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차용 제진 가대

申请号 KR1019990045788 申请日 1999-10-21 公开(公告)号 KR100342963B1 公开(公告)日 2002-07-0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구; 发明人 후지타에쓰노리; 사카모토유타카; 지즈카가즈요시;
摘要 제진가대의서스펜션메커니즘에자기스프링과자기댐퍼를이용함으로써급정차, 급감속에기인하는환자의불쾌감을억제하여승차감을개선한구급차용제진가대를제공하는것이본원발명의과제이다. 이를해결하기위한수단으로, 바닥에요동이자유롭도록하부프레임(2a, 2b)을부착함과동시에이 하부프레임(2a, 2b)에대하여링크기구를개재하여상부프레임(4)을상하이동이자유롭도록부착하였다. 또, 반발자극이대향하는자기스프링(42, 46 혹은 44, 48)에의하여상하진동을억제함과동시에, 앞쪽으로의가속도의입력에의하여앞쪽부분측을들어올리도록했다.
权利要求
  • 바닥에 대해 복수의 레버를 통해 요동이 자유롭도록 부착한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에 대해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상하 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상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각각에 부착되어 반발 자극이 대향하는 제1 영구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상하 진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급브레이크에 의한 앞쪽으로의 가속도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레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순간 회전중심 주위의 중력 편진자 운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바닥에 부착된 코일스프링의 누르는 힘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반발 자극이 대향하는 제2 영구자석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이 앞쪽으로 요동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앞쪽 부분 측을 들어 올리는 한편, 뒤쪽 부분 측을 하강시키도록 하여 상기 앞쪽으로의 가속도를 억제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의 앞쪽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시켜 상기 앞쪽으로의 가속도를 억제하도록 상기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링크 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용 제진가대.
  • 삭제
  • 说明书全文

    구급차용 제진 가대{VIBRATION ISOLATOR HAVING MAGNETIC SPRINGS}

    본 발명은, 환자를 나르는 구급차 내에 설치되어, 환자를 태운 담가의 승차감을 개선하는 구급차용 제진 가대에 관한 것이다.

    구급차용 제진 가대의 제진기구는, 유압, 공기 서스펜션을 사용한 것이 태반을 점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승차감 개선을 향한 대책을 하고 있다. 또한, 능동(active) 제어를 실행하므로서 승차감을 개선한 제진 기구도 제안되고 있다.

    구급차의 주행에는 차의 흐름에 따라서 주행하는 통상 주행과 긴급 주행시의 특별주행이 있으며, 이 주행의 차이에 의하여 승차감이 달라진다.

    그런데, 제진 가대의 승차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본산차 및 수입차 중에서 대표적인 2 종류의 구급차에 의한 실차 주행을 실행하여 구급차의 바닥과 담가 위에 누워있는 사람의 허리부에 있어서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해석을 한 바, 고주파 영역(10∼20 Hz)은 효과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나, 특히, 전후 상하 방향의 저주파 진동(0.1∼10 Hz)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지 않으며, 생체공진(生體共振) 중에서 특히 내장공진(內臟共振)에 의한 병세의 악화, 노즈다이브(nose dive)에 의한 혈압변동(혈액이 두부에 집중하는 느낌) 환자의 차멀미 및 차체와 제진 가대의 서스펜션 조정의 불합치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진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이며, 제진 가대의 서스펜션 매커니즘에 자기스프링과 자기 댐퍼(damper)를 이용함으로써, 급정차, 급감속에 기인하는 환자의 불쾌감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개선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제1항의 발명은, 바닥에 대해 복수의 레버를 통해 요동자유롭도록 부착한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에 대해 링크기구를 개재하여 상하 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상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각각에 부착되어 반발 자극이 대향하는 제1 영구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상하 진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급브레이크에 의한 앞쪽으로의 가속도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레버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순간 회전중심 주위의 중력 편진자 운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바닥에 부착된 코일스프링의 누르는 힘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반발 자극이 대향하는 제2 영구자석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이 앞쪽으로 요동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 ��임의 앞쪽 부분 측을 들어 올리는 한편, 뒤쪽 부분 측을 하강시키도록 하여 상기 앞쪽으로의 가속도를 억제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의 앞쪽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을 하강시켜 상기 앞쪽으로의 가속도를 억제하도록 상기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링크 기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차용 제진가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제진 가대에 환자를 태운 담가(擔架)를 두었을 경우의 각부의 거동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제진 가대에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가 가해진 경우의 개략 측면도.

