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

申请号 KR2020140005498 申请日 2014-07-22 公开(公告)号 KR200474946Y1 公开(公告)日 2014-11-04
申请人 강기열; 发明人 강기열;
摘要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가 개시된다. 9개의 과녁 구멍이 형성된 아크릴판; 상기 9개의 과녁 구멍 각각에 야구공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의 후면에 설치되는 9개의 센서; 상기 아크릴판의 정면 상단에 상기 과녁 구멍의 배치 형태와 동일한 배치 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9개의 램프; 상기 아크릴판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고, 공던지기 시작을 나타내는 녹색 램프, 공던지기 정지를 나타내는 적색 램프 및 공던지기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황색 램프로 구성되는 경광봉; 상기 아크릴판의 우측 상단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을 통과하면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아크릴판의 정면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을 통과함에 따라 카운트되는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 현황판;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해당 램프 및 경광등을 턴온시키고 상기 스피커가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야구공이 통과한 과녁 구멍의 점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점수 현황판에 누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CPU; 상기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CPU로 전달하는 PLC 입력 회로부; 상기 CPU의 제어 신호를 부하로 전달하는 PLC 출력 회로부를 구성한다.
权利要求
  • 지름 100 mm의 9개의 과녁 구멍(101a)이 형성되고 알루미늄(aluminum) 테두리 처리가 된 가로 600 mm 세로 900 mm 두께 5 mm의 아크릴판(acrylic plate)(101);
    상기 9개의 과녁 구멍(101a) 각각에 야구공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101)의 후면에 설치되는 9개의 센서(sensor)(102);
    상기 아크릴판(101)의 정면 상단에 상기 과녁 구멍(101a)의 배치 형태와 동일한 배치 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9개의 램프(lamp)(103);
    상기 아크릴판(101)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고, 공던지기 시작을 나타내는 녹색 램프(104a), 공던지기 정지를 나타내는 적색 램프(104b) 및 공던지기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황색 램프(104c)로 구성되는 경광봉(104);
    상기 아크릴판(101)의 우측 상단에 설치된 경광등(105);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101a)을 통과하면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106);
    상기 아크릴판(101)의 정면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101a)을 통과함에 따라 카운트(count)되는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 현황판(107);
    상기 센서(102)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해당 램프(103) 및 경광등(105)을 턴온(turn on)시키고 상기 스피커(106)가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야구공이 통과한 과녁 구멍(101a)의 점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점수 현황판(106)에 누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8);
    상기 센서(102)와 직렬 연결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102)와 직렬 연결되는 제1 표시 LED(light emitting diode)와, 상기 제1 표시 LED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R과, 상기 저항 R에 직렬 연결되는 발광부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직렬 연결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제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입력 회로부(109);
    상기 CPU(108)와 직렬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제2 표시 LED와, 상기 제2 표시 LED와 직렬 연결되는 발광부와 24 V 다이오드 및 저항 R2에 각각 직렬 연결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제2 포토 커플러와, 베이스(base) 단자가 상기 저항 R2와 직렬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 9개의 램프, 경광등, 경광봉 또는 스피커와 각각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는 NPN형 트랜지스터(NPN type transistor)와, 상기 부하에 직렬 연결되는 24 V 전원을 포함하는 PLC 출력 회로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CPU(108)는,
    공던지기 시작 가능시에는 상기 경광봉(104)의 녹색 램프(104a)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정지시에는 상기 경광봉(104)의 적색 램프(104b)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일시 정지시에는 상기 경광봉(104)의 황색 램프(104c)를 턴온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램프(103)는 상기 과녁 구멍(101a)에 야구공이 들어가면 발광을 하는 구성이고,
    상기 CPU(108)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회로 구성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피칭 게임의 알고리즘이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CPU(108)는 각 과녁 구멍(101a)마다 미리 설정된 점수를 나타내어 센서(102)의 센서 신호마다 각각 다른 점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
  • 삭제
  • 说明书全文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BASEBALL GAME APPARATUS RESPONSIVE TO LIGHT AND SOUND}

    본 고안은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야구 게임기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야구공을 피칭(pitch)하면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10-1081161은 야구 게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야구 게임 장치는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에서 자동으로 토출되는 야구공을 타격하는 타격 게임을 개시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081161은 사용자의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성적도 관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야구 게임 장치는 주로 피칭 머신의 공을 타격하는 타격 위주의 게임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피칭하여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게임은 그리 많지 않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피칭에 대해 스트라이크 판정을 하거나 이를 게임에 활용한 것은 거의 없다.

