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

申请号 KR1020120055804 申请日 2012-05-25 公开(公告)号 KR1020130131884A 公开(公告)日 2013-12-04
申请人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이봉춘; 发明人 김대철; 이봉춘;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branch crusher for cultivator, which installs a tree branch crusher having a cultivator as a power source in the handle side direction of a rear end of a cultivator, safely places a worker in the rear side of the cultivator, conveniently moves the cultivator into a desirable place, and easily secures a front view.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rizontal frame for being formed in a rear end of a cultivator body, fixating a combining plate of the horizontal frame in a mounting unit to be combined by screws, and protruding to the side direction of the cultivator body; a support frame fixated in a rear end of the protruding horizontal frame and arranged in the side of a handle of a cultivator; and a crushing unit for being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rotating a crushing blade for crushing tree branches by a driving pulley; wherein the crushing unit is operated using power of the driving pulley of the cultivator delivered by a power delivery unit.
权利要求
  • 경운기(100) 몸체의 후단에 구성되어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착부(120)에 수평프레임(200)의 체결판(210)이 고정되되 경운기(100) 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돌출된 수평프레임(200) 후단에 고정되어 경운기(100)의 손잡이(130) 측방에 배치되도록 한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목가지를 절단하기 위한 파쇄날이 작동풀리(410)에 의해 회전되는 파쇄부(400)와,
    상기 파쇄부(400)는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의 동력을 동력전달부(500)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후방에 높이조절부(311)가 구비된 이동바퀴(3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전방에 절첩부(321)가 구비된 지지다리(3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500)는 수평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된 지지판(250)에 베어링 지지부(511,512)로 고정되는 회전축부(510)와,
    상기 회전축부(510)의 단부에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전달풀리(520)와,
    상기 회전축부(510)의 타측단부에 파쇄부(400)의 작동풀리(410)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2 전달풀리(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
  • 说明书全文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A timber crusher for a power cultivator}

