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처 제진대의 고정 기구

申请号 KR1020000010023 申请日 2000-02-29 公开(公告)号 KR1020010014515A 公开(公告)日 2001-02-26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发明人 사카모토유타카;
摘要 PURPOSE: To provide a lock mechanism of a highly reliable stretcher vibration resitant stand capable of reliably locking a movable frame by simple operation when necessary regardless of a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CONSTITUTION: A lock mechanism is provided with first/second lock pins 8, 10 movable between a lock position and a lock release position, and the first/ second lock pins 8, 10 are moved and approached via a link mechanism by moving an operation knob 12 to the lock position from the lock release position to sandwich a part of a fixing part 2 to lock a movable part 4 on the fixing part 2.
权利要求
  • 스트레처 제진대의 가동프레임에 부착되고 고정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可動部)를 가진 잠금기구로서,
    잠금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로 이동이 가능한 제1 및 제2잠금핀과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에 연결된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조작하는 조작노브(knob)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노부를 잠금해제 위치로 부터 잠금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이 이동접근하여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끼워잡아, 상기 가동부를 상기 고정부에 잠그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 제진대(除振台)의 잠금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개구부(opening)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 상기 제1잠금핀을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개구부내에 상기 제2잠금핀을 배치한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주부에 제1요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개구부에 있는 상기 제1요부의 대향위치에 제2요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상기 제1 및 제2요부에 각각 끼워넣어서 잠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
  •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에 잠금핀 가이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핀 가이드부재에 제1 및 제2가이드홈을 파서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각각 유삽(遊揷)하고(movably insert),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홈에 따라서 각각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
  • 说明书全文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LOCKING MECHANISM FOR A VIBRATION ISOLATOR}

    본 발명은 상병자(傷病者)를 운반하는 구급차내에 설치되어, 들것 (stretcher)과 함께 실리는, 상병자의 승차감을 개선하는 스트레처 제진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트레처 제진대에 설치되어 있는 제진기구에는, 예컨데 전동식 에어서스펜션 등이 사용되어, 부하(상병자의 체중)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을 함과 동시에, 차체바닥으로부터 입력된 진동을 공기스프링에 의하여 제진함으로서, 들것위의 상병자에 가해지는 부담을 경감시키고 있다.

    또한, 상병자의 심장맛사지(massage)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을 때, 제진기구가 작동되지 않도록 잠가서 상병자에 가하는 힘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최근에는 승차감을 개선하기 위한 자기스프링을 이용한 스트레처 제진대도 제안되어 있어,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스트레처 제진대는 차체바닥(floor)에 대하여 가동프레임이 상하 및 전후로 요동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장치는 가동프레임의 상하운동뿐 아니라 전후운동도 잠글 필요가 있으며, 종래의 잠금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면 잠금이 불완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이 지닌 이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졌으며, 차체바닥에 대하여 가동프레임이 요동하는 스트레처 제진대에 있어서, 가동프레임의 위치에 관계없이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가동프레임을 확실히 잠글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청구항 1의 기재내용의 발명은 스트레처 제진대가 가동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부에 대하여 적어도 상하방향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부를 가진 잠금기구로서, 잠금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제1 및 제2잠금핀과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에 연결된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조작하는 조작노브를 구비, 상기 조작노브를 잠금해지 위치로부터 잠금위치에 이동시켜서 상기 링크기구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이 이동접근하여, 상기 고정부의 일부를 끼워 상기 가동부를 상기 고정부에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고정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 상기 제1잠금핀을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개구부내에 상기 제2잠금핀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고정부의 외주부에 제1요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요부의 대향위치에 제2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잠금핀을 상기 제1 및 제2요부에 각각 끼워넣어서 잠그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기 가동부에 잠금핀 가이드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잠금핀 가이드부재에 제1 및 제2가이드홈을 파서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각각 유삽하고, 상기 제1 및 제2잠금핀을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홈에 따라서 각각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를 아래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잠금해제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를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잠금해제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를 위쪽의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잠금해제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의 측면도.