    도 4는 통상주행시와 급감속시에 있어서의 가속도의 가대 진행방향 성분과 중력가속도의 가대 진행방향 성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2의 제진 가대의 초기 경사각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제진 가대에 설치된 각종 스프링의 탄력과 변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도 1의 제진 가대가 돌기를 타고 넘을 경우의 상부 프레임의 거동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8은 실제 차 주행시의 앞뒤 방향의 진동에 대한 바닥(floor)상의 가속도의 PSD와 담가상의 생체 허리부에 있어서의 가속도 전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실제 차 주행시의 상하방향의 진동에 대한 바닥 위의 가속도의 PSD와 담가상의 생체허리부에 있어서의 가속도 전달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통상주행시에 있어서의 도 10의 제진 가대의 개략도이며, (a)는 하부프레임의 측면도를, (b)는 하부프레임의 앞쪽 부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평면도.

    도 12는 급감속시에 있어서의 도 10의 제진 가대의 개략도이며, (a)는 하부프레임의 측면도를, (b)는 하부프레임의 앞쪽 부분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의 평면도.

    * 도면의 주허리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2b, 72 : 하부프레임 4, 74 : 상부프레임

    6 : 정판(頂板) 8a, 8b, 130 : 도체

    12a, 12b, 78, 80 : 레버

    14a, 14b, 42, 44, 46, 48, 110, 112, 118, 120, 126, 128, 132, 134, 136

    138 , 140, 142 : 영구자석

    16a, 16b : X 링크 18a, 18b : 축도기

    40, 54, 114, 116 : 코일스프링 52, 144 : 완충기

    56a, 56b, 76 : 슬라이더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A)를 나타내고 있으며,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일체 구성(一體構成)의 하부프레임(2a, 2b)과, 하부프레임(2a, 2b)에 대하여 상하이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상부프레임(4)과, 상부프레임(4)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정판(頂板)(6)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프레임(2a, 2b)의 각각에는, 그 하면에 알루미늄 등의 도체(8a, 8b)가 고정되어 있으며, 도체(8a, 8b)는 바닥에 세워 설치된 지지판(10a, 10b)에 레버(12a, 12b)를 개재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각 도체(8a, 8b)의 양측에는 영구자석(14a, 14b)이 소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부프레임(4)은 하부프레임(2)에 대하여 X 링크(16a, 16b) 및 축도기(18a, 18b)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X 링크(16a, 16b)의 각각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4, 2)에 일단이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2개의 긴 레버(20, 22)와, 긴 레버(20, 22)의 타단에 일단이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2개의 짧은 레버(24, 26)로서 되며, 긴 레버(20, 22)는 그 중간부가 서로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한편, 짧은 레버(24, 26)의 타단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4, 2)에 세워 설치된 지지부재(28, 30)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축도기(18a, 18b)의 각각은, 거의 く자 형상으로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2개의 레버가 전후 대칭으로 배설된 4개의 레버(32, 34, 36, 38)로서 되며, 레버(32, 36)의 상단은 상부프레임(4)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한편, 레버(34, 38)의 하단은 하부프레임(2a, 2b)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거의 く자 형상으로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레버(32, 34) 및 레버(36, 38)의 선회 연결부에는 코일스프링(40)이 연결되며, 상부프레임(4)을 밀어 올리는 힘을 발생하고 있다.

