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申请号 KR2020090010188 申请日 2009-08-04 公开(公告)号 KR2020110001438U 公开(公告)日 2011-02-10
申请人 푸-젠 케미컬 코퍼레이션; 젠- 시앙 창; 첸-핀 창; 发明人 젠-시앙창;
摘要 본 고안은 테니스 볼(Tennis Ball)의 공기 주입변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테니스 볼(Tennis Boll)의 공기 주입변의 구조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과 구각(球殼)은 분리식 설계를 채용하고 구각은 동일하나 다른 재료로서 공기 주입변을 형성한다.
공기 주입변을 반구각의 성형금형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반구각의 성형시 공기 주입변을 반구각 내연의 소정위치에 일체소결하고 탈락할 염려가 없다.
필요시에는 반구각 외연의 공기 주입변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요공(微凹孔)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공기 주입변의 소재 위치를 표시한다. 다른 하나의 공기 주입변이 없는 반구각을 조합하여서 테니스 볼을 형성한다.
공기 주입변과 구각의 분리식 설계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을 선택하고 필요한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이 된다.
权利要求
  •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30) 구조에 있어서 테니스 볼은 고무 재질로 된 반구각(10)을 점결하여 성형되고 공기 주입변(30)은 테니스 볼 내연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적당한 공기 주입구침에 의해 공기를 주입하고 그의 특징은 테니스 볼의 "1"반구각(10)의 형성시 성형 금형 내부의 캐버티(cavity)에 공기 주입변(30)을 설치하여 반구각(10)의 형성시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 내연의 소정위치에 일체 소결하고 다른 하나의 공기 주입변(30)이 없는 반구각(20)을 조합하여서 테니스 볼을 형성하고 공기 주입변(30)과 구각의 분리식 설계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다른공기 주입변을 선택하고 필요에 부합한 테니스 볼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반구각(10) 외연의 공기 주입변(30)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요공(11)을 설치하고 공기 주입변(30)의 소재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30)은 반구각(10)과 동일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30)은 반구각(10)과 다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30)은 무공(31) 구조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30)은 유공(32)구조 형태인 것을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테니스 볼은 연식(軟式) 테니스 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테니스 볼은 경식(硬式) 테니스 볼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 说明书全文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 {Aerial an injection structure of a tennis ball}

    본 고안은 테니스 볼(Tennis Boll)의 공기 주입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각(球殼)과 공기 주입변의 분리식 설계를 이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을 선택하고 필요에 부합하는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이 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테니스 볼은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로 되며 내부는 중공(中空) 상태로서 적당량의 공기 또는 발포제를 주입하고 구체는 적당한 경도(硬度)와 탄력을 가지게 된다.

    일정시간 사용하면 내부의 공기가 감소하므로서 다시 공기를 주입하여 경도와 탄력을 회복시킬 필요가 있다.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을 위해 전용의 공기 주입침 외에 구체의 소정위치에 공기 주입변을 설치하는 설계가 있다.

    이런 종류의 공기 주입변의 설계에 있어서 공지된 기술에는 공기가 빠짐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는 공기 주입변을 설치하고 점결방식(粘結方式)으로 구체 내연의 소정위치에 결합한다.

    그러나 점결방식은 겔(Gel)로 손이 더러워지고 또 후속의 구각의 결합성형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겔(Gel)의 건조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풀질의 장악(掌握)도 곤란하다.

    본 고안은 테니스 볼(Tennis Ball)의 공기 주입변 구조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을 선택하여 필요에 부합하는 테니스 볼을 형성하고 산업이용 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과 구각(球殼)의 분리식 설계에 의해 금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는 상황하에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을 선택하여 필요에 부합(符合)하는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과 구각은 분리식 설계를 채용하고 구각과 동일 하나 다른 재료로서 공기 주입변을 형성한다.

    공기 주입변을 반구각(半球殼)의 성형금형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반구각의 성형시 공기 주입변을 반구각 내연의 소정위치에 일체 소결하고 탈락할 염려가 없다.

    필요시에 반구각 외연의 공기 주입변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요공(微凹孔)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공기 주입변이 없는 반구각을 조합하여서 테니스 볼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을 선택하고 필요에 부합한 테니스 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산업 이용성이 향상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 구조를 표시한 도면으로 대부분의 테니스 볼은 "2"반구각(10)(20)을 점결하여 성형되어 진다.

    "2"반구각(10)(20)은 고무재료를 채용한다.

    "1"반구각(10)은 성형 전에 먼저 금형의 캐버티(cavity) 내에 공기 주입변(30)을 설치하고 공기 주입변(30)은 반구각(10)의 고무 재질과 동일하여도 좋고 다른 라텍스(latax)나 고무로 되며 공기 주입변(30)은 무공(31)이나 유공(32)의 형식으로 반구각(10)의 가공 성형시 이것의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 내연의 소정위치에 일체로 소결하고 탈락의 염려가 없다.

