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riting bm to social network system(sns)

申请号 KR20100105653 申请日 2010-10-28 公开(公告)号 KR20120044400A 公开(公告)日 2012-05-08
申请人 LEE MYUNG WOO; 发明人 LEE MYUNG WOO;
摘要 PURPOSE: A wiring BM(Business Model) in an SNS(Social Network System) service is provided to enable a member of the SNS service to receive fixed benefits by enabling the member to work as a specific member. CONSTITUTION: The accuracy of a specific member ID(Identity) is confirmed(203). A content arrangement display unit is expressed(204). The state information of a content arrangement apparatus is recognized(205). After a specific tag is confirmed, letters including the tag are collected and stores(206). Conten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sequence of the tag. The content is displayed on a screen according to the number sequence of the tag.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s recognized(209).
权利要求
  • SNS중에서 트위터의 예를들어 도면 1에서와같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인 앱개발사(101)가 일반 글을 쓰는 트위터 회원이나 기업회원을 상대로 영업활동을 하여 특정 태그와 숫자를 붙여서 트위터에 글을 쓰겠다고 동의한 회원과 특정회원(102) 계약을 맺고, 이에따라 앱개발사(101)가 특정회원(102)을 위해서 특정회원을 식별하고 창작글을 쉽게 보게 할수있는 도면 2의 플로우차트로 개발된 특정인앱(103)을 만들고, 이 특정인앱(103)을 앱운영사(104)와 계약하여 앱스토어(105)에 올리게 하는 것과,
    그리고 트위터 일반회원이나 팔로우 회원중에서 트위터에서 특정회원(102)의 창작글을 쉽게 읽어보기 위하여 앱스토어(105)에서 특정인앱(103)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노트북, 일반 컴퓨터 또는 스마트 TV 및 내비게이션 유니트 등의 정보통신기기로 다운받아 이용하는 앱이용자(106)가 일정한 금액의 앱통신비(107)를 앱운영사(104)에 지불하고 이 앱통신비(107)을 받은 앱운영사(104)가 앱개발사(101)와 계약한 내용에따라 일정비율로 나눈 1차 분배 앱통신비(108)를 앱개발사(101)에 지불하고 앱개발사(101)는 특정회원(102)과 계약한 내용에따라 일정비율 나눈 2차분배 앱통신비(109)를 다시 특정회원(102)에게 지불하는 것을 수익수단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에서 앱개발사(101), 특정회원(102), 앱운영사(104) 및 앱이용자(10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비즈니스 모델.
  • 제1항에 있어서,
    도면 2에서와같이 특정인앱(103)의 프로그램 구동순서를 플로우1(201), 플로우2(202), 플로우3(203), 플로우4(204), 플로우5(205), 플로우6(206), 플로우7(207), 플로우8(208), 플로우9(209), 플로우10(210), 플로우11(211), 플로우12(212)로 구성된 플로우차트(Follow chart).
  • 제2항에 있어서,
    플로우차트에의해 개발된 특정인앱(103)이 특정회원(102)이 쓴 글임을 인식하여 저장하고 순서대로 정리 하여 표출시키도록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한글 문자표, 유니코드 문자표 또는 수학식 기호 중에서 도면4의 4-2 또는 도면11의 11-1과같이 지정된 특정 태그 기호와 일련번호의 조합을 글앞에 붙여서 연재소설, 수필, 시, 칼럼, 일기, 강의 교재, 제품 사양서, 매뉴얼, 등의 글을 쓰는 방식.
