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휴대 단말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申请号 KR1020060083090 申请日 2006-08-30 公开(公告)号 KR1020070026167A 公开(公告)日 2007-03-08
申请人 훼리카네트워크스 카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시게키와카사; 준오기시마; 타카히로시미즈;
摘要 An application service system, a portable terminal device, a server device, an application service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are provided to enabl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o decide whether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ID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included in a transmission message exists in the terminal device, so as to smoothly service desired information to a user of the terminal device. A portable terminal device(100) has an IC(Integrated Circuit) chip capable of condu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mprises the followings. A transmission message receiver(102) is disposed within the IC chip configured to receive a transmission message which includes ID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executed by the terminal device(100), from a server device(200). An application decider(104) decides whether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D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exists in the terminal device(100). If not, an application transmission request generator(108) generate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identified application to the terminal device(100) from the server device(200). An application storage(114) stores the app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device(200).
权利要求
  •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으로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 및
    서버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디바이스를 통신망을 사용하여 접속시키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된 상기 IC칩 내에 마련된 전송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판정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판정부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생성부,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할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전송 메시지 생성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송 메시지 전송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로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접수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
    각각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관련된 것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전송부
    를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 디바이스와 접속되고,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서: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된 상기 IC 칩에 마련된 전송 메시지 수신부,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판정부,
    상기 애플리케이션 판정부가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생성부,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제어하는 , 휴대 단말 디바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IC 칩은:
    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서버 디바이스와 접속된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와 근거리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거쳐서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시지는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판정부는 각각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의 상기 부분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각각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
  • 통신망을 거쳐서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접 속된 서버 디바이스로서: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로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구성된 전송 메시지 생성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전송 메시지 전송부;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로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
    각각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관련된 것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전송부
    를 구비하는, 서버 디바이스.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송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요구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서버 디바이스.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하는데 사용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버 디바이스.
  •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사용하여 접속된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IC 칩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판정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판정 결과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고,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할 것을 상기 서버에 요청하기 위해 상기 요청을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 및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서버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의 상기 결과가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서버 디바이스에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 요청의 생성 및 전송 단계;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거쳐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서버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청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상기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说明书全文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휴대 단말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APPLICATION PROVIDING SYSTEM, PORTABLE TERMINAL DEVICES, SERVER DEVICE, APPLICATION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휴대 단말 디바이스 및 서버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 전송 메시지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통신 IC 칩을 채용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처리의 흐름의 설명을 언급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휴대 단말 디바이스 및 서버 디바이스 간에 교환된 정보의 흐름의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휴대 단말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 및 PC 간에 교환된 정보의 흐름의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각각 나타난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 단말 디바이스, 102: 전송 메시지 수신부, 104: 애플리케이션 판정부, 106: 전송 요구 전송부, 108: 전송 요구 생성부, 110: 애플리케이션 수신부, 112: 디스플레이부, 114: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120: 비접촉-통신형 IC 칩, 126: 컨트롤러, 200: 서버 디바이스, 202: 전송 메시지 생성부, 204: 전송 메시지 전송부, 206: 전송 요구 수신부, 208: 애플리케이션 취득부, 210: 애플리케이션 기억부, 212: 애플리케이션 전송부, 300: 네트워크, 400: 리더/라이터, 500: PC.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휴대 단말 장치, 서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서버 디바이스가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로 자동적으로 다운로드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포 함한다. 따라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IC 칩과의 사이에 비접촉식으로 통신을 행해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 간의 교환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통상,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IC 칩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중에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할 수 없다. 컨트롤러와의 통신 중에는, 한편, IC 칩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디바이스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정보 및 특수 명령을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명령에 따라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8044에 개시된 것과 같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서의 실행을 위해 외부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IC 칩이 상기 특수 명령을 수신하면,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상태로 천이(遷移; transit)한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이 천이한 타이밍에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지정(指定; specifying)하는 정보로서 취득하며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그러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회사의 Web 사이트 등으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다운로드하여 취득하지 않는 한, 유저는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사용 자는 서비스 회사에 애플리케이션을 요구하기 위한 전자 메일을 전송하거나 서비스 회사의 Web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요구하기 위한 조작은 귀찮기(cumbersome; 성가시기) 때문에, 일부의 경우, 유저는,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을 하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얻는 것을 단념(斷念)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URL의 오입력(誤入) 등에 의해 유저가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전술한 것처럼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저는, 원하는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취득하더라도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서비스 회사는 불가피하게 요구된 정보 자체를 유저에게 제공할 기회를 손실(損失)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매끄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의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새롭고 또한 개선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휴대 단말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서버 디바이스로부터의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 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IC 칩 내부에 제공된 전송된 메시지 수신부; 및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애플리케이션 판정부가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생성부; 및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格納; store)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서버 디바이스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될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 메시지 생성부; 및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또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로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구를 접수(受付; accept)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受付部; receiver section); 및 애플리케이션과 각각이 애플리케이션의 관련된 것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관련(關連; associating)지음으로써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애 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수신부에 의해 접수된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전송부를 구비한다.

