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UXILIARY APPARATUS FOR SWIMMING

申请号 KR20060052974 申请日 2006-06-13 公开(公告)号 KR100723452B1 公开(公告)日 2007-05-23
申请人 KIM TAE SOO; 发明人 KIM TAE SOO;
摘要 본 발명은 수영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부 기밀 파손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부력을 형성하여 물 위에 떠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영을 함에 있어서 다리를 굽히지 않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부; 에어부; 손잡이 날개부; 및 샌달부;를 포함하는 수영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내부에 부력이 강한 부력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날개부는 봉부에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봉부는 상기 손잡이 날개부가 이동중에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봉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봉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물을 밀어내어 종래의 물갈퀴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력을 얻는 판형 부재로 구성된 꼬리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부, 부력, 날개부, 꼬리날개부, 마찰력
权利要求
  • 좌우 2개로 구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분리가 가능한 봉부; 상기 봉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부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부연결부와 에어부고정부를 포함하여 에어부를 평행하게 하여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에어부; 좌우로 쌍을 이루며 날개끈을 포함하여 수압에 의하여 날개가 접히고 펴지도록 하되, 물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각각의 날개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날개부; 및 상기 각각의 봉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신는 샌달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샌달부;를 포함하는 수영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내부에 부력이 강한 부력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날개부는 봉부에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봉부는 상기 손잡이 날개부가 이동중에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봉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봉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물을 밀어내어 종래의 물갈퀴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력을 얻는 판형 부재로 구성된 꼬리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내부에 다수의 부력체 막을 넣어 부력을 유지하며 동시에 에 어부의 파손시 파손부의 상하의 스티로폼 막내의 공기만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내부에 부력체 관을 결합시켜 에어부의 외부 파손시에도 부력체 관이 파손되지 않으면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부력체 관의 파손으로 공기 유출시에도 부력체로 부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날개부는,
    사용자로부터 손잡이 날개부를 이동시키기 힘을 받는 손잡이부와,
    좌우측중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날개축이 연결되며 봉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봉부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봉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봉결합부와 연결되는 판형 구성인 날개축과,
    상기 날개축의 상부와 하부에 전면을 향하는 '<' 기호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되는 판형 구성인 날개와,
    상기 날개의 날개축과 결합되지 않은 부분과 날개축(145)사이를 연결하는 날개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봉결합부는 날개축보다 전후로 긴 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꼬리날개부는,
    꼬리날개부를 봉부와 결합하여 고정하는 봉 고정부와,
    상기 봉 고정부와 날개판의 연결을 보강해주는 보강부는
    상기 봉 고정부및 보강부와 연결되며 봉 고정부및 보강부와 연결된 부분의 폭이 좁고 후미쪽이 넓은 판형 구성인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후미의 중앙에 생성되는 홈형 형상인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봉 고정부의 내부와 상기 봉부의 후방의 외부는 단면이 정사각형, 정팔각형과 같이 상하부와 좌우부의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꼬리날개부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
  • 说明书全文