  • 说明书全文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에서의 글쓰기 BM{The writing BM to Social Network System(SNS)}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등 다양한 형태의 컴퓨터 또는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 TV에서 이용하고 있는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등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 중에서 트위터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트위터 회원이 특정한 태그(Tag)와 번호를 붙여서 연속적으로 자신의 창작글, 의견, 강의내용 등을 트윗(Tweets)하면 다른 회원이 이글을 타임라인(Time line : Home밑에 글이 올라오는 부분)에서 볼때 그전에 쓴글을 역순으로 읽어 보지않고 처음 쓴 글부터 순서적으로 쉽게 읽어볼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앱스토어(App Store)를 통해 보급하고 특정한 태그를 부여받아 글쓰는 특정회원과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회사 및 앱 개발회사들이 특정회원용 앱을 일반회원이 다운받아 이용할때 지불하는 통신비에서 적정한 비� ��로 나누어 갖는 비즈니스 모델(BM)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SNS의 배경기술은 거의 비슷한데 트위터의 사용기술를 보면 특정회원(예: 이명우 @mwlee1, 이외수 @oisoo 달라이라마 @DalaiLama 등)이 연속적으로 자신의 의견이나 창작 소설, 수필, 시 , 강의교재 등을 텍스트 박스(글쓰는 박스)에 써서 트윗하면 (트위터에서는 140자로 제한되어 있어서 140자 보내고 다시 다음내용을 다음번 텍스트 박스에 글 내용을 이어서 써서 트윗한다) 트위터의 다른 회원이 이글(예: 이명우 @mwlee1의 글)을 자신의 타임라인에서 볼때 특정회원(예: 이명우 @mwlee1)의 글 뿐만아니라 다른 회원의 글도 위, 아래 끼어있어 글쓴사람의 연속적인 글 내용을 모르게 되고 이것을 찾아 읽을려면 타임라인 아래로 이동하여 찾거나 글쓴 사람의 ID를 Click하여 내용을 보는데 그내용도 역순이여서 순서적으로 쉽게 읽기가 불편하게 되어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 중에서 트위터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앱개발회사가 특정회원을 위한 특별한 태그와 번호를 만들고, 트위터의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특정회원의 특정 태그와 번호를 인식하여 글내용을 처음부터 읽을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보여주고 저장 및 편집 할수있는 기능과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download)가 되도록하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PC)에서 위와같은 기능들을 실행을 할수 있도록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특정회원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특정인앱)를 개발하고 개발된 특정이앱을 앱스토어 운영회사와 협의하여 앱스토어에 올려서 일반 트위터회원이 이 특정이앱을 다운받아 사용케하는 것이다.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 중에서 트위터로 예를들어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앱개발사)가 "특정한 태그와 숫자를 붙여서 트위터에서 글을쓰는 사람"(특정회원)의 ID와 태그를 인식하는 앱 소프트웨어(특정인앱)를 개발하고 이앱을 "앱스토어를 운영, 관리하는 회사"(앱운영사)와 이"특정인앱을 내려받는 일반 트위터 회원들"(앱이용자)이 지불하는 "앱 다운로드 통신비"(앱통신비)를 앱개발사와 앱운영사간에 일정비율로 나누어 갖는 계약을 맺고나서 앱개발사가 글을 쓰는 일반회원을 상대로 영업활동을 하여 모집한 특정회원과 앱개발사가 앱운영사로부터 받은 금액을 일정한 비율로 나눠 갖는 계약을 맺는것을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많은 일반 트위터 회원들도 자신의 특정인앱을 갖는 특정회원이 되어 트위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글을 마음대로 트위터의 타임라인에 올리면서 일정한 수익을 보장 받을 수 있게 되어 전업 창작활동 또는 강의를 하지 않고도 자신의 생업을 하면서 수익성있는 창업활동을 할수 있게 된다.

