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rse-riding apparatus for amusement park

申请号 KR20100058536 申请日 2010-06-21 公开(公告)号 KR100987925B1 公开(公告)日 2010-10-18
申请人 BERADEL EQUESTRIAN CLUB CO LTD; 发明人 KIM UN YOUNG;
摘要 PURPOSE: An endless type horse-riding play machine is provided, which induce user's fun and interest and improve marketability. CONSTITUTION: An endless type horse-riding play machine comprises: a frame(20) rolling along the surface; a horse type body(30) which is installed at the frame in order to enables a user to ride on it; a towing device(70) which draws the frame and horse type body to travel along the surface; a shaking member capable of shaking the horse type body. The shaking member comprises: a crank arm installed on the rotation center axis of wheels; and an actuating rod connecting the crank arm and horse type body.
权利要求
  •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는 앞바퀴(22)와 뒷바퀴(24)를 구비하여 지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20)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말모형 바디(30)와;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말모형 바디(30)가 지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견인장치(70)와; 상기 말모형 바디(30)를 요동운동시키는 요동운동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요동운동수단(60)은,
    상기 앞바퀴(22)와 뒷바퀴(24)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할 시에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22)와 뒷바퀴(24)의 회전중심축(22a, 24a)에 일체로 설치되는 크랭크아암(62)과;
    상기 크랭크아암(62)의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상,하 요동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말모형 바디(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아암(62)과 말모형 바디(30)를 연결하는 작동로드(64)를 포함하고,
    상기 크랭크아암(62)은, 상기 앞바퀴(22)와 뒷바퀴(24)의 회전중심축(22a, 24a) 양쪽부분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작동로드(64)는, 상기 앞,뒤바퀴(22, 24)의 회전중심축(22a, 24a) 양쪽부분에 설치되는 총 4개의 크랭크아암(62) 각각을 상기 말모형 바디(30)에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4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70)는,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앞바퀴(84)와 한 쌍의 뒷바퀴(86)들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20)을 견인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견인대차(80)와;
    상기 견인대차(8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2)와;
    상기 뒷바퀴(86)들이 회전되면서 상기 견인대차(8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92)의 구동력을 상기 뒷바퀴(86)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70)의 주행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견인대차(80)의 앞바퀴(84)들을 조향하는 조향수단(88)을 더 구비하며,
    상기 조향수단(88)은, 핸들(88a)과, 상기 핸들(88a)과 연결되는 조향축(88b)과, 상기 조향축(88b)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어장치(88f)와, 상기 기어장치(88f)에 의해 좌,우 직선운동하는 타이로드(Tie Rod)(88c)와, 상기 타이로드(88c)의 좌,우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이로드(88c)의 양단에 연결되는 너클아암(Knuckle Arm)(88d)들과, 상기 너클아암(88d)이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양쪽의 앞바퀴(84)들을 특정한 각도로 조향하는 한 쌍의 너클(Knuckle)(88e)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대차(80)는, 말(馬) 형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64)들은,
    상기 크랭크아암(62)들에 의해 발생된 각 요동운동을 상기 말모형 바디(30)의 네 다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말모형 바디(30)의 네 다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모형 바디(30)는, 2개가 좌,우 나란하게 쌍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며, 서로 연결된 좌,우 말모형 바디(30) 쌍은, 앞,뒤 방향으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일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최후방의 말모형 바디(30)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보조 탑승장치(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탑승장치(110)는, 마차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모형 바디(30)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20)에 설치되는 쇽업쇼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쇽업쇼버는 상기 말모형 바디(30)에 작용하는 기계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제 1항, 제 3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70)는,
    상기 프레임(20)과 말모형 바디(30)를 앞에서 견인하거나 또는 뒤에서 견인하거나 또는 앞,뒤 모두에서 견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
  • 说明书全文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HORSE-RIDING APPARATUS FOR AMUSEMENT PARK}