    상기 파라미터 정보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에게 유저가 요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미리 결정된 처리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 정보이다.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는 미리 결정된 ID나 URL 등에 의해 식별가능한 정보로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전술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따르면, 서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전성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없는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에 대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을 요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유저가 URL 입력 등의 귀찮은 조작을 하지 않고, 전송 메시지 수신으로 시작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으로 종료하는 처리를 일련(一連)의 흐름으로 매끄럽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에 대해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유저의 조작없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장소(配布場所; 존재하는 위치)를 미리 파악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유저가 단지 간이(簡易; simple)한 조작으로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 에 존재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는, 보다 확실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고,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 및 서버 디바이스로부터의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IC 칩 내에 마련된 전송 메시지 수신부; 및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의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판정부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애플리케이션 판정부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식별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생성부; 및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형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또한 포함하는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서버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고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며, 이 요청을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식별 정보는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 자동적으로 설치되며, 정보를 유저에게 매끄럽게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미리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실행을 위한 컨트롤러를 또한 포함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러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며, 이는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IC 칩은: 서버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된 외부의 통신 디바이스와 근거리의 비접촉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및 컨트롤러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 1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제 2 통신부를 통해 제어기로 전송된다. 이 구성에서, IC 칩이 제1 통신부에 의한 외부의 통신 장치와의 통신으로부터 제2 통신부에 의한 컨트롤러와의 통신으로의 전환(切替; switching) 및 이와 반대의 경우의 전환을 행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매끄럽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송 메시지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사양(仕樣; specifications)에 따른 복수(複數; plurality)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하는데 사용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전송된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된 서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서버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와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로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될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전송 메시지 생성부; 및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요구에 따라서,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전송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로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구를 접수하는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 수신부; 각각이 애플리케이션의 연관된 것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각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을 관련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및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수신부에 의해 접수된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전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전송부는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얻고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성을 가진 서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서버 디바이스는, 파라미터 정보와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에,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도, 유저가 URL 입력 등의 귀찮은 조작을 하지 않고,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매끄럽게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가 단지 간이한 조작으로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는, 보다 확실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송 메시지 생성부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구성을 가진 서버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가능한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된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IC 칩이, 파라미터 정보와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단계;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애플리케이션 판정부를 구동하는 단계; 휴대용 단말 디바이스가 전송 요청을 생성하도록 구동하는 단계로서, 판정 결과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가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도록 하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할 것을 서버 디바이스에 요청하기 위해 서버 디바이스로 요청을 전송하도록 휴대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단계;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망을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서버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실행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라미터 정보 및 서버 디바이스로부터의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전송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결정의 결과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 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고, 서버 디바이스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서버 디바이스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IC 칩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 및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연결된 서버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실행될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라미터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에 따른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파라미터 정보에 근거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의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으로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요청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저장되고, 컴퓨터가 구비하는 CPU에 읽어들여서(讀入; read out) 실행된다. 이렇게 하여, 컴퓨터는 정보-처리 디바이스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디바이스는 전술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 또는 서버 디바이스의 역할을 한다. 더욱이, 유저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 기록 매체도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에 따라 실행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다.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磁氣)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존재를 판단해서,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매끄럽게 취득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휴대 단말 디바이스, 서버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기능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을 구비하는 구성 요소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본 특허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 및 명세서 내에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것처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a, 100b, 100c), 서버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300)와, 리더/라이터(400a, 400b), PC(Personal Computer)(500) 등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a,100b 및 100c)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a,100b 및 100c)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일반 참조 번 호(100)로 각각 디스플레이된다. 마찬가지로, 리더/라이터(400a 및 400b)는, 리더/라이터(400a 및 400b)를 서로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일반 참조 번호(4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서버 디바이스(200)는, 파라미터 정보와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후, 서버 디바이스(200)는 전송 메시지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휴대 단말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파라미터 정보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에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애플리케이션에 소정의 처리를 실행시키거나 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입력 데이터로서 "Hello"를 디스플레이하라고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게 요청하는 정보이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파라미터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Hello"를 입력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할 것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에 요청하는 파라미터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Hello"를 디스플레이한다. 대안으로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제공할 애플리케이션을 보유(保有; hold)하고 있으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네트워크(300)를 거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10)은 복수의 서버 디바이스(200)가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서버 디바이스에 대한 다른 유형의 서버 디바이스 및 서버 디바이스에 의해 보유된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데 사용된 애플리케이션 서버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서버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웹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이들 서버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300)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100)로부터 생성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이후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생성하며 이 요청을 서버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요구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해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서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게임기기, 시계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서버 디바이스(200)는 전송 메시지를 리더/라이터(400) 또는 PC(500)를 거쳐 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PC(500)가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리더/라이터(400)를 거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나 PC(500)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Web 페이지를 보유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또는 PC(500) 각각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또는 PC(500)로 전송 메시지가 포함된 Web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Web 페이지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의해, 또는 서버 디바이스(200) 이외의 장치에 보유될 수 있다.

