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申请号 KR1020120088681 申请日 2012-08-14 公开(公告)号 KR101280236B1 公开(公告)日 2013-07-05
申请人 원명희; 发明人 원명희;
摘要 PURPOSE: A beach ball equipped with a light-emitting device and a light-emitting-device storing groove are provided to play outside at night with a ball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installable on the light-emitting-device groove formed in the beach ball after playing with a ball injecting the air into the beach ball during daytime. CONSTITUTION: A beach ball equipped with a light-emitting device (100) and a light-emitting-device storing groove comprises a light source in which an air inlet (11) is formed and which is formed attaching an LED onto each PCB substrate to enable playing with the ball at night; a power (120) composed of a mercury cell in a subminiature 3V; and two lines of wire (130) which is attached on the bottom of the PCB substrate and which supplies electricity from the power to the light source. The wire comprises a power connecting section formed being narrowly bent to inside to accommodate the power as the central section of the wire; and a wire supporting section which is formed to contact the inner wall of a light-emitting-device storing groove main body (230) spreading both ends of the wire (130) to outside.
权利要求
  •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야간에도 공놀이를 할 수 있도록 PCB 기판 1개마다 LED를 1개씩 접착하여 형성한 광원과 초소형 3V의 수은전지로 된 전원 및 탄성이 있는 2줄의 가는 철사로서 상부는 PCB 기판 밑에 부착되고 상기 전원의 전기를 상기 광원에 공급하는 전선으로 구성된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상기 철사의 중간부로서 전원(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 좁게 휘어져 형성된 전원연결부(131); 및
    전선(130)의 끝 양쪽부분을 과 같이 바깥쪽으로 벌려 발광장치수납홈 본체(230)의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지지부(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 삭제
  • 공지의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야간에도 공놀이를 할 수 있도록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수납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되고 발광장치(100)를 발광장치수납홈(200)에 삽입한 후에 발광장치(100)가 빠지지 않도록 발광장치수납홈(200)을 덮거나 발광장치(100)를 뺀 후에도 발광장치수납홈(200)을 덮어 비치볼(10) 외주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커버하기 위한 뚜껑(211)과 본체(23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외경은 본체(230)의 내경과 비슷하고 길이는 본체(230) 길이의 20∼30%로 하여 몸체(212)가 본체(230)에 억지로 깊게 끼워 넣어져 본체(230) 입구를 봉쇄하는 몸체(212)로 이루어진 덮개(210);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되고 아래가 막힌 원통형의 탄성체로서 상부에는 본체(230) 외주면보다 넓게 프렌지(231)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 내벽에는 4쌍의 지지수단(23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 단부에는 광원(110)이 수납되는 광원수납홈(233)으로 구성되고 비치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2∼5개의 본체(230);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전원(120)의 외주면과 전선(130)이 삽입될 수 있는 넓이의 가늘고 긴 홈 또는 상기 넓이의 좁은 간격으로 길게 형성된 2줄의 돌출선으로서 전원(120)의 외주면과 전선지지부(132)가 상기 홈 안에 또는 2개의 돌출선 사이에 위치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 说明书全文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Beach having light and Its Keeping Home}

    본 발명은 야간에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비치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볼 내부에 탈착식으로 수용하는 발광장치 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운동용 공이나 놀이용 공을 가지고 야외에서 놀 때에는 공은 쉼 없이 움직이므로 공의 움직임을 잘 식별할 수 있는 주간에만 가지고 놀 수 있다. 물론 운동장이나 놀이터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면 야간에도 공놀이를 할 수 있지만 시설비와 전기료가 많이 들어가므로 프로경기 외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누구나 야간에도 공놀이를 할 수 있도록 공 내부에 발광수단을 내장한 공이 소개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91062호는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와 음향발생장치, 전지 등이 회로기판에 설치되어 LED에 발광 및 음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 발광 볼(15)을 몸체(11)에 내장하고 비치볼(10) 놀이 시 몸체(11) 내부에서 작은 볼이 비치볼 몸체 내부의 원구 형태의 공간부 내벽을 따라서 유동되도록 한 발광비치볼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39003호는 공기주입구(4)의 반대편에 조명체 투입구(8)를 형성하고, 공기 주입공(5)과 조명체 투입공(9)을 연잇는 투광성

