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 귀환 장치

申请号 KR1020027006632 申请日 2000-11-23 公开(公告)号 KR1020020079741A 公开(公告)日 2002-10-19
申请人 딩고 스포츠 피티와이 엘티디; 发明人 데이비즈필립클라우드;
摘要 본발명의볼 귀환장치(1)는, 프레임(4)과, 프레임에의해지지되며볼 수용부형태로형성되고배치되는일체또는복수의네트(20)를포함하되, 볼수용부는, 대략사각형형태의네트가결합되어형성되는공동형의포획및 귀환구역으로서, 대략 10도로경사진바닥를형성하도록배치되고지지되어볼을원래의투사지역으로반환하는역할을하는바닥네트부(9)를구비한다. 본발명의볼 귀환장치는, 종단패널(5), 양측벽패널(6, 7), 천정패널(8) 및볼이공동형구역으로부터운동하는사람측으로굴러나갈수 있도록전방으로경사지게형성되어있는바닥패널(9)을구비한다. 각각의패널(5, 6, 7, 8, 9)은프레임(4)에결합되어있는나선형스프링(3)의탄성에의해비교적균일한긴장력으로팽팽하게지지된다. 본발명의장치(1)는골프드라이버연습이나, 호주식축구용볼 또는축구볼의키킹연습, 베이스볼이나소프트볼의피칭연습, 크리켓볼, 네트볼, 또는농구볼의드로잉연습및 하키볼이나테이스볼의타격연습에이용될수 있다.
权利要求
  •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볼 수용부 형태로 형성되고 배치되는 일체 또는 복수의 네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 수용부는, 그 전단부가 볼 투사부와 가장 낮은 위치에서 근접하게 되도록 경사지게 지지되어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부는, 네트로 형성된 양 측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수용부는, 네트로 형성된 천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의 양측단은 상기 양 측벽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천정부의 후단은 상기 볼 수용부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그 외곽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탄성 수단을 매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튜브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가늘고 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과 상기 지지 프레임은, 탄성 수단의 탄성 긴장력에 의해 각각의 네트가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유연성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끈을 그물망처럼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그물코는, 사용되는 볼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골프 볼, 테니스 볼, 호주식 축구 볼, 축구 볼, 크리켓 볼, 하키 볼, 야구 볼, 소프트 볼, 네트 볼 및 농구 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볼 귀환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양 측벽부, 천정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네트는 소정의 긴장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단부는, 상기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봉에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며, 상기 봉은 나선형 스프링이나 띠와 같은 탄성 수단을 매개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긴장력이 해제 가능하여, 양 측벽부, 천정부 및 바닥부의 긴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종단부만이 긴장 해제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천정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종단부 및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
  • 최소한 둘 이상의 반동 평면을 구비하되, 각각의 반동 평면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네트로 구성된 유연성 있는 패널로서, 볼에 대해 중앙선 정렬 효과가 작용하여 다음의 패널측으로 반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훈련이나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볼에 대해 반동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
  • 说明书全文

    볼 귀환 - 훈련 장치{Ball Return Practicing Arrangement}

    종래에도, 벽이나 지면에 지지되어 있는 원형 프레임의 둘레에 반동 매트를 팽팽하게 탄성적으로 설치하여 볼이 매트에 맞고 되퇴어 나올 수 있도록 한 장치가 특허 문헌에 개시된 바 있으나, 그다지 널리 알려지거나 보급되지는 못했다.

    상기 장치는 볼이 매트를 맞고 되 튀도록 형성되어 있기는 하나, 일예로, 볼이 필요한 방향으로 반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볼이 적절한 힘과 방향으로 매트를 타격하여야 하므로, 볼을 매트를 향해 정확히 겨냥할 수 있는 정도의 숙련자 이외에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는, 골프 볼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매트를 느슨하게 설치하여, 볼이 매트의 바닥쪽에 모이도록 함으로서, 골프 볼의 회수를 용이하게 한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장치 역시 볼을 이용하여 훈련 또는 게임을 하는 사람에게 볼공을 다시 돌려주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하여 연습 또는 게임을 하는 사람에게 볼이 귀환되도록 하여, 귀환되는 볼을 유용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볼 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과 관련된 스포츠 게임의 연습에 사용되는 볼 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귀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종단부의 스프링이 긴장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코너부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전방 개구부에 볼이 줄에 매어져 있는 프레임에 의해 네트가 지지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네트 구조 내부에 이완 네트를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볼 귀환 장치(1)는, 지지 프레임(4)과, 복수의 탄성 부재(3)에 의해 프레임(4)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공동형 수용부를 갖는 네트 장치(2)를 구비한다.

