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스윙 연습기

申请号 KR1020110095780 申请日 2011-09-22 公开(公告)号 KR1020130032089A 公开(公告)日 2013-04-01
申请人 김호성; 发明人 김호성;
摘要 PURPOSE: 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an existing swing training apparatus, thereby accurately correcting swing postures of a user up to an impact point for a golf ball, an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noise. CONSTITUTION: A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10) comprises a handle(12), a hollow cylindrical member(14), a packing(16), and a flowing substance. The bottom of the cylindrical member is sealed with a sealing cap(14a). A female threaded part(14b) fastened to a male threaded part of the handl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ylindrical member so that the handle and the cylindrical member can be collinearly placed. The packing is fit to the male threaded part, and seals a fastening border in which the male threaded part is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ed part. The flowing substance is included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through the female threaded part, and varies the gravity center of the cylindrical member depending on the swing position for the cylindrical member including the handle.
权利要求
  •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10)는,
    일측에 그립(G)이 구비되고, 반대측에는 수나사부(12a)가 마련된 자루(12)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하부는 밀폐캡(14a)에 의해 막음 처리되고, 자루(12)와 동일선상이 되도록 상기 자루의 수나사부(12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4b)가 상단부에 형성된 통부재(14)와,
    상기 자루(12)의 수나사부(12a)에 끼워져 통부재(14)의 암나사부(14b)에 체결시 체결 경계부위를 기밀시키는 패킹(16)과,
    상기 통부재(14)의 암나사부(14b)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어 자루(12)를 포함한 통부재(14)의 스윙 위치에 따라 통부재 무게중심을 가변하는 유동물질(M)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물질(M)은 물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12)와 결합되는 통부재(14)는 야구배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14)에는 내부에 유동물질(M)이 채워지는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 창(14c)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14)의 내부에는 유동물질(M)을 일시적으로 차단 및 통과시키기 위한 판막부재(15)가 설치되며, 상기 판막부재(15)는 링 형상의 고정 링(15a)과, 고정링(15a)의 내측둘레로부터 연질소재를 갖는 판막(15b)이 다방향으로 절개되어 유동물질(M)의 무게 이동변화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연습기.




  • 说明书全文

    골프 스윙 연습기{Golf swing trainer}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스윙되는 클럽헤드가 적정위치에서 타격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는 스윙 연습기를 개선하여 골프공의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지점까지 정확한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이러한 스윙연습은 격한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 앞서 골퍼들은 시간과 장소가 허락되는 곳에서 각 연습기를 통해 골프 스윙과 같은 동일한 자세를 익히거나 교정하며, 퍼팅 등과 같은 감각을 익혀 실전에 요하는 골프점수(타수)를 얻기 노력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스윙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대부분의 골퍼들은 스윙자세를 숙련하기 위하여 불과 1초 안팎의 시간으로 종료되는 스윙동작을, 어드레스(Address)-백스윙(Back Swing)-톱스윙(Top of Swing)-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팔로우스루(Follow Through)-피니시(Finish) 등의 단계로 나뉘어 명명하는 등 다양하게 분석 연구하고 있다.

    곧 골프에서의 스윙은 싱글 핸디캡에 중요한 관건이 되므로 누구나 정확하 자세에 정확한 위치에서 공을 임팩트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러나, 그린(Green)의 여러 가지 조건이나, 공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스트로크의 강약을 미세하게 조절해야 하는바, 클럽의 풀 스윙(Full Swing) 기준으로 쓰리쿼터스윙(Three Quarter Swing), 하프스윙(Half Swing), 쿼터스윙(Quarter Swing) 등 임의의 각도로 구분하여 백스윙(Back Swing)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공을 원하는 거리만큼 보낼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윙은 일련의 연속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골퍼가 스윙할 때마다 얼굴을 돌려 클럽의 백스윙 위치를 확인할 수도 없음(얼굴을 돌릴 경우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어 정확한 스트로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골프에서는 금기사항임)은 물론, 가령 얼굴을 돌려 확인한다 하더라도 항시 백스윙의 크기를 같은 크기로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므로 스윙자세가 불안정하기 마련이다.

