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申请号 KR1020047004722 申请日 2002-10-01 公开(公告)号 KR100865224B1 公开(公告)日 2008-10-23
申请人 글로벌 골 에이피에스; 发明人 랑호른제스퍼;
摘要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1)는 제1 평면에 배치된 제1 링 부재(3) 및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에 배치된 제2 링 부재(2)를 포함한다. 다수의 바(4, 5, 6, 7)가 제1 링 부재와 제2 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링 부재와 바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장치는, 링 부재 중 하나를 그라운드에 두고 장치가 배치될 때 모든 방향으로 링 부재와 바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사람이 각자의 구멍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훈련할 수 있다. 상부 링의 구멍은 수평 구멍을 통해 볼을 떨어뜨리는 훈련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구기 종목, 링 부재, 바, 구멍, 네트.
权利要求
  •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1; 21; 31; 41; 51; 61; 71; 81; 91)로서,
    제1 평면에 배치된 제1 링 부재(3; 33; 43),
    상기 제1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평면에 배치되는 제2 링 부재(2; 32; 42; 43), 및
    상기 제1 링 부재와 제2 링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바(4, 5, 6, 7; 22, 23, 24; 44, 45, 46; 82, 83, 84)를 포함하여, 상기 링 부재와 바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상기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1; 21; 31; 41; 51; 61; 71; 81; 91)에 있어서,
    상기 구멍 중 하나를 맞히는 볼을 잡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네트(14, 15, 16, 17; 25, 26, 27, 28, 29, 30; 47, 48, 49; 6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는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2 링 부재 사이의 공간에 매달려있는(suspend)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14, 15, 16, 17; 25, 26, 27, 28, 29, 30; 47, 48, 49)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64)는 상기 제1 링 부재의 외주와 제2 링 부재의 외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2, 3; 42, 43)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32, 33) 중 적어도 하나는 다각형-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2, 3; 32, 3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3; 33; 43) 중 하나는, 이 링을 실질적으로 수평 표면상에 놓이게 하여 장치가 배치될 때 상기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무거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43) 및 제2(42) 링 부재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 지지 받침대(52; 62; 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바스켓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 중 작은 것에 장착되는 네트(7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평면에 배치되는 제3 링 부재(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제1(3) 및 제2(43) 링 부재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링 부재(3, 43, 42)는 원형 형상이며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3 링 부재는 다수의 직선 연결 바(82, 83, 84)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링 부재(43)는 제1 링 부재(3)와 제3 링 부재(42) 사이에 배치되며, 측면 바(85, 86, 87)에 의해 직선 연결 바에 연결되고,
    네트(25, 26, 27, 28, 29, 30)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상기 제1 링 부재와 제2 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네트(64)는 상기 제2 링 부재의 외주와 제3 링 부재의 외주 사이에 배치되며,
    바스켓으로 형성된 네트(79)가 제3 링 부재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
  • 삭제
  • 说明书全文

