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140045708 申请日 2014-04-17 公开(公告)号 KR1020150120049A 公开(公告)日 2015-10-27
申请人 황두원; 发明人 황두원;
摘要 본발명은탱탱볼의표면에부직포를접착·고정하는단계; 상기부직포의표면에절연테이프를감는단계;를포함하도록구성되는탱탱볼을이용한경기용공의제조방법를제공하기위한것으로, 본발명은탱탱볼의표면에부직포(접착펠트)를덧댄후 그표면에전기절연테이프를감아서경기용공을제조하면, 테이핑으로인한탱탱볼의표면강도가높아지고탄력이많이줄어들게되므로공의촉감을부드럽게해줄뿐더러가볍고탄력이낮아공에힘의전달이잘 이루어지므로공이멀리날아가며, 이로인해힘과기술이부족한노약자나어린이, 특히여학생들이축구등의경기를즐기기적합하고, 나아가축구화없이맨발로차도공이잘 날아가므로경기에대한만족감이높을뿐더러공이가볍게움직이다보니더 많은패스와슈팅이이루어져골도더 많이나므로경기에박진감이있고경기를쉽고재미있게할 수있으며운동량도기존의공에비해더 많도록하는매우유용한발명인것이다.
权利要求
  • 탱탱볼(10)의 표면에 부직포(20)를 접착·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에 절연 테이프(30)를 감는 단계;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의 접착방법은,
    상기 탱탱볼(10)의 기준선(10b)에 대응하는 원형의 부직포(21,22)를 2번 접어 부채꼴형으로 만든 다음 부채꼴의 중심각 부분을 조금 잘라내어 상기 부직포(21,22)의 중심에 구멍(21a,22a)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탱탱볼(10)의 기준점(10a)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하부의 중심에 표시된 기준선(10b)을 따라 부직포(21,22)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탱탱볼(10)의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또 다른 부직포(20)를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의 테이핑은,
    상부 기준점(20a)을 중심으로 하여 +자 모양으로 절연 테이프(30)를 감는 단계; 상기 +자 모양의 절연 테이프(30) 사이로 절연 테이프(31)를 세로 방향으로 더 감는 단계; 상기 세로 감기가 끝난 후 공을 위 아래로 양분하는 가로 기준선(32; 절연 테이프)을 감는 단계; 상기 가로 기준선(32)을 중심으로 공의 윗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33)로 가로 감기하는 단계; 상기 가로 기준선(32)을 중심으로 공의 아랫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34)로 가로 감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테이프의 표면에 인조피혁을 접착·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game ball using the bounding ball}

