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용 퍼팅 연습기

申请号 KR1020100071287 申请日 2010-07-23 公开(公告)号 KR1020120009242A 公开(公告)日 2012-02-01
申请人 정동철; 发明人 정동철;
摘要 PURPOSE: A putting trainer for golf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practice a long distance putting in a narrow place. CONSTITUTION: A putting trainer for golf comprises: a slant supporter(110) which forms a slope for a hit ball; a return unit(135) which discharges a golf ball induced along the slant supporter to the slant supporter; and a hanging jaw(150) which is prepar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return unit and changes the energy of the golf ball into potential energy.
权利要求
  • 홀 컵을 대신하여 골프의 퍼팅 연습을 위한 타깃이 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을 위한 경사 오르막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대;
    내면이 상기 경사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상기 경사지지대 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골프공의 경로 종단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지지대를 따라 유도된 골프공을 상기 경사지지대로 다시 배출하는 리턴부; 및
    상기 리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골프공의 에너지를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상기 골프공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경사지지대와 리턴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되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 및 수용부를 상기 공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자른 단면이 전체적으로 2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에서 상기 경사지지대 쪽으로 만곡된 부분은 상기 경사지지대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지름만큼의 높이까지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대 상면과 리턴부의 내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의 매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





  • 说明书全文

    골프용 퍼팅 연습기{Golf Putting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은, 골프용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을 타격하는 힘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공을 사용자에게 다시 되돌려 줌으로써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거리의 퍼팅 연습이 가능한 골프용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적은 타수로 공을 홀()에 넣는 게임으로 공을 타격한 전체 타수가 적을수록 좋기 때문에, 홀 근처에서 이루어지는 퍼팅이 매우 중요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통상 퍼팅은 퍼터라고 하는 골프채를 이용하여 공을 띄우지 않도록 타격하여 1~2 미터의 단거리부터 30 미터 이상의 장거리에 위치한 홀에 공을 넣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홀 근처에서의 퍼팅의 능력이 타수를 줄이는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비록 골프장이 아니더라도 퍼팅을 연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형태의 골프용 퍼팅 연습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골프용 퍼팅 연습기는 여러 종류가 알려지고 있지만, 등록특허 제0817729호와 같이 대부분 평탄한 매트의 선단부에 홀컵을 설치한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형태의 퍼팅 연습기는 공이 홀컵을 지나치거나 다른 방향으로 지나는 경우에 홀컵 외곽에 마련된 경사지지대를 통해 공이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나마 공의 속도가 일정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공이 홀컵 외곽의 경사지지대 마저 넘어서게 되어 사용자가 공을 회수하러 직접 가야하는 불편이 생긴다.

    따라서, 연습기가 통상 거리 10 미터 이내의 실내에서 사용된다고 가정할 경우, 이러한 형태의 연습기는 장거리의 퍼팅의 연습에 사용할 수 없다. 예컨대, 30 미터의 장거리 퍼팅을 염두에 두고 공을 타격하게 되면, 공은 홀컵 외곽의 경사지지대를 넘어가게 되고 사용자가 공을 회수하러 직접 가야한다.

    다른 형태의 퍼팅 연습기로는, 공개특허 제2003-0035731호와 같은 퍼팅 연습기가 있다. 이러한 퍼팅 연습기는 타격된 공이 경사지지대를 등반한 다음 측면에 구비된 공배출구를 통해 공을 배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퍼팅 연습기는 장거리의 퍼팅 연습에 제공될 수는 있으나, 타격된 공이 사용자에게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특히, 장거리 퍼팅 연습에 사용하더라도, 예를 들어 2 미터 거리에서 30 미터 퍼팅을 위한 타격을 할 경우, 타격된 공이 가지는 운동에너지 만큼 공이 경사지지대를 등반하게 되므로, 결국 등반거리가 상당히 길어져 퍼팅 홀을 지나고 경사지지대를 이탈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한정된 거리의 퍼팅 연습만이 가능한 구조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30 미터에 가까운 연습장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을 타격하는 힘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공을 사용자에게 다시 되돌려 줌으로써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거리의 퍼팅 연습이 가능한 골프용 퍼팅 연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홀 컵을 대신하여 골프의 퍼팅 연습을 위한 타깃이 되는 골프용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을 위한 경사 오르막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대; 내면이 상기 경사지지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상기 경사지지대 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골프공의 경로 종단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지지대를 따라 유도된 골프공을 상기 경사지지대로 다시 배출하는 리턴부; 및 상기 리턴부의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골프공의 에너지를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상기 골프공의 운동에너지가 상기 경사지지대와 리턴부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되돌려진다.