    수영용 보조기구{The auxiliary apparatus for swimming}

    도 1은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전체 측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날개부가 접힌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 막을 삽입한 에어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 관을 삽입한 에어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날개부의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날개부의 상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160)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 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영용 보조기구의 손 부분 사용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다리부분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수영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부 기밀 파손시에도 보다 용이하게 부력을 형성하여 물 위에 떠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영을 함에 있어서 다리를 굽히지 않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5-060261호에서 다음과 같은 수영용 보조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용 보조기구는 수영용 보조기구 사용자가 엎드려서 손은 방향전환용 손잡이부(16)를 잡고, 발은 샌달을 신은 후 샌달부(19)를 샌달 결합부(18)에 겹합시켜 물 위에서 수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용 보조기구는 에어부(10), 봉부(12), 손잡이부(13), 날개 고정부(14)와 날개(15)로 구성된 날개부, 방향전환용 손잡이부(16), 길이 조절링(17), 샌달 결합 부(18), 샌달부(19) 및 밑받침(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다.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에어부(10)는 봉부(12)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부연결부(11)에 연결되어 봉부(1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영할 때 물 속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력을 생기게 한다. 또한,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에어부(10)는 수영하지 않을 때에는 들고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봉부(12)에 밀착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날개부가 접힌 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는 날개(15a), 날개축(15b), 날개끈(15c), 날개연결부(15d), 날개끈연결부(15e) 및 날개끈고정부(15f)를 포함하는데, 날개부는 날개끈(15c)을 포함하여 수압에 의하여 날개(15a)가 접히고 펴지도록 하되, 물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날개축(15b)은 날개부의 중심을 이루고, 날개(15a)는 상기 날개축(15b)을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개끈(15c)은 상기 날개(15a)와 날개축(15b) 사이에 소정의 개수로 연결되어 있고, 날개연결부(15d)는 상기 날개(15a)를 날개축(15b)에 연결한다. 또한, 날개끈연결부(15e)는 상기 날개끈(15c)을 상기 날개(15a)에 연결하고, 날개끈고정부(15f)는 상기 날개끈(15c)을 날개축(15b)에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영용 보조기구는 손잡이와 샌달부가 연동되어 동작하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손만 아니라 다리를 앞이나 옆으로 구부려는 평형식 동작을 필요로 하므로 마찰력이 생기고, 오른손과 오른다리, 왼손과 왼다리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 위에 떠 있도록 하기 위한 부력이 에어부의 공기에 의해서만 생성되므로 에어부가 파손되어 공기가 유출되면 부력을 잃는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에어부에 스테로폴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수영을 함에 있어서 에어부의 공기가 유출되어도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영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추진력을 얻는 손잡이 날개부가 봉부를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가 수영시 손과 다리의 동작을 연동하지 않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수영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꼬리 날개부를 후미에 구비하여 다리를 구부리는 전후의 움직임이 아닌 다리를 펴고 상하 또는 좌우의 동작을 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수영용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좌우 2개로 구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분리가 가능한 봉부; 상기 봉부에 연결되고, 상기 봉부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부연결부와 에어부고정부를 포함하여 에어부를 평행하게 하여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고 공기가 주입되어 있는 에어부; 좌우로 쌍을 이루며 날개끈을 포함하여 수압에 의하여 날개가 접히고 펴지도록 하되, 물과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날개부와 상기 각각의 날개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날개부; 및 상기 각각의 봉부에 형성되어 사람이 신는 샌달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샌달부;를 포함하는 수영용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는 내부에 부력이 강한 부력체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 날개부는 봉부에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봉부는 상기 손잡이 날개부가 이동중에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봉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봉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물을 밀어내어 종래의 물갈퀴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력을 얻는 판형 부재로 구성된 꼬리 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용 보조기구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영용 보조기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용 보조기구는 에어부(110), 에어부연결부(120), 봉부(130), 손잡이 날개부(140), 샌달부(150) 및 꼬리날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3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7을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종래기술인 도 2의 에어부(10)는 내부에 공 기를 충전하여 부력을 생기게 하는 구성입니다. 그에 반하여 본원 발명의 에어부(110)는 내부에 부력체가 삽입되어 에어부(110)의 파손으로 인한 공기 누출시에도 일정 부력을 유지하는 구성입니다.

    상기 부력체는 강한 부력을 가진 물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티로폼을 사용하였습니다.

    상기 부력체가 에어부(110)에 삽입되는 방법은 도9에 도시된바와 같이 에어부(110)의 내부에 다수의 스티로폼 막(113)을 넣어 부력을 유지하며 동시에 에어부의 파손시 파손부의 상하의 스티로폼 막내의 공기만 유출되도록 하는 방법과 도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에어부(110)의 내부에 스티로폼 관(116)을 결합시켜 에어부(110)의 외부 파손시에도 스티로폼 관(116)이 파손되지 않으면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스티로폼 관(116)의 파손으로 공기 유출시에도 스티로폼 관(116)으로 부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에어부연결부(120)는 에어부(110)를 평행하게 하여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구성입니다.

    에어부연결부(120)가 도7에 도시된바와 같이 에어부(110)와 봉부(130)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면 에어부(110)가 봉부(130)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영할 때 물 속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력을 생기게 한다.

    또한, 에어부연결부(120)가 도8에 도시된바와 같이 에어부(110)와 봉부(130)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면 에어부(100)는 봉부(120)에 밀착되어 수영하지 않을 때 에는 들고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봉부(130)는 상부의 에어부연결부(120)와 후부의 에어연결부(125)의 사이에 손잡이 날개부(140)가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며, 손잡이 날개부(140)가 전후로 이동중에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입니다.

    또한, 봉부(130)의 후단에는 봉부(130)보다 가는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되어 꼬리날개부(160)와 결합되는 꼬리 결합부(133)가 생성된다.

    상기 꼬리 결합부(133)의 형상인 다각형 기둥은 단면이 정사각형, 정팔각형과 같이 상하부와 좌우부의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기둥으로 단면이 4의 배수를 가지는 다각형 기둥입니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날개부(140)의 후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날개부(140)의 상면도이다.

    손잡이 날개부(140)는 봉부(130)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펼쳐진 날개(147)가 물을 후방으로 밀어 내어 추진력을 얻는 구성으로 도11에 도시된바와 같이 손잡이부(141), 봉결합부(143), 날개축(145), 날개(147)와 날개끈(14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부(141)는 사용자로부터 손잡이 날개부(140)를 이동시키기 힘을 받는 구성입니다.

    봉결합부(143)는 상기 손잡이 날개부(140)가 봉부(130)와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 봉부(130)를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봉부와 결합되는 구멍 이 형성되고 좌우측중 일측에는 손잡이부(141)가 타측에는 날개축(145)이 연결되고 날개축(145)이 날개(147)에서 부여되는 압력에 의하여 봉부(130)쪽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날개축(145)보다 전후로 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봉부와 결합되는 구멍은 봉부(130)와 같은 형태를 하며, 봉부와 결합되는 구멍과 봉부(130)는 손잡이 날개부(140)가 전후로 이동중에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형태로 형성된다.

