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량 조절형 아령

申请号 KR1020120113934 申请日 2012-10-15 公开(公告)号 KR101318546B1 公开(公告)日 2013-10-16
申请人 안태진; 发明人 안태진;
摘要 PURPOSE: A weight adjustable dumbbell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adjust the weight of the dumbbell by adding weights according to his or her muscular strength. CONSTITUTION: A weight adjustable dumbbell includes: a basic body (20) which includes a bar and a basic weight plate (24) and is formed with nut hole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c weight plate; additional weight plate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c weight plate, are formed with bolt penetration holes (47)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center thereof, and formed with nut holes (45) between the bolt penetration holes; and coupling bolts (50) with a thread part (54) which is coupled to the corresponding nut hole.
权利要求
  • 손잡이를 이루는 바(22)와, 상기 바(22) 양단으로 각각 결합된 판 형태의 기본 중량체판(24)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는 중점에 대하여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너트홀(25)이 형성된 기본 몸체(20);
    상기 기본 중량체판(24)들의 외측 표면 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40)으로서, 중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기본 몸체(20)의 너트홀(25)과 동일한 개수로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46)을 가진 형태로 볼트 관통홀(47)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 관통홀(47)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너트홀(45)이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볼트 관통홀(47) 및 너트홀(45)이 교대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추가 중량체판(40); 및
    상기 추가 중량체판(40)의 볼트 관통홀(47)을 통해 볼트 머리(52)가 상기 볼트 머리홈(46) 내측으로 수용되어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고 볼트 나사부(54)가 대응되는 너트홀에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볼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중량체판(24)과 추가 중량체판(40) 사이 또는 추가 중량체판(40)들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추가 중량체판(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분(62)을 구비하고 표면에 너트홀 및 볼트 관통홀에 대응하여 관통홀(67)이 형성된 완충판(60)을 포함하는 것을 중량 조절형 아령.
  • 제 1 항에 있어서,
    최외측으로 결합된 상기 추가 중량체판(40)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추가 중량체판(40)에 형성된 너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36)을 가진 형태로 관통 형성된 볼트 관통홀(37)이 형성된 엔드판(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판(30)은 외측 표면으로 돌출되고 손잡이가 되는 봉 부분(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
  •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중량 추가를 위하여 결합되는 추가 중량체판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절형 아령은, 손잡이를 이루는 바(22)와, 상기 바(22) 양단으로 각각 결합된 판 형태의 기본 중량체판(24)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는 중점에 대하여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너트홀(25)이 형성된 기본 몸체(20)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중량체판은, 상기 기본 중량체판(24)들의 외측 표면 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40)으로서 중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기본 몸체(20)의 너트홀(25)과 동일한 개수로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46)을 가진 형태로 볼트 관통홀(47)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 관통홀(47)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너트홀(45)이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볼트 관통홀(47) 및 너트홀(45)이 교대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추가 중량체판(40)을 상기 기본 중량체판(24) 또는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에 장착할 때, 상기 볼트 관통홀(47)을 통해 체결볼트(50)가 삽입되어 상기 기본 중량체판(24) 또는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의 너트홀(25, 45)에 체결되며 상기 너트홀(45)은 새로이 추가되는 추가 중량체판(40)이 장착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
  • 说明书全文

    중량 조절형 아령{WEIGHT ADJUSTMENT DUMBBEL}

    본 발명은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자가 필요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바(bar) 형태의 손잡이부의 양단으로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팔 운동기구를 지칭한다.

