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申请号 KR1020100042108 申请日 2010-05-04 公开(公告)号 KR1020110122542A 公开(公告)日 2011-11-10
申请人 조병현; 发明人 조병현;
摘要 PURPOSE: A dumbbell capable of lower body exercise is provided to prevent a heavy body part and a handle from idling and to reduce load applied to the wrist. CONSTITUTION: A dumbbell comprises: two weights(10); and a handle which consists of a penetration rod penetrating the side of two weights, a connection rod connecting bent portions, an upper handle(20) rotating around the penetration rod, and a lower handle(30); and a coupling nut(40) which fixes the handle in order to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eight.
权利要求
  • 두 개의 중량체부와;
    상기 두 개의 중량체부의 측면으로 관통되는 관통봉과 상기 관통봉의 측면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봉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측 손잡이와 상기 상측 손잡이와 상하 대칭되는 하측 손잡이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상기 상 하측 손잡이가 상기 중량체부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너트로 구성된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 손잡이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기 중량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량체부와 상 하측 손잡이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 손잡이의 손으로 잡히는 부분이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하체 운동이 가능한 아령
  • 说明书全文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The iron dumbbell where the lower body motion is possible}

    본 발명은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령의 손잡이 부분이 두 개로 나누어져 있어 두 개의 손잡이 사이에 발을 삽입하여 발을 상하로 움직여 하체 운동이 가능하게 하며 두 개의 손잡이를 양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손에 쉽게 쥐어지게 하여 상체운동이 가능하게 한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철제(鑛製)이며, 손잡이의 양끝은 공 모양의 중량체로 되어 있으며 상하·전후·좌우로 흔들거나 팔을 굴신 또는 위·옆으로 뻗기도 하고, 손을 번갈아 앞뒤로 몸통에 붙여돌리기를 하는 운동방법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아령은 손을 이용하여 상체를 운동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61691는 도 1과 같이 아령에 발등고정용 밴드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를 구성하여 발등과 발뒤꿈치에 고정하여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한 아령을 제안하고 있으나 상기 고안은 발등고정용 밴드와 발뒤꿈치고정용 밴드을 발등과 발뒤꿈치에 고정시켜 하체운동을 할 때에 발뒤꿈치 쪽으로 힘이 실려 운동효과가 반감되며 상기 밴드에 의해 손으로 아령을 잡을 때 거리적 거리게 되며 일정기간 사용 후 중량체 부분과 손잡이가 결합되는 부분이 느슨해져서 손잡이가 중량체 부분에 헛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령의 손잡이의 모양이 긴 원통형의 형상이여서 일정시간 이상 사용할 시에는 손목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간편하게 하나의 아령으로 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중량체 부분과 손잡이가 헛돌지 않으며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중량체부와; 상기 두 개의 중량체부의 측면으로 관통되는 관통봉과 상기 관통봉의 측면으로 절곡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봉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측 손잡이와 상기 상측 손잡이와 상하 대칭되는 하측 손잡이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상기 상 하측 손잡이가 상기 중량체부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연결너트로 구성된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이다.

    또한, 상기 상 하측 손잡이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상기 중량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량체부와 상 하측 손잡이가 헛돌지 않도록 하는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이다.

    또한, 상기 상 하측 손잡이의 손으로 잡히는 부분이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하체 운동이 가능한 아령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아령으로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을 할 수 있으며, 쉽게 상체운동을 하체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중량체 부분과 손잡이가 헛돌지 않으며, 손잡이 부분이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오랜 시간 동안 운동하여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상체 운동과 하체 운동이 가능한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량체부의 교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에서 하체운동으로 전환하는 아령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과 하체운동에 대한 아령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체운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도면 2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하체 운동이 가능한 아령(100)은 크게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중량체부(10)와 상기 중량체부(10)를 연결하는 상측 손잡이(20)와 하측 손잡이(30)로 구성되어 있는 손잡이로 되어 있다.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30)는 양 측면으로 나사산(24, 34)이 형성된 관통봉(22, 32)과 상기 관통봉(22, 32)에 절곡된 절곡부(26, 36)와 상기 절곡부(26, 36)을 연결시키는 연결봉(28, 38)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28, 38)은 손으로 아령(100)을 잡았을 때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의 손으로 잡히는 부분을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시켜 오랜 시간 동안 운동하여도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한다.

    상기 관통봉(22, 32)은 상기 중량체부(10)에 형성된 관통공(12)으로 관통되며 상기 관통봉(22, 32)에 형성된 나사산(24)에 연결너트(40)가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중량체부(10) 내측에는 직사각형의 삽입구(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 하측 손잡이의 절곡부(26, 36)가 삽입되어 중량체부(10)에서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가 고정되게 하여 헛돌지 않게 하였다.

    상기 중량체부(1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크기를 조절하여 필요한 무게를 맞추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아령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량에 따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부(10)의 무게를 달리한 중량체부(1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겠다.

    도 4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으로 아령을 사용할 시에는 도 4의 실선과 도 5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구(14)에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의 절곡부(26, 36)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의 관통봉(22, 32)에 형성된 나사산(24, 34)에 연결너트(40)를 체결하여 사용한다.

    발로 아령을 사용할 시에는 도 4의 가상선과 도 5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너트(40)를 풀어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의 절곡부(26, 36)를 상기 중량체부(10)의 삽입구(14)에서 분리하여 상기 관통봉(22.32)을 회전축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상 하측 손잡이(20, 30)의 절곡부(26, 36)를 상기 중량체부(10)의 삽입구(14)에 삽입시켜 고정시킨 후 관통봉(22, 32)에 형성된 연결너트(40)를 체결하여 사용한다.

    도 6과 같이 하체 운동을 원할 시에는 상측 손잡이(20)와 하측 손잡이(30) 사이에 발을 끼워서 서서 또는 의자 등에 기대어 앉아 발을 들었다 놨다 하여 하체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상체 운동을 할 시에는 일반 아령과 같은 사용 방법으로 상측 손잡이(20)와 하측 손잡이(30)를 180도 회전시켜 손으로 모아 쥐어 합체한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하체운동이 가능한 아령 10 : 중량체부
    12 : 관통공 14 : 삽입구
    20: 상측손잡이 30 : 하측 손잡이
    22, 32: 관통봉 24, 34 : 나사산
    26, 36: 절곡부 28, 38 : 연결봉
    40 : 연결너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