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받기 놀이 용구

申请号 KR2020000007874 申请日 2000-03-20 公开(公告)号 KR200193355Y1 公开(公告)日 2000-08-16
申请人 주식회사 스캐치; 发明人 이종식;
摘要 공받기 놀이용구에는 후크부재가 마련되어 루프부재가 표면에 마련된 공이 부착될 수 있다. 공받기 놀이용구는 서로 마주보며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윗날개와 아래날개로 구성된 날개쌍과, 상기 날개쌍의 위쪽에 결합된 장식편을 구비한다. 날개쌍의 윗날개와 아래날개는 각각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윗날개와 아래날개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权利要求
  • 벨크로의 후크부재와 루프부재 중의 어느 하나인 제 1부재가 표면에 마련된 공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의 후크부재와 루프부재 중의 다른 하나인 제 2부재가 마련되어 공받기 놀이를 할 수 있는 공받기 놀이용구로서,
    서로 마주보며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윗날개와 아래날개로 구성된 날개쌍과,
    상기 날개쌍의 위쪽에 결합된 장식편을 구비하고,
    상기 윗날개와 아래날개는 각각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윗날개와 아래날개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2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받기 놀이용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날개와 아래날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제1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이와 마주보는 다른 날개의 상대 위치에는 제2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두 날개를 붙이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받기 놀이용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편은 모자의 덮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받기 놀이용구.
  • 说明书全文

    공받기 놀이 용구 {PLAYING GOODS FOR CATCHING BALL}

    본 고안은 공받기 놀이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손을 삽입하는 상하 날개로 이루어진 공받기 날개쌍의 안쪽에 벨크로의 후크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이 공받기 날개쌍의 윗날개, 아래날개를 손으로 잡아 공받기 날개쌍 안쪽 벨크로에 포구되는 공으로 이루어지는 놀이용구에 관한 것이다.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나 '매직테이프'라 불리는 물품의 상표명이지만 일반 명칭으로 널리 사용되며 정식 명칭은 루프 앤드 후크 패스너(loop and hook fastner)라고 함; 이하 '벨크로'라 지칭)를 이용하여 공을 포구하는 놀이용구의 여러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그 하나의 예가 실용신안 공고 92-1711에 있는 놀이용구인데, 공받기 판의 포구체에 손잡이 고리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하고, 벨크로가 부착된 쿠션섬유와 커버링을 포구체에 덮어씌우는 형태의 삽탈조립식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놀이용구는 단순한 형태로서, 놀이는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눈길을 끌만한 장식적인 기능이 없다. 따라서, 보관 시에는 창고 등 안보이는 곳에 넣어두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공받기 그 자체의 기능만 가진 것으로 그 외의 흥미유발 요인이 없다. 또한, 하나의 놀이기구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종래의 놀이용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동물의 머리 모양을 가지도록 동물의 입부분을 공받기 날개로서 구성하고, 윗날개 위쪽에 장식편을 달아 장식성을 구비하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놀이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자로도 이용할 수 있는 공받기 놀이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놀이용구의 공받기 날개쌍을 벌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놀이용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놀이용구 12: 날개쌍

    13: 장식편 14: 윗날개

    16: 아래날개 26: 후크부재 28: 공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벨크로의 후크부재와 루프부재 중의 어느 하나인 제 1부재가 표면에 마련된 공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의 후크부재와 루프부재 중의 다른 하나인 제 2부재가 마련되어 공받기 놀이를 할 수 있는 공받기 놀이용구로서,

    서로 마주보며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윗날개와 아래날개로 구성된 날개쌍과,

    상기 날개쌍의 위쪽에 결합된 장식편을 구비하고,

    상기 윗날개와 아래날개는 각각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윗날개와 아래날개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2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받기 놀이용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공받기 놀이용구(10)는 공받기 날개쌍(12)과 날개쌍의 위쪽에 결합된 장식편(13)를 구비한다.

    공받기 날개쌍(12)은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날개(14,16)는 일단에서 서로 결합되어 서로 벌려질 수 있다. 공받기 날개쌍(12)은 대체로 타원형인 두꺼운 천을 두 겹으로 겹쳐 끝단에서 박음질하여 만든다. 이를 중간에서 접으면,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가 형성된다. 접은 부분(18)에서 절개하여 삽입구(20)를 형성한다(도3참조). 삽입구(20)를 통하여 손을 넣을 수 있다. 윗날개(14) 내의 공간(22)에는 집게손가락에서 새끼손가락까지 4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다. 아래날개(16) 내의 공간(24)에는 엄지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다(도3참조).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는 네 개의 손가락이 한자리에 위치하도록 잡아주는 띠형태의 고무밴드를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을 윗날개(14) 및 아래 날개(16)의 공간(22,24)에 넣고 벌리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날개쌍(12) 사이가 벌어진다. 손을 움직여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 사이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다.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를 벌린 상태의 날개쌍(12) 안쪽에는 벨크로의 후크부재(26)가 부착되어 있다. 후크부재(26)는 박음질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데, 본 고안은 이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28)이 잘 붙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크부재(26)를 대체로 넓은 범위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 사이의 결합을 위해 도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윗날개(14)의 일부(14a)에는 후크부재(26)를 부착하지 않았다. 이와 대응되는 아래날개(16)에는 결합용 후크부재(26a)를 마련해 둔다. 그러면, 날개쌍(12)이 결합된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도2에서의 공(28) 표면은 벨크로의 루프부재(예를 들면, 보풀이 많은 직물)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양 날개(14,16)는 루프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이외에도 유연한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양 날개(14,16) 사이의 접합을 위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벨크로의 루프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서는 윗날개(14)의 중앙에 후크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곳을 두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윗날개(14)와 아래날개(16)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 날개(14,16) 중의 어느 한 부분에 후크부재를 마련해두고 마주보는 위치에 루프부재가 그대로 드러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장식편(13)은 윗날개(14) 위쪽에 결합되어 마련된다. 도1은 날개쌍(12)의 형상을 앞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만들고 장식편(13)에는 눈모양(13a)과 깃털(13b)을 두어 오리의 머리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이 대체로 튀어나온 다른 동물(예를 들면, 개, 곰 등)의 머리 모양처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놀이용구(110)를 도시한 것이다. 놀이용구(110)는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날개쌍(112)과 장식편(113)을 구비한다. 날개쌍(112)은 모자의 챙기능을 수행하며, 장식편(113)은 길게 연장된다. 장식편(113)의 후방부에는 망사 또는 천을 연장한 연장부(113c)를 구비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장식편(113)이 모자의 덮개 구성이 되도록 한다. 장식편(113)이 크기 조절 띠(113d)를 구비하게 되면, 놀이용구(110)는 모자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놀이용구(11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 중의 엄지손가락부분을 아래날개(16)에 마련된 공간(24)에 넣는다. 집게손가락 내지 새끼손가락은 윗날개(14)에 마련된 공간(22)에 넣는다. 손을 움직여 벌리면, 양 날개(14,16) 사이로 공(28)을 받을 수 있다. 공(28)은 벨크로 후크부재(26)에 붙게 되는 것이다. 놀이용구의 모양이 오리의 머리 모양으로서 사용자는 오리의 입으로 공을 받는 것처럼 보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아울러, 집안의 일정 위치에 두어 장식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놀이용구(110)를 공받기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자로서 쓰고 다닐 수 있다.

    본 고안의 공받기 놀이용구는 동물의 입모양을 한 공받기 날개의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더욱이 그 모양이 전체적으로 동물의 머리모양을 하므로 장식적인 가치도 높아진다. 아울러, 구성에 따라서는 모자로서 이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