    네트 장치는 매듭된 줄로 형성된 그물코를 갖는 그물망 재료로 형성되는 바, 그물코는 본 실시예의 경우 3cm의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그물코의 크기는, 그물코가 원형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도 골프 볼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하며, 그물망 재질은 자체적으로는 유연성은 있으나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것이 적합하나, 스프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그물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Quins code SNSHNO148-30. 210 ×48 ×1 인치, 사각, 폴리에스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골프 네트의 종단부에는 "Quins code 42960 Net Knotless, 폴리에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종단 패널(5), 한쌍의 측방 패널(6, 7), 천정 패널(8) 및 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닥 패널(9)이 구비되는 바, 바닥 패널은 볼이 공동 형태로부터 연습자 쪽으로 용이하게 굴러 나갈 수 있도록 충분히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기 각 패널(5 내지 9)은 비교적 균일한 긴장력에 의해 팽팽히 유지되도록 복수의 보강 로드에 의해 일차적으로 지지되는 바, 일례로서, 로드(10)는 각 패널을 형성하는 그물망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로드는 나선형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공간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나선형 스프링(3)의 외측 단부는 적절한 방법으로 고정하면 되나, 본 실시예의 경우,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각각의 프레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1)에 고정된다.

    프레임(4)은 네 개의 수직 부재, 즉 장치 전방의 수직 프레임 부재(12, 13)와 연습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장치 후방의 수직 프레임 부재(14, 15)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수직 프레임 부재에는, 상부 양측의 수평 프레임 부재(16, 17) 및 하부 양측의 수평 프레임 부재(18, 19)가 끼워지는 파이프 꽂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의 수직 프레임 부재(12, 13)에는 횡단 부재(20, 21)가 결합되고, 후방의 수직 프레임 부재(14, 15)에는 횡단 부재(22, 23)가 결합된다.

    바닥 패널(9)에 경사를 주기 위해 수평 프레임 부재(18, 19)의 후방은 후방 수직 프레임 부재(14, 15)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높게 지지된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닥 패널(9)이 경사져 있고, 양 측방 패널(6, 7)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지지되는 반면, 종단 패널(5)은 본 장치가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 수직으로 지지된다.

    긴장력의 크기는, 바닥 패널(9)의 중앙에서 호주식 축구용 축구볼을 1m 높이에서 떨어트리는 경우, 낙하 거리의 최소한 20% 이상 되 퇴길 수 있는 정도로, 즉,패널이 비교적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표준형 축구 볼을 1m 높이에서 바닥 중앙에 떨어뜨린 경우 60cm 튀어 올라왔다.

    그 외의 패널 즉, 종단 패널, 측방 패널, 천정 패널의 경우에 대한 긴장력도 대략 상기의 크기로 결정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이나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분해 가능하고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조립시 연습이나 놀이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볼 귀환장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자체적으로 탄성을 지니며 네트(21)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구조는, 전방 바닥 코너부(22a)으로부터 전방 상부 코너부(22)로 연장되고, 이어서 반대편의 후방 코너부(23)로, 또 이로부터 아래쪽 전방으로 20도 경사각 갖는 코너부(24)를 거쳐 바닥 코너부(25)로 연장되는 튜브형 프레임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 프레임은, 횡단부(26), 경사부(27) 및 대각 연장부(28)을 통해 전방 코너(29) 및 전방 바닥 코너(30)에 이르기 까지 연장된다.

    전방 횡단부(32)와 후방 횡단부(26) 사이에는 스페이서(31)가 설치된다.

    도면 부호 33, 34, 35, 36으로 도시되어 있는 네트 고정부는 네트의 탄성에 의해 튜브형 부재가 굽혀질 수 있도록 위치하며, 이에 따라 네트는 하중에 대한 유연성을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구조는 다소 복잡해 보이지만 용접 작업 없이 구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볼(37)이 상부 고정끈(38) 및 탄성 부재(39, 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볼(37)이 어느 정도 이상의 힘으로 타격되면, 네트를 가격한 후,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타격 지점을 향해 동적으로 귀환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바닥 프레임 또한 상부프레임과 유사하게 대각선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며, 전방 바닥 코너(42, 43)로부터 후방 코너(44, 45)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횡단부재(40, 4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지지 효과가 증대되게 된다.