    필요시 반구각(10) 외연의 공기 주입변(30)에 대응하는 개소에 미요공(11)을 설치하고 이 미요공(11) 위에 겔(Gel)(12)을 도포하여 공기 주입변(30)의 소재 위치를 표시하고 사침식 공기 주입구침(1) 및 원두식 공기 주입구침(2)이 공기 주입을 실행하여 공기 주입변(30)과 반구각(10)의 결합을 완성한다.

    공기 주입변(30)과 반구각(10)의 분리식 설계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다른 공기 주입변(30)을 변환하여 필요에 부합한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이다.

    테니스 볼의 조합(組合) 성형 작업에 있어서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의 성형 금형 내에 캐버티(cavity)에 설치하여 공기 주입변(30)이 있는 반구각(10)을 형성한다.

    그 후 반구각(10) 및 다른 하나의 공기 주입변이 없는 반구각(20)을 각각 결합 금형의 상, 하 캐버티(cavity) 중에 설치하고 "2"반구각(10)(20)의 접합면에 점 착제를 도포한다.

    동시에 "2"반구각(10)(20) 사이에 적량의 발포제를 가압 공기로 넣어 금형을 닫고 가온 후 "2"반구각(10)(20)은 양자간의 점착제에 의해 점합(粘合)한다.

    내부의 발포제는 열의 의해 팽창 작용을 생성하고 "2"반구각(10)(20)을 저압하여 결합 금형의 상, 하 캐버티(cavity) 내벽과 접촉하고 구체를 효과적으로 구형을 유지하여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 도12 내지 도14는 본 고안에 의한 경식(硬式) 테니스 볼의 실시 예을 나타낸 도면으로 경식 테니스 볼의 형성 작업에 있어서

    구형(球形)으로 유지된 구체 외면에 "8"자 형상의 울(wool)층(40)(50)을 첩합(貼合)하여 경식(硬式) 테니스 볼을 형성한다.

    상술(上述)한 바와 같은 구조 설계 중 공기 주입변(30)과 반구각(10)은 분리식 설계를 채용하는 것으로 공기 주입변(30)은 반구각(10)과 동일하고 혹은 다른 재질로 형성하고 각종(各種) 다른 재질 특성의 공기 주입변(30)으로 형성한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의 성형 금형 중에 설치하여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30)을 가진 반구각(10)에 형성하고 공기 주입변이 없는 반구각(20)을 조합(組合)하여 "2"반구각(10)(20)의 결합 작업을 실행하고 다른 형식의 테니스 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술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테니스 볼의 공기 주입변의 성형 설계는 "2"반구각(10)(20)과 공기 주입변(30)의 분리식 설계를 채용하고 반구각(10)과 동일하고 또는 다른 재료에 의해 공기 주입변(30)을 형성한 후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의 성형 금형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고 반구각(10)의 성형시 공기 주입변(30)을 반구각(10) 내연 소정위치에 일체 소결하고 탈락할 염려가 없다.

    필요시에는 반구각(10) 외연의 공기 주입변(30)의 대면(對面) 개소에 미요공(11)을 설치하고 미요공(11) 상에 겔(Gel)(12)을 도포하여 공기 주입변(30)의 소재 위치를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반구각(20)을 조합하여서 테니스 볼의 성형을 완성한다.

    공기 주입변(30)과 "2"반구각(10)(20)의 분리 설계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식의 공기 주입변(30)을 채용하여 필요한 테니스 볼을 형성할 수가 있고 공기 주입변(30)의 변환은 금형의 변경, 번거롭고 복잡한 겔(Gel) 가공 및 겔(Gel) 건조 대기 시간에 영향이 없으므로서 작업 효율이 좋고 산업 이용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제1 제조공정도

    도 3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제2 제조공정도

    도 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제3 제조공정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구조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구조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구조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사침식 공기 주입침의 사용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의 더욱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구조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더욱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사침식 공기 주입침의 사용 상태도

    도 11 은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 예에 의한 원두식 공기 주입침의 사용 상태도

    도 12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경식 테니스 볼에 실시한 구조도

    도 13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경식 테니스 볼에 실시한 다른 하나의 구조도

    도 14 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경식 테니스 볼에 실시한 더욱 다른 하나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사천식 공기 주입침(斜針式空氣注入針)

    (2) 원두식 공기 주입침(円頭式空氣注入針)

    (10) 반구각(半球殼)

    (11) 미요공(微凹孔)

    (12) 겔(Gel)

    (20) 반구각(半球殼)

    (30) 공기 주입변

    (31) 무공(無孔)

    (32) 유공(有孔)

    (40) 울(wool) 층(層)

    (50) 울(wool) 층(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