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근력기

申请号 KR1020000051190 申请日 2000-08-31 公开(公告)号 KR1020020017698A 公开(公告)日 2002-03-07
申请人 이윤재; 发明人 이윤재;
摘要 PURPOSE: A complex muscular exercise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convenience of storage by adopting a simple foldable structure as well as to allow a user to easily unfold the apparatus in use. CONSTITUTION: In the complex muscular exercise apparatus, one end of a body support member(10) is connected to a frame(1) by using a hinge(10a) so that the body support member is rotatable between an upward vertical position and a downward horizontal position. A rotation support member(15) and a member(11) for lower muscular are installed under the other end of the body support member though a hinge(10b) and a hinge(10c) respectively so as to be rotated between a lower position parallel to the position of the body support member and a base vertical position.
权利要求
  •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에 대해 다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하단지, 팔, 가슴 등의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상기 신체받침대(10)의 일단이 힌지수단(10a)을 개재하여 대략 상향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에 연결되며, 그 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시 신체받침대(10)에 대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10)가 수직위치에 있는 때의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회동하도록 그 신체받침대(10)의 타단 부근 하면에 힌지수단(10b)을 개재하여 회동지지대(15)가 설치되고, 그 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시 신체받침대(10)에 대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에서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회동함과 함께 하단지를 걸어 운동할 수 있도록 그 신체받침대(10)의 타단에 힌지수단(10c)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 ��는 종합근력기.
  •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라인(L1)이, 제1 도르레(R1)와 하단지근력부재(11)와의 사이에서 라인통과고정대(1a) 또는 프레임(1)이나 하단의 중량물(2)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11)의 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라인고정부재(1b)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수단(10c)에는 팔근력부재(12)가 하단지근력부재(11)와 유사하게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팔근력부재(12)만을 운동준비방향으로 회동시킨 때부터 함께 회동하여 팔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지근력부재(11)에 걸리는 걸림돌기(13)가 팔근력부재(12)에 형성되며;
    상기 신체받침대(10)의 회동시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충격완충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 내지 신체받침대(10)에 대해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되는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와 함께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중 적어도 하나를 지니며, 회동시 다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회전시키서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는, 프레임(1)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한쌍의 도르레(U2,R2,R3)와, 프레임(1) 내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M1,M2,M3)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도르레(R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M1,M2,M3)는 상하로 롤러를 지니며;
    상기 라인이 제1 라인(L1)과 제2 내지 제4 라인(L2,L3,L4)중 적어도 하나로 분할되고, 그 제1 라인(L1)의 일단이 하단지근력부재(11)에 고정되며, 그 제1 라인(L1)의 타단을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R1)와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M1,M2,M3)의 하부 롤러를 통과하여 중량물(2)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 라인(L2,L3,L4)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R2)를 통과하고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M3)의 상부 롤러를 통과하여 타단에서 프레임(1)의 라인고정부(U1)에 고정되거나, 양단이 상부의 적어도 한쌍의 도르레(U2,R2,R3)를 각각 통과하고 중앙이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M1,M2)의 상부 롤러에 걸려 있으며;
    상기 제1 라인(L1)이, 그 제1 도르레(R1)와 하단지근력부재(11)와의 사이에서 라인통과고정대(1a) 또는 프레임(1)이나 하단의 중량물(2)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11)의 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라인고정부재(1b)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2)이 프레임(1)의 신체받침대(10) 측에 배치되어 전방에서 용이하게 중량물고정부재(2a)를 착탈할 수 있게 되며;
    제1 도르레(R1)가 프레임(1)의 하부 내면의 전후방향 중심선의 후방에 상향으로 설치되고, 그 제1 도르레(R1)의 전방에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때에는 제1 라인(L1)이 그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가 제1 도르레(R1)보다 높게 설치되며;
    상기 종합근력기는: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 스트레칭부재(20),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를 모두 포함하고;
    상기 라인은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라인(L1,L2,L3,L4)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르레는, 상부 후방에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도르레(U2)와, 상부 중간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외향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제3 도르레(R3)와, 상부 전방의 중심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2 도르레(R2)와, 중간에 전후로 배치되는 3개의 제1 내지 제3 중간도르레(M1,M2,M3)와, 하부 중앙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R)와, 그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4 도르레(R4)와, 상기 제1 도르레(R1)의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도르레(R2)와 제3 도르레(R3)사이에 라인고정부(U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라인(L1)이,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로부터 회동지지대(15)에 설치되는 도르레(17), 제1 도르레(R1), 제1 중간도르레(M1)의 하부롤러, 제1 하부도르레(B1), 제2 중간도르레(M2)의 하부롤러, 제2 하부도르레(B2), 및 제3 중간도르레(M3)의 하부롤러를 통과하여 중량물(2)에 고정되고;
    제 2 라인(L2)은, 스트레칭부재(20)로부터 제2 도르레(R2) 및 제3 중간도르레(M3)의 상부롤러를 통과하여 라인고정부(U1)에 고정되며;
    제3 라인(L3)은, 양단이 각각 가슴근력부재(30)로부터 제3 도르레(R3)를 통과하여 중앙이 제2 중간도르레(M2)의 상부롤러에 걸리며;
    제4 라인(L4)은, 양단이 각각 역기부재(40,41,42,43)로부터 제4 도르레(R4)및 상부도르레(U2)를 통과하여 중앙에서 제1 중간도르레(M1)의 상부롤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 내지 신체받침대(10)에 대해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되는 역기부재(40,41,42,43)를 적어도 지니며, 회동시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회전시키면서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그 역기부재(40,41,42,43)가, 일단에서 프레임(1)의 후방에 힌지수단(40a)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방역기부재(40)와, 일단에서 상기 후방역기부재(40)의 타단에 절첩위치와 사용위치사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 내측으로 중공부재(42)가 고정된 전방절첩부재(41)와, 그 중공부재(42)속으로 삽입되며, 사용시 중공부재(4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재(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뒤로 앉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에 대해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되는 가슴근력부재(30)를 적어도 지니며, 회동시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회전시키서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그 가슴근력부재(30)가 팔받침대(31)와 함께 프레임(1)에 밀착되도록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수단(30a)을 개재하여 프레임(1)에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 내지 신체받침대(10)에 대해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되는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와 함께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중 적어도 하나를 지니며, 회동시 다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회전시키서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펀치볼이나 샌드백 등의 피행거부재(52)를 매달기 위한 후크(51)가 일단에 고정되고, 그 후크(51)에 상기 피행거부재(52)를 매달아 운동을 할 수 있는 전방위치와 프레임(1)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후방위치사이에서 회동되도록 타단에서 프레임(1)에 힌지수단(50a)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행거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
  • 说明书全文