    또한, 네트부(46, 47)의 내부에 이완 네트(48)가 지지되는 바, 이로 인해 골프 볼은 관성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된 상태로 경사 바닥(49)를 거쳐 바닥부 전방(51)으로 돌아가게 된다.

    경사각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10도에서 30도 정도가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단 네트에 20도 정도의 경사각을 두는 경우, 볼에 대해 하향 탄발력을 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장치의 후방에서 리바운드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벨크로 띠(56, 57)를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이는 프레임에네트를 고정하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프레임으로부터 추가적인 탄성력이 가해지게 되며, 솔기부(60)의 내부를 가로질러 보강 부재(59)가 설치된다.

    첫 번째 예로, 호주식 축구용 볼을 연습하는 경우, 연습자는 볼을 장치 전방안쪽을 향해 킥하게 되며, 볼은 천정부를 타격한 후 전방 아래쪽을 향해 진행하여 종단 패널(5)을 타격하게 된다.

    천정부 및 종단 패널에서의 타격후 반발시, 네트 패널의 변형 및 탄발 효과에 의해 볼이 회전하며 네트의 중심선 쪽를 향하게 되므로, 볼른 종단 패널(5)에서 방향 전환하여 바닥 채널(9) 상에 적절한 크기의 귀환력으로 또한, 연습자가 용이하게 잡거나 집을 수 있는 궤도로 귀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연습자는, 킥을 잘 하거나 잘못 하거나에 관계없이, 볼을 용이하게 회수하여 연습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얼마나 편리한 것인지는 충분히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혼자 연습하는 경우, 킥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며 올바르게 교정함과 동시에 공을 신속히 또 정확히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은 킥 능력을 향상시키는 대단히 유용한 것임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호주식 축구의 연습에만 적합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장치가 다른 볼 게임 특히 골프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프의 경우, 종단 패널(5)은 스프링의 긴장력으로부터 해제되고, 양 측부, 천정부 및 바닥 패널에는 긴장력이 유지된다.

    그 결과, 매우 강한 충격력에 의해 장치의 입구로 타격된 골프 볼은 유연한 상태의 타겟 네트 즉, 종단 패널(5)을 타격하며 그 운동 에너지가 흡수되어 속도가 떨어진 상태로 바닥 패널(7)의 상부를 굴러 골프 연습자 쪽으로 돌아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제2 실시예는 로드(10)가 케이블로 바뀐 점만 빼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 장치(1)의 몇몇 부재를 다른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데, 측부 패널은 테니스 연습용 반동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일인 이상 여러명이 서로 방해 받지 않으며, 각기 다른 연습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 연습자가 호주식 축구 연습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타인이 장치의 외측 어느면을 사용하여 테니스 연습을 하더라도 양자는 서로 전혀 방해 받지 않으며 각자의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에 강한 충격력에 의한 긴장력이 가해진 경우, 네트의 형태가 대략 V자 형태로 변형되며, 인접 경사면의 각도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중앙선 정렬 효과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효과가 연속되는 세 개의 패널에서 발생하는 경우의 편의성이나 잇점은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중안선 정렬 효과는 긴장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네트의 특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바, 볼이 일측에 충돌한다면 네트의 짧은쪽은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여 볼에 대해 중앙선쪽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호주식 축구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핸드볼 연습에 사용될 수 있다. 핸드볼을 종단 네트를 향해 던진 경우 볼은 바닥 네트를 튀어 올라 효과적으로 귀환되며, 양 측벽 역시 여러 가지 형태의 핸드볼 연습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피칭후의 야구 볼의 귀환 장치나, 가상 기둥을 향해 던진 크리켓 볼의 귀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소한 둘 이상의 반동 평면을 구비하되, 각각의 반동 평면은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네트로 구성된 유연성 있는 패널로서, 볼에 대해 중앙선 정렬 효과가 작용하여 다음의 패널측으로 반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훈련이나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볼에 대해 반동 효과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어떠한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볼 수용부 형태로 형성되고 배치되는 일체 또는 복수의 네트를 포함하되, 상기 볼 수용부는, 그 전단부가 볼 투사부와 가장 낮은 위치에서 근접하게 되도록 경사지게 지지되어 있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귀환 장치가 제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수용부는, 네트로 형성된 양 측벽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수용부는, 네트로 형성된 천정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정부의 양측단은 상기 양 측벽부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천정부의 후단은 상기 볼 수용부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는 그 외곽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탄성 수단을 매개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튜브형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수용부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네트가 결합된 공동형의 포획 및 귀환 구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사진 바닥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지지되어 볼을 원래의 투사 지역으로 반환하는 역할을 하는 바닥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 귀환장치는, 볼 포획 지역보다 하부에 위치하며, 그 상부에 떨어진 볼이 원래의 투사 지역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닥부 또는 분리형의 바닥 부재 및 네트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네트의 긴장력이나 경사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포획 및 귀환 조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의 양측에는 각각 측벽부를 구비하며, 측벽부의 후단은 종단부의 후단에, 측벽부의 하단은 귀환 경사부의 양측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천정부를 더 구비하되, 천정부의 양 측단은 측벽부의 상단에, 천정부의 후단은 포획 종단부의 상단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네트 각각 또는 일체형의 네트는 지지 프레임에 탄성 수단을 매개로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수단은 지지 프레임의 프레임 부재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직선형 부재를 브래킷이나 용접 등의 결합 수단을 사용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며, 직선형 부재로는 튜브가 바람직하다.