    본 발명은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탱탱볼의 표면에 부직포(접착펠트)를 덧댄 후 그 표면에 전기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경기용 공을 제조하면, 테이핑으로 인한 탱탱볼의 표면 강도가 높아지고 탄력이 많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의 촉감을 부드럽게 해줄 뿐더러 가볍고 탄력이 낮아 공에 힘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므로 공이 멀리 날아가며, 이로 인해 힘과 기술이 부족한 노약자나 어린이, 특히 여학생들이 축구 등의 경기를 즐기기 적합하고, 나아가 축구화 없이 맨발로 차도 공이 잘 날아가므로 경기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 뿐더러 공이 가볍게 움직이다 보니 더 많은 패스와 슈팅이 이루어져 골도 더 많이 나므로 경기에 박진감이 있고 경기를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운동량도 기존의 공에 비해 더 많도록 하는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공 중에서 크기가 탁구공 보다 수배 이상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신축성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일명 탱탱볼이라는 공이 제공되어 벽이나 지면에 던지고 받는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공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은 단순히 공의 탄력을 이용하여 놀이를 즐기는 용도로 밖에 사용되지 못하였으므로 쉽게 실증을 유발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9-8163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248307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탱탱볼은 여전히 가볍고 탄력(반발력)이 높으므로 멀리차거나 볼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구공의 경우에는 무겁고 탄력이 높으므로 강하게 멀리 찰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힘과 기술을 요하고 신체적 부담이 크며 기물파손이나 부상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탱탱볼의 표면에 부직포(접착펠트)를 덧댄 후 그 표면에 전기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경기용 공을 제조하면, 테이핑으로 인한 탱탱볼의 표면 강도가 높아지고 탄력이 많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의 촉감을 부드럽게 해줄 뿐더러 가볍고 탄력이 낮아 공에 힘의 전달이 잘 이루어지므로 공이 멀리 날아가며, 이로 인해 힘과 기술이 부족한 노약자나 어린이, 특히 여학생들이 축구 등의 경기를 즐기기 적합하고, 나아가 축구화 없이 맨발로 차도 공이 잘 날아가므로 경기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 뿐더러 공이 가볍게 움직이다 보니 더 많은 패스와 슈팅이 이루어져 골도 더 많이 나므로 경기에 박진감이 있고 경기를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운동량도 기존의 공에 비해 더 많도록 하는 탱탱볼을 이용 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은, 탱탱볼의 표면에 부직포를 접착·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의 표면에 절연 테이프를 감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직포의 접착방법은, 상기 탱탱볼의 기준선에 대응하는 원형의 부직포를 2번 접어 부채꼴형으로 만든 다음 부채꼴의 중심각 부분을 조금 잘라내어 상기 부직포의 중심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탱탱볼의 기준점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하부의 중심에 표시된 기준선을 따라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탱탱볼의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또 다른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 테이프의 테이핑은, 탱탱볼의 상하부 기준점과 부직포의 +자 기준선을 따라 절연 테이프를 +자 모양으로 세로 감기하는 단계; 상기 +자 모양의 절연 테이프 사이로 절연 테이프를 세로 방향으로 더 감는 단계; 상기 세로 감기가 끝난 후 공을 위 아래로 양분하는 가로 기준선(절연 테이프)을 감는 단계; 상기 가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공의 윗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가로 감기하는 단계; 상기 가로 기준선을 중심으로 공의 아랫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가로 감기하는 단계; 상기 탱탱볼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절연 테이프를 세로 감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 테이프의 표면에 인조피혁을 접착·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 번째, 탱탱볼은 가볍고 탄력이 높아 멀리차거나 볼을 컨트롤하기 어려운 반면, 탱탱볼에 부직포를 덧댄 후 그 표면에 절연 테이프를 감으면 공의 탄력이 현저히 줄어들고 상기 탄력이 낮으므로 공에 힘의 전달이 훨씬 효과적일 뿐더러 가벼운 무게는 거의 그대로 유지되므로 공을 차면 멀리 날아간다. 즉 탄력이 낮아 축구공보다 잘 구르지 않으므로 드리블을 하거나 패스하기가 훨씬 수월하고 무엇보다 공이 가벼워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절연 테이프로 탱탱볼을 감아 상기 탱탱볼의 탄력을 낮추어 공에 힘의 전달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점에 있으며, 상기 감는 회수에 따라 공의 표면 강도와 탄력의 정도를 조절하여 피구, 발야구, 배구, 축구 등의 다양한 경기용 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피구, 발야구, 배구 등에 사용 시에는 가볍고 표면이 부드러우며 탄력이 조금 있는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축구에 사용 시에는 테이핑 횟수를 많이 하여 무게감과 표면의 강도를 조금 높이고 반발력을 낮추어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세 번째, 본 발명은 탱탱볼의 표면에 순차적으로 부직포, 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제조되므로 탱탱볼의 가벼운 성질은 그대로 유지하고 탱탱볼에 비해 탄력이 현저하게 줄어드므로 공을 멀리 찰 수 있을뿐더러 공의 컨트롤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기술과 힘이 부족한 사람들도 신체적 부담 없이 공을 멀리 보낼 수 있고, 적은 힘으르도 공이 멀리 날아가므로 두꺼운 축구화를 신지 않아도 되며, 공이 가벼워 부상의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즉 공이 가볍고 탄력이 낮아 다루기가 쉬우므로 힘이 부족한 어린이들도 성인처럼 공을 멀리 차고 가벼운 힘으로 다양한 기술을 구사할 수 있으며, 특히 힘이 부족한 여학생들이 축구를 남자들처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 -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탱탱볼을 이용한 경기용 공의 제조방법은, 탱탱볼(10)의 표면에 부직포(20)를 접착·고정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20)의 표면에 절연 테이프(30)를 감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탱탱볼(10)은 가벼우며 높은 탄력(반발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탱탱볼(10)의 상하부 중심에는 부직포(20)의 접착을 위한 기준점(10a)과 기준선(10b)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원 모양의 기준선(10b)은 서도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이는 부직포(20)를 붙였을 때 구 모양이 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기준선(10b) 없이 대충 눈대중으로 붙이면 탱탱볼(10)의 구 모양이 찌그러지기 때문이다.