    종합근력기{INTEGRATED MUSCLE STRENGTHER}

    본 발명은, 종합근력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컴팩트하게 절첩하여 수납할 수 있고, 사용시 간편하게 전개시킬 수 있으며, 전방에서 간편하게 중량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종합근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는 헬스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그 가운데에서도 근력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서 넓은 설치 및 사용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설치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복합 헬스기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로 되며, 내구성이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합근력증강기로서, 사용상태에서는 넓은 공간을 이용하면서 좁은 공간에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납을 위한 절첩과 사용을 위한 전개가 간편하며, 전방에서 중량물의 무게 조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종합근력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의 절첩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평면도,

    도 4는 도르레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 1의 하부평면도,

    도 5는 신체받침대가 회동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프레임 1a: 라인통과고정대

    1b: 라인고정부재 2: 중량물

    2a: 중량물고정부재 10: 신체받침대

    10a,10b,10c: 힌지수단 11: 하단지근력부재

    12: 팔근력부재 13: 걸림돌기

    15: 회동지지대 17: 도르레

    20: 스트레칭부재 30: 가슴근력부재

    31: 팔받침대 40: 후방역기부재

    41: 전방절첩부재 42: 중공부재

    43: 손잡이부재 50: 행거부재

    51: 후크 52: 피행거부재

    L1,L2,L3,L4: 제1 내지 제4 라인 R1,R2,R3,R4: 제1 내지 제4 도르레

    B1,B2: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 U1: 라인고정부

    U2: 상부도르레 M1,M2,M3: 제1 내지 제3 중간도르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를 지니며, 프레임에 대해 다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하단지, 팔, 가슴 등의 근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종합근력기에 있어서: 상기 신체받침대의 일단이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대략 상향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연결되며, 그 신체받침대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시 신체받침대에 대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가 수직위치에 있는 때의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회동하도록 그 신체받침대의 타단 부근 하면에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지지대가 설치되고, 그 신체받침대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시 신체받침대에 � ��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의 수직위치에서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회동함과 함께 하단지를 걸어 운동할 수 있도록 그 신체받침대의 타단에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도르레가, 프레임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한쌍의 도르레와, 프레임 내부의 중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는 상하로 롤러를 지니며; 상기 라인이 제1 라인과 제2 내지 제4 라인중 적어도 하나로 분할되고, 그 제1 라인의 일단이 하단지근력부재에 고정되며, 그 제1 라인의 타단을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와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의 하부 롤러를 통과하여 중량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내지 제4라인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상부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를 통과하고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의 상부 롤러를 통과하여 타단에서 프레임의 라인고정부에 고정되거나, 양단이 상부의 적어도 한쌍의 도르레를 각각 통과하고 중앙이 중간의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의 상부 롤러에 걸려 있으며; 상기 제1 라인이, 그 제1 도르레와 하단지근력부재와의 사이에서 라인통과고정대 또는 프레임이나 하단의 중량물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의 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라인고정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역기부재가, 일단에서 프레임의 후방에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방역기부재와, 일단에서 상기 후방역기부재의 타단에 절첩위치와 사용위치사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에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 내측으로 중공부재가 고정된 전방절첩부재와, 그 중공부재속으로 삽입되며, 사용시 중공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슴근력부재가 팔받침대와 함께 프레임에 밀착되도록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또는 펀치볼이나 샌드백 등의 피행거부재를 매달기 위한 후크가 일단에 고정되고, 그 후크에 상기 피행거부재를 매달아 운동을 할 수 있는 전방위치와 프레임의 측면으로 밀착되는 후방위치사이에서 회동되도록 타단에서 프레임에 힌지수단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행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근력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의 