    리더/라이터(400)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1예이며,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비접촉-통신 IC 칩으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리더/라이터(400)는 또한 PC(500)에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독립 디바이스로서 케이블로 PC(500)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다른 대안으로서, 리더/라이터(400)는 네트워크(300)를 거쳐서 독립된 디바이스로서 서버 디바이스(200)에 연결될 수 있다.

    PC(500)는, 네트워크(300)를 거쳐서 서버 디바이스(200)에 의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해서,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하도록 리더/라이터(400)에 지시한다. 또한, PC(5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Web 페이지를 수신해서, Web 페이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리더/라이터(400)를 거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리더/라이터(400)가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되는 경 우에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 가능한 비접촉-통신형의 IC 칩을 구비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리더/라이터(400)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통신형 IC 칩에 의해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파라미터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비접촉 통신형의 IC 칩은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내의 컨트롤러에 전송한 다음, 제어기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한다.

    예를 들면, 리더/라이터(400)는 또한 비접촉 통신형의 IC 칩으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통신 제어 명령을 전송 메시지와 함께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비접촉 통신형 IC 칩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와의 통신을 매끄럽게 행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더/라이터(4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비접촉-통신형 IC 칩으로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 메시지와 통신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통신 제어 명령을 수신한 비접촉 통신형 IC 칩은 리더/라이터(400)와의 통신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와의 통신으로 전환해서, 컨트롤러에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비접촉-통신형 IC 칩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IC 카드 상에 배치됨으로써,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내의 카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내의 카드 슬롯에 삽입된 IC 카드는 리더/라이터(4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300)는, 서버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또는 리더 /라이터(400) 또는 PC(500)를 쌍방향(雙方向; duplex)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서버 디바이스(200)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PC(500) 또는 리더/라이터(400)로 접속하는 통신 회선망이다. 네트워크(300)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의 예로는, 인터넷, 전화 회선망 또는 위성 통신망 등의 공중 회선망(公衆回線網; public-line network)이나, WAN, LAN, IP-VPN 등의 전용 회선망(專用回線網; dedicated-line network) 등이 있다.