    특히 소설가, 수필가, 시인 등 인쇄매체를 이용하여 창작할동을 하는 문인들이나 전문 기술영역을 가르치는 교수나 강사들도 책 또는 신문 등 인쇄매체의 활용과 병행하여 수익성있으며 시간에 크게 구애를 받지않고 트위터의 특정회원으로 활동하여 새로운 인터넷 창작 문화활동을 전개할수 있는 효과를 볼수있다.

    뿐만아니라 앱이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 또는 다양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트위터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특정회원의 창작글 또는 전문 강의내용 등을 쉽게 읽어 볼수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포함한 소셜네트워크시스템(SNS)으로 이 BM이 보급, 확장된다면 21세기 새로운 문화 트랜드로 발전할수 있을것이다.

    도면 1 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표화하여 표시한 비즈니스 모델(BM) 구성도이다.
    도면 2 는 특정인앱 소프트웨어의 자동 실행순서를 표시한 플로우차트(Flow chart)이다.
    도면 3 은 트위터에서 자신의 ID를 갖고있는 일반회원이 트위터에 들어가서 시작하는 첫화면을 표시한것이다.
    도면 4 는 트위터에서 특정회원이 부여받은 태그를 이용하여 글을 쓰는 화면을 표시한것이다.
    도면 5 는 트위터의 타임라인에 특정회원이 부여받은 태그를 이용하여 쓴 글과 다른 회원의 글이 시간차를 두고 올라오는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6 은 트위터의 타임라인에 특정인의 글과 다른 회원의 글이 시간차를 두고 연속적으로 올라오는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7 은 트위터에서 특정회원이 부여받은 태그를 이용하여 쓴 마지막 글이 다른 회원의 글과 함께 타임라인에 올라온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8 은 트위터에서 특정회원의 ID를 click하여 특정회원이 태그와 숫자를 붙여서 연속적으로 쓴글을 마지막 쓴글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그전에 쓴글과 내용정리 표시기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9 는 트위터에서 특정회원 태그를 부여받아 처음 쓴글을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10 은 트위터에서 도면 8 에 나타난 내용정리 표시기를 click하였을때 특정인앱에의하여 특정회원의 처음 쓴글부터 마지막 쓴글을 글쓴 번호 순서대로 읽기 쉽게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11 은 페이스북에서 특정회원이 특정태그와 숫자를 붙여서 글을 쓰는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12 는 페이스북에서 특정회원이 특정태그와 숫자를 붙여서 쓴글을 친구들에게 보내도록 공유하기를 click하여 글이 타임라인에 올라온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면 1
    101 : 앱개발사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회사)
    102 : 특정회원 (앱개발사와 계약을 맺고 특정 태그를 붙여서 트위터 등 SNS에 글을 쓰는 사람)
    103 : 특정인앱 (앱개발사가 특정회원을 위해서 만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104 : 앱운영사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회사. 예 : KT, 삼성전자, 애플, 등)
    105 : 앱스토어 (앱운영사가 On-line상에서 앱을 판매하는 가게)
    106 : 앱이용자 (SNS회원으로서 특정인앱을 앱스토어에서 다은받아 이용하는 고객)
    107 : 앱통신비 (앱이용자가 특정인앱을 다운받고 지불한 통신비)
    108 : 1차분배 앱통신비
    109 : 2차분배 앱통신비
    110 : SNS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시스템 : Social Network System)
    도면 2
    201 : 플로우1 (Flow chart에서의 개시준비하는 실핼명령)
    202 : 플로우2 (click한 ID를 인식한것을 확인하는 실행명령)
    203 : 플로우3 (특정회원 ID가 맞는가 확인하는 실행명령)
    204 : 플로우4 (내용정리 표시기를 표출토록하는 실행명령)
    205 : 플로우5 (내용정리 표시기를 click한것을 인식하는 실행명령)
    206 : 플로우6 (특정 태그 확인후 태그가 붙은 글만 모아서 저장토록하는 실행명령)
    207 : 플로우7 (특정 태그의 번호 순서대로 내용을 정리하라는 실행명령)
    208 : 플로우8 (특정 태그의 번호순서대로 위에서 아래로 읽을수 있도록 화면에 표출토록하는 실행명령)
    209 : 플로우9 (정리 표시된 특정회원 화면에서 다른화면으로 이동하는것을 인식하는 실행명령)
    210 : 플로우10 (특정회원 ID가 아니면 실행을 종료하라는 실행명령)
    211 : 플로우11 (click할때까지 대기하라는 실행명령)
    212 : 플로우12 (트위터의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면 즉시 특정인앱을 종료하라는 실행명령)
    도면 3
    301 : 글을 써서 트윗할수있는 텍스트 박스
    302 : hanul30이란 ID를 가진 트위터 회원
    303 : hanul30 ID 회원의 인물사진
    304 : hanul30이란 ID를 가진 트위터 회원의 글
    도면 4
    401 : mwlee1이란 ID를 갖고있는 특정회원(이명우)
    402 : mwlee1 특정회원(이명우)이 부여받은 태그($)와 번호 순서로 쓴글
    403 : 텍스트 박스내에 쓴글을 트위터 타임라인에 올리는 트윗(tweet) 표시기
    404 : 타임라인에 올라온 다른 회원의 글
    405 : mwlee1 특정회원 특정회원이 태그와 번호($1)을 붙여서 쓴글을 트윗해서 타임라인에 올라온 상태 (태그번호 $1번의 글)
    도면 5
    501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1의 글위로 올라온 ID moonkok회원의 글
    502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2번의 글
    도면 6
    601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3번의 글
    602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4번의 글
    603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5번의 글
    604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6번의 글
    도면 7
    701 : mwlee1 특정회원의 태그 $7번의 마지막 글
    도면 8
    801 : 내용정리 표시기(

