안 곡립형상의 대소나 활도(滑度)의 차이에 의하여 주로 현미는 아래층으로 침하하며 쌀은 윗층으로 떠올라가면서 요함부(12)에 끼어들어간 현미는 떠올려져 윗쪽까지 들어올려서 요함부(12)에서 떨어져 선별통체(a)의 회동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또는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내로 떨어져 들어간다.

    벼는 주로 윗층에 떠올라가며, 또한 곡립의 형상이 크기 때문에 요함부(12)에는 끼여들어가기 어렵고, 또 끼여들어갔을 경우에도 빠지기 용이하므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에까지 이르는 일이없고, 예컨대 들어올리는 것이라도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내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며, 작은곡립의 현미는 요함부(12)에 깊이끼여서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가장 윗부분에까지 들어올려져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내로 이른다. 또, 요함부(12)에 끼지 않고,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내에까지 이르지 않은 벼 및 현미는(ㄱ)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무너지도록 유동하여 이 상태를 반복하면서 배출측(Y)으로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에는 현미의 정상적인 곡립과 작은 곡립이, 또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에는 약간의 벼를 포함하는 현미의 혼합곡립이 떠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한쪽의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내의 현미는 스크류우 콘베이어(17)에서 뒷쪽으로 이송되어 종단부에서 배출통(21)을 경유하여서 쌀선별기(E)에 이르며, 여기에서 작은 곡립은 아래쪽으로 빠져나가고, 이 아래쪽으로 빠져나간 작은 곡립은 커버(42)를 통하여 기체외부로 제거되며, 아래쪽으로 빠져나간 정상적인 곡립은 수납통(22)에서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으로 흘러들어가서 뒤에서 말하는 2차선별통체(b)의 요함부(12)에 의하여 떠올려지는 현미와 합류시킨다. 또, 다른쪽의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내의 혼합곡립은 동일하게 뒷쪽으로 이송되어 종단부에서 공급통(23)을 경유하여 2차선별통체(b)의 공급측(X)내주면상으로 공급된다. 이 공급된 혼합곡립은 1차선별통체(a)와 동일하게 제 5 도 화살표(ㄴ)에 표시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요함부(12)로 떠올려지는 것에 의한 선별작용을 반복시키는 것이다.

    이 요함부(12)에 의한 떠올려지는 작용은 1차 선별통체(a)에 와어서는 벼만이 배출측(Y)끝에서 제 4 도 화살표(ㄷ)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벼탱크(1)로 환원되도록 하여서 재벼껍질 제거작용을 받도록 하고, 2차선별통체(b)에 있어서는 재최종선별곡립 수납 안내통(20)에는 현미만이 떨어져 들어가도록하며, 그 때문에 2차 선별통체(b)의 배출측(Y)끝에서 약간의 벼와 현미의 혼합 곡립이 제 4 도 화살표(ㄹ)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환원판(20)위로 흘러내려서 재차 풍력선별한후, 접동낙하미 안내통(7)으로 도입하도록 되어서 새로운 접동낙하미와 합류하고,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내의 현미는 유동통로(25)에서 유하판(26)을 경유하여 압풍로(6)에서 풍력선별되어 현미 안내통(9)에 접합한후 옆쪽으로 이송되어 슬로위에 의하여 소정의 장소로 꺼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15),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16), 재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20)에 소망의 현미, 벼현미의 혼합곡립을 떨어뜨려 넣으려면, 각 수납안내통의 수납측에 경사자세를 변경조절가능하게 설치한 조절판(44)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은 물론이며, 변속레버(39)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선별부(C)의 회전수를 바꾸어 요함부(12)의 떠올려지는 작용을 강약조절하여 행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 종료할때에 회전선별부(C)내를 유동중의 나머지 곡립을 속히 제거함에는 조작간(45)에 의하여 각 안내통의 밑바닥부를 전체길이에 걸쳐서 동시에 개구하고, 각 선별통체(a), (b)의 내주면위에 낙하시킴과 아울러 레버(36)를 밟아내려서 이동륜(35)을 아래쪽으로 동작시키면 기체의 뒷부분은 떠올라서 경사지고, 각 선별통체(a), (b)내주면위의 나머지 곡립은 속도를 증가하여 앞쪽으로 이행하여 배출측(Y)끝에서 각각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중에 있어서 각 선별통체(a), (b)의 배출측(Y)을 공급측(X)보다도 약간 낮은 자세로하여 곡립의 이행을 왕성하게 하는것도 있다.