    이상,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및 서버 디바이스(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및 서버 디바이스(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전송부(106)와,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생성부(108)와,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와, 디스플레이부(112) 및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 등을 구비한다.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파라미터 정보와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 보를 포함한다.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의 1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전송 메시지에는, 전송 파라미터(150)와, 헤더(header)(152)와, 풋터(footer) 정보(160)가 포함된다. 전송 파라미터(150)에는, URL(154), ID(156), 파라미터 정보(Param_(158) 등이 포함된다. Param(158)는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 정보이다. URL(154)과 ID(156)는, Param(158)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에 사용된 식별 정보이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되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ID(156) 또는 URL(154) 등에 의해 식별가능한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사업자 D사(社) 사양의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URL(154)로 식별한다. 이동 통신 사업자 K사 및 V사 사양의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ID(156)로 식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 메시지에 URL(154)과 ID(156)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사양이 서로 다른 휴대 통신사(D사, K사 및 V사)가 제조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각각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휴대 단말 디바이스 내에 애플리케이션의 존재 가부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 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애플리케이션이 올바르게 실행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이 정확하게 실행된다고 하는 것은,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원하는 정보가 성공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말한다.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내에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는 판정 결과를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생성부(108)에 제공한다. 반면,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가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애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는 디스플레이부(112)에 디스플레이된다.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생성부(108)는,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로부터 수신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판정부(104)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생성부(108)는 서버 디바이스(200)가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것을 요구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 전송 요구 생성부(108)에 의해 생성된 전송 요구로서의, 전송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전송부(106)에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전송부(106)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전송부(106)는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생성부(108)에 의해 제공된 전송 메시지를 서버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1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CR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상,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했다. 다음으로, 서버 디바이스(200)의 기능 구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디바이스(200)는, 전송 메시지 생성부(202), 전송 메시지 전송부(204),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수신부(206), 애플리케이션 취득부(208), 애플리케이션 기억부(210)와, 애플리케이션 전송부(212)를 구비한다.

    전송 메시지 생성부(202)는, 파라미터 정보 및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 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전송 메시지 생성부(202)는, 생성한 전송 메시지를 전송 메시지 전송부(204)에 제공한다.

    전송 메시지 전송부(204)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전송 메시지 전송부(204)는 전송 메시지 생성부(202)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전송 요구 수신부(206)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전술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 요구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애플리케이션 취득부(208)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기억부(210)로부터 취득하기 위한 부분이다. 애플리케이션 취득부(208)는,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전송부(212)에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기억부(21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데 사용된 메모리이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기억부(210)이다. 애플리케이션 기억부(210)는, 또한 서버 디바이스(200)와는 별도의 서버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전송부(212)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애플리케이션 전송부(212)는, 애플리케이션 취득부(208)에 의해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하는 기능 을 가진다.

    지금까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및 서버 디바이스(2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리더/라이터(400) 또는 PC(500)를 거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 메시지를 취득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리더/라이터(400)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 비접촉-통신형의 IC칩을 구비한다. 즉, 비접촉-통신형의 IC 칩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다음과 같이 도 4를 참조하여, PC(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성에서, PC(500)는 리더/라이터(400)를 포함한다. 그러나, PC(500)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PC(500)와 분리된 리더/라이터(400)는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PC(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500)는 CPU(502), 메모리(504), 입력부(506), 디스플레이부(508), 통신부(510), 하드 디스크(512), 리더/라이터(400)를 포함한다. CPU(502)는, 연산 처리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로서 기능하고, PC(50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 처리를 제어한다. 메모리(504)는, 일반적으로 ROM 및 RAM이다. 메모리(504)는 CPU(502)에 의해 수행된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 및 CPU(502)에 의해 실행된 동작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데 사용된 기억부의 기능을 가진다.

    입력부(506)는, 입력 디바이스 및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부분을 구비한다. 입력 디바이스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8)는, CPU(502)에 의해 발행된 명령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인터페이스 부분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CR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통신부(510)는, 예를 들면 통신 회선, 통신 회로, 통신 디바이스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 통신부(510)는, 서버 디바이스(200)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300)를 거쳐서, 전송 메시지의 교환을 행할 수가 있다.

    하드 디스크(512)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데이터 저장용의 장치이며, 운영 체제(OS)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이 하드 디스크(512)는 기억부의 1예이며, 하드 디스크(512)에는, 브라우저(514)와, 리더/라이터용 드라이버(518)가 포함된다. 브라우저(514)나 리더/라이터용 드라이버(518)는, 하드 디스크가 아니라, 메모리(504)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리더/라이터(4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비접촉-통신형 IC 칩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리더/라이터(400)와 비접촉 통신형 IC 칩은, 10㎝ 정도의 좁은 범위 내에 있어서만 비접촉식에 통신을 행할 수가 있는, 13. 56㎒의 RF 반송파 주파수와 최대 212Kbps의 통신 속도를 가지는 근거리 무 선 규격(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따라서 행해질 수 있다.