절첩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그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1의 상부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하부 도르레의 배열상태가 도 1의 하부평면도로서 도시되고, 도 5에는 신체받침대(10)가 회동된 사용상태가 측면도로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주로 신체받침대(10)에 관한 것으로서, 앉거나 눕기 위한 신체받침대(10)를 지니며, 프레임(1)에 대해 다수의 도르레와 그 도르레를 통과하는 라인을 개재하여 중량물(2)을 상하운동시킴으로써 하단지, 팔, 가슴 등의 근력을 증강시키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라서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체받침대(10)의 일단이 힌지수단(10a)을 개재하여 대략 상향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화살표 Z1방향)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신체받침대(10)의 회동시 자유낙하를 방지하도록 충격완충수단(60)이 설치되는 것이 안전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그 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화살표 Z1방향)시 신체받침대(10)에 대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10)가 수직위치에 있는 때의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즉 화살표 Z2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그 신체받침대(10)의 타단 부근 하면에 힌지수단(10b)을 개재하여 회동지지대(15)가 설치되고, 또한, 유사하게 그 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와 수평위치사이의 회동시 신체받침대(10)에 대해 대략 하향의 평행위치(신체받침대(10)의 수직위치에서 수직위치)와 받침위치(대략 수직위치)사이로, 즉 화살표 Z3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하단지를 걸어 화살표 A1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그 신체받침대(10)의 타단에 힌지수단(10c)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11)가 설치된다.

    또, 상기 힌지수단(10c)에는 팔근력부재(12)가 하단지근력부재(11)와 유사하게 화살표 Z3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팔근력부재(12)만을 화살표 A3방향의 운동준비방향으로 회동시킨 때부터 그 하단지근력부재(11)와 함께 화살표 A2방향으로 회동하여 팔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지근력부재(11)에 걸리는 걸림돌기(13)가 팔근력부재(12)의 힌지수단측단부의 내측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도르레 및 그 도르레를 통과하는 라인구성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서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은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의 각각에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라인(L1,L2,L3,L4)으로 구성된다.

    또, 도르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후방에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상부도르레(U2)와, 상부 중간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외향되게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제3 도르레(R3)와, 상부 전방의 중심에 설치되는 하나의 제2 도르레(R2)와, 중간에 전후로 배치되는 3개의 제1 내지 제3 중간도르레(M1,M2,M3)와, 하부 중앙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R)와, 그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제4 도르레(R4)와, 상기 제1 도르레(R1)의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중간도르레(M1,M2,M3)는 상하로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도르레(R2)와 제3 도르레(R3)사이의 프레임(1)에는 라인고정부(U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라인과 도르레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L1)이,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로부터 회동지지대(15)에 설치되는 도르레(17), 제1 도르레(R1), 제1 중간도르레(M1)의 하부롤러, 제1 하부도르레(B1), 제2 중간도르레(M2)의 하부롤러, 제2 하부도르레(B2), 및 제3 중간도르레(M3)의 하부롤러를 통과하여 중량물(2)에 고정된다. 그리고, 그 제1 라인(L1)은, 그 제1 도르레(R1)와 하단지근력부재(11)와의 사이에서 라인고정부재(1b)에 고정되며, 그 라인고정부재(1b)가 하단지근력부재(11)의 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라인통과고정대(1a) 또는 프레임(1)이나 하단의 중량물(2)에 걸리게 구성된다. 그 제1 라인(L1)이 그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제1 및 제2 하부도르레(B1,B2)가 제1 도르레(R1)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라인(L2)은, 스트레칭부재(20)로부터 제2 도르레(R2) 및 제3 중간도르레(M3)의 상부롤러를 통과하여 라인고정부(U1)에 고정되며, 제3 라인(L3)은, 양단이 각각 가슴근력부재(30)로부터 제3 도르레(R3)를 통과하여 중앙이 제2 중간도르레(M2)의 상부롤러에 걸리고, 제4 라인(L4)은, 양단이 각각역기부재(40,41,42,43)로부터 제4 도르레(R4) 및 상부도르레(U2)를 통과하여 중앙에서 제1 중간도르레(M1)의 상부롤러에 걸리어 구성된다. 여기서, 통과 내지 걸림이라함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내부의 롤러에 가이드되고 롤러의 회전으로 쉽게 이송되도록 롤러에 마찰,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를 도 5에서 화살표 A1 내지 A2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제1 라인(L1)이 잡아당겨지고 이에 따라 중량물(2)이 화살표 a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며, 반시계방향으로 놓은 때에는 복귀하게 된다.

