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용 공 및 그 제작방법

申请号 KR1020130134083 申请日 2013-11-06 公开(公告)号 KR1020150052548A 公开(公告)日 2015-05-14
申请人 신신상사 주식회사; 发明人 정필조;
摘要 본발명은운동용공 및그 제조방법에관한것으로, 구체적으로는운동용공을구성하는튜브의외주면에보강층을접착한상태에서그 외주면에쿠션재가내장된여러개의단위판넬을기계재봉하여판넬외피를형성하고, 그내부에보강층이접착된튜브를수용하여보강층과쿠션재사이를이격시켜공을타격시탄력은유지하면서도쿠션감을증가시켜경기력을향상시킬수 있는운동용공 및그 제조방법에관한것이다.
权利要求
  •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10);
    상기 튜브(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실보강층(11);
    상기 실보강층(11)의 표면에 근접되며 일면에 쿠션재(21)가 접착된 여러 개의 단위판넬(20)을 기계재봉한 상태로 절곡하여 공 형태를 갖음으로서 재봉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된 판넬외피(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넬(20)은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22)일면에 보강층(23)이 접착되며 상기 보강층(23)의 표면 내측으로 쿠션재(21)가 접착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24)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공.
  • 운동용 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튜브의 표면에 여러 가닥의 실을 감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실로 형성된 실판을 접착하는 실보강층 형성단계(S1);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 일면에 보강층을 접착하고 그 상면 내측에 쿠션재를 부착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를 형성한 단위패널 형성단계(S2);
    상기 여러 개의 단위패널의 접힘부를 서로 밀착시키고 재봉하여 일체화 하는 판넬외피 형성단계(S3);
    판넬외피를 뒤집어 접힘부의 내측이 쿠션재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내부에 실보강층이 형성된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S4);
    판넬외피를 마무리 재봉하고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S5);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공 제작방법.
  • 说明书全文

    운동용 공 및 그 제작방법{How to make an exercise ball and that}

    본 발명은 운동용 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용 공을 구성하는 튜브의 외주면에 보강층을 접착한 상태에서 그 외주면에 쿠션재가 내장된 여러 개의 단위판넬을 기계재봉하여 판넬외피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보강층이 접착된 튜브를 수용하여 보강층과 쿠션재 사이를 이격시켜 공을 타격시 탄력과 쿠션은 유지하면서도 비행 중 흔들림을 최소화시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용 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164402호(등록일: 2012년 07월 04일)는 발명의 명칭을 구기용 고탄력 속공 및 그 제조방법으로 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형의 튜브(110)가 구비되고, 상기 튜브(110)의 외주면을 구형으로 감싸도록 다수 개로 분리된 보강포(120)가 구비되며, 상기 튜브(110)와 다수의 보강포(120) 사이가 분리되어 튜브(110)와 보강포(120) 사이에 공기층(130)이 구비된 구기용 속공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120)는 튜브(110)의 중앙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보강포(121)와;

    상기 튜브(110)의 중앙 상부에 밀착되는 상부 보강포(122)와;

    상기 튜브(110)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 보강포(123)와;

    상기 튜브(110)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면 보강포(124)와;

    상기 튜브(110)의 좌측면에 밀착되는 좌측 보강포(125)와;

    상기 튜브(110)의 우측면에 밀착되는 우측 보강포(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으로는,

    구기용 고탄력 속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형상으로 튜브의 상하 전후 좌우에 밀착되는 하부와 상부, 전면, 후면, 좌측, 우측의 다수의 보강포(120)를 절단하는 단계(S100);

    상기 다수 개의 보강포(120)를 열성형기로 가압하여 원호형상으로 굴곡시키는 단계(S200);

    상기 다수 개로 절단된 보강포(120)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300);

    상기 원호형상의 하부(121)와 상부(122), 전면(123), 후면(124), 좌측(125), 우측(126) 보강포(120)를 몰드 금형의 내주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단계(S400);

    상기 몰드금형의 상부에 공기주입관이 삽입되도록 튜브(110)를 결합하는 단계(S500);

    상기 몰드금형을 튜브의 중심을 향해 이송되도록 작동시키는 단계(S600);

    상기 몰드금형의 공기주입관을 통해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S700);