    본 발명은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승마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부합하여, 각종 유원시설에도 승마에 관한 놀이 시설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례로서, 승마 놀이기구가 있다. 이 기구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과, 안장을 상,하,좌,우로 요동운동시키는 요동운동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마 놀이기구는, 안장에 앉은 사용자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요동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승마운동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승마놀이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승마 놀이기구는, 제자리에서 요동운동하는 구조이므로, 놀이 동작이 단순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자가 몇차례 반복하여 탑승하면 쉽게 싫증을 느끼고 흥미를 잃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놀이 기구로서의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밖에도, 승마 놀이시설로서, 회전목마가 있다. 그러나, 회전목마 역시 상,하운동하면서 회전 주행만 반복하므로, 놀이 동작이 단순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고 흥미를 잃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요동 운동할 뿐만이 아니라 노면 또는 일정한 트랙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제로 특정 코스를 승마하는 것과 같은 승마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제와 같은 승마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는, 지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말모형 바디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말모형 바디가 지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견인장치와; 상기 말모형 바디를 요동운동시키는 요동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는 앞바퀴와 뒷바퀴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견인장치는,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 쌍의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들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을 앞에서 견인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견인대차와; 상기 견인대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뒷바퀴들이 회전되면서 상기 견인대차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뒷바퀴들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요동운동수단은,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할 시에 일체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앞바퀴와 뒷바퀴의 회전중심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크랭크아암과; 상기 크랭크아암의 회전운동을 상,하 요동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말모형 바디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크랭크아암과 말모형 바디를 연결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에 의하면, 전방 주행은 물론 상,하 요동운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실제의 승마동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기구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재미와 흥미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을 따라 자유롭게 주행하는 구조이므로,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하는 것과 같은 승마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므로, 상품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유원시설 등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를 구성하는 승마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를 구성하는 견인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원시설용 승마 놀이기구는, 승마장치(10)들을 구비한다.

    승마장치(10)들은,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말모형 바디(30)를 포함한다.

    프레임(20)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22)와 뒷바퀴(24)를 구비한다.

    앞바퀴(22)와 뒷바퀴(24)는,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한다. 따라서, 승마장치(10) 전체가 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마장치(10)들은 좌,우 쌍을 이루는 것이 좋다. 특히, 연결부재(12)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마장치(10)들은 좌,우 쌍을 이루면서 일체로 지면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좌,우 승마장치(10) 쌍의 바깥쪽 부분에는 각각 발판(10a)들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판(10a)은 승마장치(10)의 탑승객이 필요에 따라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안전한 승마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발판(10a)은 판체 또는 망체로 구성되며, 내구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면, 익스펜디드 메탈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에 배치되는 승마장치(10)들은, 연결바(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연결된 앞,뒤의 승마장치(10)들은 일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일렬로 주행하게 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말모형 바디(30)는, 바디프레임(32)과, 바디프레임(32)에 설치되는 안장(34)을 구비한다.

    바디프레임(32)은, 요동운동지지부재(36)를 통해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바디프레임(32)은 프레임(20)에 대해 상,하 요동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요동운동지지부재(36)는, 가스식 또는 스프링 내장식 쇽업쇼버(Shock Aabsorber)로 구성되는 것으로, 프레임(2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실린더(36a)와, 바디프레임(32)을 지지한 상태에서 가이드 실린더(36a)에 상,하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로드(36b)로 구성된다.

    특히, 승강로드(36b)는, 가이드 실린더(36a)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데, 이렇게 승강운동하는 승강로드(36b)는 상부의 바디프레임(32)을 프레임(20)에 상,하 요동운동가능하게 지지시킨다.

    또한, 승강로드(36b)는, 안장(34)에 앉은 승마자의 체중을 받쳐서 지지하고, 아울러 안장(34)에 작용하는 기계적 충격을 완화시킨다.

    안장(34)은, 사용자가 직접 앉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탄력을 갖는 내부의 쿠션부(34a)와, 외부의 피복부(34b)로 구성된다. 특히, 피복부(34b)는 부드러우면서도 질긴 재질, 예를 들면, 인조피혁 또는 천연피혁으로 구성된다.