    첨부된 도 2는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1)를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 대한 구성을 살피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틱(2) 일측으로부터는 그립(G)이 장착되고, 스틱(2)의 길이방향에는 환형의 무게추(3)가 슬라이딩 가능하며, 스틱의 끝 부분에는 무게추(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돌기(4)가 장착되며, 또 스틱의 길이방향에는 상기 무게추(3)의 반대측을 이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5)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윙 연습기는 그립(G)을 잡고 일반적인 골프 스윙동작을 함에 있어, 무게추(3)가 상기 스톱퍼(5)측에서 이탈방지 돌기(4)측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무게추(3)가 이탈방지 돌기(4)측에 부딪히는 상태가 곧 골프공의 임팩트 상태임을 골퍼가 인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여기서 이탈방지 돌기(4)에 무게추(3)가 부딪히는 격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윙의 궤도에 따라 무게추는 골프공이 타격되는 임팩트 지점의 이전, 혹은 임팩트 지점을 지나서 이탈방지 돌기에 부딪히는 사례가 발생하기 때문에 스윙연습에서 공을 칠 수 있는 타이밍을 놓치기 쉽고, 이와 관련한 스윙자세의 교정은 초보자는 물론, 약간의 경력이 있는 자라도 쉽지 않기 때문에 스윙의 바른자세 교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윙되는 클럽헤드가 적정위치에서 타격순간을 결정할 수 있도록 연습할 수 있는 스윙 연습기를 개선하여 골프공의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지점까지 정확한 스윙자세를 교정할 수 있고, 이러한 스윙연습은 격한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골프 스윙 연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스윙 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골프 스윙 연습기는,

    일측에 그립이 구비되고, 반대측에는 수나사부가 마련된 자루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하부는 밀폐캡에 의해 막음 처리되고, 자루와 동일선상이 되도록 상기 자루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상단부에 형성된 통부재와, 상기 자루의 수나사부에 끼워져 통부재의 암나사부에 체결시 체결 경계부위를 기밀시키는 패킹과, 상기 통부재의 암나사부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어 자루를 포함한 통부재의 스윙 위치에 따라 통부재 무게중심을 가변하는 유동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동물질은 물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루와 결합되는 통부재는 야구배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부재에는 내부에 유동물질이 채워지는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 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부재의 내부에는 유동물질을 일시적으로 차단 및 통과시키기 위한 판막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판막부재는 링 형상의 고정 링과, 고정링의 내측둘레로부터 연질소재를 갖는 판막이 다방향으로 절개되어 유동물질의 무게 이동변화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는 일반적인 골프 클럽을 잡고 스윙하는 동작과 같이 스윙 연습기를 통해 스윙 연습함으로써, 통부재의 내부에 채워진 유동물질이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골프공의 임팩트 지점에서 유동물질이 통부재의 완전히 하방향으로 쏠리게 되며, 이러한 작용은 격한 소음 발생 없이 이루어지고, 통부재의 하부측에 무게를 실어 사용자가 임팩트 시점임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습자는 필요없이 얼굴을 돌려 자세가 흐트러지는 스윙자세를 임팩트 전까지 반복 훈련하여 안정된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 스윙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종래 골프 스윙 연습기를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골프 스윙 연습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 내에 유동물질이 채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스윙각도에 따른 유동물질의 이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통부재에 눈금 창이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스윙 연습기의 통부재 내에 판막부재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연습기(10)의 구성을 살피면,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그립(G)이 구비되고, 반대측에는 수나사부(12a)가 마련된 자루(12)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하부는 밀폐캡(14a)에 의해 막음 처리되고, 자루(12)와 동일선상이 되도록 상기 자루의 수나사부(12a)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4b)가 상단부에 형성된 통부재(14)와, 상기 자루(12)의 수나사부(12a)에 끼워져 통부재(14)의 암나사부(14b)에 체결시 체결 경계부위를 기밀시키는 패킹(16)과, 상기 통부재(14)의 암나사부(14b)를 통해 내부에 수용되어 자루(12)를 포함한 통부재(14)의 스윙 위치에 따라 통부재 무게중심을 가변하는 유동물질(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루(12)와 연결되는 통부재(14)는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 혹은 알루미늄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물질(M)은 비중이 있는 물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를 넣어 사용된다. 이는 언제든지 유동물질(M)을 통부재(14)로부터 손쉽게 빼내고, 채울 수 있으면서 비중이 있는 물질이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루(12)와 결합되는 통부재(14)는 야구배트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며, 통부재(14)의 길이는 유동물질이 채워지는 양을 고려한 체적에 비례하여 길거나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부재(14)에는 내부에 유동물질(M)이 채워지는 양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 창(14c)이 마련된다. 상기 눈금창은 투명 도는 반투명한 소재에 눈금이 인쇄처리되며, 통부재의 외측둘레와 같은 곡률로 제작되어 통부재에 일체감이 있고, 누수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부착 적용된다.