    팔 운동을 할 때 운동자는 자신의 근력에 맞는 적절한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운동자는 운동 초기시에는 가벼운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다가 운동을 지속함에 따라 근력이 증가하면 점차로 높은 중량의 아령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아령은 손잡이부와 양단의 중량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므로, 운동 중량을 높이고자 하는 경우 해당되는 중량의 아령을 새로이 구입해야 한다. 이로 인해 비용 부담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동자가 근력의 증가에 따라 필요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이 공지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량 조절형 아령은 양단에 볼트부(2)가 형성되고, 볼트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부분에 돌출턱(3)이 형성된 바(1)와, 바(1) 양단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중량체(5)와,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6)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은, 바 양단에 삽입되는 중량체(5)의 개수에 따라 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은, 양단으로 봉 형태의 볼트부(2)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운동 및 보관 시에 주변과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성이 있으며, 아령의 디자인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운동을 할 때 돌출턱(3)과 너트(6) 사이에 고정된 복수의 중량체(5)들이 유동하면서 너트(6)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고 너트(6)가 느슨해진 경우에 중량체(5)들이 유동하면서 서로 접촉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바, 제품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은 중량체의 추가가 돌출턱(3)으로부터 바(1) 단부 사이의 길이에 의해 제한되므로 중량 조절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동자의 근력에 맞게 중량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양단으로 봉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되지 않아 안정성 및 디자인이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 제한 없이 중량체를 추가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에 완충재를 구비하여 운동자가 아령을 바닥면에 부주의하게 내려놓는 경우에도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가 다면체로 형상을 지니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거치대 없이 바닥면에 놓은 경우에도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자가 양손으로 잡고서 근력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이 운동 방식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손잡이를 이루는 바와, 상기 바 양단으로 각각 결합된 판 형태의 기본 중량체판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 중량체판의 외측 표면에는 중점에 대하여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너트홀이 형성된 기본 몸체; 상기 기본 중량체판들의 외측 표면 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으로서, 중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기본 몸체의 너트홀과 동일한 개수로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을 가진 형태로 볼트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 관통홀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너트홀이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볼트 관통홀 및 너트홀이 교대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추가 중량체판; 및 상기 추가 중량체판의 볼트 관통홀을 통해 볼트 머리가 상기 볼트 머리홈 내측으로 수용되어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고 볼트 나사부가 대응되는 너트홀에 나사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중량 조절형 아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본 중량체판과 추가 중량체판 사이 또는 추가 중량체판들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추가 중량체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분을 구비하고 표면에 너트홀 및 볼트 관통홀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완충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외측으로 결합된 상기 추가 중량체판들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추가 중량체판에 형성된 너트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을 가진 형태로 관통 형성된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엔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드판은 외측 표면으로 돌출되고 손잡이가 되는 봉 부분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중량 조절형 아령에서 중량 추가를 위하여 결합되는 추가 중량체판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절형 아령은, 손잡이를 이루는 바와, 상기 바 양단으로 각각 결합된 판 형태의 기본 중량체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중량체판의 외측 표면에는 중점에 대하여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너트홀이 형성된 기본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추가 중량체판은, 상기 기본 중량체판들의 외측 표면 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으로서 중점으로부터 상기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상기 기본 몸체의 너트홀과 동일한 개수로 볼트 머리를 수용하는 볼트 머리홈을 가진 형태로 볼트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 볼트 관통홀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너트홀이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볼트 관통홀 및 너트홀이 교대로,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추가 중량체판을 상기 기본 중량체판 또는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에 장착할 때, 상기 볼트 관통홀을 통해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기본 중량체판 또는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의 너트홀에 체결되며 상기 너트홀은 새로이 추가되는 추가 중량체판이 장착될 때 이용되는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의하면, 운동자가 자신의 근력에 맞게 아령의 중량 조절이 가능하며, 중량의 추가 정도가 제한됨이 없이 운동자의 의사에 따라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의하면, 양단으로 봉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되지 않아 안정성 및 디자인이 향상되므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없고, 아령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의하면 운동자가 아령을 바닥면에 부주의하게 내려놓는 경우에도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는 완충판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의하면, 중량체가 다면체로 형상을 지니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거치대 없이 바닥면에 놓은 경우에도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중량 조절형 아령에 의하면, 운동자가 양손으로 잡고서 근력 운동을 하는 것과 같이 운동 방식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동자의 필요에 따라 중량을 자유로이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성, 디자인 품질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중량 조절형 아령의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기본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기본 몸체에 엔드판이 결합된 형태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엔드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부분 분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기본 몸체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기본 몸체에 엔드판이 결합된 형태의 분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추가 중량체판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엔드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10)은, 기본 몸체(20)와, 추가 중량체판(40) 및 체결볼트(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몸체(20)는, 손잡이를 이루는 바(22)와, 상기 바 양단으로 각각 결합된 판 형태의 기본 중량체판(24)을 포함한다.

    손잡이를 이루는 바(22)는 그립감이 형상되도록 표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바와 동일하다.

