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림식 운동기구

申请号 KR1020130072238 申请日 2013-06-24 公开(公告)号 KR101404053B1 公开(公告)日 2014-06-27
申请人 김국진; 发明人 김국진;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ing exercise device. The roll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spherical shape, having a space for a user to enter, having a plurality of penetrating holes so that a user in the rolling exercise device can look out, including a doo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a user to enter and exit, and including a handle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a foot support installed and fixed to the bottom part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fixing strap for binding and fixing feet; a belt installed to be hung on a joining string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coil springs having an end part connected to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to protrude from the body par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grounding plates combined with the end parts of the coil spring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respectively in a one-to-one way to be plac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oil springs, wherein part of the grounding plates are alway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chever direction the body part rolls in.
权利要求
  • 구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사람이 내부에 들어가서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사람이 내외로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출입문이 구비되며, 몸체부의 내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발을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이 구비된 발 받침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이음줄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허리띠;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뻗도록 돌출되는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 일단부 각각과 일대일로 결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면 상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접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가 어느 방향으로 구르더라도 상기 접지판들 중 일부가 항상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뻗는 다수 개의 원형 링 형태의 수직 부재들과 수평 방향으로 뻗는 다수 개의 원형 링 형태의 수평 부재들이 교차되면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서로 다른 상기 수직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수평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원형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 부재보다 직경이 작아 상기 수평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 부재의 안쪽 공간에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줄은 용수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받침대에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내측면에 구비된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부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최대로 떨어져있는 말단부에 접지면이 구비되는 다수 개의 멈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을 통해 드나들 수 있으며, 최대로 하방으로 펴지면 상기 접지면이 지면에 닿도록 세워져 상기 몸체부가 구르지 않게 지지하고 최대로 상방으로 접으면 상기 접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6항에 있어서,
    한쪽 말단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멈춤부와 결합하는 보조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멈춤부가 하방으로 최대한 펴지거나 상방으로 최대한 접히도록 상기 멈춤부에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줄은 상기 허리띠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림식 운동기구.
  • 说明书全文

    굴림식 운동기구 {ROLLING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굴림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안에 들어가서 굴릴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혈액 순환이 잘 되게 함으로써 동맥 경화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굴림식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골고루 혈액 순환이 되어야 영양소와 산소가 온 몸에 공급이 잘 될 수가 있으며, 신체에 골고루 혈액 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체 일부가 막히게 되고 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몸을 거꾸로 세우는 등 평소 직립하는 것과 다른 자세를 취하게 되면 막혔던 것이 뚫리게 되면서 혈액 순환에 많은 도움이 된다.