    더군다나 야구 게임은 주로 온라인 게임이거나 컴퓨터 게임으로 구현되며, 사용자가 직접 본인의 신체를 이용하여 피칭을 하는 게임기는 거의 구현되어 있지 않다.

    10-1081161

    본 고안의 목적은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는, 지름 100 mm의 9개의 과녁 구멍이 형성되고 알루미늄(aluminum) 테두리 처리가 된 가로 600 mm 세로 900 mm 두께 5 mm의 아크릴판(acrylic plate); 상기 9개의 과녁 구멍 각각에 야구공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아크릴판의 후면에 설치되는 9개의 센서(sensor); 상기 아크릴판의 정면 상단에 상기 과녁 구멍의 배치 형태와 동일한 배치 형태로 각각 배치되는 9개의 램프(lamp); 상기 아크릴판의 좌측 상단에 설치되고, 공던지기 시작을 나타내는 녹색 램프, 공던지기 정지를 나타내는 적색 램프 및 공던지기 일시 정지를 나타내는 황색 램프로 구성되는 경광봉; 상기 아크릴판의 우측 상단에 설치된 경광등;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을 통과하면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상기 아크릴판의 정면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야구공이 상기 과녁 구멍을 통과함에 따라 카운트(count)되는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 현황판;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해당 램프 및 경광등을 턴온(turn on)시키고 상기 스피커가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야구공이 통과한 과녁 구멍의 점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점수 현황판에 누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상기 센서와 직렬 연결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와 직렬 연결되는 제1 표시 LED(light emitting diode)와, 상기 제1 표시 LED와 직렬 연결되는 저항 R과, 상기 저항 R에 직렬 연결되는 발광부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직렬 연결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제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포함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입력 회로부; 상기 CPU와 직렬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인가받는 제2 표시 LED와, 상기 제2 표시 LED와 직렬 연결되는 발광부와 24 V 다이오드 및 저항 R2에 각각 직렬 연결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제2 포토 커플러와, 베이스(base) 단자가 상기 저항 R2와 직렬 연결되고 콜렉터(collector) 단자가 상기 9개의 램프, 경광등, 경광봉 또는 스피커와 각각 연결되고 이미터(emitter) 단자가 접지와 연결되는 NPN형 트랜지스터(NPN type transistor)와, 상기 부하에 직렬 연결되는 24 V 전원을 포함하는 PLC 출력 회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PU는, 공던지기 시작 가능시에는 상기 경광봉의 녹색 램프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정지시에는 상기 경광등의 적색 램프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일시 정지시에는 상기 경광등의 황색 램프를 턴온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피칭을 하고 스트라이크를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칭 연습은 물론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야구 게임기는 컴퓨터 야구 게임이나 온라인 야구 게임이 아닌 스포츠로서의 야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야구 연습을 통한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게임의 유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PLC 입력 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PLC 출력 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점수 현황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PLC 입력 회로부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PLC 출력 회로부의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점수 현황판의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100)는 아크릴판(crylic plate)(101), 센서(sensor)(102), 램프(lamp)(103), 경광봉(104), 경광등(105), 스피커(speaker)(106), 점수 현황판(107), CPU(central processing unit(108),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입력 회로부(109), PLCD 출력 회로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크릴판(101)은 일종의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가로 600 mm, 세로 900 mm, 두께 5 mm의 직사각형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크릴판(101)에는 지름 100 mm의 9개의 과녁 구멍(101a)이 형성될 수 있다. 과녁 구멍(101a)은 가로 3줄과 세로 3줄의 3X3의 형태로 9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과녁 구멍(101a)에 야구공이 들어가면 스트라이크로 인식된다.

    아크릴판(101)의 테두리는 알루미늄(aluminu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102)는 9개의 과녁 구멍(101a) 각각에 야구공이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과녁 구멍(101a) 부위의 아크릴판(101) 뒷면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102)는 과녁 구멍(101a)마다 하나씩 총 9개가 구비될 수 있다.

    램프(103)는 아크릴판(101)의 정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램프(103)는 스트라이크 여부 즉, 과녁 구멍(101a)에 야구공이 들어가면 발광을 하는 구성이다. 이에, 램프(103)는 어느 과녁 구멍(101a)에 야구공이 들어갔는지 알 수 있도록 과녁 구멍(101a)의 배치 형태와 동일한 배치 형태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경광봉(104)은 아크릴판(101)의 좌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경광봉(104)은 녹색 램프(104a), 적색 램프(104b) 및 황색 램프(104c)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녹색 램프(104a)는 사용자가 공던지기가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며, 적색 램프(104b)는 사용자가 피칭(pitching)을 하지 말라는 표시이며, 황색 램프(104c)는 공던지기를 일시 중지하고 대기하라는 표시이다.

