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申请号 KR1020110036447 申请日 2011-04-19 公开(公告)号 KR1020120118830A 公开(公告)日 2012-10-29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노동현; 송문배; 김상미; 곽현미;
摘要 PURPOSE: A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share location information by setting the sharing stat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 each application. CONSTITUTION: Each of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s(100a-100d) is set for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in each application.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stores a setup value.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s transmits the stored setup value to a server. When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s request to share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confirms the setup value. The serve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activates the sharing of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xecuted application to a request terminal. [Reference numerals] (AA) Server
权利要求
  •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설정받아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과정과,
    각 휴대단말기의 설정값들을 확인한 서버로부터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은,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서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의 수신 과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의 설정값의 확인을 통해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면, 상기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공유 여부의 설정을 삭제하여 설정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의 갱신이 확인되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갱신된 설정값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가 없음을 통보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요청 과정은,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데이터와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방법.
  •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설정받아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설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서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의 설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소정의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면, 상기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공유 여부의 설정을 삭제하여 설정값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설정값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가 없음을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데이터와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식별데이터와 상기 공유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의 공유 사용 시스템.
  • 说明书全文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SING SHARED LOCATION INFORMATION IN A PORTAG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끼리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에 관한 발명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단말기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근래의 휴대단말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등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기에는 위치정보를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있고, 사용자는 취향에 맞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위치정보를 사용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위치정보를 사용하도록 하고, 또 다른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위치정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즉, 위치정보의 사용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어플리케이션별로 위치정보를 사용할지 말지를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데,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지금에 비해 보다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명도 제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설정받아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과정과, 각 휴대단말기의 설정값들을 확인한 서버로부터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설정받아 설정값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면, 상기 설정값을 확인하여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위치정보의 공유여부를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를 보다 유용하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100a 내지 100d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대표적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1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0)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등의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 키입력부(27)는 미리 설정된 최소한의 키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는 키입력부(27)의 키입력 기능을 일부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위치저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메모리(30)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등의 외장형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는 HDD(Hard Disk Drive) 및 SSD(Solid State Disk) 등과 같은 디스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0)는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의 공유에 대한 설정값을 저장한다.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능을 제공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휴대단말기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별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허용(활성화)하거나 허용하지 않는 것(비활성화)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의 사용 가능 여부를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하며 이러한 설정이 설정값으로 메모리(30)에 저장된다.

    한편, 위치정보의 공유 사용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설정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될 경우,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대응되는 설정은 설정값에서 삭제되도록 갱신되어 메모리(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설정값의 변경(예를 들어, 갱신)이 일어날 경우, 소정 시간 이내에 신속하게 변경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GPS(Ground Positioning System)모듈(40)은 GPS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단말기의 현재위치에 해당하는 경도값과 위치값 등의 획득을 통해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GPS 모듈(40)은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휴대단말기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모듈(40)의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부(23)과 기지국들의 연동을 통한 삼각측량법 등을 이용한 위치 확인 기능으로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표시부(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 등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입력 기능을 통해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키입력부(27) 또는 표시부(50)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위치 정보의 공유 여부를 설정받아 설정값으로 저장한 후에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를 사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상기 서버로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고, 휴대단말기들의 설정값들을 확인한 서버로부터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 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1의 블록도에는 블루투스 모듈, 카메라 모듈, WiFi 모듈,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지자계 센서 및 DMB(Digital Media Broadcasting) 수신기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에 포함될 수 있는 장치들이 미도시 되었으나, 이들 미도시된 장치들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에 포함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는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휴대단말기의 운동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의 표시방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을 감지하는데, 터치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는 회전하는 휴대단말기의 역학적인 움직임을 관찰하는데, 가속도 센서와 연동되어 휴대단말기의 6축, 즉, 상하, 좌우, 전후방, x축, y축 및 z축의 회전 모션을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영상의 촬영시 GPS 모듈(40)을 이용하여 획득되는 위치정보가 촬영된 영상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1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제2예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100a 및 100b의 휴대단말기를 의미하며, 도 4에 도시된 100c 및 100d의 휴대단말기는 각각 제3휴대단말기 및 제4휴대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2에서는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의 동작만이 설명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제1 내지 제4의 휴대단말기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더 많은 수의 휴대단말기를 통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S201-S204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 각각은 위치정보의 공유와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한 후에, 저장된 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서버로 전송되는 설정값은 도 3을 통해 이해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310 내지 340의 4개의 설정값을 도시하고 있다.

    310의 제1설정값은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A 및 D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고, 어플리케이션 B 및 C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한 경우의 설정값을 도시하고 있다.

    320의 제2설정값은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AC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비활성화하고, 어플리케이션 D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되도록 설정한 경우의 설정값을 도시하고 있다.