    도 5는 잠금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를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잠금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를 위쪽의 다른 각도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잠금 상태의 도 1의 잠금기구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고정부 2a : 가동범위 설정용 개구부

    2b : 제1요부 2c : 제2요부

    4 : 가동부 6 : 잠금핀 가이드 부재

    6a : 제1가이드 홈 6b : 제2가이드홈

    8 : 제1잠금핀 10 : 제2잠금핀

    12 : 조작노브 14 : 조작로드

    16 : 회전축 17, 24, 30, 36, : 핀

    18 : 제1레버 20 : 조작로드 가이드부재

    20a : 가이드 홈 20b : 걸어 맞춤부

    23 : 스프링 훅 26 : 구동부재

    26a : 긴구멍 28, 38 : 제2레버

    32 : 코일스프링 34 : 요동축

    42 : 제3레버 44 : 연결 링크

    46 : 중앙구동링크 48 : 연결 핀

    50 : 회동축 52 : 제1잠금핀 구동링크

    54 : 제2잠금핀 구동링크 56, 58 : 회전 로울러

    F : 가동프레임 M : 잠금기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트레처 제진대의 잠금기구(M)를 도시하고 있으며, 차체바닥 등의 고정부에 대하여 상하 및 전후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들것과 함께 상병자가 놓이는 가동프레임(F)을 잠그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트레처 제진대는, 누운 상병자에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제진)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기구(M)를 자유로운(free) 상태로 설정하는 한편, 심장맛사지 등을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기구(M)를 잠금상태로 설정하여 가동프레임(F)을 잠그므로서 상병자에 가해지는 힘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잠금기구(M)는 차체바닥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2)와 가동프레임(F)에 고정되어 가동프레임(F)과 함께 요동이 자유로운 가동부(4)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는 스트레처 제진대의 가동범위를 설정하는 가동범위 설정용 개구부(2a)가 뚫린 플레이트(plate)형상의 고정프레임으로 형성되며, 고정프레임의 외주부에는 제1요부(2b)가 형성됨과 동시에, 가동범위 설정용 개구부(2a)에 있어서의 제1요부(2b)와의 대향위치에는 제2요부(2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부(4)는 소정거리를 띄워놓은 상태로 가동프레임(F)에 고정되는 1대의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와 링크기구에 연결된 제1 및 제2잠금핀(8, 10)과 링크기구에 의하여 제1 및 제2잠금핀(8, 10)을 소정위치에 이동시키는 조작노브 (1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노브(12)는 조작로드(14)에 의하여 회전축(16)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핀 (17)을 중심으로 좌우에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을 때, 회전축(16)에는 제1레버(18)의 한 끝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프레임(F)에는 조작로드 가이드부재(20)가 고정되어 있으며, 조작로드(14)는 조작로드 가이드부재(20)에 파인 가이드홈(20a)에 상하로 요동이 자유롭게 유삽되어 있다. 가이드홈(20a)의 상부에는 제진대를 잠글 때에 조작로드(14)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6)의 양단은, 가동프레임(F)에 고정된 거의 L자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브레킷(22, 22)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제1레버(18)의 고정된 축 끝의 반대측의 축 끝에는 스프링훅(spring hook)(23)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훅(23)의 자유단측에는 코일스프링(도시안됨)의 한 끝이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그 다른 끝은 가동프레임(F)의 일부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16)을 화살표 A방향(잠금의 해제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다.

    또한, 제1레버(18)의 다른 끝에는 핀(24)이 심어져 있으며, 핀(24)은 요동축

    (후술)을 구동하는 구동부재(26)에 뚫린 긴구멍(26a)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삽되고 있다. 구동부재(26)는 제2레버(28)의 한 끝에 심어진 핀(30)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핀(30)에 한 끝이 걸어맞추어진 코일스프링(32)에 의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으며 제2레버(28)는 화살표 B방향의 역방향인 화살표 C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다.