    하부프레임(2a, 2b)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영구자석(42, 44)이 고정되며, 영구자석(42, 44)과 반발(동일) 자극이 대향하는 영구자석(46, 48)이 상부 프레임(4)에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영구자석(42와 46 혹은 44와 48)의 반발력에 의하여 상부프레임(4)의 밀어 올리는 힘을 발생하고 있다. 또, 두부측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2a)의 일단은, 바닥에 세워 설치된 지지부재(50)에 완충기(52) 및 코일스프링(54)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정판(6)은 상부프레임(4)에 대하여 슬라이더(56a, 56b)를 개재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정판(6)의 두부측 및 족부측의 하면에 각각 2개의 돌설부(突設部)(58a, 58b)를 고정하는 한편, 상부프레임(4)의 윗면에 고정된 돌설부(60)를 상기 2개의 돌설부(58a, 58b)의 중간에 배설하며, 상부프레임(4)의 돌설부(60)와 정판(6)의 돌설부(58a, 58b)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2a, 62b)과 고무 댐퍼(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개재 장치함으로써, 정판(6)은 상부프레임(4)의 소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프레임(4, 2)과 정판(6)에 부착된 부재중 영구자석(42, 44, 46, 48), 완충기(52), 코일스프링(54)등은 제진 가대(A)의 폭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부재는 제진 가대(A)의 양측에 설정되어 있으나, 도 1에서는 한쪽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A)의 작용을 이하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 담가, 구급차용 제진 가대(A)의 질량을 각각 m 0 , m 1 , m 2 로 하며, 돌설부(60)와 돌설부(58a, 58b) 사이에 설정된 코일스프링(62a, 62b)의 스프링 정수(定數)와 고무 댐퍼의 감쇠계수를 각각, k 1 , k 2 , c 1 , c 2 로 한다. 또, 축도기(18a, 18b)에 설치된 코일스프링(40)의 스프링 정수를 k 3 , 대향하는 2개의 영구자석(42, 46 혹은 44, 48)으로서 구성되는 자기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k 4 , 하부프레임(2a)에 부착된 코일스프링(54)의 스프링 정수를 k 5 , 영구자석(14a, 14b)과 도체(8a, 8b)로서 구성되는 자기 댐퍼의 감쇠계수를 C 3mg , 하부바닥(2a)에 부착된 완충기(52)의 감쇠계수를 c 4 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A)에 있어서는, 급브레이크나 돌기를 타고 넘음으로써 발생하는 생체의 피칭(pitching) 진동과 두족(頭足) 방향(전후 방향)의 가속도를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두부의 이동을 위쪽 방향으로만 규제하는 수단으로서의 하부프레임(2a, 2b)과 바닥의 순간 중심 주위의 의사 중력 편진자 운동(擬似重片振子運動)과, 질량 m 0 +m 1 의 차량 진행 방향과 동일의 병진 운동을 제진기구에 이용하고 있다. 이것은, 액티브(active) 제어방식에 있어서,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급브레이크 시에 발생하는 약 0.5 G의 가속도를 경감하는 방법 대신에, 도 3과 같이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의 반동을 이용하여 질량 m 0 +m 1 의 중심 위치를 뒤쪽으로 이동하여 뒤쪽의 금속스프링(k 3 )과 자기스프링(k 4 )을 작용시켜서 제진 가대(A)의 경사(θ)를 크게 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의 가대 진행방향 성분을 중력가속도의 가대 진행방향 성분에 의하여 감소시킨다. 그 나머지를 금속스프링(k 1 , k 2 )과 고무 댐퍼(c 1 , c 2 ) 및 자기 댐퍼(c 3 )로서 감쇠시킨다.

    또, 금속스프링(k 5 )과 완충기(c 4 )에 의하여 도 5와 같이 제진 가대(A)의 초기경사각(θ 0 )을 부여한다.

    더욱 상술하면, 환자를 태운 담가를 제진 가대(A)에 실어 놓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4)은 코일스프링(54)과 완충기(52)에 의하여 초기경사각(θ 0 )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급브레이크에 의해 예컨대 약 0.5 G의 가속도가 입력되면, 코일스프링(62a)의 누르는 힘에 대항하여 제진 가대(A)는, 도 2에 도시된 점(0)을 순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두부측(앞쪽)으로 요동한다. 다음으로, 가속도의 반동 즉, 코일스프링(62a)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m 0 (환자)+m 1 (담가)의 중심위치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족부측(足部側) 측도기(18b)와 자기스프링(44, 48)에 큰 하중이 가해져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4)의 경사각(θ)이 크게 된다. 경사각(θ)이 크게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의 앞쪽 성분은 중력가속도의 뒤쪽 성분에 의하여 감쇠됨과 동시에 중력가속도의 뒤쪽 성분에 의하여 감소되지 못한 나머지의 성분은, 코일스프링(62a, 62b)의 스프링력과, 고무 댐퍼의 감쇠력과, 영구자석(14a, 14b)과 도체(8a, 8b)의 전자유도에 의한 감쇠력에 의하여 감쇠된다.