    종래에도 신체의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거꾸로 매달리게 하는 운동기구가 개발되기도 했으나, 이러한 운동도 일정한 방향으로의 혈액 순환을 일으킬 뿐 다양한 방향으로의 혈액 순환을 일으키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운동이 지나치게 단순하여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고 근력 운동이나 유산소 운동을 겸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달리기 등의 운동은 항상 피가 도는 한쪽으로만 순환을 시키기 때문에 혈액 순환을 골고루 하게 하는 운동 효과는 거두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986-001049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체의 혈액을 다양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몸을 흔들어 줌으로써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게 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기구가 함께 굴러가므로 즐거움을 가져오는 레포츠 기구로서도 유용하고, 기구를 잡고 몸을 움직여서 굴리는 것이어서 근력운동 및 유산소운동까지 겸할 수 있는 굴림식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림식 운동기구는 구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사람이 내부에 들어가서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사람이 내외로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출입문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의 바닥부에 고정 설치되고 발을 묶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끈이 구비된 발 받침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이음줄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허리띠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직경 방향으로 뻗도록 돌출되는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코일 스프링 일단부 각각과 일대일로 결합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면 상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접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가 어느 방향으로 구르더라도 상기 접지판들 중 일부가 항상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수직 방향으로 뻗는 다수 개의 원형 링 형태의 수직 부재들과 수평 방향으로 뻗는 다수 개의 원형 링 형태의 수평 부재들이 교차되면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서로 다른 상기 수직 부재들 사이 및 상기 수평 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원형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수평 부재보다 직경이 작아 상기 수평 부재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 부재의 안쪽 공간에 위아래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부재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줄은 용수철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받침대에는 높낮이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의 내측면에 구비된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축부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부로부터 최대로 떨어져있는 말단부에 접지면이 구비되는 다수 개의 멈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관통공을 통해 드나들 수 있으며, 최대로 하방으로 펴지면 상기 접지면이 지면에 닿도록 세워져 상기 몸체부가 구르지 않게 지지하고 최대로 상방으로 접으면 상기 접지면을 포함하는 부분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 말단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멈춤부와 결합하는 보조 스프링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멈춤부가 하방으로 최대한 펴지거나 상방으로 최대한 접히도록 상기 멈춤부에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음줄은 상기 허리띠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하나씩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람이 거꾸로 서기도 하고 바로 서기도 하며 비스듬하게 눕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혈액 흐름을 유도하고 코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신체를 흔들어줌으로써 혈액 순환에 매우 효과가 높으며, 이로써 신체가 막히고 결리는 현상이 해소되어 동맥 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기구가 함께 굴러가므로 색다른 즐거움이 있는 레포츠 기구로서도 유용하며, 기구를 손으로 잡고 밀거나 당겨서 움직이는 것으로서 근력운동과 유산소운동을 겸할 수 있으며 몸의 균형을 잡는 운동에도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의 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의 멈춤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는 몸체부(100), 발받침대(200), 허리띠(300), 이음줄(310), 멈춤부(400), 힌지축부(410), 보조 스프링(420), 코일스프링(500), 접지판(5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원형 링 형태의 수직부재(110) 4개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누운 원형 링 형태의 수평부재(120) 4개가 구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는 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있는 것보다 몸체부(100)의 중심과 가까운 곳을 지나는 것의 직경이 더 크다. 수직부재(110)와 수평부재(120)는 십자 형태를 이루게 교차되도록 결합하여 교차 결합 부위가 바깥에서는 요철이 없이 평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수직부재(110)들 사이 및 수평부재(120)들 사이의 빈 공간은 관통공(130)으로서 이 관통공(130)을 통해 몸체부(100) 안에 들어있는 사람이 바깥을 내다볼 수 있다.

    수평부재(120)의 수평부재(120)의 안쪽으로 수평부재(120)와 일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는 원형 링 형태의 손잡이(140)가 구비된다. 손잡이(140)는 보조연결부재(150)에 의해 수평부재(120)와 결합하여 고정된다. 손잡이(140)도 수평부재(120)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모두 네 개가 구비된다. 손잡이(140)는 수평부재(120)에 비하여 얇아서 손으로 쥐기 알맞게 구성된다.

    몸체부(100)의 하부의 일부는 사람이 몸체부(100)의 내외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문(160)으로 형성되며, 이 출입문(160)에 해당하는 부분은 몸체부(10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힌지 결합하여 개폐가 가능하다. 출입문(160)을 닫은 상태에서 출입문(160)이 열리지 않도록 출입문(160)의 일단부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부에는 발 받침대(200)가 고정 설치된다. 발 받침대(200)는 오른발과 왼발을 약간 벌려서 각각 올려놓을 수 있도록 좌우에 하나씩 구비되고 각각의 발 받침대(200)에는 발등을 감싸 묶음으로써 발이 발 받침대(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끈(220)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내부에서 거꾸로 서있게 되더라도 고정끈(220)에 의해 양 발이 발 받침대(200)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발 받침대(200)의 하부에는 볼트와 볼트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구성된 높낮이 조절수단(210)이 구비되어 볼트 부분을 내리거나 올려서 발 받침대(200)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며, 이로써 사용자의 키에 맞는 사용이 가능하다.

    몸체부(100)의 구형 내부 공간의 중심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게 풀거나 조일 수 있는 허리띠(300)가 이음줄(310)에 의하여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음줄(310)은 허리띠(300)의 좌측부와 연결되고 몸체부(100)의 좌측 내측면과 연결되는 좌측 이음줄과 허리띠(300)의 우측부와 연결되고 몸체부(100)의 우측 내측면과 연결되는 우측 이음줄의 두 개가 구비되며, 이음줄(310)은 탄성이 있도록 기다란 용수철로 이루어진다.

    멈춤부(400)는 발 받침대(200)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모두 2개가 설치되며, 몸체부(100)가 똑바로 서있는 상태에서 가장 아래쪽 부분에 구비된다.