    또한, 다른 운동부재의 작동시, 즉,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또는 역기부재(40,41,42,43)의 작동시 제1 라인(L1)이 고정되어 있어, 각각 제2 라인(L2), 제3 라인(L3) 또는 제4 라인(L4)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도르레(R2), 제3 도르레(R3) 또는 제4 도르레(R4)와 상부도르레(U2)를 개재하여 제3 중간도르레(M3), 제2 중간도르레(M2) 또는 제1 중간도르레(M1)가 상승함과 동시에 중량물(2)이 상승하게 된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받침대(10)를 절첩시킨 때에도 제1 라인(L1)이 라인고정부재(1b)에 의해 더이상 딸려들어가지 아니하게 되어 다른 라인들이 늦슨해지지 아니하기 때문에 라인들이 꼬이거나 제1 내지 제3 중간도르레(M1,M2,M3)가 엉키지 아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제1 라인(L1)이, 제1 도르레(R1)와 하단지근력부재(11)와의 사이에서 라인통과고정대(1a)또는 프레임(1)이나 하단의 중량물(2)을 개재하여 하단지근력부재(11)의 운동방향으로만 이동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라인고정부재(1b)에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하더라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하단지근력부재(11) 또는 팔근력부재(12)와 함께 스트레칭부재(20), 가슴근력부재(30) 및 역기부재(40,41,42,43)중 일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성은 상술한 바로부터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2)을 프레임(1)의 신체받침대(10) 측에 배치할 수 있어 전방에서 용이하게 중량물고정부재(2a)를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역기부재(40,41,42,43)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역기부재(40), 전방절첩부재(41) 및 손잡이부재(43)로 구성된다.

    그 후방역기부재(40)는, 일단에서 프레임(1)의 후방에 힌지수단(40a)을 개재하여 운동을 위한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에 절첩위치와 사용위치사이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전방절첩부재(41)가 설치된다. 그 전방절첩부재(41)의 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 내측으로 중공부재(42)가 고정되고, 손잡이부재(43)가 중공부재(42)속으로 삽입되어 설치되어 사용시 중공부재(42)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절첩시 전방절첩부재(41)를 하방으로 회동시키고 손잡이부재(43)를 내측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됨이 없어 수납상태의 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합근력기는, 가슴근력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수단(30a)을 개재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운동이 이루어지지만, 힌지수단(30a)을 개재하여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가슴근력부재(30)가 팔받침대(31)와 함께 프레임(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도 수납상태에서 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의 상면 전방에 설치되는 힌지수단(50a)을 개재하여 행거부재(50)가 설치된다. 그 행거부재(50)는 양측으로 한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수단(50a)를 개재하여 도 3에 특히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전후로 회동되며, 펀치볼이나 샌드백 등의 피행거부재(52)를 매달기 위한 후크(51)가 단부에 설치된다.

    행거부재(50)가 전방으로 회동한 때에 후크(51)에 피행거부재(52)를 매달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후방으로 회동시킨 때에는 프레임(1)의 측면으로 밀착되어 수납상태에서 공간을 작게 차지하게 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합근력기의 다양한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종합근력증강기로서, 사용상태에서는 넓은 공간을 이용하면서 좁은 공간에 수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납을 위한 절첩과 사용을 위한 전개가간편하며, 전방에서 중량물의 무게 조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편하여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