    한편, 안장(34)과 바디프레임(32)의 사이에는 탄성지지부재(38),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이 설치된다. 탄성지지부재(38)는, 안장(34)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쿠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착석감을 좋게 한다.

    그리고, 안장(34)에는, 안전벨트(40)와 양쪽의 발걸이(42)와 손잡이(44)가 설치된다.

    안전벨트(40)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안장(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걸이(42)는, 안장(34)의 양쪽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걸이끈(42a)과, 걸이끈(42a)의 하단에 고정되는 걸고리(42b)로 구성된다.

    특히, 걸고리(42b)는 안장(34)에 앉은 사용자가 발을 걸어서 지지할 수 있는 걸이구멍(42c)을 갖추고 있는데, 이 걸이구멍(42c)은 상,하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이구멍(42c)들은 안장(34)에 앉은 탑승자가 자기 신체조건에 맞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44)는 반원형으로서, 안장(34)에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손잡이(44)는 안장(34)에 앉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승마장치(10)는, 말모형 바디(30)를 상,하로 요동운동시키는 요동운동수단(60)을 구비한다.

    요동운동수단(60)은, 프레임(20)에 설치된 앞,뒤바퀴(22, 24)의 회전중심축(22a, 24a)에 일체로 설치되는 크랭크아암(62)들과, 크랭크아암(62)들과 말모형 바디(30)를 서로 연결하는 작동로드(64)를 포함한다.

    크랭크아암(62)은, 앞,뒤바퀴(22, 24)의 회전중심축(22a, 24a)에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앞,뒤바퀴(22, 24)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회전운동하면 상기 앞,뒤바퀴(22, 24)와 함께 일체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크랭크아암(62)은, 도 3에서와 같이, 앞,뒤바퀴(22, 24)의 회전중심축(22a, 24a) 양쪽부분에 모두 설치된다. 따라서, 크랭크아암(62)은, 앞,뒤바퀴(22, 24)가 회전운동하면 앞,뒤바퀴(22, 24)의 양쪽 네 곳에서 동시에 회전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앞,뒤로 배치되는 크랭크아암(62)은,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로드(62a)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뒤의 크랭크아암(62)들이 동기화(Synchronization)되면서 동일한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작동로드(64)는, 하단이 크랭크아암(62)의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말모형 바디(30)의 바디프레임(3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작동로드(64)는, 네 개의 크랭크아암(62)을 말모형 바디(30)에 연결시켜야 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네 개가 필요하다. 이때, 네 개의 작동로드(64)는, 말모형 바디(30)의 네 다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로드(64)들은, 크랭크아암(62)들이 앞,뒤바퀴(22, 24)들과 함께 회전운동할 경우, 크랭크아암(62)들의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주고, 변환된 상,하왕복운동을 말모형 바디(30)에 전달한다.

    따라서, 말모형 바디(30)가 상,하방향으로 요동운동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말모형 바디(30)의 네 다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요동운동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말모형 바디(30)의 안장(34)에 앉은 탑승자에게 실제로 말을 타는 것과 같은 요동운동효과를 제공한다.

    다시, 도 1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는, 승마장치(1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장치(70)를 구비한다.

    견인장치(70)는, 지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견인대차(牽引臺車)(80)와, 견인대차(80)를 주행시키는 구동수단(90)을 포함한다.

    견인대차(80)는, 말(馬)형상으로 구성되며, 운전자, 안전요원 등이 탑승할 수 있는 안장(82)과, 앞부분의 앞바퀴(84)와, 뒷부분의 뒷바퀴(86) 및, 앞바퀴(84)를 조향하는 조향수단(88)을 갖추고 있다.