    다음으로, 상하진동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는, 자기스프링의 진동 특성을 이용한다. 도 6은, 상하 방향 진동에 대응하는 제진 기구의 스프링 특성과 가속도 진폭(0.3 G)의 사인(sine)파로서 진동을 가할 때의 각 주파수에서의 스프링상의 응답 진폭을 나타내고 있다. 자기스프링력과 변위의 관계는, 식 3, 4로 구해지며, 금속스프링과 변위의 관계는 링크(link) 구조에 의한 힘의 변환을 고려하여 구했다. 이것은, 실측치(實測値)와 5 % 편차 내에 들어가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평형점(P)에 설계된 축도기가 돌기물 등에 의한 바닥의 충격 변위에 의하여 압축되면 부(-) 스프링 특성에 의하여 축도기는 더욱 압축되며, 스프링 상가대(上架臺)는 중력 방향으로 가압되어 내려간다. 그리고, 하사점(下死點)에서 속도가 0에 가까워 졌을 때에(돌기의 정점부근 도달시에 대응), 정적인 자기스프링과 금속스프링의 합성스프링의 정(+)의 특성에 의하여 위쪽 방향으로 밀어 제자리로 되돌리는 것이 개시된다.

    한편, 진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축도기의 부(-)의 스프링 특성에 대하여 도 6의 점(Q)과 같이 정(+)의 특성으로서 동적인 자기스프링이 작용한다. 축도기와 동적인 자기스프링의 합특성(合特性)이 의사적(擬似的)으로 K=0의 상태로 되어서 공진점이 거의 없어져서 전달율을 저감한다.

    구체적으로 진자의 진동수는

    로 주어지며 금속스프링(k 5 )의 고유진동수는 f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한다. 완충기(c 4 )와 자기 댐퍼(c 3 )로서 감쇠를 부여하나, 자기 댐퍼의 감쇠계수는 근사적으로

    로서 나타낸다. 여기서 P : 자속의 개수, B : 자속밀도, h : 도체의 두께, A: 자속의 면적, α: 실험적 보정계수, ρ : 도체의 전기저항률이다.

    또, 자기스프링에 의한 힘은

    로서 주어지며, km, F 0 을 정수로 하여 부하질량과의 평형점 위치에서의 자석간 거리(z)를 선정함으로써, 임의의 스프링 정수가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서, 자석과 그 스트로크 범위에서의 평행점 부근 및 최하단 부근의 자기스프링에 의한 힘은 각각

    로 설정된다.

    자기스프링의 고유진동수는 부하질량을 m으로 했을 경우

    로서 주어진다.

    도 6에서는, 사용한 자기스프링의 정적스프링 정수, 동적 스프링 정수의 실측치도 나타내고 있다.

    질량이 56 kg, 72 kg, 82 kg인 3인의 피실험자와 서스펜션과 서스펜션의 튜닝이 딱딱한 일본산(A)차, 부드러운 수입(B)차에 의한 실차 주행에 의하여 후륜차축상의 베드면(제진 가대 지지부) 및 담가 위에 잠자고 있는 사람의 허리부에서의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했다.

    또, 베드면의 가속도가 큰 A차와 거의 동일한 가속도를 재현하는 모의 차량(C)차에 본 발명에 관한 자기스프링식 제진 가대(A)를 장착하여 포장도로를 실차주행하여 가속도의 측정과 관능평가(官能評價)를 실시했다.

    도 8 및 도 9는, 실차주행에 의한 바닥상의 가속도의 PSD(Power Spectral Density)와 담가상의 생체 허리부에 있어서 앞뒤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가속도 전달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자기스프링식 제진 가대(A)는 앞뒤 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2 Hz,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3 Hz 부근에서 공진주파수를 가지며, 바닥 각각의 공진주파수 0.4 Hz 및 2 Hz로부터 벗어나 있다.