    여기서, 상기 경사지지대 및 수용부를 상기 공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자른 단면이 전체적으로 2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턴부에서 상기 경사지지대 쪽으로 만곡된 부분은 상기 경사지지대로부터 상기 골프공의 대략 지름만큼의 높이까지 만곡되어 골프공이 굴러서 탈출할 수 있고, 튀어서는 경사지지대 쪽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경사지지대 상면과 리턴부의 내면에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의 매트가 마련되고, 상기 걸림턱도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용 퍼팅 연습기는 공에 가해진 힘, 즉 공이 가진 운동에너지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속도로 공을 사용자에게 다시 되돌려 줄 수 있기 때문에, 최대로 수 미터의 퍼팅 거리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30 미터 이상의 장거리 퍼팅시와 같은 세기로 공을 타격하면서 장거리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퍼팅 연습기는 사용자의 타격에 의해 입장된 공을 일정한 시간동안 보유하였다가 되돌려 주기 때문에, 연습자는 1회 퍼팅 이후에 다음 퍼팅을 위한 기본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퍼팅 연습기가 연습자에게 되돌려 주는 공의 속도가 일정하여 공이 되돌아 오는 거리 또한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연습자는 퍼팅 이후에 그 위치를 고정한 상태로 다음 퍼팅을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연습자의 퍼팅 연습은, "'타격 → 대기 → 타격 → 대기 → 타격'"의 주기적인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프용 퍼팅 연습기를 AA로 자른 단면도,
    도 3은 골프용 퍼팅 연습기에서의 골프공의 움직임의 예를 묘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퍼팅 연습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골프용 퍼팅 연습기를 BB로 자른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골프용 퍼팅 연습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프용 퍼팅 연습기(100)는 골프장의 홀 컵(Hole Cup)을 대신하여 퍼팅 연습의 타깃이 되는 것으로서, 주로 실내에서 사용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퍼팅 연습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10)을 위한 경사 오르막을 형성하는 경사지지대(110)와, 경사지지대(110)의 상측에 마련되어 골프공(10)을 다시 경사지지대(110)로 되돌리는 리턴(Return)부(130)와, 리턴부(130)의 내면에 마련되어 골프공(10)이 가진 에너지를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걸림턱(150)과, 경사지지대(110) 및 리턴부(130)를 지지하는 받침대(17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지지대(110)와 리턴부(130)는 일체로 형성되어, 마치 하나의 패널을 일측 종단을 말아서 세워 놓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경사지지대(110)와 리턴부(130)가 상호 분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호 장탈착 가능하여 휴대하여 이동하기에 유리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퍼팅 연습하는 사용자는, 도 4와 같이, 퍼팅 연습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퍼팅 연습기(100)를 목표로 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10)은 일정한 거리를 주행한 다음, 그 주행 경로 끝에 위치한 퍼팅 연습기(100)에 도착하게 된다. 퍼팅 연습기(100)에 도착한 골프공(10)은, 마치 그네를 타듯, 경사지지대(110)를 따라 등반하였다가 리턴부(130)에서 다시 경사지지대(110)를 내려와 사용자에게 되돌아 간다. 이하에서, 주행 경로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이동한 경로를 말한다.

    경사지지대(110)는 일반적으로 평탄하게 이어져 온 외측 주행 경로를 그대로 연장하여 골프공(10)을 일정한 높이에 마련된 리턴부(130)로 안내한다. 경사지지대(110)의 경사는 골프공(10)이 등반할 수 있는 정도(다시 말해, 일정한 경사도 이하)이어야 하며, 일정할 필요는 없으나 경사각이 줄어드는 것보다는 점점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경사지지대(110)의 경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면서 점점 증가하여 골프공(10)을 리턴부(130)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지지대(110)상에는 필요에 따라 골프공(10)이 구를 때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매트(111) 등을 깔 수도 있다.

    리턴부(130)는 그 내면(135)이 경사지지대(110)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상측 방향으로 원을 그리면서 경사지지대(110) 쪽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경사지지대(110)를 따라 유도된 골프공(10)을 다시 경사지지대(110)로 배출하여, 골프공(10)의 주행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되돌리면서 주행경로의 최종단을 형성한다. 예컨대, 도 2는 도 1의 퍼팅 연습기(100)를 AA로 자른 단면으로서, 리턴부(130)는 그 내면(135)이 전체적으로 원의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다만, 리턴부(130)의 단면 형상이 반드시 도 2와 같은 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지지대(110)와 연접한 부분의 경사도가 작아지지 않는다면 마름모꼴이나 다른 다각형의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리턴부(130)의 기능은 그 기능적 역할을 하는 내부 공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리턴부(130)의 외면의 형상은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내면(135)이 다시 경사지지대(110) 쪽으로 만곡되면서 경사지지대(110)와 연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리턴부(130)의 입구(133)는 그 높이가 대략 골프공(10)의 지름에 해당하여, 골프공(10)이 대략 구르는 상태에서 지나갈 정도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구(133)의 높이란, 경사지지대(110)의 법선 중에서 리턴부(130)의 종단에 닿는 가장 짧은 선의 길이가 되며, 당연히 골프공(10)의 지름보다 커야 할 것이다. 다만 입구(133)의 높이가 골프공(10)의 지름보다 많이 높아지면 골프공(10)이 튀어서 입구(133)을 빠져 나갈 수 있어서, 골프공(10)의 운동에너지가 충분히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도 2에서처럼, 리턴부(130)의 내면(135)과 경사지지대(110)에는 매우 미약한 탄성이 있어 완충할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의 매트(111, 131)를 깔아, 골프공(10)이 구름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리턴부(130)의 내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50)은 리턴부(130)의 입구(133)와 나란하게 마련되며, 위치에너지로 변환되지 않고 남은 골프공(10)의 운동에너지를 소진시킴으로써 리턴부(130)를 탈출하는 골프공(10)이 위치에너지만을 보유하게 한다.

