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종연습용 야구공

申请号 KR2020120003786 申请日 2012-05-08 公开(公告)号 KR2020130006601U 公开(公告)日 2013-11-18
申请人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发明人 권오성;
摘要 본 고안은 야구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그립을 잡는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손가락 지시정보에 따라서 손가락을 위치시켜 해당 구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구종연습용 야구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야구공의 표면에 직접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고자 하며,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 구종별 손가락위치 지시정보를 표시하고, 각 구종별 손가락지시정보 안내지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표시된 손가락 위치 지시정보를 이용하여 구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야구공에 관한 것으로, 야구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손가락 위치를 손가락 접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가락표식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안내지에 기재된 각 구종별 손가락 지시번호를 표시한다.
权利要求
  • 야구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손가락 위치를 손가락 접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가락표식(10)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안내지에 기재된 각 구종별 손가락 지시번호(20)를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종연습용 야구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표식(10)에는 손가락의 지문을 표시하여 손가락을 잡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종연습용 야구공.
  • 说明书全文

    구종연습용 야구공{PITCHING TRAINING BALLS FOR BASEBALL}

    본 고안은 야구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그립을 잡는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제공되는 손가락 지시정보에 따라서 손가락을 위치시켜 해당 구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구종연습용 야구공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세계 많은 나라에서 인기스포츠로 사랑받고 있으며, 티브이나 야구장에서 관람하는데 그치지 않고 많은 사람들이 사회체육으로 즐기고 있다.

    야구는 야구공을 투수가 던지고 이를 타자가 타격하는 방식으로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루를 돌아 홈으로 돌아오면 점수를 내는 방식의 스포츠로서, 9명으로 편을 이룬 두 팀이 9회에 걸쳐 서로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하여 거기서 얻은 득점으로 승패를 겨루는 구기 스포츠이다.

    야구공은 코르크, 고무 또는 이것과 비슷한 재료로 만들며. 겉부분은 흰 말가죽 또는 쇠가죽을 사용하며, 보통 중량은 141.7g ~ 148.8g 정도 이며, 공 둘레의 길이는 22.9cm ~ 23.5cm 정도 된다

    야구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코르크 심 위에 고무를 덧씌워 청회색과 흰색의 모사(毛絲)를 감아 다시 그 위에 면겹사를 감은 다음 여기에 적색사로 108번 바느질을 하여 흰색 말가죽이나 쇠가죽 두 쪽을 잇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두 쪽의 가죽을 이으면서 생긴 솔기를 투수가 어떻게 잡고 던지는 가에 따라서 구종이 결정되며 야구공은 솔기가 공기와 마찰하면서 투수의 공의 궤적이 변화된다.

    야구공을 잡는 방법은 다양하며, 가장 기본이 되는 직구방법은 실밥의 간격이 넓은 부분에 손가락을 직각으로 대어 잡는 4심과 실밥의 간격이 좁은 부분을 쥐어 던지는 2심이 있다.

    변화구를 던지는 방법은 다양하며 손가락의 위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된다. 일반인들은 동영상이나 책에 나타난 손가락의 위치를 보면서 연습하고 있는데 이를 보고 일반인이 연습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야구공의 표면에 직접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하고자 하며, 손가락의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 구종별 손가락위치 지시정보를 표시하고, 각 구종별 손가락지시정보 안내지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표시된 손가락 위치 지시정보를 이용하여 구종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야구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구종연습용 야구공은, 야구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손가락 위치를 손가락 접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가락표식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안내지에 기재된 각 구종별 손가락 지시번호를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표식에는 손가락의 지문을 표시하여 손가락을 잡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 사용자들도 손쉽게 각 구종에 대하여 손쉽게 연습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 구종연습용 야구공을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고안 구종연습용 야구공에 있어서, 겉가죽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 구종연습용 야구공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야구공의 표면에 각 구종별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며 손가락 위치를 표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안내지에 기재된 각 구종별 손가락 지시번호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 야구공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야구공의 겉가죽을 펼쳐놓은 도면이다.

    손가락 위치는 손가락 접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손가락표식(10)으로 표시된다.

    상기 손가락표식(10)은 엄지, 집게, 가운데, 반지, 새끼 손가락의 접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손가락표식(10)에는 손가락지시번호(20)를 표시한다.

    상기 손가락지시번호(20)는 사용자에게 안내지를 통해 제공되는 각 구종별 손가락지시번호이다.

    다음의 표 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안내지의 일 예를 나타낸다.

    구종 엄지 집게 가운데 반지 새끼
    직구(4심) 1 2 3 4
    직구(2심) 5 6 7 8
    슬라이더 11 12 13 14
    .... .. .. .. .. ..
    체인지업 31 32 33 34

    여기서, 실제 도 1 내지 도 4에 표시된 손가락 지시번호와 상기 표1에 표시된 손가락 지시번호는 실제 구종과 매칭되는 번호가 아니며 표시 예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손가락표식(10)에는 손가락의 지문을 표시하여 손가락을 잡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가락표식(10)은 직구 구종과 변화구 구종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야구공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야구공은 표면에 각 구종의 손가락표식(10)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야구공에 표시된 손가락표식(10)에 따라서 손가락을 위치시켜 각 구종을 연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함께 제공되는 안내지에 표시된 각 구종의 손가락번호를 확인하고 손가락지시번호(20)를 확인하여 손가락표식(10)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위치에 손가락을 위치시켜 야구공을 쥐어 해당 구종을 연습한다.

    이때 지문의 방향을 확인하고 지문의 방향까지 맞추어 보다 정확한 손가락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종의 손가락 위치를 손쉽게 야구공상에서 확인하여 연습할 수 있음으로 보다 손쉽게 각 구종의 연습이 가능해진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