    하드 디스크(512)에 저장되는 리더/라이터용 드라이버(518)는, 리더/라이터(400)를 CPU(502)가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이상, PC(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비접촉 통신형의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과, 메모리(122)와, 컨트롤러(124)와, 수신 애플리케이션(126)과, 애플리케이션(128)과, 안테나(132) 등을 포함한다.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구비하는 안테나(132)로부터 교류 전압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비접촉-통신형 IC 칩(120)과 리더/라이터(400) 간의 통신이 비접촉식으로 행해질 때, 안테나(132)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 전압으로서 리더/라이터(400)에 의해 생성된 자계(磁界)에 기초한 유도(誘導; induction) 전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동된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은 이후 안테나(132)를 통해 무선 통시에 의해 리더/라이터(400)와의 데이터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은, 일반적으로 정류(整流; rectification) 회로, 전원 발생부, 복조기, 변조기, 수신기, 전송기, CPU, ROM, 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암호 엔진, RNG(Random Number Generator), CRC(Cyclic Redundancy Check) 회로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이 구비되어 있는 경 우에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 마련된 전송 메시지 수신부(102)가 리더/라이터(400)를 거쳐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애플리케이션-전송 요구 전송부(106) 및 애플리케이션 수신부(11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의 전송을 위한 요청으로서 서버 디바이스(200)로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요청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기 위해 서버 디바이스(200)에 접속된다.

    정류 회로는, 안테나(132)로부터 수신된 AC 전압을 정류하고, 전력 생성부에 정류의 결과로 얻어진 DC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력 생성부는, 수신된 DC 전압으로부터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서 사용될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복조기는, 안테나(132)를 거쳐서 수신된 신호를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서 처리될 수 있는 전자 신호로 복조하고 전자 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변조기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으로부터 안테나(132)를 거쳐서 리더/라이터(400)에 전송될 전기 신호를, 비접촉식 통신으로 전송될 수 있는 신호로 변조하는 구성요소이다.

    CPU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 내에서의 전력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전압에 의해 작동하기 위해 구동된 연산 처리 장치이다. CPU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 채용된 모든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ROM은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플랫폼으로 되는 운영체제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다음 설명에서, 운영 체제는 OS라고 한다.

    반면, RAM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OS를 임시로 저장하는데 사용 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EEPROM은 주로, 유저 데이터의 저장용 메모리이다. 그러나, EEPROM은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OS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EEPROM 대신에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암호 엔진은, 외부 디바이스와 교환된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디바이스이다. RNG는, 암호화 처리에서 암호 열쇠에 사용하는 난수(亂數)를 발생시키는 디바이스이다. CRC 회로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순회 용장(巡回冗長; cyclic redundancy)을 검사(檢査; examining)하기 위한 회로이다.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이 리더/라이터(400)로부터 수신한 전송 메시지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 내의 RAM에 저장된다. 리더/라이터(400)로부터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 의해 수신된, 전송 메시지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에 이용된 RAM에 저장되고, 통신이 종료하면,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은 컨트롤러(124)에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통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400)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으로 전송 메시지와 함께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된 명령은 비접촉-통신형 IC 칩(120)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제 1 통신부와 제 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는 리더/라이터(400)와 비접촉-통신형 IC 칩(120)과의 사이에서 근거리의 비접촉식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반면, 제 2 통신부는 비접촉-통신형 IC 칩(120)과 컨트롤러(124)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부분이다. 제1 통신부를 거쳐서 리더/라이터(400)에 의해 전송된 전송 메시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명령을 수신한, 비접촉-통신 IC 칩(120)은, 리더/라이터(400)와 비접촉-통신 IC 칩(120) 사이의 통신을 컨트롤러(124)와 비접촉-통신 IC 칩(120) 사이의 통신으로 전환하여, 전송 메시지를 제 2 통신부를 거쳐 컨트롤러(124)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비접촉-통신 IC 칩(120)의 통신을 제어하는 명령에 따라 리더/라이터(400)와 비접촉 통신 IC 칩(120) 간의 단거리 비접촉 통신형의 통신을 컨트롤러(124)와 비접촉 통신 IC 칩(120) 사이의 통신으로 전환함으로써,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리더/라이터(400)로부터 전송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메모리(122)는, ROM 및 RAM을 포함한다. 메모리(122)는 컨트롤러(124)에 의해 수행된 제어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 컨트롤러(124)의 동작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컨트롤러(124)는, 상술한 제2 통신부를 거쳐서 비접촉-통신 IC 칩(120)에 의해 전송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컨트롤러(124)는, 비접촉-통신 IC 칩(120)으로부터 전송 메시지를 수신할 때, 컨트롤러(124)는 비접촉-통신 IC 칩(120)으로부터 수신된 전송 메시지를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에 제공한다.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은, 이후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한다.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인 ID(156) 또는 URL(154)에 의해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A(130)은 "feliCaNW"의 ID(156)에 의해 식별가능한 상태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된다.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ID=feliCaNW"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로부터 검색한다. 애플리케이션A(130)이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되었으므로, 수위 애플리케이션(126)은 검색 작동에서 애플리케이션A(130)을 검출하고 파라미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A(130)에 분배한다. 애플리케이션A(130)은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해 실행된다.