    튜브(12)를 설치하되, 상기 투광성 튜브(12)에는 조명체(16)를 수납하는 조명체 수납집(18)이 구비된 조명비치볼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2526호는 투명 외피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통공내부에서 결합 되는 다수개의 홈부를 갖는 내피와 내피의 홈부에 발광부를 삽탈되게 형성한 발광부를 갖는 공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역시 발광부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비치볼과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외피만 가진 간단한 구조를 가진 공으로서 공놀이를 하고자 할 때에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어 공을 둥글게 부풀리고 놀이를 마치고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빼내고 접을 수 있는 볼(이하, '비치볼'이라 함)을 야간에도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비치볼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발광장치 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비치볼에 설치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LED를 광원으로 하고 수은전지를 전원으로 하는 발광장치를 개발하는 한편 상기 발광장치를 비치볼 내부에 손쉽게 설치하고 뺄 수 있는 발광장치 수납홈을 비치볼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평상시에는 비치볼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놀이를 하고 야간에는 LED와 수은 전지 및 상기 2개를 연결하는 전선만으로 구성된 발광장치를 비치볼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장치 수납홈에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어두운 야간에도 바닷가나 들판 등 야외에서 공놀이를 즐길 수 있다.

    제 1 도 : 본 발명 비치볼의 사시도 및 내부투시도
    제 2 도 : 본 발명 발광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 발광장치의 정면도이고 (b)는 본 발명 발광장치의 사시도
    제 3 도 : 본 발명 발광장치수납홈에 관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 발광장치수납홈의 사시도, (b)는 본 발명 발광장치수납홈 몸체의 평면도, (c)는 본 발명 발광장치수납홈 몸체의 정면도, (d)는 본 발명 발광장치수납홈 덮개의 사시도

    본 발명은 야간에도 가지고 놀 수 있도록 비치볼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발광장치와 상기 발광장치를 비치볼에 탈착식으로 내장할 수 있는 발광장치 수납홈을 일체로 구비한 비치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비치볼의 사시도 및 내부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발광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 발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 발광장치의 사시도이다. 또 도 3은 본 발명 발광장치 수납홈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 발광장치 수납홈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 발광장치 수납홈 몸체의 정면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 발광장치 수납홈 몸체의 평면도, 도 4(d)는 본 발명 발광장치 수납홈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비치볼(10)에는 공기를 넣고 뺄 수 있는 공지의 공기주입구(11)가 형성되어 있고 비치볼(10)의 외주면에는 발광장치(100)를 보관할 수 있는 발광장치수납홈(200)이 2~5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치볼(10)의 외피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비치볼 소재와 마찬가지로 0.05~0.5mm 두께의 PVC원단을 사용하였다. 상기 원단은 흑백 또는 진한 색과 밝은 색이이 교차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용도가 밤에도 가지고 놀기 위한 것임을 감안하면 백색 또는 밝은 색만으로 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이든 볼 내부에 발광장치(100)를 내장하여 불을 밝히면 비치볼(10)이 마치 보름달과 같이 환하게 빛을 발하여 야간에도 잘 보인다.