    구기 종목용 훈련 장치{A TRAINING DEVICE FOR BALL GAMES}

    본 발명은 구기 종목(ball games)용 훈련 장치(train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구기 종목은 하나 이상의 골(goal)을 사용하며, 그 안으로, 예컨대 볼 또는 퍽(puck)을 던져넣거나 차 넣어야한다. 이러한 구기 종목의 예로는, 축구, 핸드볼, 및 아이스하키가 있다. 보편적으로, 잘 알려져있는 골은 하나의 직사각형 구멍(opening)을 갖는 한편, 이것의 나머지 측면은, 예컨대 네트, 플레이트(plate), 또는 시트(sheet)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것은 볼 매치 및 토너먼트 동안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것에는 적절하지만, 한 번에 한 쪽으로부터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훈련용으로, 특히 볼 처리 연습용으로는 그다지 적절하지 않으며, 따라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훈련용으로 골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EP 884 075는 두 개의 명확한 구멍으로 인해 양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더블 골을 도시하고 있다. 두 개의 구멍 사이에는, 볼이 골을 맞히지만 두 개의 골 구멍 중 하나를 맞히지않을 경우, 볼이 경기장으로 리턴될 수 있게 하는 리바운드-물질(rebound-material)에 의해 더블 골이 폐쇄된다. 또한, 둥근 구현물(embodiment)이 두 개의 명확한 구멍 사이에 리바운드-물질에 의해 폐쇄된다. 두 사람이 동시에 훈련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상기 골은 통상적인 싱글-사이드 골에 비교하여 개선된 것이지만, 동시에 훈련하고 있는 더 많은 수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훈련 장치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JP 11-299922 호는 다수의 원형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경기 도구(play tool)를 개시하고 있다. 로프가 프레임 부재내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며, 네트가 몇몇 로프들 사이에 배치되어, 예컨대 홀, 터널, 공간, 벽 또는 경로 형태의 통로를 다수의 프레임 층내에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 네트는 통로를 형성하여 볼을 잡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에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평면에 배치된 제1 링 부재, 상기 제1 평면과 실제로 평행한 제2 평면에 배치된 제2 링 부재, 및 상기 제1 링 부재와 제2 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바(bar)를 포함하여, 링 부재와 바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다.

    링 부재 중 하나가 그라운드에 놓이도록 장치가 배치되면, 상기 장치는 모든 방향에서 링 부재와 바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사람이 각자 하나의 구멍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동시에 여러 사람이 훈련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링 부재내의 구멍은 또한 수평 구멍을 통해 볼을 떨어뜨리는 훈련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링 부재의 평면이 실제로 수직 위치로하여 장치가 배치되면, 상기 장치는 그라운드를 가로질러 구를 수 있어, 가동(movable) 골을 맞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데, 상기 장치는, 상기 구멍 중 하나를 맞히는 볼을 잡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링 부재와 상기 제2 링 부재 사이의 공간에 매달려있는(suspend) 적어도 하나의 네트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면, 볼이 장치를 통과하는 것이 방지되는데, 이와 같이 하지 않는다면 다른 방향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네트는 추가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훨씬 더 많은 수의 동시 사용자가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는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의 평면에 실제로 수직인 평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네트의 위치는 상이한 방향으로부터의 볼을 잡는데 적절하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네트는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의 외주(periphery)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이한 방향으로부터의 볼을 잡는 것 외에, 상기 네트는 또한, 링 부재 중 하나의 구멍을 맞히는 볼만이 장치의 내부 공간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면, 가동 골을 이용하여 훈련하는 동안 또는 장치를 운반하는 동안, 상기 장치를 굴리기가 더 용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다각형-형상이다. 다각형-형상의 링 부재를 가진 장치는 제조하기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것들을 조합한 것을 포함한 다른 형상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이것은 장치내의 직사각형 구멍으로 인해 실용적인 실시형태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형상의 장치는 또한 장치를 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 중 하나는 상기 하나의 링을 실제로 수평인 표면에 두도록 장치가 배치될 때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무거운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는 또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보편적으로, 이러한 골은 상부에 더 작은 구멍을 갖게 하여 배치되게 된다. 상부의 구멍이 더 작으면, 볼로 수평 구멍을 맞히는 훈련을 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평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 지지 받침대(bas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수평 개구를 볼로 맞히고자 할 때의 난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장치를 그라운드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장치의 링 부재가 상이한 크기를 가지면, 상기 장치는, 바스켓(basket)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 중 더 작은 것에 장착되는 네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는 수평 구멍을 맞히는 볼을 장치의 내부로 안내한다(guide).

    제1 및 제2 링 부재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평면에 배치된 제3 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3 링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링 부재보다 더 작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훈련 옵션의 조합이 가능해진다.

