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

申请号 KR1020090080384 申请日 2009-08-28 公开(公告)号 KR1020110022889A 公开(公告)日 2011-03-08
申请人 최형교; 发明人 최형교;
摘要 PURPOSE: A vehicle for a child with a height adjusting function is provided to reduce the risk of falling down accidents by allowing the feet of the child to be reached to the ground. CONSTITUTION: An upper frame(200) is combined with the lower side of a vehicle(100). An opened receiving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 plurality of grooves is formed on anoth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One side of a lower frame(30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art, and another side of the lower frame is combined with a wheel shaft(120). A plurality of protrusions(310) is form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lower frame. A finishing frame prevents the escape of the lower frame from the upper frame. The height of the vehicl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distance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using the grooves and the protrusions.
权利要求
  • 유아용 자동차에 있어서,
    차체(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하부는 개구된 수용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의 일측 내측면은 일정각도로 외향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상부프레임(200);
    상기 수용부(210)의 타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220);
    일측은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수용되며,타측은 바퀴 축(120)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00);
    상기 하부프레임(30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걸림홈(220)에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0);
    일측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쇄기형상으로 형성되어,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프레임(200)에 삽입되고 남은 여유공간에 때려박아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프레임(40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삽입되되, 하부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상부프레임(200)의 걸림홈(220)에 체결되어 차체(1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410)가 형성되어 파지가 용이하고, 상부프레임(200)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
  • 说明书全文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car for child with heigh-control fun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들의 신체에 맞게 차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들의 놀이기구 및 보행 촉진 수단으로 많은 유아용 자동차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유아용 자동차는 아직까지 페달을 밟거나 돌릴 힘이 없는 유아들이 주로 타는 것으로 보행기를 타는 시기를 지난 유아들에게 보행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자동차는 대부분 차체에 바퀴와 일정 높이의 시트(seat)만을 설치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신체크기나 신장 등의 발육상태를 무시한 채 제작되었다.

    아이들은 어른과 달리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아이의 성장에 따라 차체에서 바닥까지의 거리가 조절되지 않으면, 유아들이 자동차를 타기가 불편하였 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용 자동차는 쉽게 훼손되는 기구가 아니므로 버리거나 해마다 새 자전거를 구입하여 주는 것도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며, 특히 그 규격이 다양하게 생산 보급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성장 중에 있는 아이에게 적합한 새 자전거를 구입하는 것도 생각처럼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비록 유아용 자동차의 시트의 높이를 조절한 것은 아니지만, 어린이들이 타는 세발 자전거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유아용 보행기 등에서 유아들의 성장에 따라 시트가 설치된 상측바디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된 하측바디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보행기에 관한 다수의 특허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말 그대로 유아들이 아직은 탈 수 없는 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에 있어서 안장의 높이를 가변하여 안장과 페달 사이의 거리 또는 안장과 바닥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므로 유아들이 이용할 수 없었으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보행기는 엉금엉금 기는 단계를 지나 걸음마를 시작한 유아는 더 이상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걸음마를 시작한 유아들을 위해 성장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에 제작할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안출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의 성장에 따라 차체의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탑승시 유아의 다리가 완전히 펴질 수 있으며, 유아의 발이 바닥아 닿아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는 차체(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하부는 개구된 수용부(210)가 형성되되,상기 수용부의 일측 내측면은 일정각도로 외향경사진 경사면(212)을 이루는 상부프레임(200);상기 수용부(210)의 타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홈(220);일측은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수용되며,타측은 바퀴 축(120,130)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300);상기 하부프레임(300)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걸림홈(220)에 체결가능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림턱(310);일측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쇄기형상으로 형성되어,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프레임(200)에 삽입되고 남은 여유공간에 때려박아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프레임(400);을 포함하며,상기 하부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삽입되되,하부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이 원하는 높이에 위치한 상부프레임(200)의 걸림홈(220)에 체결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410)가 형성되어 파지가 용이하고, 상부프레임(200)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라 차체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유아의 발이 바닥에 닿지 않아 바닥에 떨어지는 사고의 위험을 줄이며, 성장함에 따라 길어진 다리로 인해 다리를 구부린 채 유아용 자동차를 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유아의 다리길이에 맞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홈을 소정의 높이에 위치한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걸림홈에 물려주면 되므로 간편한 조작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들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차체의 높이가 다른 제품을 각각 생산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는 종래와 같이 시트(110)를 구비한 차체(100), 상기 차체(100)의 하부에 결합형성된 다수개의 바퀴(122,124,132,134), 두 개의 바퀴를 상호연결하는 바퀴축(120,130)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부 프레임(200), 걸림홈(220), 하부 프레임(300), 걸림턱(310), 마감프레임(400)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수용부에 하부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부프레임의 수용부에 하부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결합된 후의 단면도이다.