    멈춤부(400)는 평행하게 뻗는 두 개의 직선 부재와 두 개의 직선 부재를 연결하는 중간 부재로 구성되어 'ㄷ' 자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중간 부재 부분이 몸체부의 하단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힌지축부(410)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멈춤부(400)는 힌지축부(41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멈춤부(400)의 중간 부분은 몸체부(100)와 결합된 보조 스프링(420)과 결합되어 있으며 보조 스프링(420)은 항상 멈춤부(400)에 당기는 힘을 가한다. 그리하여 멈춤부(400)를 힌지 운동시킬 때 보조 스프링(420)이 최대로 늘어지게 될 때를 경계로 하여 멈춤부(400)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멈춤부(400)의 일부가 몸체부(100)에 걸릴 때까지 움직여서 멈춤부(400)가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멈춤부(40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멈춤부(400)의 일부가 몸체부(100)에 걸릴 때까지 움직여서 멈춤부(400)가 몸체부(10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하단이 지면과 닿아서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며, 이때 멈춤부(400)의 지면과 닿는 면을 접지면이라 한다.

    한편, 몸체부(10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코일 스프링(500)이 결합되는데 코일 스프링(500)은 몸체부(100)의 겉 표면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한다. 코일 스프링(500)은 몸체부(100)의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뻗도록 몸체부(100)의 외측면과 결합한다.

    코일 스프링(500)의 양 말단 중 몸체부(100)를 향하는 쪽의 반대쪽을 향하는 말단에는 널찍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인 접지판(510)이 결합되며, 접지판(510)은 코일 스프링(500)의 길이 방향인 몸체부(100)의 직경 방향의 연장선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에는 코일 스프링(500)과 접지판(510)을 이해의 편의상 하나의 수직부재(100)의 둘레면과 결합하는 것들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접지판(510)들이 모이면 구의 표면과 가까운 형태를 이루어서 몸체부(100)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하여, 몸체부(100)가 어느 방향으로 구르더라도 접지판들(510) 중 최소한 하나는 항상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면이 몸체부(100)의 외부면과 직접 닿는 것이 아니라 항상 접지판(510)가 닿도록 함으로써 완충 및 운동 효과를 위해 흔들어주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굴림식 운동기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멈춤부(400) 모두가 몸체부(10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뻗은 상태로 만들어 멈춤부(400)의 접지면이 지면에 닿게 하면 도 1과 같이 발 받침대(200)가 아래쪽 가운데에 있도록 몸체부(100)가 똑바로 선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출입문(160)을 열고 몸체부(100) 안에 들어가서 출입문(160)을 걸어 잠그고 양 발을 발 받침대(200)에 올려놓은 다음 고정 끈(220)으로 양 발을 발 받침대(200)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허리띠(300)를 허리에 맨다.

    사용자가 몸을 숙여 멈춤부(400)를 몸체부(100) 안으로 접어놓으면 비로소 몸체부(100)가 구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움직이고 싶은 방향을 정하고 손잡이(140) 중 하나를 잡고 몸체부(100)를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몸을 기울이면 몸체부(100)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르게 되는데 이때 접지판(510)이 연속적으로 지면과 닿으면서 코일 스프링(500)이 완충 작용을 할 뿐 아니라 상하 진동 운동을 일으킴으로써 몸체부(100) 내부의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함으로써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한다.

    몸체부(100)가 굴러감에 따라 사용자가 거꾸로 서기도 하고 눕게 되기도 하는데 발은 발 받침대(220)에 매달려 있고 몸은 허리띠(300)에 연결된 이음줄(310)이 잡아주기 때문에 위험하지는 않다.

    이와 같은 몸체부(100)를 굴리는 운동은 경사가 지지 않은 실내 체육관이나 넓은 마당에서 하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몸체부(100)를 사방으로 굴리다가 그만 운동을 멈추고 싶을 때는 사용자가 똑바로 서도록 한 다음, 그 상태에서 멈춤부(400)를 펼쳐서 몸체부(100)가 구를 수 없는 상태로 하고 허리띠(300)와 고정끈(200)을 풀고 출입문(160)을 통해 나오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몸체부 110: 수직부재
    120: 수평부재 130: 관통공
    140: 손잡이 150: 보조 연결부재
    160: 출입문 200: 발받침대
    210: 높낮이조절수단 300: 허리띠
    310: 이음줄 400: 멈춤부
    410: 힌지축부 420: 보조 스프링
    500: 코일 스프링 510: 접지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