    도 8의 앞뒤 방향의 진동에 대해서는, 0.3∼1 Hz 부근 및 3 Hz 부근에 있는 저주파 영역에서의 성능 개선의 효과가 인정되며, 0.6∼4 Hz 근처에서 공진점을 가지는 두족부(頭足部)의 공진이 발생하기가 어렵다.

    여기서 V : 차속, L : 휘일 베이스 길이, 노면 형상 성분을 n차로 한 경우의 상하진동 휘일 베이스의 n차 고유주파수는

    으로서 구해지며, 도 9를 보면 최고시속 80 km/h 까지의 차속에 대응하는 진동수 성분 4∼8 Hz 에서 A차, B차와 비교하여 C차는 내장 공진이 완화되어 있다.

    또, Griffin이 제안하는 SEAT 값(Seat Effective Amplitude Transmissibility)을 이용하여 바닥면과 인체의 허리부의 진동에너지비를 평가하면 종래 제품은 145∼155의 값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 제품은 135로 되어서 10 % 전후의 진동에너지 저감효과를 인정받는다.

    더욱이, 모의 차량을 사용하여 행한 관능평가는 다음과 같다.

    ·급브레이크시에 두부(頭部)가 내려가는 경향이 매우 완화되어 있다.

    · 차체의 진동이 담가에 전파되어 오지 않는다.

    · 충격을 받았을 때 발이 튀어 오르지 않고 꼭 달라붙은 느낌이 있다.

    · 성능은 종래 제품보다 좋다.

    · 로우링(rolling)도 잘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A1)를 나타내고 있으며, 바닥에 앞뒤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로우면서 요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하부프레임(72)과, 하부프레임(72)에 대하여 상하 자유롭도록 부착된 상부프레임(74)을 갖추고 있다.

    하부프레임(72)은, 그 앞쪽 부분 및 뒤쪽 부분에 설치된 복수의 슬라이더(76, ‥, 76)를 통하여 바닥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여러 개의 레버(78, 80)를 통하여 슬라이더(76, ‥, 76)에 요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레버(78)는 그 하단이 하부프레임(7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상단이 슬라이더(76)의 상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프레이트(8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레버(80)는, 그 상단이 하부프레임(7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슬라이더(76)의 상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프레이트(84)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상부프레임(74)은 하부프레임(72)에 대하여 y자 형상 링크 및 く자 형상 링크를 개재하여 상하 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y자 형상 링크의 각각은, 긴 레버(86)와 짧은 레버(88)로 이루어지며, 긴 레버(86)의 상단은 상부프레임(74)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은 별도의 레버(90)의 하단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90)의 상단은 하부프레임(72)의 윗면에 고정된 브래킷(bracket)(9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짧은 레버(88)의 상단은 긴 레버(86)의 중간부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됨과 동시에 그 하단은 하부프레임(7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하부프레임(72)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긴 레버(86)의 하단 및 2개의 짧은 레버(88)의 하단은 로드(94, 96)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94, 96)로 연결된 복수의 코일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부프레임(74)을 들어올리는 힘을 발생하고 있다.

    한편, く자 형상 링크는 서로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2개의 레버(98, 100)로 이루어지며, 레버(98)의 상단은 상부프레임(74)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됨과 동시에 레버(100)의 하단은 하부프레임(7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레버(98, 100)의 선회 연결부와 y자 형상 링크를 구성하는 긴 레버(86) 및 짧은 레버(88)의 선회 연결부는 로드(102)로 연결되어 있으며, y자 형상 링크와 く자 형상 링크는 서로 연동하여, 상부프레임(74)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부프레임(72)의 앞쪽 부분(두부측) 및 뒤쪽 부분(족부측)에는 직사각형 개구(104, 106)가 천설(穿設)되어 있으며, 바닥에 고정된 돌설부(108) 및 영구자석(110, 112)이 직사각형 개구(104, 106)를 통하여 각각 돌설하고 있다. 돌설부(108)의 앞쪽 및 뒤쪽에는 복수의 코일스프링(114, 116)이 개재 장치되는 한편, 영구자석(110, 112)의 앞쪽 및 뒤쪽에는 반발(동일) 자극이 대향하는 영구자석(118, 120)이 소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하부프레임(72)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프레임(72)의 앞뒤 이동을 감쇠하도록 작용한다.