    앞바퀴(84)는,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대차(80)의 앞부분 양쪽에 쌍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한 쌍의 앞바퀴(84)들은 견인대차(80)의 앞부분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견인대차(80)의 앞부분이 지면을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뒷바퀴(86)는,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것으로,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대차(80)의 뒷부분 양쪽에 쌍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한 쌍의 뒷바퀴(86)들은 견인대차(80)의 뒷부분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견인대차(80)의 뒷부분이 지면을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뒷바퀴(86)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뒷바퀴(86)를 제동할 수 있다. 이로써, 견인대차(80)와, 이에 연결된 승마장치(10)의 주행을 제한할 수 있다. 브레이크가 내장된 바퀴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향수단(88)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88a)과, 조향축(88b)과, 타이로드(Tie Rod)(88c)와, 너클아암(Knuckle Arm)(88d)과, 너클(Knuckle)(88e) 및, 조향축(88b)과 타이로드(88c)를 연결하는 기어장치(88f)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향수단(88)은, 핸들(88a)을 회전조작함에 따라 조향축(88b)이 회전하면, 조향축(88b)의 회전력이 기어장치(88f)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타이로드(88c)에 전달된다.

    그리고 타이로드(88c)에 전달된 직선운동은, 양쪽의 너클아암(88d)을 통해 다시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회전운동으로 전환된 핸들(88a)의 조작력은 양쪽의 너클(88e)로 전달된다. 이때, 양쪽의 너클(88e)은 킹핀(King Pin)(88g)을 중심으로회전운동하면서 각각에 설치된 앞바퀴(84)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양쪽의 앞바퀴(84)들은, 킹핀(88g)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동시에 회전되며, 이렇게 회전된 앞바퀴(84)들은 견인대차(80)를 특정한 방향으로 조향하게 된다. 그 결과, 견인장치(70)는 특정한 방향으로 조향되면서 방향 전환한다. 이로써, 승마장치(10)들의 주행방향도 전환된다.

    다시, 도 1과 도 4와 도 7을 참조하면, 견인장치(70)의 구동수단(90)은, 견인대차(8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2)와, 구동모터(92)의 구동력을 뒷바퀴(86)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9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92)는, 견인대차(80)에 설치되며, 견인대차(80)에 설치되는 전원공급수단(92a), 예를 들면,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동력전달수단(94)은, 구동모터(92)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94a)과, 양쪽의 뒷바퀴(86)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축(94b)과, 연결축(94b)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94c)과, 구동스프로킷(94a)과 종동스프로킷(94c)을 연결하는 체인(94d)을 구비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94)은, 구동모터(92)의 구동력을 구동스프로킷(94a)과 체인(94d)과 종동스프로킷(94c)으로 전달받은 다음, 전달받은 구동력을 다시 양쪽의 뒷바퀴(86)로 전달한다.

    그 결과, 양쪽의 뒷바퀴(86)가 빠르게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제공한다. 이로써, 견인대차(80)가 지면을 따라 운동하면서 후방의 승마장치(10)들을 견인한다. 따라서, 승마장치(10)에 탑승한 사용자가 지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동력전달수단(94)은, 경우에 따라 구동모터(92)의 구동속도를 적절한 속도로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92)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뒷바퀴(86)의 회전력을 제동할 수 있다. 이로써, 견인대차(80)와 이에 연결된 승마장치(10)의 주행을 제한할 수 있다. 브레이크 내장형 구동모터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들이 승마장치(10)의 안장(34)에 앉은 상태에서 승마준비를 완료한다. 그리고 승마준비가 완료되면, 견인장치(70)에 탑승한 운전자가 콘트롤러(100)를 제어하여 장치를 온(ON)시킨다.

    그러면, 견인장치(70)에 설치된 구동수단(90)이 작동되면서 뒷바퀴(86)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되는 뒷바퀴(86)들은,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전방으로 전진한다.

    그 결과, 견인장치(70)는 높은 추진력을 가지면서 후방의 승마장치(10)들을 견인한다. 이로써, 각 승마장치(10)들은 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전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견인장치(70)의 앞바퀴(84)를 조향하면, 상기 견인장치(70)는 특정방향으로 조향된다. 이로써, 후방에 연결된 다수의 승마장치(10)들도 견인장치(70)를 따라서 특정방향으로 조향된다.