    먼저 상부 프레임(200)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200)은 차체(100)의 저면에 결합되며, 하부는 개구된 수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10)의 일측 내측면은 일정각도로 외향경사진 경사면(212)을 지닌다.

    이러한 상부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300)과 결합되어 차체(100)와 바퀴축(120)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통상의 유아용 자동차는 한쌍의 전륜(122,124)과 한쌍의 후륜(132,134))이 설치되므로, 상기 상부프레임(200)은 차체(100)의 저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상부 프레임(200)은 PVC 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210)는 전체적으로는 사각기둥의 형상을 띠고 일측면은 외향경사진 경사면을 지니며,하부프레임(300)과 마감프레임(400)이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진다.

    상기 하부 프레임(300)과 마감프레임(4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걸림홈(2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걸림홈(220)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타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상기 걸림홈(220)은 제1,2,3 걸림홈(222,224,226)으로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수직으로 나열되나, 이러한 걸림홈(220)의 개수는 사용에 따라 적절하게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홈(22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수개의 걸림홈(222,224,226)을 배치하기가 유용하나, 반드시 직사각형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하부 프레임(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300)은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수용되며, 타측은 바퀴 축(120)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부 프레임(300)은 수용부(210)의 일부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0)에 삽입가능하다.

    단, 상기 수용부(210)는 하부 프레임(3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300)은 수용부(210)에 삽입된 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바퀴축(120)에 결합가능한 끼움홈(140)을 가진다.

    상기 바퀴축(120)에 관하여 잠깐 살펴보면, 통상 유아용 자동차는 한쌍의 전륜(122,124)와 한쌍의 후륜(132,134)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쌍의 바퀴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바퀴축(120,130)이 사용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3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40)에 상기 바퀴축(120)이 결합되며, 상기 끼움홈(140)은 바퀴축(140)에 좀 더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300)의 하단부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300)은 자동차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된 상부 프레임의 수용부(210)에 수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걸림턱(310)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걸림턱(310)은 하부프레임(300)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걸림턱(310)은 상기 걸림홈(220)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20)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310)은 걸림홈(220)과 마찬가지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개수는 3~5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자명한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 르면, 일실시예로 상기걸림홈(220)은 제1,2,3 걸림홈(222,224,2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턱(310)은 제1,2,3 걸림턱(312,314,316)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300)은 상기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수용된 후 적절한 높이에서 상기 하부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이 상기 걸림홈(220)에 체결된다.

    만약 차체(100)와 바닥사이의 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원한다면, 상기 제1,2,3 걸림턱(312,314,316)이 제1,2,3 걸림홈(222,224,226)에 모두 걸려서 차체(100)의 높이가 가장 낮은 제1단계의 높이를 구사한다.

    그리고 유아가 어느 정도 성장하여 차체(100)와 바닥사이의 높이가 다소 높아지길 원한다면, 상기 하부프레임(300)을 좀더 내려 상기 제2,3 걸림턱(314,316)이 제 1,2 걸림홈(222,224)에 걸리도록 하여 제2단계를 높이를 구사한다.