    : 특정태그의 글을 숫자순서로 표시토록 명령하는 표시기)


    도면 11


    11-1 : mwlee1 특정회원의 ID


    11-2 : mwlee1 특정회원이 쓴 태그 $1번의 글 내용


    11-3 : 일반회원의 ID(Seon Ho Jeong)와 글 내용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


    SNS : 소셜네트워크시스템(Social Network System)의 약자


    앱(App) :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약자


    앱스토어(App Store) : 앱을 파는 On-line 상점


    앱개발사 : 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


    특정회원 : 앱개발사로부터 특정한 태그를 부여받아 글쓰는 사람


    특정인앱 : 특정회원의 ID와 태그를 인식하는 앱 소프트웨어


    앱운영사 :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회사(예 : KT, 삼성전자, 애풀, 등)


    앱이용자 : 특정인앱을 내려받아 사용하는 일반 SNS회원들


    앱통신비 : 앱이용자가 앱 다운로드때 발생되는 통신비용


    <특정 태그 (예)>


    태그기호(예) : *, $, ₩, £, ¥, %, ※, &, 등


    태그 및 부착번호(예) : *1, *2, *3, ---, $1, $2, $3, --- $999 등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1 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표화하여 표시한 비즈니스 모델(BM) 구성도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어플리케이션(앱)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인 앱개발사(101)가 일반 SNS에 가입한 회원, 예를들어 트위터 회원을 상대로 영업활동을 하여 특정 태그를 붙여서 트위터등에 글을 쓰고, 앱통신비(107)중 일정한 비율로 수익을 나누어 갖는 것에 동의한 특정회원(102)과 계약을 맺고 이 특정회원(102)을 위해서 특정인 앱(103)을 만들고, 이 특정인앱(103)을 앱운영사(104)와 계약하여 앱스토어(105)에 올리도록 한다.

    트위터 일반회원 또는 팔로우 회원중에서 특정회원(102)의 영속적으로 올리는 창작글을 읽어보고 싶으나 타임라인에 올라오는 특정회원(102)의 글을 볼때 다른 회원의 글도 위, 아래 끼어있어 특정회원(102)의 타임라인에 올라온 현재의 글을 읽어도 연속적으로 쓴 과거의 내용을 모르게 되고 이것을 찾아 읽으려면 타임라인 아래로 이동하여 찾거나 특정회원(102)의 ID를 click하여 내용을 볼수있는데 그 내용도 역순으로 나열되어있어서 읽기가 불편하게 되어있다.

    이때 일반 트위터 회원이나 팔로우중에서 앱스토어(105)에서 일정한 금액의 앱통신비(107)를 지불하고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특정인앱(103)을 다운받아 이용하는 앱이용자(106)는 트위터(108)에서 특정회원(102)의 창작글을 특정인앱(103)을 구동하여 보다 편리하고 쉽게 특정회원(102)의 창작글을 읽어볼수 있게된다.