    한편, 각 승마장치(10)들이 지면을 주행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승마장치(10)의 앞,뒤바퀴(22, 24)들도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데, 이때, 앞,뒤바퀴(22, 24)들이 구름운동함에 따라 양쪽의 크랭크아암(62)이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크랭크아암(62)이 회전운동하면, 단부에 연결된 작동로드(64)가 직선왕복운동한다. 그리고 직선왕복운동하는 작동로드(64)는 상부에 지지된 말모형 바디(30)를 상,하로 요동운동시킨다. 그러면, 말모형 바디(30)에 앉은 탑승자도 상,하로 요동운동하면서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승마장치(10)에 탑승한 사용자는 실제로 승마운동하는 것과 같은 승마체험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에 의하면, 전방 주행은 물론 상,하 요동운동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실제의 승마동작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기구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실제로 승마하는 것과 같은 재미와 흥미를 줄 수 있다.

    또한, 지면을 따라 자유롭게 주행하는 구조이므로, 실제로 말을 타고 승마하는 것과 같은 승마체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배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는, 탑승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므로, 상품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유원시설 등에 설치할 경우, 사용자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승마장치(10)가 총 3쌍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더 증가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견인장치(70)가 유니콘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탑승자 또는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견인장치(70)가 승마장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마장치(10)를 끌어서 견인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견인장치(70)가 승마장치(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승마장치(10)들을 밀어서 견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견인장치(70)가 승마장치(10)의 전방에서 견인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견인장치(70)가 말(馬)형상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견인장치(70)가 승마장치(10)들의 후방에서 밀어서 견인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견인장치(70)가 마차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견인장치(70)가 승마장치(10)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앞,뒤 견인장치(70)는, 승마장치(10)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모두 견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견인효율을 좋게 한다.

    이때, 승마장치(10)의 앞부분을 견인하는 견인장치(70)는 말형상으로 구성되고, 뒷부분을 견인하는 견인장치(70)는 마차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견인 및 탑승장치(110)를 더 구비한다.

    보조 견인 및 탑승장치(110)는, 상술한 승마장치(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만, 외면형상이 마차 형상으로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보조 견인 및 탑승장치(110)는, 승마장치(10)들의 최후방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앞부분의 승마장치(10)에 의해 견인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한다. 한편, 보조 견인 및 탑승장치(110)는, 노약자, 안전요원 등이 탑승하기 편리하도록, 시트(110a)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마 놀이기구는, 견인장치(70)에 설치되는 가속페달(도시하지 않음)과, 브레이크 페달(도시하지 않음)과, 비상정지 버튼(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속페달은, 구동모터(92)의 회전력을 가속시켜 승마장치(10)의 주행속도를 가속시킨다. 브레이크 페달은 구동모터(92)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승마장치(10)의 주행속도를 감속시킨다. 비상정지 버튼은, 비상시, 구동모터(92)를 비상정지시키고, 브레이크 장치를 비상 작동시킨다.

    또한, 견인장치(70)의 콘트롤러(100)에는, 자동운전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동운전모드" 선택시, 견인장치(70)의 주행속도와 주행거리를 미리 설정된 데로 자동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승마장치(10)가 미리 설정된 속도와 거리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승마장치 20: 프레임(Frame)
    22: 앞바퀴 24: 뒷바퀴
    30: 말모형 바디(Body) 32: 바디프레임(Body Frame)
    34: 안장 36: 요동운동지지부재
    40: 안전벨트(Belt) 42: 발걸이
    60: 요동운동수단 62: 크랭크아암(Crank Arm)
    64: 작동로드(Rod) 70: 견인장치
    80: 견인대차(牽引臺車) 82: 안장
    84: 앞바퀴 86: 뒷바퀴
    88: 조향수단 88a: 핸들(Handle)
    88b: 조향축 88c: 타이로드(Tie Rod)
    88d: 너클아암(Knuckle Arm) 88e: 너클(Knuckle)
    88f: 기어장치 90: 구동수단
    92: 구동모터 94: 동력전달수단
    100: 콘트롤러(Controller) 110: 보조 견인 및 탑승장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