    본 발명 비치볼(10)에 사용하는 발광장치(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을 발하는 광원(110)과 전기를 축적하고 있는 전원(120) 및 상기 전원(120)의 전기를 광원(110)에 공급하는 전선(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110)으로는 전기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밝은 빛을 내는 LED를 발광장치(100) 1개 당 1개씩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LED와 PCB 기판을 구입한 후 PCB 기판을 LED 1개만 수용할 수 있도록 최소 크기로 절단한 후 상기 절단된 PCB 기판(112) 1개마다 LED(111)를 1개씩 접착하였다. 발광장치(100)는 비치볼에 2~5개 바람직하게는 2개만 설치하여도 비치볼(10)이 보름달처럼 밝게 빛을 내므로 캄캄한 밤에 공놀이를 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발광장치(100)를 1개만 달면 불빛이 한쪽으로 치우쳐 불균형을 이루고 만일 발광장치(100) 1개를 볼 중앙에 위치시키려면 발광장치지지선 등 많은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또 발광장치(100)를 6개 이상 설치하는 것은 너무 밝아 낭비가 된다.

    전원(120)으로는 무게가 가볍고 수명이 길며 휴대도 간편한 3V의 초소형 수은전지를 사용하였다.

    전선(1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2개의 가는 철사를 사용하여 전선(130)의 상부를 PCB 기판(112) 밑에 부착시키는 한편 전선(130)의 중간부분은 전원(120)의 몸체를 양쪽에서 꼭 낄 수 있도록 안쪽으로 좁게 휘어줌으로써 전원(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전원연결부(131)를 형성하였다. 전선(130)을 PCB 기판(112) 밑에 부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납땜방식이 간단하면서도 무난하다.

    한편, 전선(130)의 전원연결부(131)가 전원(120)의 몸체를 양쪽에서 꼭 낌으로써 전원(120)과 전선(130)이 연결되어 전선 한 줄은 양극(+)이 되고 다른 한 줄은 음극(-)이 되어 광원(110)에 전기를 공급하여 주므로 광원(110)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선(130)의 끝 양쪽 부분을

    과 같이 바깥쪽으로 벌려 발광장치수납홈(200)의 본체(230)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전선지지부(132)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발광장치(100)를 본체에 삽입하면 전원(120)과 전선지지부(132)가 본체(230) 내부에 4면에서 꽉 끼인 상태로 위치하게 되므로 발광장치(100)는 본체(230)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발광장치수납홈(20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조되고 아래가 막힌 원통형의 탄성체로서 비치볼(10) 외주면에 2∼5개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210)와 본체(230)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210)는 뚜껑(211)과 몸체(21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211)은 발광장치(100)를 발광장치수납홈(200)에 삽입한 후에 발광장치(100)가 빠지지 않도록 발광장치수납홈(200)을 덮거나 발광장치(100)를 뺀 후에도 발광장치수납홈(200)을 덮어 비치볼(10) 외주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212)는 본체(23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서 외경은 본체(230)의 내경과 비슷하고 길이는 본체(230) 길이의 20∼30%로 하여 상기 몸체(212)가 본체(230)에 억지로 깊게 끼워 넣어져 본체(230) 입구를 봉쇄하도록 하는 한편 한 번 끼워지면 억지로 빼지 않는 한 잘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몸체(212)는 내부가 비어 있으므로 본체(230)에 억지로 끼워질 때 찌그러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몸체(212) 내부에 1자 또는 十자형의 격벽(214)을 형성하여 지지력을 높였다.

    따라서 몸체(212)는 덮개(210)가 열리지 않도록 본체(230)에 꽉 끼이고 또 몸체(212)가 본체(230)의 위로부터 20∼30% 깊이까지 삽입되므로 덮개(210)를 덮으면 격렬하게 공놀이를 하더라도 덮개(210)가 빠지지 않는다.

    한편, 발광장치(100)를 발광장치수납홈(200)에 넣고 뺄 때마다 수시로 덮개(210)를 열었다 닫았다 하여야 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덮개(210)를 여닫기 위해서는 뚜껑에 손잡이(2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30) 상부에는 본체(230) 외주면보다 넓게 프렌지(231)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부 내벽에는 지지수단(232)이 그리고 아래 단부에는 광원수납홈(233)이 형성되어 있다.