    기본 중량체판(24)은 바(22)의 양단으로 결합된다. 기본 중량체판(24)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각형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도 있다.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는 중점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너트홀들(25)이 형성되는 데, 너트홀들(25)은 중점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에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3개의 너트홀(25)이 형성되는 경우 각 너트홀(25)은 중점으로 중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원주 방향으로 120ㅀ 간격씩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몸체(20)는 그 자체로서 기본 중량의 아령을 이룬다. 따라서 기본 몸체(20)는 1kg중, 2kg중 등과 같이 설정된 일정한 중량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운동자는 근력이 약한 운동 초기에는 기본 몸체 자체를 아령으로 하여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는 엔드판(30)이 결합될 수 있다. 엔드판(3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 결합되거나,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중량체판(40)이 결합된 후 추가 중량체판(40)의 외측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엔드판(30)은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에 사용하지 않는 홀이 노출되어 디자인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량 조절형 아령의 디자인을 표현 면의 기능을 한다.

    엔드판(30)은 기본 중량체판(24)과 동일한 크기 또는 기본 중량체판(24)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엔드판(30)은 기본 중량체판(24)의 너트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볼트 머리홈(36)을 구비한 볼트 관통홀(37)이 형성된다.

    따라서 엔드판(30)을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 위치시킨 상태로 체결볼트(50)를 볼트 관통홀(37)을 통해 체결하면 체결볼트(50)의 볼트 머리(52)가 볼트 머리홈(36)에 수용되면서 볼트 나사부(54)가 볼트 관통홀(37)을 통해 삽입되어 너트홀(25)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엔드판(30)이 기본 중량체판(24)에 고정된다.

    엔드판(30)은 결합됨으로써 육안으로 관찰시 너트홀과 같은 디자인 손상 요소가 보이지 않게 되며, 체결볼트(50)의 볼트 머리(52)가 볼트 머리홈(36)에 수용되므로 엔드판(30)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엔드판(30)은 중량 조절형 아령의 양 단부를 형성하고 노출되는 표면을 이루므로, 표면에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중량 조절형 아령의 디자인을 향상을 위한 다양한 그림, 판매자의 로고 등을 엔드판(30)에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10)은 기본 중량체판(24)과 동일한 형태의 추가 중량체판(40)을 포함한다. 추가 중량체판(40)은 기본 몸체(20)의 양측으로 각각 추가되는 2개의 추가 중량체판(40)을 한 쌍으로 하여 일정한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40)이 0.5kg중, 1kg중, 2kg중 등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한 쌍의 추가 중량체판(40)을 추가할 때 마다 아령의 중량이 해당 중량만큼 증가한다.

    추가 중량체판(40)은 기본 중량체판(24)의 너트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관통홀(47)이 형성되며, 각 볼트 관통홀(47)들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형성된 너트홀(45)들을 포함한다. 즉, 동일한 개수의 너트홀(45)과 볼트 관통홀(47)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중량체판(24)의 중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서 3개의 너트홀(25)이 원주 방향으로 등 간격 즉, 120ㅀ 간격씩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실시예의 경우, 도 6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추가 중량체판(40)에는 중점에서 반경 방향으로 동일하게 일정 거리로 떨어진 위치에서 60ㅀ 간격으로 너트홀(45)과 볼트 관통홀(47)이 번갈아 형성된다.