    훈련 장치의 적절한 실시형태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링 부재가 원형 형상이며 동축으로 배치될 때 얻어지는데, 상기 제1 및 제3 링 부재는 다수의 직선 연결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링 부재는 제1 링 부재와 제3 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측면 바에 의해 직선 연결 바에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링 부재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제1 링 부재와 제2 링 부재 사이에 네트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링 부재의 외주와 제3 링 부재의 외주 사이에 하나의 네트가 배치되며, 바스켓으로 형성된 하나의 네트가 제3 링 부재상에 장착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지지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링 부재를 가진 훈련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기울어진 위치(tilted position)의 도 1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4개의 네트를 구비한 도 1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6개의 네트를 구비한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6각형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이한 크기를 가진 링 부재를 구비한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받침대에 장착된 도 6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외부 네트를 가지며 단일 지지 바상에 장착되는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세 개의 지지 바상에 장착된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바스켓 네트를 구비한 도 9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조합된 훈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네트를 가지지않은 도 11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네트를 가지지않은 훈련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훈련 골 또는 훈련 장치(1)의 제1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원형 링 부재(2, 3)로 구성된다. 두 개의 링 부재(2, 3)는 네 개의 연결 바(4, 5, 6, 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두 개의 링 부재가 연결 바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를 가진 두 개의 평행면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3)을 그라운드(8)에 두고 장치(1)가 배치되면, 링 부재(2, 3) 및 연결 바(4, 5, 6, 7)가 네 개의 구멍(9, 10, 11, 12)을 형성하는데, 상기 구멍은 각각, 예컨대 볼 처리 연습을 훈련하는 동안 개별적인 골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살표는 네 개의 골 구멍(9, 10, 11, 12)으로 볼을 던져넣거나 차 넣을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상부 링 부재(2)의 원형 구멍(13)이 또한, 역시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이 수평 구멍을 맞혀야하는 훈련 연습에 사용될 수도 있다.

    훈련 장치(1)는, 강철 또는 그 밖의 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물질 등의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링 부재(3)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될 때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무거운 물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하부 링은 대못(spike) 또는 못(peg)과 같이 장치를 그라운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장치의 크기는 이것이 사용될 구기 종목의 유형 또는 훈련의 유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와 성인에 대해 각기 다른 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어린이 축구 연습용으로 제작되는 장치의 보편적인 크기는, 링 부재의 직경이 1.5 내지 2 미터이고 링 사이의 거리가 1.2 내지 1.5 미터인 것이다.

    도 1의 훈련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위치로 기울임으로써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장치는 새로운 장소로 굴려질 수 있으며, 이 장소에서 상기 장치는 도 1의 위치로 다시 기울어진다. 그러나, 장치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훈련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정지된 위치에서, 특히 링 부재(2)에 의해 형성된 원형 구멍(13)은 둥근 골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살표가 볼의 방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더 흥미롭게도, 구멍(13)은 다른 사람이 장치를 굴리는 동안 골로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선수가 가동 골을 맞히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한다. 훈련 장치를 굴리는 동안, 심지어 구멍(9, 10, 11, 12)도 가동 골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훈련 장치(1)는 또한, 장치의 훈련 가치를 더욱 향상시키는 네트(14, 15, 16, 17)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네트가 링의 외주에서 링 부재(2, 3) 및/또는 연결 바(4, 5, 6, 7)에 부착되며, 장치의 중앙에서 네 개의 네트가 서로 연결된다. 네트의 높이는 연결 바(4, 5, 6, 7)의 높이에 상응한다. 상기 네트는, 골 구멍(9, 10, 11, 12) 중 하나를 맞히는 볼을 잡음으로써 상기 볼이 장치를 통과할 수 없게 하여 다른 방향으로부터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야기하지않게 할 수 있다. 상기 네트는 또한 장치의 골이 더 명확하게 정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일례로서, 골 구멍(10)을 가진 하나의 골은 두 개의 링 부재(2, 3), 바(5, 6) 및 두 개의 네트(15, 16)에 의해 정해진다. 물론, 상부 링(2)에 의해 형성된 장치의 상부, 즉 구멍(13)이 또한 네트에 의해 폐쇄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이 구멍을 개방하여 이것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훈련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상기 훈련은, 네 개의 네트(14, 15, 16, 17)가 상기 구멍을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네 개의 분리된 구멍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훨씬 더 개선된다.