    상기 몰드금형을 순서대로 튜브의 외측으로 이송시켜 속공을 인출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기용 고탄력 속공은 튜브와 보강포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하여 탄력이 우수한 특징은 있으나 각각의 보강포가 접착에 의하여 이루어 짐으로써 잦은 충격에 의하여 보강포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보강포의 외면에 접착되는 패널에 쿠션감이 없어 공을 타격시 정확한 방향으로 공을 진행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포 외부에 부착되는 여러 개의 패널은 일반적으로 손재봉을 통하여 제작되는데, 손재봉에 따른 생산성 저하, 재봉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마모됨에 따른 패널의 떨어짐 등의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의 외면에 보강층을 접착함으로써 튜브층에서 먼저 공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보강층과 외피를 이격시켜, 강한슈팅시 공간의 완충효과가 발생되어 공의 변형으로 인한 비행 흔들림을 최소화 시킨 새로운 형태의 운동용 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튜브의 외부에 형성되는 판넬외피를 구성하는 단위판넬의 내부에 쿠션층을 형성하고 각각의 단위판넬을 기계재봉으로 연결한 상태로 튜브와 결합됨으로서 운동용 공이 쿠션층에 의하여 헤딩시의 충격감소, 발감김 느낌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봉부분이 판넬외피의 내부에 형성되어 마모에 따른 재봉선의 절단 및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운동용 공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여러 개의 단위판넬을 기계재봉으로 생산하므로 운동용 공의 품질이 안정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고품질, 고생산성 운동용 공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운동용 공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10);

    상기 튜브(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실보강층(11);

    상기 실보강층(11)의 표면에 근접되며 일면에 쿠션재(21)가 접착된 여러 개의 단위판넬(20)을 기계재봉한 상태로 절곡하여 공 형태를 갖음으로서 재봉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된 판넬외피(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판넬(20)은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22)일면에 보강층(23)이 접착되며 상기 보강층(23)의 표면 내측으로 쿠션재(21)가 접착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24)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보강층(11)은 여러 가닥의 실을 튜브 표면에 감아 형성하거나 또는 부직포 형태의 실판을 접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운동용 공의 제작방법으로써,

    튜브의 표면에 여러 가닥의 실을 감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실로 형성된 실판을 접착하는 실보강층 형성단계(S1);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 일면에 보강층을 접착하고 그 상면 내측에 쿠션재를 부착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를 형성한 단위패널 형성단계(S2);

    상기 여러 개의 단위패널의 접힘부를 서로 밀착시키고 재봉하여 일체화 하는 판넬외피 형성단계(S3);

    판넬외피를 뒤집어 접힘부의 내측이 쿠션재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실보강층이 형성된 튜브의 공기를 제거한 후 삽입하는 단계(S4);

    판넬외피의 튜브삽입부를 마무리 재봉한 완성구를 압축 열처리하는 완성압축단계(S5);

    튜브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은 튜브에 보강층을 접착함으로써 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실을 어려 겹 감아 형성하는 보강층을 자동화 할 수 있어 보강층이 균일하고 생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고, 튜브 보강층에 의하여 볼변형을 사전에 잡아준 관계로 분리된 판넬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에 형성된 보강층과 판넬외피를 분리시킴으로써 강한 슈팅시 볼변형을 완충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변형으로 인한 공의 비행 중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비행방향이 일정해져 향상된 경기력을 발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외피를 구성함에 있어 각각의 단위판넬을 서로 기계 재봉한 후 뒤집어 튜브를 삽입하면, 외피 일면에 부착된 쿠션두께로 인해 각각의 단위판넬의 재봉부분이 단위판넬 연결부분의 깊숙히 형성됨으로써 재봉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지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재봉선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단위판넬에 부착된 보강층의 두께로 인해 연결부분의 모서리 부분에 자연스러운 "V"자 홈이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하며 터치감이 부드럽고 비행시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시켜 흔들림을 한번 더 잡아주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위판넬의 연결구성을 통하여 단위판넬과 이웃하는 단위판넬의 끝부분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재봉 부분이 내부 깊숙히 위치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판넬을 두꺼운 쿠션재로 한번 더 꺽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기계재봉만으로도 판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단위판넬을 기계재봉으로 연결함으로써 종래 손재봉 방법에 비하여 운동용 공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노동환경 문제가 해결되고 품질이 안정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 중 단위판넬의 적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 중 단위판넬이 재봉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 중 판넬외피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의 적층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100)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실보강층(11)과, 상기 실보강층(11)의 표면에 근접되며 일면에 쿠션재(21)가 접착된 여러 개의 단위판넬(20)을 기계재봉한 상태로 절곡하여 공 형태를 갖음으로서 재봉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된 판넬외피(30)로 구성된다.