    상기 부직포(접착펠트; 20)는 약간의 무게를 더하며 탱탱볼(10)에 바로 테이핑을 했을 때 공의 표면이 딱딱해지는 현상을 완화하고 그 두께에 따라 공의 탄력을 조절한다.

    이를 위한 상기 부직포(20)의 접착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탱볼(10)의 기준선(10b)에 대응하는 원형의 부직포(21,22)를 2번 접어 부채꼴형으로 만든 다음 부채꼴의 중심각 부분을 조금 잘라내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의 중심에 구멍(21a,22a)을 형성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탱볼(10)의 기준점(10a)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하부의 중심에 기준선(10b)을 따라 부직포(21,22)를 부착한다.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탱볼(10)의 중심부에 가로방향으로 부직포(20)를 부착한다.

    상기 절연테이프(30)는 탄력이 있어 감으면 조이는 효과가 있으며, 탱탱볼(10)의 탄력(반발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절연 테이프(30)의 테이핑으로 인해 공의 표면강도가 높아짐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테이핑은 공에 압력을 가하므로 테이핑을 균형있게 하는 것이 공 모양의 유지에 중요한데, 상기 부직포(21,22)에 형성된 기준선(21b,22b)을 따라 테이핑하면 구 모양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절연테이프(30)의 테이핑 방법은 세로 감기와 가로 감기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탱탱볼(10)의 상하부 기준점(10a)과 부직포(21,22)의 +자 기준선(21a,22a)을 따라 절연 테이프(30)를 +자 모양으로 세로 감기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모양의 절연 테이프(30) 사이로 또 다른 절연 테이프(31)를 이용하여 세로 감기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감기가 끝난 후 공을 위 아래로 양분하는 가로 기준선(절연 테이프;32)을 감는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기준선(32)을 중심으로 공의 윗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33)로 가로 감기하는데, 이때 상기 가로 감기는 구의 적도 부분에서 극점방향으로 감아가는데 극점, 즉 기준점(10a)에 가까워질수록 절연 테이프(33)가 울어서 물결모양이 생기므로 적당한 선에서 감기를 멈추고 절연 테이프(33)의 끝단(33a)을 세로로 감아서 마무리한다.

    상기와 같이 절연 테이프(33)의 끝단(33a)을 세로 감기로 마무리하는 것은, 상기 절연 테이프(33)가 잘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기준선(32)을 중심으로 공의 아랫 반구 부분을 절연 테이프(34)로 가로 감기한다.

    물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함은 당연하다.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탱볼(10)의 기준점(10a)을 중심으로 하여 절연 테이프(35)를 세로 감기한다.

    이때 상기 절연 테이프(35)는 가로방향으로 감긴 절연 테이프(33,34)와 색상을 달리하여 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절연 테이프(30,31,32,33,34)로 테이핑한 후에는 인조피혁(40)을 접착·고정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실외에서 경기를 하는 경우 상기 절연 테이프를 보호하고 공의 견고성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경기용 공과 축구공, 풋살공의 비교

    본 발명 축구공 풋살공
    무게 매우 가볍다 무겁다 무겁다

    내부 구조
    탱탱볼 + 부직포 + 절연 테이프 + 표면처리 재질 고무공 + 합성면라이닝 + 표면처리 재질 고무공 + 내부 스펀지 + 표면처리 재질

    특성
    탄력이 낮고 가벼우며 축구공 보다 훨씬 잘 날아간다 탄력이 높으며 무겁고 잘 날아간다 탄력이 낮고 무거우며 축구공 보다 잘 날아가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축구를 하도록 하였는데, 축구화 없이 맨발로 차도 공이 잘 날아가고, 공이 가볍게 움직이다 보니 더 많은 패스와 슈팅이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골도 기존 축구공에 비해 더 많이 나서 경기의 박진감이 높아졌다.

    그리고 평소 축구를 꺼리던 아이들이 열심히 공을 차는 것을 보고 그 이유를 물으니, 공을 차도 발이 아프지 않고 멀리 날아가서 재미있다고 했으며, 피구에 응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즉 본 발명의 경기용 공은 경기를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탱탱볼 20: 부직포
    30,31,32,33,34: 절연 테이프
    40: 인조피혁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