    도 3의 (a)와 (b)를 참조하면, 리턴부(130)에 진입한 골프공(10)은 리턴부(130) 내벽을 반복적으로 부딪히게 된다. 이과정에서 골프공(10)의 운동에너지는 점점 소진된다. 걸림턱(150)은 입구(133)쪽을 좁힘으로써, 혹 골프공(10)이 그냥 입구(133)를 통해 운동에너지가 소진되지 않고 탈출하게 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걸림턱(150)은 골프공(10)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하는 합성수지 소재가 바람직하다.

    걸림턱(150)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그 타격의 세기에 비례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운동에너지를 가지게 되더라도, 리턴부(130)로부터 탈출할 때는 일정한 크기의 위치에너지로 전환되어 사용자에게 되돌려진다.

    결국, 리턴부(130)에서 되돌려져 경사지지대(110)를 다시 내려오는 골프공(10)은,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한 세기에 관계없이, 도 3의 (b)처럼 마치 리턴부(130)의 높이에서 골프공을 내려 놓은 것처럼, 거의 동일한 에너지로 출발하여 거의 동일한 거리를 주행한 다음 멈추게 된다.

    예컨대, 리턴부(130)의 높이에서 골프공을 내려 놓을 때, 골프공(10)이 2 미터를 주행하고 멈춘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30 미터 이상 보낼 정도의 세기로 골프공을 타격하건, 3미터 정도 보낼 정도의 세기로 타격하건, 리턴부(130)에서 탈출한 골프공(10)은 2 미터 정도 주행한 다음 멈추게 된다.

    만약,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2미터 거리에서 퍼팅 연습을 한다면, 타격된 골프공(10)은 잠시 후 다시 퍼팅 위치로 되돌아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격 → 대기 → 타격 → 대기 → 타격'을 반복하는, 다시 말해 '타격'과 '대기'로 이루어지는 2 단계의 퍼팅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150)의 위치는 리턴부(130)의 입구(133) 주위에 위치하게 되며, 리턴부(130)의 단면의 크기에 따라 경사지지대(110)와 연접한 입구(133)의 후방 또는 입구(133)의 위쪽 등으로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퍼팅 연습기(100)는, 도 4와 같이, 경사지지대(110)로부터 사용자에게까지 연장되는 퍼팅용 매트(11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퍼팅용 매트(113)는 경사지지대(110) 상의 매트(111)와 일체로 마련되어 경사지지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퍼팅 연습기(100)는 지면에 대한 마찰력이 더 커지게 되어, 사용자가 아무리 세게 골프공(10)을 타격하더라도 퍼팅 연습기(100)가 그 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퍼팅 연습기(500)는 도 1의 퍼팅 연습기(100)의 유턴부(130)의 내면(135)에 가이드(1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37)는 유턴부(130)의 내면(135)의 가운데 부분이 내면(135)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되며, 그 가상으로 펼친 평면형상이 타원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137)는 그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10)이 경사지지대(110)의 중심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등반하는 골프공(10)을 리턴부(130)의 중심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한쪽으로 치우쳐 리턴부(130)로 입장한 공이라도 리턴부(130)로부터 되돌려질 때는 경사지지대(110)의 중심축을 따라 내려오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퍼팅 연습기(700)는, 경사지지대(110)의 가장자리쪽을 타고 등반한 골프공(10)을 중심쪽으로 모으기 위해, 유턴부(130)의 내면(135)의 가이드(137)처럼, 걸림턱(150)의 노출된 상측 모서리(151)를 곡면(153)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턴부(130)로 진입한 골프공(10)이 걸림턱(150)에 부딪히면서 그 방향이 리턴부(130)의 중심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퍼팅 연습기(100, 500, 걸림턱(150)이 리턴부(130)와 구분되는 바(Bar)의 형태를 가지지 않고 리턴부(130)의 입구(133)가 경사지지대(110)와 평행하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경사지지대 111, 131: 매트
    130: 리턴부 133: 입구
    135: 리턴부 내면 137: 가이드
    150: 걸림턱 151: 걸림턱 상측 모서리
    153: 걸림턱 모서리 곡면 170: 받침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