    상기 통부재(14)의 내부에는 유동물질(M)을 일시적으로 차단 및 통과시키기 위한 판막부재(15)가 설치되며, 상기 판막부재(15)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고정 링(15a)과, 고정링(15a)의 내측둘레로부터 연질소재를 갖는 판막(15b)이 다방향으로 절개되어 유동물질(M)의 무게 이동변화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골프 스윙 연습기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연습기(10)는 자루(12)의 수나사부(12a)에 통부재(14)의 암나사부(14b)를 체결하되, 상기 통부재(14) 내에는 유동물질(M)을 소정량 채워주고, 상기 자루(12)의 수나사부(12a)에 패킹(16)을 끼운 상태에서 간단히 체결한다.

    여기서 유동물질(M)은 쉽게 빼내거나 수용할 수 있는 물이나, 모래를 요구하는 만큼 채워주도록 한다.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통부재(14)에 채워지는 유동물질(M)은 통부재에 마련된 눈금 창(14c)을 통해 채워지는 유동물질(M)의 양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맞는 정도로 수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골프 스윙 연습기(10)는 통상적인 야구 배트와 같은 형상을 이루며, 자루(12)측 그립(G)을 잡고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골프 스윙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은 골프 스윙연습시 상기 통부재(14) 내에 수용된 유동물질은 각기 다른 각도에서 자루(12)측 방향(통부재의 하단이 상향인 상태)으로 쏠려있다가 스윙 연습기(10)의 선회하는 각도에 따라 점차 유동물질(M)의 이동이 시작되며,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위치에서는 유동물질이 통부재(14)의 하부로 몰리게 되어 통부재의 하부측 무게감을 제공함으로써 이때 연습자에게 임팩트 순간임을 인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어드레스(Address)-백스윙(Back Swing)-톱스윙(Top of Swing)-다운스윙(Down Swing)-임팩트(Impact) 이전까지 연습자에게 전달되는 골프 스윙 연습기(10)의 통부재(14) 하부 무게감 전달은 골프공이 위치한 임팩트 이전까지 골프공을 주시하는 연습자의 시선이 이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먼저 얼굴을 돌리게 되어 자세가 흐트러지는 불안정한 자세를 교정받을 수 있는 훈련이 된다.

    상기와 같이 통부재(14) 내에서 스윙 각도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물질(M)은 격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주변에 소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연습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상기 통부재(14) 내에 판막부재(15)를 설치한 것으로서, 이는 통부재(14)의 제작시 하부측에 밀봉되는 밀폐캡(14a) 조합이전 내경을 통해 판막부재(15)를 설치하고, 밀폐캡(14a)을 닫아 설치한 것으로, 내부에 채워지는 유동물질(M)은 스윙 연습기(10)의 스윙 각도에서 상기 판막부재(15)에 일시적인 간섭을 받다가 선회하는 각도가 커지면 판막부재(15)를 통해 통부재(14)의 하부측으로 순간 쏠리는 현상을 주어 유동물질(M)의 이동변화에 따른 무게감 전달을 연습자에게 임팩트 시점을 인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캡(14a)은 나사체결방식과 기밀방지구조를 채택하여 통부재로부터 탈착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부재(14) 내에 설치된 판막부재(15)는 고정링(15a)으로부터 다방향으로 절개된 판막(15b)이 발췌된 도면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절개된 면이 밀착되어 있다가 유동물질(M)의 순간 이동시 확장되어 유동물질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골프 연습기의 무게감 전달력이 뛰어나 초보 연습자라 할지라도 바른 스윙자세를 익히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10: 골프 스윙 연습기 12: 자루
    12a: 수나사부 14: 통부재
    14a: 밀폐캡 14b: 암나사부
    14c: 눈금 창 15: 판막부재
    15a: 고정링 15b: 판막
    16: 패킹 G: 그립
    M: 유동물질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