    다른 예로서, 애플리케이션 A(130)이 "http://www. felicanetworks. co. jp/appli. jam"의 URL(154)에 의해 식별가능한 상태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에 저장되었다고 하자. 또한 전송 메시지로부터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에 의해 추출된 식별 정보는 http://www. felicanetworks. co. jp/appli. jam"의 URF(154)이다. 이러한 경우,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http://www.felicanetworks.co. jp/appli. jam"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저장부(114)로부터 검색한다. 그러면, 수취 애플리케이션(126)은 식별 정보가"URL=http://www. felicanetworks. co. jp/appli. jam"인 애플리케이션 A(130)에 파라미터 정보를 제공한다. 전술한 것처럼, 파라미터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A(130)의 실행의 기반으로서 컨트롤러(124)에 의해 사용될 것이다.

    이상, 비접촉-통신형 IC 칩을 구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음으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다음 설명은 본 실시예 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실행된 처리 절차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또한, 처리 절차의 설명에서 참조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나타난 처리 절차에서, 전송 메시지는 리더/라이터(4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그러나, 처리 절차는 단지 일반적인 절차이며, 전송된 메시지의 전송 소스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송 메시지는 또한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또는 PC(5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수 있다.

    우선, 흐름도의 스텝 S102에서, 리더/라이터(R/W)(400)는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더/라이터(400)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비접촉-통신 IC 칩은 10㎝ 정도의 좁은 범위 내에서만 비접촉식으로 서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유저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를 리더/라이터(400)에 충분히 가까운 위치에서 들고 있으면, 다음 단계(S104)에서 비접촉식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다음 단계(S106)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단계 S104에서 수신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인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6에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20으로 이동한다. 반면, 판정 결과가 단계 S106에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 재하지 않는다고 가리키는 경우,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08로 이동하며, 이 단계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된 정보로서 단계 S104의 프로세스에서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8에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20로 이동한다. 한편, 단계 S108에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10로 이동하며, 이 단계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접속한다. 서버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이동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로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른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에 접속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D 이동 통신사의 사양이면 단계 S112에서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 D에 접속된다고 가정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K 이동 통신사의 사양이면 단계 S114에서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 K에 접속된다.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V 이동 통신사의 사양이면 단계 S116에서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 V에 접속된다. 그러면, 다음 단계 S11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이에 접속된 정보-제공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유래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설치한다.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설치하는 프로세스 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단계 S118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설치 초기에,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이 시기에서,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602)가 스크린 상에 나타나고, 유저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승낙(承諾)한다고 입력한 경우,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604)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의해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신되는 중이라고 나타내는 스크린이 뜬다.

    단계 S11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 내의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 처리 절차의 흐름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단계 S120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것처럼, 스텝 S106 또는 스텝 S108에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ID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한다고 가리키는 경우,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20으로 이동하며, 이 단계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이미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초기에, 도 9에 도시된 일반적 스크린 디스플레이(606)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이 때,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606)가 스크린 상에 나타나고, 유저가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수락을 나타내는 입력을 입력한 경우,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608)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

    애플리케이션이 스텝 S120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기동된 후, 처리 절차의 흐름은 단계 S122로 이동하며, 이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Hello! "를 디스플레이할 것을 요청한 경우,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도 9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크린 디스플레이(608)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스크린 상에 "Hello!"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된 처리 절차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함으로써, 다음 설명은 서버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와의 사이에서 교환된 정보의 흐름을 설명한다.