    도 3에는, 네 개의 네트(14, 15, 16, 17)가 연결 바(4, 5, 6, 7)와 정렬하여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종종 편리한 해결방안이다. 그러나, 네트들, 또는 이들 중 어떤 것이 바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이 대신 구멍(9, 10, 11, 12)에 의해 정해지는 골을 세부분할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연결 바가 단순히 골 구멍과 관계없이 링 부재를 서로 연결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어, 그 후 골 구멍이 네트에 의해 정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더욱이, 네트의 수는 연결 바의 수와 동일할 필요가 없다. 이는 세 개의 연결 바(22, 23, 24)와 여섯 개의 네트(25, 26, 27, 28, 29, 30)를 가진 장치(21)를 도시하고 있는 도 4에 나타나있다. 여기에서는, 비록 세 개의 연결 바만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네트와 링 부재에 의해 여섯 개의 골 구멍이 제공된다. 그러나, 여기에 또한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종종 각 바를 각 네트와 정렬시키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상기 설명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 부재(2, 3)는 원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많은 다른 형상의 링 부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로서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링 부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각형 형상의 링 부재의 일례가 육각형 링 부재(32, 33)를 가진 훈련 장치(31)로 도시되어 있다. 육각형 링 부재(32, 33)를 제외하면, 장치(31)의 구성과 기능은 도 4의 장치(21)와 유사하다. 다각형 형상의 링 부재가 등변(equilateral)일 필요가 없다는 것, 즉 다각형의 단면이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전체 링 부재가 폐곡선을 형성하는 한, 링 부재는 원형 섹터로 형성된 섹션과 결합하여 직선 섹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부재는 또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훈련 장치(41)는 연결 바(44, 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작은 상부 링 부재(42)와 큰 하부 링 부재(43)를 갖는다. 이 경우, 단 세 개의 네트(47, 48, 49)만 사용됨으로써, 세 개의 골 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이점은, 상부의 작은 링으로 인해 상부의 수평 구멍(50)을 맞히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는 것인데, 상기 구멍(50)은 네트(47, 48, 49)에 의해 세 개의 서브섹션으로 더 분리된다. 따라서, 더 많은 노력을 요하는 훈련이 제공된다. 훈련 장치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높은 위치로 올려질 경우, 훈련은 훨씬 더 많은 노력을 요할 수 있다. 훈련 장치(51)는 장치(41)와 유사하지만, 이것은 받침대(foot 또는 base)(52)에 장착된다. 세 개의 수평 바(53, 54, 55)가 하부 링 부재(43)를, 수직 지지 바(57)에 놓이는 중앙 플레이트(56)에 연결한다. 수직 바(57)의 하단부는 받침대(52)내에 장착되는데, 상기 받침대는 훈련 장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무거워야 한다. 훈련 장치(51)는 이전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골 구멍의 높이가 더 높아 훈련이 더 많은 노력을 요한다.