    앱운영사(104)는 앱개발사(101)와의 계약에의해서 앱통신비(107)중 일정비율로 나눈 1차분배 앱통신비(108) 금액을 앱개발사(101)에 지불하고 앱개발사(101)는 특정회원(102)과 계약한 내용에따라 1차 분배 앱통신비(108)중에서 2차분배 앱통신비(109) 금액을 특정회원(102)에게 지불한다.

    도면 2 는 특정회원(102)의 앱 소프트웨어인 특정인앱(103)의 구동순서를 표시한 플로우차트(Follow chart)로서 이 프로그램이 앱이용자(106)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등 기타 여러종류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어 플로우차트에서의 첫 번째 실행명령인 플로우1(101)으로 동작 개시준비를 하고 있다가 앱이용자가 사용중인 트위터에서 특정회원(102)의 ID를 click하면 플로우2(202)에서 click 한것을 인식 하고 플로우 3에서 특정회원의 ID가 맞으면 다음 플로우4를 실행하고 ID가 틀리면 플로우10(210)을 실행하여 종료토록 한다.

    플로우4(204)에서는 특정회원(102)의 전용화면( 도면 8 참조) 상부의 편리한 공간에 내용정리 표시기 <예:

    (801)> 을 표출시키다. 앱이용자(106)가 내용정리 표시기(801)를 click하면 플로우5(205)에서 click을 확인한후 플로우6(206)에서 특정태그가 붙어있는 글들을 전부 확인한후 이를 모아서 별도로 저장한다.

    만약 내용정리 표시기(801)를 click하지 않으면 플로우11(211)에서 click 할때까지 동작을 대기하다 다시 click하면 플로우6(206)으로 넘어간다. 계속 click 할때까지 동작을 대기하다가 플로우9(209)가 실행되면 플로우12(212)가 실행되어 특정인앱(103)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플로우6(206)이 실행되면 다음으로 태그에 붙어있는 숫자를 확인하여 숫자 순서대로 글 내용을 정리하는 플로우7(207)을 실행하고 그다음 정리된 내용을 도면 10 과같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플로우8(208)을 실행하여 앱이용자(106)가 특정회원(102)의 창작글을 쉽게 읽어보도록 한다.

    앱이용자(106)가 글을 다 읽어보고 트위터의 다른화면으로 이동하면 이를 플로우9(209)에서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플로우12(212)를 실행하여 특정인앱(103)의 구동을 종료시킨다.

    도면 3 은 SNS중에서 트위터의 화면을 표시한 것으로 글을써서 트윗 할수있는 텍스트 박스(301), 그리고 Home의 타임라인에 올라와 있는 일반회원인 hanul30이란 ID (302)를 가진 트위터 회원의 얼굴사진(303)과 이 회원의 글(304) 내용 및 그전에 타임라인에 올라와 있던 다른 회원의 글내용을 보여 주고 있다. 이렇게 트위터의 타임라인에는 일반회원이 글을 써서 트윗한 순서대로 시간표시하여 위에서 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순차적으로 표출된다.

    도면 4 의 상단은 특정회원(102)이 앱개발사(101)로부터 부여받은 상기 본문의 특정 태그 <특정태그(예) 참조>를 이용하여 트위터에서 자신의 창작글을 쓰는 상황을 표시한 화면이다.

    이화면에는 특정회원(102)의 예로든 ID mwlee1회원(401)이 앱개발사 (101)로부터 부여받은 특정태그와 번호인 $1(4-2)를 사용하여 창작글을 쓴 내용을 보여주고 있으며 또한 쓴글을 트위터 타임라인에 올리는 트윗(tweet) 표시기(403)를 보여주고 있는 화면이다.

    이화면의 타임라인에는 2min9이란 ID(404)를 갖는 다른 회원의 글이 올라와 있는것도 볼수 있다.

    도면 4 의 하단은 특정태그와 숫자를 앞에두고 쓴 창작글을 트윗(4-3)한후 타임라인에 올라와 있는 ID mwlee1회원(401)의 ID와 특정태그 및 숫자(mwleel $1)와 함께 올라온 창작글(4-5)을 볼수가 있으며 이글(4-5) 때문에 일반회원인 ID 2min9의 글(4-4)이 밑으로 내려가 있음을 볼수 있다.