    정보의 흐름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가 서버 디바이스(200)에 전송 메시지에 대한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 S202로 시작한다. 그러면, 다음 단계 S202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요청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 후속적으로, 다음 단계 S206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생성된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 서버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의해 요청되지 않은 경우라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6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파라미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후, 다음 단계 S20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 해 판정한다. 단계 S208에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타내는 경우, 다음 단계 S210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에 대한 요청을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210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단계 S210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요청을 서버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단계 S212에서,스텝 S212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 서버 디바이스(200)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고 있는 다른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다(S214). 서버 디바이스(200)는, 스텝 S214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S216).

    단계 S212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애플리케이션의 전송 요구를 수신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S214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기억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기억하고 있는 다른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후속적으로, 서버 디바이스(200)는, 스텝 S214에서 행해진 프로세스에서 취득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

    단계 S216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S21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후속적으로, 단계 S220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단계 S218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며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단계 S222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단계 S220에서 행해진 프로세스의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 서버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와의 사이에서 교환된 정보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PC(500)에 리더/라이터(400)가 구비되고,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비접촉-통신형 IC 칩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위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와 서버 디바이스(200)와 PC(500)와의 사이에 교환된 정보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흐름도는 PC(500)가 서버 디바이스(200)로 전송 메시지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제 1 단계(S252)로 시작된다. 이후, 다음 단계(S254)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PC(500)로 요구된 전송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254에서, PC(5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요구된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56에서, 수신된 전송 메시지에 기초해, PC(500)는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채용된 비접촉-통신 IC 칩으로 PC(500)에 채용된 리더/라이터(400)로부터 전송가능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PC(500)는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채용된 비접촉-통신 IC 칩에 채용된 리더/라이터(400) 사이에 교환가능한 전술한 전송 메시지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양식을 갖는 데이터로 전송 메시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단계 S256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휴대 단 말 디바이스(100)에 채용된 비접촉-통신 IC 칩으로 PC(500)에 채용된 리더/라이터(400)로부터 전송가능한 전송 메시지를 생성한 후, 다음 단계 S258에서, PC(500)은 전송 메시지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채용된 비접촉-통신 IC 칩으로 전송한다.

    단계 S25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며, 이는 PC(500)로부터의, 파라미터 정보와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60에서 생성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나타내는 경우, 다음 단계 S262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에 대한 요구를 생성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 S262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단계 S262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생성된 요구를 서버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단계 S264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의 애플리케이션 전송에 대한 요구를 수신한다. 이후, 다음 단계 S266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서버 디바이스(200)에 채용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로부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는 다른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다음으로, 다음 단계 S268에서, 서버 디바이스(200)는 단계 S266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서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로 전송 한다.

    단계 S268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서버 디바이스(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이후, 다음 단계 S270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 S272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 S270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해서,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다음 단계 S272에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는 단계 S272의 프로세스에서 파라미터 정보에 의거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274).

    이상, 휴대 단말 디바이스(100)와 서버 디바이스(200)와 PC(500)와의 사이에 교환된 정보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서,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유저에게 원하는 정보를 매끄럽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판정 결과가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경우에도, 휴대 단말 디바이스는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매끄럽게 획득할 수 있으며, 유저가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URL 입력 조작 등의 귀찮은 조작을 하지 않고, 휴대 단말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매끄럽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간이한 조작으 로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을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얻을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회사는 보다 확실하게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변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변경예 및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즉, 당업자는 다양한 변경, 결합, 하위-결합 및 변형이 첨부된 청구항 또는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은 설계 및 다른 요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원하는 정보는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결코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송 메시지에 또한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 데이터는 재기록 작동 시에 업데이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재작성 작동 시에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휴대 단말 디바이스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도,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하는 재작성 작동은 단순한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는 동안, 이러한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변경예 및 변형예는 다음 청구항의 정신 또는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