    본 고안은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벼껍질 제거부와 풍력선별부와, 회전선별부로부터 이루어진 회전선별정미기에 있어서, 회전선별부는 내주면에 다수의 요함부를 형성설치함과 아울러, 안쪽에 수납안내통을 설치하여 회동가능하게 옆방향 가로지르는 선별통체에 의하여 구성하고, 상기한 풍력선별부와 선별통체의 공급측과는 접동낙하미 이송로에 의해서 연통시킴과 아울러, 배출측은 벼이송로에 의하여 벼껍질제거부에 연통시키며 상기한 수납안내통은 현미를 회수하는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과 벼와 현미의 혼합곡립을 회수하는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을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하고 이들 수납 안내통은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이 회동방향 위쪽 가까이 이루어지도록 서로 접근시켜서 설치하며 최종선별곡립수납안내통은 기계 바깥에의 회수 경로쪽에, 재선별곡립수납안내통은 기계내의 재선별 경로쪽에 각각 연통시키므로 1개의 선별통체에 의해서 실시예와 같이 현미(정상적인 곡립및 작은곡립)의 최종선별곡립과 약간의 벼를 포함하며 현미의 재선별곡립과 요함부에 의하여 수납안내통에 떠올려지지 않은 쌀의 3종류에 선별이 되며 계층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게되고 쌀이 현미에 혼입하여 비교적 윗쪽까지 들어올려진 경우에도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에 낙하하는 혼합미는 쌀의 혼합 비율이 저하되므로써 재선별 할때라도 효율 좋은 정도의 양호한 선별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회전선별수는 선별통체를 상하 2단에 설치하고 상단의 1차선별 통체내에는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과 재선별곡립 수납안내통을 나란히 설치함과 아울러, 최종선별 곡립수납안내통은 기계바깥에의 회수경로쪽에 연통시키며 또한 재선별 곡립수납안내통에서 하단의 2차선별통체내에 이르는 혼합미 공급로를 설치하고 재선별곡립은 하단의 2차선별 통체내에서 재차 선별하도록 되는 경우에는 상단의 1차선별통체에서 선별된 최종선별곡립 수납안내통의 현미는 재차 하단의 2차선별통체에서 선별작용을 받는것은 아니며 기계바깥으로 회수할수가 있으며 재신별곡림 수납안내통의 재선별곡림(약간의 쌀을 포함하는 현미)만이 재차 선별작용을 받게되어서 2차선별통제의 부담을 경감하여 선별정도의 향상과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상단의 신별통� �� 하단의 선별통과의 양쪽에서 현미를 회수할수가 있어서 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최종선별곡림 수납안내통과 기계바깥에의 회수경로와의 사이에 쌀선별장치를 개재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최종선별 곡립으로서 정상적인 곡립의 현미와 함께 회수되는 작은 곡립의 현미는 선별후 즉시 선별기에 의해서 기체바깥으로 회수제거되므로써 이후의 회수하는 경로에 있어서의 각장치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컨대 회수하는 경로중에 현미 풍력선별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현미풍력선별의 압풍로에 있어서의 풍력이 조금크게 되어도 작은 곡립의 것을 기체바깥에까지 홉출시킬수가 없으며 분진을 완전하게 제거된 정상적인 곡립현미를 얻을 수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