    상기 실보강층(11)은 여러 가닥의 실을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튜브 표면에 감아 형성하거나 또는 부직포 형태의 실판을 튜브 표면에 접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실보강층(11)을 튜브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기계장치를 이용한 형성으로 실보강층 형성작업시간이 절감되고 보강층의 두께가 균일하여 우수한 품질의 실보강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판넬(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22)일면에 보강층(23)이 접착되며 상기 보강층(23)의 표면 내측으로 쿠션재(21)가 접착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단위판넬을 여러 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단위판넬을 서로 재봉하여 판넬외피(30)를 형성한다.

    즉, 상기 판넬외피(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외피(30)는 여러 개의 단위판넬(20)을 서로 재봉하여 하나의 구 형태로 형성하는데, 상기 단위판넬(20)은 외피(22)내측면에 보강층(23)을 접착하고 보강층(23)의 표면 내측에 쿠션재(21)를 다시 접착하여 구성함으로써 운동용 공의 터치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헤딩시 머리로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쿠션재(21)의 구성을 통하여 축구경기 또는 배구경기에서 발이나 손이 이용하여 타격시 타격감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단위판넬(20)의 가장자리로는 접힘부(24)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단위판넬(20')과 재봉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지면과의 잦은 밀착에 따른 재봉선의 끊어짐이나 재봉부분을 통하여 수분이 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공 전체의 단위판넬 연결부분이 판넬보강층 두께로 부드럽게 꺽여 V홈이 형성되어 터치감이 우수하고, 공의 비행시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시켜 동의 흔즐림을 잡아주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공의 제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튜브 표면에 실보강층 접착 >

    고무재질의 튜브에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하여 공의 형태를 갖도록 한 후 튜브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여러 가닥의 실을 기계장치로 여러 번 감이 실보강층(1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실보강층(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실을 감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여러 가닥의 실로 형성된 실판을 튜브표면에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 단위판넬 형성 >

    판넬외피(30)를 형성하는 단위판넬(20)은 천연피혁 또는 합성수지피혁 재질의 외피(22)에 보강층(23)을 접착하고 그 상면 내측 일면에 쿠션재(21)를 접착하고 가장자리로 접힘부(24)를 일체로 형성한다.

    < 판넬외피 성형단계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판넬(20)의 접힘부(24)를 이웃하는 단위판넬(20')의 접힘부(24')와 밀착시키고 기계재봉하는 과정을 연속하여 하나의 판넬외피(30)를 형성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판넬(20)에 형성된 접힘부(24)의 구성을 이용하여 쉽게 연결부분을 기계재봉 할 수 있어 종래 손재봉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정확한 재봉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형태로 기계재봉에 의하여 여러 개의 단위패널을 연결하여 공의 형태로 재봉한 상태에서 판넬외피를 뒤집어 외피(22)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 판넬외피와 튜브의 결합 >

    상기와 같이 재봉된 판넬외피를 뒤집는 과정을 통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부(24)가 쿠션재(21) 가장자리로 밀착됨으로써 재봉된 부분이 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지면과의 마찰에 의한 재봉선의 끈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봉된 부분을 통하여 공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판넬외피 내부에 튜브를 삽입하고 판넬외피의 삽입부분을 마무리 재봉하여 운동용 공의 형태를 완성한다.

    또한, 판넬외피(30)와 튜브(10)가 접착되지 않고 이격됨으로써 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강한슈팅시 완충효과를 갖음으로써 공이 비행 중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정확한 슈팅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 완성압축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동용 공을 일정온도와 압력으로 표면을 압축, 열처리하여 볼 형상을 안정화시킨다.

    < 공기주입 >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운동용 공에 통상의 공기주입밸브를 이용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운동용 공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운동용 공의 제작방법을 통하여 단위판넬의 재봉시 적은 힘의 기계재봉을 이용하여도 접합부를 통하여 연결된 형태가 절곡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단위판넬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봉실의 끊어짐 방지 및 재봉부분을 통한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판넬외피에 쿠션재를 형성함으로써 헤딩시 충격감소와, 발이나 손에 닿는 느낌을 향상시켜 구기운동의 기술을 쉽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으며 구기운동의 실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 : 튜브 11 : 실보강층
    20 : 단위판넬 21 : 쿠션재
    22 : 외피 23 : 보강층
    24 : 접힘부 30 : 판넬외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