    도면 5 의 상단은 ID mwlee1회원(401)이 트윗해서 올린 글 $1(4-5)위에 일반회원인 ID moonkok(5-1)의 글이 올라와 있음을 볼수 있으며 이것은 트위터의 타임라인 구성상 일반회원이나 팔로우 회원이 트윗한 시간 순서대로 글이 계속 올라오는 것 때문이다.

    도면 5 의 하단에는 ID mwlee1회원(401)이 트윗해서 올린 글 $2(5-2)이 일반회원인 ID moonkok(5-1)의 글위에 올라오는것을 볼수있다.

    도면 6 의 상단도 ID mwlee1회원(401)이 부여받은 특정태그를 이용하여 연속해서 타임라인에 올린 글 $3(6-1)과 $4(6-2)의 창작글을 볼수 있다.

    도면 6 의 하단에도 ID mwlee1회원(401)이 부여받은 특정태그를 이용 하여 연속해서 타임라인에 올린 글 $5(6-3)과 $6(6-4)의 창작글이 다른 일반회원의 글사이에 올라와 있음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면 7 도 ID mwlee1회원(401)이 마지막으로 타임라인에 올린 글 $7 (7-1)의 창작글이 다른 일반 회원의 글위로 올라와있음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위 도면에서 볼수 있듯이 ID mwleel회원(401)의 창작글을 트위터의 친구들 (Followers)이나 다른 회원들이 볼때 현재의 트위터나 기타 SNS에서는 최근에 올린 시간 순서대로 타임라인에 내용을 표시하기 때문에 특정회원(102)이 자신의 글(연재소설, 수필, 시, 칼럼, 일기, 강의 교재, 제품 사양서, 매뉴얼, 등)을 계속해서 올려도 다른 회원의 글이 중간에 계속 끼어서 보기가 곤란 하게되고 특정회원(102)이 몇시간후에 또 글을 쓴다면 이글을 타임라인에서 다른 회원이 봤다 하드라도 타임라인에 수십개 이상의 여러회원의 글이 쌓여 있어서 몇시간전의 ID mwlee1회원(401)의 글을 찾아서 보기가 어렵게 되는 이유이다.

    ID mwlee1회원(401)의 연속된 글을 쉽게 읽어 볼려면 타임라인에서 ID mwlee1 회원(401)의 ID를 click 하여 글쓴 내용을 전부 보아야 하는데 이것도 처음이 아니고 마지막에 쓴글 순서로 되어 있어 보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도면 8 은 ID mwlee1회원(401)의 쓴글이 $7(7-1)부터 아래로 $6(6-4), $5(6-3), $4(6-2), $3(6-1) 및 $2(5-2)로 보여주는 ID mwlee1회원(401)의 전용화면이며 화면 상부에 있는 내용정리 표시기(8-1)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면 9도면 8 의 화면을 아래로 내려가면서 보이는 $1(4-5)의 글과 그이전에 쓴 다른글의 내용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면 10 은 앱이용자(106)가 ID mwlee1회원(401)의 도면 8 의 전용화면 에 있는 내용정리 표시기(801)를 click하였을때 특정인앱(103)에의하여 특정태그로 표시되어 처음 숫자부터 아래로 내려가며 태그번호 순서대로 창작글을 나열한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이화면은 창작글이 역순이 아니기 때문에 앱이용자(106)가 처음부터 읽기가 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 11 은 SNS중에서 페이스북의 화면을 표시한 것으로 특정회원(예: 이명우)의 ID(11-1)및 부여받은 특정태그와 숫자를 사용하여 글을 쓰는 상태(11-2)와 타임라인에 올라와 있는 다른회원의 ID와 쓴글(11-3)을 표시한 화면이다.

    도면 12도면 11 의 특정회원(예: 이명우)이 특정태그와 숫자를 표시하여 쓴글(11-2)이 공유하기 표시기를 click하여 타임라인에 올라온 상태를 표시한 화면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