    도 7 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볼트 관통홀(47)은 엔드판(30)의 볼트 관통홀(37)과 동일하게 볼트 머리가 수용되는 볼트 머리홈(46)을 구비하고 볼트 나사부과 삽입하여 관통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관통홀(47)이 체결볼트(50)와 나사 체결되지 않고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추가 중량체판(40)을 체결볼트(50)를 이용하여 기본 중량체판(24)과 간격 없이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추가 중량체판(40)을 기본 중량체판(24)의 외측 표면에 추가 중량체판(40)의 볼트 관통홀(47)이 기본 중량체판(24)의 너트홀(25)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체결볼트(50)를 체결하면 추가 중량체판(40)이 기본 중량체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50)의 볼트 머리(52)가 볼트 머리홈(46)에 수용되므로 추가 중량체판(40)의 외측 표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다른 추가 중량체판(40)을 결합하더라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령의 추가적 중량 조절을 위해 추가 중량체판(40)의 외측 표면으로 다른 추가 중량체판(40)을 추가하는 경우 기본 중량체판(24)에 추가 중량체판(40)을 추가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너트홀(45)과 추가되는 다른 추가 중량체판(40)의 볼트 관통홀(47)이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체결볼트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 중량체판(40)이 모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의 외측 표면에 다른 추가 중량체판(40)을 고정하여 중량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바(22) 길이 등에 제한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추가 중량체판(40)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아령의 중량 조절이 제한됨이 없이 운동자의 의사에 따라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본 중량체판(24)과 추가 중량체판(40), 추가 중량체판(40) 및 다른 추가 중량체판(40)이 복수의 볼트로 고정됨으로 운동 중에 중량체판(24, 40)들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거나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은 변의 개수가 짝수개인 정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령의 양단을 이루는 중량체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한데, 다각형 형태의 중량체의 경우 원형 형태와 대비하여 아령을 별도의 거치대 없이 바닥면에 놓더라도 구르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므로 보관상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량 조절형 아령의 경우 봉 형태의 볼트부에 삽입되는 중량체끼리 형상의 어긋남이 발생하므로 원형 형태로만 제작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중량체판(24, 40) 들 사이의 결합이 판과 판 사이의 직접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결합되는 중량체판 들이 서로 형상적으로 일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의 변의 개수가 짝수인 정다각형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그 형상의 일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이 서로 마주보는 꼭지점을 이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태이므로 너트홀(45) 및 볼트 관통홀(47)을 변의 개수에 맞추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교대로 형성하는 경우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의 변과 추가되는 추가 중량체판(40)의 변을 일치하는 것만으로 이미 고정된 추가 중량체판(40)의 너트홀(45)과 추가되는 추가 중량체판(40)의 볼트 관통홀(47)이 서로 일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은 정육각형판 형태를 지니고, 기본 중량체판(24)은 3개의 너트홀(25)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추가 중량체판(40)은 3개의 너트홀(45)과 3개의 볼트 관통홀(47)이 교대로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체판(27, 45)을 변의 개수가 짝수 개인 정다각형을 형성하여 형상이 일치하는 형태로 중량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관 시에 별도의 거치대 없이도 구르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중량체판(24)과 추가 중량체판(40) 사이 또는 추가 중량체판(40)들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판(60)을 포함한다. 완충판(60)은 고무재 등과 같이 완충성 소재로 형성된다. 도 3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완충판(60)은 기본 중량체판 및 추가 중량체판과 동일한 형태를 지니며 기본 중량체판 및 추가 중량체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완충 부분(62)을 구비하고, 추가 중량체판(40)의 너트홀(45) 및 볼트 관통홀(47)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67)이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관통홀(67)이 60ㅀ 간격으로 6개 형성된다.

    도 2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량 조절형 아령의 조립 상태에서 완충판(60)의 완충 부분(62)의 기본 중량체판(24) 및 추가 중량체판(40)의 방사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운동자가 운동 후 아령을 바닥면에 놓는 경우 완충 부분(62)이 바닥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운동자가 아령을 바닥면에 부주의하게 내려놓는 경우에도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비하면, 기본 중량체판(24)이 추가 중량체판(4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추가 중량체판(40)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기본 중량체판(40)은 추가 중량체판(40)과 동일한 크기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추가 중량체판(4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기본 중량체판(24)과 추가 중량체판(40) 사이에 완충판(60)을 구비하지 아니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엔드판(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 조절형 아령은 외측 표면으로 돌출된 봉 부분(31)을 더 구비한 엔드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령은 중간의 바(22) 부분을 한 손으로 잡고 팔 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운동자에 따라 두 팔을 동시에 사용하여 팔 운동을 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아령의 한 종류로서 덤벨이 공지되어 있다. 덤벨은 양 단부로 봉 형태의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운동자가 양단 손잡이를 두 팔로 각각 잡고서 팔운동을 하는 기구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운동자가 덤벨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아령과는 별도로 덤벨을 새로이 구입해야만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엔드판(30)을 봉 부분(31)을 형성함에 따라 엔드판(30)의 결합시 덤벨과 같은 형태가 되어 두 팔을 동시에 사용하는 팔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덤벨은 아령 보다 높은 중량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하면 추량 중량체판(40)을 제한 없이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덤벨로 변환하여 사용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다양한 방식의 팔 운동을 하나의 운동기구로서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10: 중량 조절형 아령 20: 기본 몸체
    22: 바 24: 기본 중량체판
    25: 너트홀 30: 엔드판
    31: 봉 부분 37: 볼트 관통홀
    40: 추가 중량체판 45: 너트홀
    46: 볼트 머리홈 47: 볼트 관통홀
    50: 체결볼트 52: 볼트 머리
    54: 볼트 나사부 60: 완충판
    62: 완충 부분 67: 관통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