    330의 제3설정값은 제3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A 및 B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고, 어플리케이션 C 및 D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한 경우의 설정값을 도시하고 있다.

    340의 제4설정값은 제4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고, 어플리케이션 BD에 대해서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한 경우의 설정값을 도시하고 있다.

    310 내지 340의 설정값을 통해 설명한 바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제1설정값(310)과 같이 위치정보 공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함으로써, 타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100b, 100c 및 100d)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A 및 D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즉, 100a의 위치정보)를 공유(또는 확인)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렇게 어플리케이션별로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필요할 경우에는 사진의 위치정보를 손쉽게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의 320의 제2설정값을 통해 예를 들면,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A 내지 C를 이용하는 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없도록 위치정보 공유를 활성화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D가 공인된 기관(예를 들어, 경찰)에서 사람의 위치를 찾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할 때,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D를 통해서는 타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예를 들어, 경찰)가 자신의 위치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한편, 각 휴대단말기들(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100a, 100b, 100c 및 100d)로부터 설정값을 수신한 서버는 이들 설정값들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S205-S208 단계에서, 각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로 위치정보 공유를 요청하도록 제어한다.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310의 제1설정값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서 위치공유를 설정하고, 이후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여 사용 중에 타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정보 공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에 대응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320의 제2설정값에서 어플리케이션 D에 대해서 위치공유를 설정하였으며, 이후 어플리케이션 D를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여 타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1휴대단말기 및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와 마찬가지로, 제3휴대단말기 및 제4휴대단말기의 사용자들도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의 공유가 요청된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 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소정의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여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 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서버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위치정보를 사용하기 위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또는 식별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A가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위치정보의 공유가 요청될 경우, 제1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 A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의 공유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는 위치정보의 공유가 요청되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정보를 사용(공유하여 사용)하기 위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S209-S211 단계에서, 서버는 각 휴대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설정값들을 확인하고,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설정값(310)에 대응되는 제1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한 상태에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였다. 또한, 도 3의 제2설정값(320)에 대응되는 제2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D에 대해서만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였고, 제3설정값(330)에 대응되는 제3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A 및 B에 대해서만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였고, 제4설정값(340)에 대응되는 제4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B 및 C에 대해서만 위치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였다.

    따라서, 서버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휴대단말기의 설정값을 확인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A과 관련된 제1휴대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는 제3휴대단말기(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의 위치정보만을 제공하면 될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제3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3휴대단말기로부터(또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제1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D와 관련된 제2휴대단말기로부터의 위치 정보 공유 요청에는 제1휴대단말기와 제4휴대단말기(어플리케이션 D에 대해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의 위치정보만을 제공하면 될 것을 확인한다. 이후, 서버는 제1휴대단말기 및 제4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2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제3휴대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B를 실행한 상태에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였을 경우 서버는 제4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3휴대단말기로 전송한다.

    만약, 제4휴대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C를 실행한 상태에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였을 경우,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C에 대해서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제4휴대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C와 관련하여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휴대단말기가 없음을 통보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제4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를 사용자에게 청각정보, 시각정보 및 진동 정보 등을 통해 통보한다.

    S212-S213 단계에서, 각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에 따라 수신한 타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휴대단말기(100a)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A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을 한 후에, 도 3의 제3설정값을 서버로 전송한(즉,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제3휴대단말기(100c)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A를 통해 제3휴대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지도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휴대단말기(100b)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D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을 한 후에, 도 3의 제1설정값 및 제4설정값을 전송한 제1휴대단말기(100a) 및 제4휴대단말기(100d)의 위치정보(즉, 제1휴대단말기 및 제4휴대단말기의 위치)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제2휴대단말기(100b)의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D를 통해 제1휴대단말기(100a) 및 제4휴대단말기(100d)의 위치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의 공유가 요청되면,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휴대단말기의 설정값들을 모두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휴대단말기는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때, 위치정보를 확인(공유)하고자 하는 특정 휴대단말기의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서버로 전송하면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이에 대응되게 전화번호 등을 통해 명시된 특정 휴대단말기의 설정값만을 확인한 후에, 특정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만을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한 휴대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휴대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여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을 서버로 전송할 때 제3휴대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전화번호 또는 어플리케이션A에서의 제3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아이디)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서버는 제3휴대단말기의 설정값만을 신속하게 확인함으로써, 제3휴대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A에 대해 위치정보의 공유가 활성화된 것을 확인한 후에, 제3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1휴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는 어느 정도의 실행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S205-S208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설정하거나 소정의 키를 입력하는 등의 구성(신속한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이 가능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는 소정의 메뉴를 설정하거나 소정의 키 입력 등을 통해서 위치정보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소정의 메뉴 또는 키 조작을 통해 위치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특정 휴대단말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위치정보의 공유 요청화 함께 서버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