    프렌지(231)는 본 발명 비치볼(10)을 제조할 때 공기주입구(11)와 마찬가지로 비치볼(10)에 외주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본체(230)가 비치볼(1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230)의 내부 직경은 전원(120)의 직경과 동일하고 내벽에는 전원(120)과 전선(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232)이 등간격(等間隔)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본체(230)의 직경이 전원(120)의 직경과 동일하더라도 본체(230)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탄성이 있으므로 전원(120)을 수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고 오히려 전원(120)이 본체(230)의 탄성 때문에 본체(230) 내부에 꼭 끼워지게 된다.

    지지수단(232)은 전원(120)의 외주면과 전선(130)이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진 가늘고 긴 홈을 형성하여 만들 수도 있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줄의 돌출선을 전원(120)의 외주면과 전선(130)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좁은 간격으로 길게 형성하여 만들 수도 있다.

    4개의 지지수단(232) 중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은 전원(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마주 보는 다른 한 쌍은 전선(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어느 경우든 전원(120)은 상기 임의의 한 쌍의 지지수단(232)에 삽입 또는 지지되어 고정되고 전원(120)공급선은 다른 한 쌍의 지지수단(232)에 삽입 또는 지지되어 고정된다. 예컨대 지지수단(232)으로 2개의 돌출선을 형성하면 전원(120)의 외주면과 전선지지부(132)는 2개의 돌출선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격렬하게 공놀이를 하더라도 광원(110)과 전원(120) 모두 지지수단(232)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어긋나지 않는다.

    광원(110)은 전원(120)에 전선(130)을 연결하면 광원(110)은 빛을 발하게 되며, 상기 발광장치(100)를 발광장치수납홈(200)에 삽입하면 광원(110)은 본체(230)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광원수납홈(233)에 위치하여 빛을 발하므로 비치볼(10) 내부를 환하게 밝혀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간에는 발광장치(100)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치볼(10)에 발광장치(100)를 설치하지 않고 공놀이를 한다. 이 때 발광장치수납홈(200)은 비치볼(10)의 외주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장치수납홈(200)에 덮개(210)를 덮은 상태에서 바람을 넣고 공놀이를 하면 된다.

    한편, 야간에도 공놀이를 하려면 공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비치볼(10)에 발광장치(100)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우선 공기주입구(11)를 개방하여 비치볼(10)에 공기를 불어 넣어 공을 둥글게 만든다. 이어 광원(110)과 전원(120)을 전원(120) 연결부로 연결하여 발광장치(100)에 불을 밝힌 후 상기 발광장치(100)를 발광장치수납홈(200)에 삽입한다. 이 때 전원(120)의 직경과 본체(230)의 내부 직경이 동일하고 또 본체(230)는 탄성이 있으므로 전원(120)과 전원(120) 연결부는 각각 지지수단(232)에 지지되어 발광장치(1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어 본체(230)를 덮개(210)로 막으면 된다.

    한편, 발광장치수납홈(200)에 수납되어 있는 광원(110)에는 불이 켜져 있으므로 비치볼(10)은 보름달처럼 환하게 밝혀지고 따라서 야간에도 해변이나 강가 또는 야외와 같이 어두운 곳에서도 아무런 불편 없이 공놀이를 할 수 있다.

    이상 비치볼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보호범위는 탱탱볼 기타 비치볼과 구조가 유사한 볼 모두에게 미침은 당연하다.

    10 : 비치볼 11 : 공기주입구
    100 : 발광장치 110 : 광원
    111 : PCB 기판 120 : 전원
    130 : 전선 131 : 전원 연결부
    132 : 전선 지지부
    200 : 발광장치수납홈 210 : 덮개
    211 : 뚜껑 212 : 몸체
    213 : 손잡이 214 : 격벽
    230 : 본체 231 : 프렌지
    232 : 지지수단 233 : 광원수납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