    날개축(145)은 일단이 상기 봉결합부(143)와 연결되는 판형 구성으로 손잡이 날개부(140)의 이동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히는 날개(147)와 날개부(147)의 펼쳐지는 한계를 조정하는 날개끈(149)이 연결된다.

    날개(147)는 상기 날개축(145)의 상부와 하부에 전면을 향하는 '<' 기호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되는 판형 구성으로 사용자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손잡이 날개부(140)가 봉부(130)를 따라 전진하면 수압에 의하여 접히고, 사용자의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손잡이 날개부(140)가 봉부(130)를 따라 후진하면 수압에 의하여 펼쳐진다.

    상기 날개(147)는 날개축(145)과 결합된 전단부보다 후단부의 길이가 길도록 하여 물의 저항을 덜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끈(149)은 도 11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날개(147)의 날개축(145)과 결합되지 않은 부분과 날개축(145)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날개가 펼쳐지는 한계를 지정하는 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날개끈(149)을 4개 사용하였으나 사용하는 개수나 위치는 날개(147)의 날개축(145)과 결합되지 않은 부분과 날개축(145)사이를 연결하는 조건하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160)의 측면도이다.

    꼬리날개부(160)는 봉부(130)의 후방에 결합되어 봉부(13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종래의 물갈퀴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력을 얻는 구성으로 도13에 도시된바와 같이 봉 고정부(161), 보강부(163), 날개판(165)과, 절개부(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봉 고정부(161)는 꼬리날개부(160)를 봉부(130)와 결합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꼬리 결합부(133)의 형상인 다각형 기둥과 대응하는 내부 홈이 형성된 원통형 구성입니다.

    봉 고정부(161)의 내부와 상기 꼬리 결합부(133)의 외부는 단면이 정사각형, 정팔각형과 같이 상하부와 좌우부의 크기와 형상이 동일한 다각형으로 형성되므로 꼬리날개부(160)를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결합한 수직 방향외에 도8에 도시된바와 같이 90도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보강부(163)는 상기 봉 고정부(161)와 물과 접촉하여 추진력을 얻는 구성인 날개판(165)의 연결을 보강해주는 구성으로 수압에 의하여 날개판(165)이 봉 고정부(161)와 연결된 부분부터 모두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날개판(165)은 상기 봉 고정부(161)및 보강부(163)와 연결되며 봉부(13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며 물을 밀어 내어 추진력을 얻는 구성으로 봉 고정부(161)및 보강부(163)와 연결된 부분의 폭이 좁고 후미쪽이 넓은 판형 구성입니다.

    절개부(167)는 상기 날개판(165)의 후미의 중앙에 생성되는 홈형 형상으로 상기 날개판(165)이 물을 밀어낼시 절개부(167)를 통하여 물이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압을 감소하는 구성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직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영용 보조기구는 사용자가 엎드려서 손은 손잡이 날개부(140)를 잡고, 발은 샌달을 신은 후 샌달부(150)에 결합시킨후 손을 전후로 이동하고 발은 좌우로 이동하여 추진력을 발생함으로써 물 위에서 수영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영용 보조기구는 도 15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전방으로 밀면 전방에서의 수압에 의하여 날개(147)가 접혀 저항을 감소하면서 손잡이 날개부(140)가 봉부(13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손을 후방으로 당기면 후방에서의 수압에 의하여 날개(147)가 펼쳐진 상태로 손잡이 날개부(140)가 봉부(13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날개(147)에 접촉되는 물을 후방으로 밀어 내어 추진력을 얻게 됩니다.

    또한, 수영용 보조기구로 방향을 턴하기 위해서는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손을 고정하고 반대편 손과 다리들을 움직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면 한쪽방향으로만 추진력이 발생하므로 손을 고정한 방향으로 턴하면서 전진하게 됩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부가 수평방향으로 결합한 수영용 보조기구의 측면도이다.

    또한, 수영용 보조기구는 도 16에 도시된바와 같이 꼬리날개부(160)를 수평으로 결합한후에 사용자가 발을 상하로 이동하면 봉부(130)와 봉부(130)에 결합된 꼬리날개부(16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날개판(165)이 종래의 수영용 물갈퀴와 같은 원리로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추진력을 얻을수도 있습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본 업에 종사하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영용 보조기구는 에어부에 스테로폴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수영을 함에 있어서 에어부의 공기가 유출되어도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진력을 얻는 손잡이 날개부가 봉부를 따라 이동하여 사용자가 수영시 손과 다리의 동작을 연동하지 않고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꼬리 날개부를 후미에 구비하여 다리를 펴고 상하 또는 좌우의 동작을 함으로써 추진력을 얻을 수 있어 다리를 구부리는 전후의 움직임에 의한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