    그리고 유아가 더욱 성장하여 차체(100)와 바닥 사이의 높이를 최고로 높이고 싶다면, 제3 걸림턱(316)이 오직 제1 걸림홈(222)에만 걸리도록 하여 차체(100)의 높이가 가장 높은 제3단계 높이를 구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유아용 자동차가 고정된 높이로만 사용되는 것에 반해, 유아의 성장 정도에 따라 제1,2,3 단계로 가변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이조절수단이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져 누구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다.

    다음으로 마감프레임(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일측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쇄기형상으로 형성되어,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프레임(200)에 삽입되고 남은 여유공간에 때려박아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상부 프레임으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상기 수용부(210)의 일측 내측면에 일정각도로 외향경사진 경사면(212)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수용부(210)에 일차적으로 삽입되고 난 후 수용부(210)의 빈 공간에 상기 마감프레임(400)이 삽입된다.

    이는 상기 수용부(210)가 하부프레임(300)을 수용하고도 남을 만큼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수용부(210)에 수용되고 난 후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제1,2,3 단계별로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높이를 설정한 후에는 상기 하부프레임(300)이 수용부(210) 내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여유 공간을 채워줄 필요가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210)는 걸림홈(220)이 형성된 측을 전측으로 하여 하부프레임(300)의 걸림턱(310)이 소정의 높이에서 상기 걸림홈(222,224,226)에 걸리도록 체결되고,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상기 수용부(210)의 후방에 삽입되어 1차적으로 삽입된 하부프레임(300)의 후면과 접하면서 상기 수용부(210)의 빈 공간을 완전히 메워준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으며, 일단이 직경이 증가하는 쇄기 형상을 띠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상기 쇄기 형상의 마감프레임(400)이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고 일면이 경사면을 가지게 되어 중력에 의한 힘뿐만이 아니라 동시에 측력이 발생하여 상기 마감프레임(400)이 하부프레임(300)을 측면에서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막대형상의 마감프레임 보다 경사면을 가지는 쇄기형상으로 된 마감프레임(400)이 상기 상부프레임(200)으로부터 하부프레임(30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하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4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프레임(400)은 일단 삽입된 후에도 다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감프레임(400)을 수용부(21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프레임(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410)를 형성하면 파지가 용이하며 상기 마감프레임(400)을 수용부(210)로부터 보다 수월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유아용 자동차에 탄 유아의 다리가 바닥에 충분히 닿을 수 있는 높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차체(100)의 하부에 결합된 상부프레임(200)의 수용부(210)에 수용된 마감프레임(400)을 우선 분리한다.

    그 다음 걸림홈(220)에 걸려있는 걸림턱(310)을 뺀 후 하부프레임(300)을 수용부(2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다.

    상기 유아의 다리가 바닥에 닿을 수 있도록 측정된 높이를 고려하여 하부프레임(300)을 상부 프레임의 수용부(210)에 삽입한 후 높이를 조절한다.

    다음 하부 프레임을 수용부(210) 내에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후 하부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을 걸림홈(220)에 물려준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10)에 하부프레임(300)이 수용되고 남은 빈 공간에 마감프레임(400)을 삽입하여 끝까지 밀어준다.

    어느 정도 세월이 흘러 유아가 성장하면, 성장된 다리길이에 맞게 하부 프레임(300)에 형성된 걸림턱(312,314,316)이 한단계 혹은 두 단계 낮은 위치에 형성된 걸림홈(222,224,226)에 물리도록 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유아용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수용부에 하부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결합되기 전의 사시도.

    도 3은 상부프레임의 수용부에 하부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이 결합된 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차체

    110: 시트

    120,130: 바퀴축

    140: 끼움홈

    122,124: 한쌍의 전륜

    132,134: 한쌍의 후륜

    200: 상부 프레임

    210: 수용부

    212: 경사면

    220: 걸림홈

    222: 제1걸림홈

    224: 제2걸림홈

    226: 제3걸림홈

    300: 하부 프레임

    310: 걸림턱

    312: 제1걸림턱

    314: 제2걸림턱

    316: 제3걸림턱

    400: 마감프레임

    410: 돌출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