    또, 하부프레임(72)의 중앙부에는 좌우 2개의 직사각형 개구(122, 124)가 천설되어 있으며, 바닥에 고정된 영구자석(126, 128)이 직사각형 개구(122, 124)를 통하여 각각 돌설하고 있다. 영구자석(126, 128)의 사이에는 하부프레임(72)에 고정된 알루미늄 등의 도체(130)가 개재 장치되어 있으며, 전자유도를 이용하여 하부프레임(72)의 앞뒤 이동을 감쇠한다.

    더욱이, 도체(130)의 앞쪽 및 뒤쪽의 하부프레임(72)에는 한개의 영구자석(132)과 2개의 영구자석(134, 136)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영구자석(132, 134, 136)과 반발(동일) 자극이 대향하는 영구자석(138, 140, 142)이 상부프레임(74)에 소정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으며, 대향하는 2개의 영구자석으로써 자기스프링을 구성함으로써 상부프레임(74)의 상하 이동을 감쇠한다. 또한, 영구자석(134, 136, 140, 142)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서 하부프레임(72) 및 상부프레임(74)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 하부프레임(72)의 중앙부 양측에는 상단이 하부프레임(72)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며 하단이 바닥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된 완충기(144)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실시형태 2에 관한 구급차용 제진 가대(A1)에 있어서는 환자를 태운 담가는 상부프레임(74) 위에 실려 놓이게 된다.

    상기 구성의 제진 가대(A1)의 작용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환자를 실은 담가를 제진 가대(A1)에 실어 놓은 상태에서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72)은 코일스프링(114, 116), 영구자석(110, 112, 118, 120), 완충기(144) 등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급브레이크에 의하여 가속도가 입력되면 코일스프링(116)의 누르는 힘 혹은 영구자석(110, 118)의 반발력에 대항하여 하부프레임(72)은 순간 회전중심 주위에서 두부측(앞쪽)으로 요동한다.

    이 때, 레버(78)는 그 상단 및 하단이 슬라이더(76) 및 하부프레임(72)에 각각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는 한편, 레버(80)는 역으로 그 상단 및 하단이 하부프레임(72) 및 슬라이더(76)에 선회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부프레임(72)의 두부측이 들어올려지는 한편 족부측이 하강한다. 그 결과,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의 앞쪽 성분은 중력가속도의 뒤쪽 성분에 의하여 감쇠하며, 중력가속도의 뒤쪽 성분에 의하여 감소할 수 없었던 나머지 성분은 코일스프링(114, 116)의 스프링력과 영구자석(110, 118)의 반발력과, 영구자석(126, 128)과 도체(130)의 전자유도에 의한 감쇠력에 의하여 감쇠된다.

    또한, 도 10의 제진 가대(A1)에 있어서, y자 형상 링크와 く자 형상 링크를 연결하는 로드(102)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로드(102)가 없는 구성에서는 y자 형상 링크와 く자 형상 링크를 독립하여 작동한다. 이 경우, 급브레이크에 의하여 가속도가 입력되면 상부프레임(74)의 경사각 및 중력가속도의 뒤쪽 성분은 더욱 크게 되어서 급브레이크에 의한 가속도의 앞쪽성분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반발자극이 대향하는 자기스프링을 사용하였으므로, 자기스프링의 진동 특성을 이용하여 상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또한,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부프레임을 앞쪽으로 요동시킴으로써, 탄성력을 이용하여 앞쪽으로의 가속도를 감쇠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승차감이 개선된다.또한, 가속도 입력시 상하프레임의 앞쪽 부분 측을 들어 올리는 한편 뒤쪽 부분 측이 하강하도록 링크 기구를 구성했으므로, 노즈다이브에 의한 혈압 변동(즉, 혈압이 두부에 집중하는 느낌), 환자의 차멀미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더욱이, 하부프레임의 순간 회전중심 주위의 중력 편진자 운동에 의한 하부프레임의 앞쪽으로의 요동과, 코일스프링, 자기스프링 등에 의해 가속도를 억제할 수 있어 승차감을 개선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