    튜브에는, 일례로, 네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훅을 걸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직선형 부재에 훅을 설치하여 탄성 부재의 훅을 거는 방법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에 의해 네트가 특히, 포획 종단부가 실질적으로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 수단 및 지지 프레임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트는 유연성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끈을 그물망처럼, 예를 들어 1인치의 사각 그물코를 갖는 폴리에스터 그물망처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물코의 크기는 사용되는 볼의 크기에 적정한 것을 선택하되, 사용되는 볼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선택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볼, 예를 들어 골프 볼, 테니스 볼, 호주식 축구용 볼, 축구 볼, 크리켓 볼, 하키 볼, 야구 볼, 소프트 볼, 네트 볼 및 농구 볼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선택한다.

    양 측벽부, 종단부, 천정 및 바닥부를 구성하는 네트가 소정의 긴장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면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네트의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는 봉에 네트의 단부를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한 후, 상기 봉을 나선형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을 매개로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탈착 가능한 탄성 수단을 사용함으로서, 스프링을 교체하여 네트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양 측벽부, 천정부 및 바닥부의 긴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종단부 만이 긴장 해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장치는 특히 골프 연습 장치로서 그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바, 긴장 해제된 상태의 종단부에 빠른 속도의 골프 볼이 타격되는 경우, 볼의 관성력이 긴장 해제 상태의 종단부에서 충분히 흡수되므로 볼은 타격 연습자 쪽으로 천천히 굴러 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천정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종단부 및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경사부를 구비한 볼 귀환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호주식 축구 경기의 킥 연습을 하는 경우, 타원형의 볼은 먼저 천정부를 타격한 후 종단부로 튀게 되고, 이어서 경사부로 튄 후 연습자 쪽으로 복귀되는 바, 천정부, 종단부, 경사부가 볼의 복귀 위치를 거의 일정하게 정렬하는 작용을 하여, 연습자 쪽으로 돌아오는 볼의 복귀 위치를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세기와 방향을 달리하여 볼을 차더라도, 각각의 경우 볼은 최종적으로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 상에서 바운드 되어 연습자가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는, 볼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네트는 순간적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이 때, 변형의 양상은 단부에 가까운 측이 먼측에 비해 급경사를 이루도록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급경사 효과로 인해, 볼에 작용하는 탄발력이 네트의 중심측을 향하는 탄발 효과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정렬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사실은 반복적인 시험을 통해 얻어낸 것이지만, 상기 효과들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효과와 결부하여 천정부, 종단부 및 경사부의 상대 위치을 조정하며 시험하여 본 결과 가장 이상적이라고 판단된 구체적인 수치 및 각도 관계가 기술되나,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배치가 상기 효과에 따른 이점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