    또한, 제2레버(28)의 다른 끝은 요동축(34)의 한 끝에 고정되어 있으며, 요동축(34)의 다른 끝에는 제2레버(28)와 같이 한 끝에 핀(36)이 심어진 레버(38)의 다른 끝이 고정되어 있다(이후 레버(38)도 제2레버라 칭한다). 또한 제2레버(28, 38)에 심어진 핀(30, 36)은 거의 L자형상으로 절곡된 브래킷(40, 40)(한쪽만 도시되어 있음)에 의하여 가동프레임(F)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요동축(34)은 핀(30, 36)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동축(34)의 중간부에는 제3레버(42)의 한 끝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의 다른 끝에는 연결링크(44)의 한 끝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연결링크(44)의 다른 끝은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중앙구동링크(46, 46)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48)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중앙구동링크(46, 46)는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중간부에 설치된 회동축 (50)의 주위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그의 한 끝에는 제1잠금핀 구동링크(52, 52)의 한 끝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됨과 동시에, 중앙구동링크(46, 46)의 다른 끝에는 제2잠금핀 구동링크(54, 54)의 한 끝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잠금핀 구동링크(52, 52)의 다른 끝에는 제1잠금핀(8)이 부착되어 있는 한편, 제2잠금핀 구동링크(54, 54)의 다른 끝에는 제2잠금핀(1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1잠금핀(8) 및 제2잠금핀(10)의 주위에는 회전로울러(56, 58)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각각에는 제1가이드홈(긴구멍)(6a)과 제2가이드홈(긴구멍)(6b)이 뚫려 있으며, 제1 및 제2잠금핀(8, 10)은 제1 및 제2가이드홈(6a, 6b)에 유삽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잠금기구(M)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대의 제진기능이 작용하는 잠금해제 (자유)(free)의 상태에서는 스프링훅(23)에 걸어맞춰진 코일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하여 조작로드(14)는 조작로드 가이드부재(20)에 뚫린 가이드홈(20a)의 최하단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제1레버(18)의 핀(24)은 최상단에 있으며, 구동부재(26)에 의하여 요동축(34)은 후방으로 압압(押壓)되어 있다. 따라서, 제3레버(42) 및 연결링크(44)에 의하여, 요동축(26)에 연결된 중앙구동링크(46)의 연결핀(48)도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으므로 중앙구동링크(46)의 한 끝에 연결된 제1잠금핀 구동링크(52)에 의하여 제1잠금핀(8)은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제1가이드홈(6a)의 앞끝에 유지되는 한편, 중앙구동링크(46)의 다른 끝에 연결된 제2잠금핀 구동링크(54)에 의하여 제2잠금핀(10)은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제2가이드홈(6b)의 후단(하단)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고정부(2)에 대하여 가동부(4)는 전연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가동프레임(F)은 자유롭게 요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차체바닥 등에서 입력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가동프레임(F)의 가동범위는 고정프레임(2)의 가동범위 설정용 개구부(2a)에 의하여 결정되고, 제2잠금핀(10)이 가동범위 설정용 개구부(2a)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이다.

    여기에서 상병자의 심장맛사지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프링훅(23)에 걸어맞춰진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거슬려 조작노브(12)를 위로 끌어올리고, 또한 핀 (17)주위에 조작로드(14)를 요동시켜서 조작로드 가이드부재(20)의 걸어맞춤부(20b)에 걸어맞춰지면 도 5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레버(18)에 의하여 핀(24)이 최하단까지 내려밀려짐으로 구동부재(26)는 화살표 B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구동부재(26)에 연결된 제2레버(28)는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으므로, 구동부재(2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요동축(34)을 전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요동축(34)에 고정된 제3레버(42)를 전방으로 경사시킨다. 그 결과, 제3레버(42)에 연결된 연결링크(4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구동링크(46, 46)의 연결핀(48)이 연결링크(44)에 의하여 전방으로 끌어당겨져서, 중앙구동링크(46, 46)는 회동축(50)주위에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한다.

    중앙구동링크(46, 46)가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면 중앙구동링크(46, 46)의 한 끝에 연결된 제1잠금핀 구동링크(52)에 의하여 제1잠금핀(8)이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제1가이드홈(6a)에 따라서 후단까지 이동하는 한편, 중앙구동링크 (46, 46)의 다른 끝에 연결된 제2잠금핀 구동링크(54)에 의하여 제2잠금핀(10)이 잠금핀 가이드부재(6, 6)의 제2가이드홈(6b)에 따라서 앞끝(상단)까지 이동한다.

    이 때, 제1가이드홈(6a)의 뒤끝 및 제2가이드홈(6b)의 앞끝은 고정프레임(2)에 형성된 제1요부(2b) 및 제2요부(2c)에 각각 근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제1 및 제2잠금핀(8, 10)의 주위에 부착된 회전로울러(56, 58)가 제1 및 제2요부(2b, 2c)에 각각 끼워넣어져 고정프레임(2)의 일부를 회전로울러(56, 58)에 의하여 끼워잡(挾持)는다.