    경광등(105)은 아크릴판(101)의 우측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경광등(105)은 경찰용 경광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경광등(105)이 발광함으로써, 스트라이크임을 주위 사람들에게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

    스피커(106)는 야구공이 과녁 구멍(101a)을 통과하면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스트라이크가 되면 "스트라이크"의 녹음 음성이라든가 미리 설정된 다양한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수 현황판(107)은 아크릴판(101)의 정면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점수 현황판(107)은 야구공이 과녁 구멍(101a)을 통과함에 따라 카운트(count)되는 점수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점수 현황판(107)은 사용자가 변경되어 리셋(reset)되지 않으면 스트라이크를 계속 누산하여 표시한다. 7-세그먼트(segment)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누산 개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108)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회로 구성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미리 준비된 피칭 게임의 알고리즘이 실행되기 위한 구성이다.

    CPU(108)는 PLC 입력 회로부(109) 및 PLC 출력 회로부(110)와 연결되어 센서(102)의 신호를 입력받아 램프(103), 경광등(105)과 같은 부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CPU(108)는 센서(102)에 의해 감지되는 센싱 신호에 따라 해당 램프(103) 및 경광등(105)을 턴온(turn on)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06)를 통해 소정의 통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CPU(108)는 공던지기 시작 가능시에는 경광봉(104)의 녹색 램프(104a)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정지시에는 경광봉(104)의 적색 램프(104b)를 턴온시키고, 공던지기 일시 정지시에는 경광봉(104)의 황색 램프(104c)를 턴온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CPU(108)는 야구공이 통과한 과녁 구멍(101a)의 점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점수 현황판(106)에 누적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CPU(108)는 센서(102)의 센서 신호마다 각각 다른 점수를 카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과녁 구멍(101a)마다 서로 다른 점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과녁 구멍(101a)마다 미리 설정된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정가운데의 과녁 구멍(101a)에는 20점, 그리고 가장 자리로 갈수록 10점, 5점으로 설정되어 있다. CPU(108)에서 동작하는 알고리즘의 변경을 통해 점수를 다르게 변경 설정 가능하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PLC 입력 회로부(109)는 전원, 제1 표시 LED(light emitting diode), 저항 R, 제1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로 구성될 수 있다. 엄격하게는 전원은 회로의 외부 구성이다.

    전원은 외부 전원으로서 센서(102)의 일단과 직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102)의 타단은 제1 표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일단과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저항 R의 일단은 상기 제1 표시 LED의 타단과 연결되며, 저항 R의 타단은 제1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는 CPU(108)와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센서(102)의 센싱 신호는 제1 표시 LED를 통해 발광하면서 제1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를 통해 수광부로 광을 조사하면, 수광부에서는 센싱 신호를 CPU(108)로 전달하게 된다.

    CPU(108)는 센싱 신호에 따라 어느 과녁 구멍(101a)의 센서(102)의 신호인지 파악하여 미리 준비된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PLC 출력 회로부(110)는 제2 표시 LED, 제2 포토 커플러, NPN형 트랜지스터(NPN type transistor), 24V 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엄격하게는 24V 전원은 회로의 외부 구성이다.

    제2 표시 LED는 CPU(108)와 직렬 연결되어 CPU(108)의 제어 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제2 표시 LED는 제2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와 직렬 연결되며, 제어 신호를 발광부를 통해 송신하면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가 수신한다.

    제2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의 일단은 24 V 다이오드에 직렬 연결되고 타단은 저항 R2에 직렬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NPN형 트랜지스터는 베이스(base) 단자가 저항 R2에 직렬 연결되며, 수광부의 제어 신호가 베이스 단자에 인가된다.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collector) 단자는 부하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데, 부하는 9개의 램프(103), 경광봉(104), 경광등(105), 스피커(106)이다. 이미터(emitter) 단자는 접지에 연결된다.

    위 부하에 해당하는 램프(103), 경광봉(104), 경광등(105), 스피커(106)는 외부의 24 V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빛과 소리로 반응하는 야구 게임기의 실물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아크릴판(101)의 정면에는 9개의 과녁 구멍(101a)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 뒷면에는 각 과녁 구멍(101a)에 센서(102)가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 상단에는 경광등(105)이 설치되어 있으며, 아크릴판(101)의 옆면에는 PLC와 CPU(108)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아크릴판 101a: 과녁 구멍
    102: 센서 103: 램프
    104: 경광봉 104a: 녹색 램프
    104b: 적색 램프 104c: 황색 램프
    105: 경광등 106: 스피커
    107: 점수 현황판 108: CPU
    109: PLC 입력 회로부 110: PLC 출력 회로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