    올려진 훈련 장치(61)의 또 다른 형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두 가지 방식에서 장치(51)와 상이하다. 여기서는 지지 바(63)가 하부 링 부재(43)로부터 받침대(62)에 직접 연결된다. 물론, 이러한 유형으로 지지하는 것은, 장치 자체가 가벼운 물질로 제조될 때 가장 편리하게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지 바(63)와 하부 링 부재(43) 사이의 연결부(joint)가 강력(strong force)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구부리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어쨌든, 받침대(62)는 장치가 기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꽤 무거워야 한다. 다른 차이점은, 두 개의 링(42, 43)의 외주 사이에 그것을 따라 단일 네트(64)가 배치된다는 점이다. 네트(64)는 여전히 링 부재(42, 43)와 연결 바(44, 45, 46)에 의해 형성된 골 구멍 중 하나를 맞히는 볼을 잡는 기능을 갖지만, 추가 효과는, 수평 구멍(50)을 실제로 맞히는 볼들만이 장치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구멍을 맞는 볼은 네트(64)에 의해 경기장으로 다시 안내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치(61)의 변형된 형태인 훈련 장치(71)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단일 지지 바(63) 대신, 세 개의 지지 바(73, 74, 75)가 상부 링 부재(42)를 받침대(72)에 연결하는 반면, 하부 및 큰 링 부재(43)는 세 개의 기울어진 측면 바(76, 77, 78)를 이용하여 세 개의 지지 바(73, 74, 75)에 연결된다. 이 장치의 기능은 장치(61)의 기능과 유사하다. 훈련 장치(41, 51, 61 및 71)가 원형 링 부재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 링 부재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농구에 사용되는 바스켓 형태의 추가 네트(79)가 상부 링 부재(42)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바스켓은 수평 구멍(50)을 맞히 는 볼을 장치(71) 내부의 중심부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형태들 중 몇몇이 또한 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1은, 도 4의 훈련 장치(21)와 도 10의 훈련 장치(71)가 조합된 훈련 장치(81)를 도시한다. 장치(81)의 하부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6개의 골 구멍을 형성하는 6개의 네트(25-30) 및 비교적 큰 두 개의 링 부재(2, 43)를 가진 장치(21)에 상응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는 작은 링 부재(42), 큰 링 부재(43), 외주 네트(64) 및 바스켓 네트(79)를 가진 훈련 장치(71)에 상응한다. 여기서 원형이며 동축으로 배열되는 세 개의 링 부재는 다수의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세 개의 지지 바(82, 83, 84)가 하부 링(3)을 작은 상부 링(42)에 연결시키는 한편, 중심 링(43)은 세 개의 기울어진 측면 바(85, 86, 87)를 이용하여 지지 바에 고정된다. 물론, 지지 바 및 측면 바의 개수는 여기서 언급된 세 개 보다 더 많을 수도 있고 또는 그 보다 더 적을 수도 있다.

    훈련 장치(81)는 다수의 훈련 옵션을 갖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에 배치되면, 6개의 네트(25-30) 및 두 개의 큰 링 부재(3, 43)에 의해 형성된 6개의 골 구멍에 의해, 상기 장치는 동시에 모든 측면에서 골을 넣는 훈련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작은 상부 링 부재(42)에 의해 형성된 수평 구멍(50)은 비교적 작은 수평 개구를 맞히는 훈련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볼 처리를 위한 훌륭한 연습이다. 외주 네트(64)는 구멍(50)을 맞지 않은 볼이 경기장으로 되돌아오게 하며, 물론 상기 네트(64)는 또한 네트 내로 직접 골을 넣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훈련 장치(81)가 기울어질 경우, 작은 링 부재(42)의 구멍(50)이 작은 수직 골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큰 링 부재(3, 43) 상에서 장치를 굴리면, 상기 장치는 가동 골 구멍을 맞히는 훈련을 제공한다.

    훈련 장치(81)의 구성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네트를 가지지않은 장치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링 부재(3, 42, 43)가 지지 바(82, 83, 84) 및 측면 바(85, 86, 87)에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지 바는 또한 도 9 및 10의 장치(71)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것은, 역시 네트를 가지지않고 도시되어 있는 도 13의 장치(91)에 도시되어 있다. 수직 지지 바(92, 93, 94)는 작은 상부 링 부재(42)에 직접 연결되는 반면, 두 개의 큰 링 부재는 측면 바(95, 96, 97 및 98, 99, 100)를 이용하여 지지 바에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정해진 범위내에서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