    본 발명은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경운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수목가지 파쇄기를 경운기 후단의 손잡이 측방향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경운기 후방에 안정적으로 위치하여 편안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전방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가지 파쇄기는 과수나 농가 등에서 수목의 가지치기를 하고난 뒤에 발생되는 잔가지들을 파쇄기 내부에 구비된 파쇄날로 잘게 파쇄하여 퇴비 등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고정식 파쇄기와 이동식 파쇄기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 실용 제 20-0222226호(이동식 파쇄기)에는 프레임의 전면에 엔진과 기어드 모터를 부착하여 원하는 위치와 장소로 이동하면서 수목가지를 잘게 파쇄할 수 있는 이동식 파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파쇄기를 구동하기 위해서 별도의 엔진과 같은 원동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구성의 복잡성과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부피가 크고 무거운 파쇄기와 엔진 등이 핸들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방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못하고 전방의 타 물체와 부딪칠 우려가 있고, 무게중심이 전방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에 구비된 핸들로 방향전환이 매우 불안정하며 원활한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기어박스와 조향장치들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 실용 제20-0186240호(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에는 경운기 엔진 전방 하단 양측단에 구비되는 엔진보호대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편에 파쇄기 본체 하단에 구성된 연결대를 삽입시켜 고정토록 하고 경운기 엔진 측부의 구동 풀리와 상기 본체의 중앙부 칼날회전축의 풀리에 의하여 구동을 전달받아 이를 다시 풀리와 기어를 통하여 가압로울러로 구동을 전달시켜 파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역시 파쇄기가 경운기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방의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과 전방의 타 물체와 부딪칠 우려가 있고 무게중심이 전방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방향전환의 불안정성이 존재하고, 결합시 본체가 경운기의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대와 연결편의 결합시 공구사용이 한쪽에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2인이 양쪽에서 작업하거나 1명이 좌우로 번갈아 이동하면서 작업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 실용 제20-0286305호(목재파쇄기의 동력전달장치)에는 파쇄기가 경운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파쇄컷터와 기어박스를 별도 동력없이 경운기의 동력을 인가받는 하나의 전달축으로 동시 가동시킬 수 있도록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파쇄기가 경운기의 바로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경운기의 후방에 서서 조작이 어렵고 원활히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경운기의 일측으로 빠져서 선 다음 작업자의 대각선 방향으로 팔을 뻗어 경운기 손잡이를 잡고 조작해야만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동 중에 작업자가 파쇄기와 부딪혀 다치거나 파쇄기의 바퀴에 발이 걸리거나 깔리는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목가지용 파쇄기를 기존의 경운기와 결합하여 별도 동력장치 없이 경운기의 자체동력만으로 파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경운기와 파쇄기의 탈부착이 쉽고 편리한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수목가지 파쇄기를 경운기 후단의 손잡이 측방향에 설치함으로써 경운기와 파쇄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경운기 후방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전방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는, 경운기 몸체의 후단에 구성되어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착부에 수평프레임의 체결판이 고정되되 경운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돌출된 수평프레임 후단에 고정되어 경운기의 손잡이 측방에 배치되도록 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목가지를 절단하기 위한 파쇄날이 작동풀리에 의해 회전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는 경운기의 구동풀리의 동력을 동력전달부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절첩부가 구비된 지지다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부는 수평프레임 상부에 구비된 지지판에 베어링 지지부로 고정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에 경운기의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전달풀리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측단부에 파쇄부의 작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2 전달풀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목가지용 파쇄기를 기존의 경운기와 결합하여 별도 동력장치 없이 경운기의 자체동력만으로 파쇄기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경운기와 파쇄기의 탈부착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목가지 파쇄기를 경운기 후단의 손잡이 측방향에 설치함으로써 경운기와 파쇄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경운기 후방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전방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의 경운기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의 경운기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기(100) 몸체의 후단에 구성되어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장착부(120)에 수평프레임(200)의 체결판(210)이 고정되되 경운기(100) 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0)과, 상기 돌출된 수평프레임(200) 후단에 고정되어 경운기(100)의 손잡이(130) 측방에 배치되도록 한 지지프레임(300)과,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수목가지를 절단하기 위한 파쇄날이 작동풀리(410)에 의해 회전되는 파쇄부(400)와, 상기 파쇄부(400)는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의 동력을 동력전달부(500)에 의해 전달되어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파쇄부(400)는 공지의 구성으로서, 파쇄부(400)의 작동풀리(410)로 동력이 전달되면 파쇄부(400)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가압로울러와 파쇄날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잔가지를 파쇄하여 배출되게 하는 장치이며 구체적인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수평프레임(200)은 사각 또는 원형파이프 형태의 금속제로 구성되며 체결판(210)과 용접으로 수평프레임(200)의 일부 접촉면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되고 경운기(100) 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측방향은 경운기(100) 몸체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프레임(200)이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경운기(100) 후방에 작업자의 공간이 마련되고 작업자의 측부에 파쇄부(400)가 설치되기 때문에 경운기(100) 이동시 운전이 편리하며 전방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200)이 측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경운기(100) 후방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경운기(100)와 파쇄기의 탈부착 작업이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지지프레임(300)은 사각형태의 금속제로써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평프레임(200)의 후단 즉, 경운기(100)의 손잡이(130) 측방향에 배치되도록 용접 또는 체결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상부에 설치되는 파쇄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후방에 이동바퀴(310)가 설치되어 지지프레임(300)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높이조절부(311)를 구비하여 이동바퀴(3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경운기(100)의 높낮이에 맞춰 유동적으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전방에는 절첩부(321)가 구비된 지지다리(320)가 설치되는데 이는 경운기(100) 이동시 지지다리(320)를 접어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작업시 지지다리(320)를 펴서 안정적으로 파쇄작업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파쇄부(400)를 포함한 수평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300)을 경운기(100)로부터 해체시 지지다리(320)를 펴서 지면으로부터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고 해체 후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320)는 안정적인 지지작용을 위해 지지프레임(300)의 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 정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500)는 수평프레임(200) 상부에 구비된 지지판(250)에 베어링 지지부(511,512)로 고정되는 회전축부(510)와, 상기 회전축부(510)의 단부에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1 전달풀리(520)와, 상기 회전축부(510)의 타측단부에 파쇄부(400)의 작동풀리(410)와 벨트로 연결되는 제 2 전달풀리(5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부(510)는 수평프레임(200)의 돌출방향으로 지지판(250)에 일정부위가 베어링 지지부(511,512)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회전축부(510)의 양 끝단에 구비된 제 1, 2 전달풀리(520,530)에 의해 경운기(100)의 동력이 손잡이(130) 측방향에 설치된 파쇄부(400)로 원활히 전달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경운기(100)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장착부(120) 후단에 부가적으로 적재용 트레일러와 같은 구성들을 더 설치할 경우 이동 간에 파쇄된 수목가지를 적재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운기용 수목가지 파쇄기의 작동과정은 아래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경운기(100) 몸체의 후단에는 나사체결 할 수 있도록 장착부(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장착부(120)에 수평프레임(200)의 체결판(210)이 결합되고, 그 다음에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와 지지판(250) 상부에 고정된 동력전달부(500)의 제 1 전달풀리(520)와 벨트로 연결하면 본 발명의 경운기 장착과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이와 역순으로, 경운기(100)의 구동풀리(110)와 제 1 전달풀리(520)를 벨트로 먼저 연결하고 장착부(120)와 체결판(21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운기(100) 장착과정이 완료되면 경운기(100)를 작동시켜 구동풀리(110)가 회전되면 이와 벨트로 연결된 동력전달부(500)의 제 1 전달풀리(520)와 제 2 전달풀리(530), 파쇄부(400)의 작동풀리(410) 순으로 회전하면서 파쇄부(400) 내부의 가압로울러와 파쇄날이 서로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인입되는 잔가지를 파쇄하여 작업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특징은 경운기(100) 장착시 파쇄부(400)가 손잡이(130) 측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탈부착 과정이 편리하고 경운기(100)와 파쇄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경운기(100) 후방에 위치하여 편안하게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용이하고 아울러 전방의 시야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는 적시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고 본다.

    100 : 경운기 110 : 구동풀리
    120 : 장착부 130 : 손잡이
    200 : 수평프레임 210 : 체결판
    250 : 지지판 300 : 지지프레임
    310 : 이동바퀴 311 : 높이조절부
    320 : 지지다리 321 : 절첩부
    400 : 파쇄부 410 : 작동풀리
    500 : 동력전달부 510 : 회전축부
    511,512 : 베어링 지지부 520 : 제 1 전달풀리
    530 : 제 2 전달풀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