    그 결과, 가동프레임(F)의 후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은 회전로울러(56)의 제1요부(2b)와의 접촉에 의해 저지되는 한편, 가동프레임(F)의 앞방향 및 위방향의 이동은 회전로울러(58)와 제2요부(2c)의 접촉에 의하여 저지되므로 가동프레임(F)은 잠금기구(M)의 가동부(4)와 함께 고정부(2)에 대해 잠그어진다.

    여기에서, 제진대에는 스트레처의 중량과 상병자의 체중이 가하여지고, 상병자의 체중에 따라서 고정부(2)에 대한 가동프레임(F) 및 가동부(2)의 상대위치(높이)가 변화한다. 따라서, 상병자가 무거운 경우, 가동프레임(F)은 가라앉으며, 잠금해제의 상태에서 조작노브(12)를 끌어올려서 가동프레임(F)을 잠글 때에, 제1잠금핀(8)의 주위에 설치된 회전로울러(56)가 고정프레임(2)의 상부 앞면(2d)에 접촉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경우, 구동부재(26)는, 도 5 내지 도 7에 표시되는 잠금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요동축(34)은 도 1 내지 도 4에 표시된 잠금해제 위치와 잠금위치의 중간위치에 유지되므로 요동축(34)은 구동부재(26)와 사이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렇지만, 구동부재(26)와 요동축(34)은 코일스프링(32)에 의하여 서로 접촉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므로 상병자에 대한 심장맛사지 등에 의하여 가동프레임(F) 및 가동부(4)가 고정부(2)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진동)이고, 제1잠금핀 (8)과 고정프레임(2)의 상부앞면(2d)과의 접촉이 일단 해제되면, 코일스프링(32)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축(34)이 화살표 C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요동축(34)은 구동부재(26)에 접촉하고, 제1 및 제2잠금핀(8, 10)은 고정프레임(2)의 제1 및 제2요부(2b, 2c)에 각각 끼워 넣어져서, 가동프레임(F)은 잠그어진다.

    잠금해제를 행하는 경우에는, 조작노브(12)를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측방향으로 이동시키어 조작로드(14)와 조작로드 가이드부재(20)의 걸어맞춤부(20b)와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키면, 스프링훅(23)에 걸어맞춰진 코일스프링 탄성력에 의하여 조작로드(14)는 가이드홈(20a)에 따라 하강하여 가이드홈(20a)의 최하단에 도달해서 유지된다.

    이 때의 각 부재의 동작은, 이미 기술한 잠금해제(자유) 상태로부터 잠금 상태로의 동작과 완전히 반대임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가동프레임(F)은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만 요동 가능한 가동프레임을 가진 스트레처 제진대에도 당연히 적용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에 기재 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 중에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노브를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잠금위치로 이동함에 의하여 링크기구에 의하여 제1 및 제2잠금핀이 이동 접근하여 고정부의 일부를 끼워잡고, 가동부를 고정부에 잠그도록 하였으므로, 간단한 조작(원 터치)으로 가동프레임을 확실히 잠글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의 외측에 제1잠금핀을 배치하는 한편, 고정부에 설치한 개구부 내에 제2잠금핀을 배치하였으므로, 잠글 때, 제1 및 제2잠금핀에 의하여 고정부의 일부를 용이하게 끼워잡을 수가 있고, 가동부의 위치가 어떠한 경우라도 확실히 잠글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의 외주부에 제1요부를 형성 함과 동시에, 개구부에 있는 제1요부의 대향위치에 제2요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잠금핀을 제1 및 제2요부에 각각 끼워 넣어서, 잠그도록 하였으므로, 가동프레임의 상하방향의 요동뿐 아니라 전후방향의 요동도 저지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부에 잠금핀 가이드부재를 설치하고, 제1 및 제2잠금핀을 잠금핀 가이드부재에 뚫려진 제1 및 제2가이드 홈에 따라서 각각 이동하도록 하였음므로, 제1 및 제2잠금핀의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고, 신뢰성이 높은 잠금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