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电学 / 电通信技术 / 电话通信 / 专门适用于与其他电系统组合的电话通信系统 /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 서버 및 전자기기 관리 방법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 서버 및 전자기기 관리 방법

申请号 KR1020167016977 申请日 2015-01-20 公开(公告)号 KR1020160090374A 公开(公告)日 2016-07-29
申请人 아플릭스 아이피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코리야마류; 아다치에이지; 시라카와타카히로;
摘要 전자기기가무선신호를송신하고, 그무선신호를수신한통신단말이, 무선신호에포함되는그 전자기기의상태를나타내는상태정보와, 전자기기의식별정보를서버에송신한다. 통신단말로부터전자기기의식별정보를수신한서버는, 수신한식별정보에응하여통신단말의처리에필요한정보를통신단말에송신한다. 그리고, 통신단말은, 서버로부터수신한정보를처리한다. 또한, 서버는, 통신단말로부터수신한상태정보를관리한다.
权利要求
  •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단말과, 상기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의 식별정보를 기억한 제1의 기억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상태정보 취득부와,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상기 제1의 식별정보에 응하여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단말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취득부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고, 당해 소정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전지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상태정보 취득부는, 상기 전지의 잔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에의 유저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상태정보 취득부는, 상기 조작의 입력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조작에 응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제2의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제2의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식별정보가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제2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상태정보, 상기 제1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의 식별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에 응하여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제1의 식별정보가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 대상이라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상기 판정부의 판정 결과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제3의 기억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상기 제1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암호화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제1의 식별정보를 복호하는 복호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암호화부에 의해 암호화된 암호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통신부는,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제1의 식별정보에 응하여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고,
    상기 상태 관리부는, 상기 복호부에 의해 복호된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Bluetooth(등록상표) 규격에 의해 규정되는 애드버타이즈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 전자기기로부터 발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전자기기 관리 서버로서,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에 응하여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단말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서버.
  •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와, 상기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단말과, 상기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자기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 및 상기 전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통신단말이,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서버가, 상기 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처리와,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에 응하여 상기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에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서버가, 수신한 상기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처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관리 방법.
  • 说明书全文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 서버 및 전자기기 관리 방법{ELECTRONIC DEVICE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와, 무선 신호를 수신 가능한 통신단말과, 당해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 서버 및 전자기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슈퍼마켓, 컨비니언스 스토어, 백화점, 전문점 등에 비콘장치를 배치하고, 비콘장치로부터 유저가 갖는 휴대단말에 상품정보나 쿠폰 정보 등의 정보(이하, 「서비스 정보」라고 기재한다)를 배신하는 서비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휴대단말은, 휴대단말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으로 비콘신호로부터 상품정보등을 취출하고, 휴대단말의 표시부에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비콘장치는, 전지를 사용하여 가동하는 경우에는 전지의 교환이 필요해지는 등, 적절히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 특히 비콘장치가 다수 있는 경우에는, 하나하나의 비콘장치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수고가 걸린다.

    특허 문헌 1에는, 발신기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를 휴대단말에 표시하는 시스템의 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발신기가 휴대단말에 발신하는 정보의 중에, 당해 발신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포함시키고, 휴대단말이 수신한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휴대단말은, 중앙 단말과 통신 가능해진 때에, 기억하여 둔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중앙 단말에 송신하고, 중앙 단말에서 각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축적하고, 관리한다.

    또한, 통신단말의 보급에 수반하여, 통신단말과 전자기기를 접속하여, 전자기기로부터의 정보를 통신단말에서 수신하여, 그 정보를 이용하는 시스템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이 전자기기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클라우드 컴퓨터에 송신함에 의해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4 참조.).

    특허 문헌 2∼4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전자기기에 통신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내장함에 의해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단말에 접속시켜서,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자기기에 내장한 통신 시스템 LSI가,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커맨드에 의거하여, 유저의 조작을 모방하는 전기 신호 또는 전자기기의 상태를 바꾸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의 제어부에 출력하고,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개2013-38539호 공보

    일본 특개2013-182279호 공보

    일본 특개2013-191917호 공보

    일본 특개2013-191918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휴대단말에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가 필요하다. 또한, 휴대단말이 발신기의 상태정보 및 처리 정보를 인식하고,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기억부에 기억하고, 또한 발신기의 상태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들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밖에 상기 시스템에 대응할 수가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없고, 휴대단말에 추가의 부품이 필요해지고 여분의 전력을 소모하는 등의 비용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을 사용하는 유저가, 비콘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이나 그 유저에 있어서 비콘장치의 상태정보는 필요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4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통신단말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 이외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거나,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 이외의 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 이외의 전자기기에 관한 서비스의 제공은 필요한 것으로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와, 이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단말과, 이 통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전자기기 관리 서버 및 전자기기 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전자기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 통신단말이, 그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그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와, 그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를 서버에 송신한다. 통신단말로부터 전자기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응하여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당해 통신단말에 송신한다. 그리고, 통신단말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한다. 또한, 서버는, 통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통신단말의 외부(예를 들면 서버)에 축적하기 때문에, 통신단말이나 그 유저에게 부담을 주거나 한 일 없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비콘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비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비콘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도 2의 서버에 격납되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2의 서버에 격납되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2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에 의한 비콘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
    도 7은 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통보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스마트폰과, 비콘장치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양복점의 점 내의 양상을 도시한 설명도. 도 8A는, 비콘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도 8B는, 구매자가 상품을 손에 든 예를 도시하고, 도 8C는, 구매자가 비콘장치에 접촉한 예를 도시하고, 도 8D는, 스마트폰이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서버에 격납되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12는 도 11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에 의한 비콘장치를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전자기기와 제어 대상 기기가 일치)의 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전자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데이터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서버에 격납되는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4의 서버에 격납되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도 14의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에 의한 통신단말에의 정보 제공의 처리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
    도 19는 도 14의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전자기기와 제어 대상 기기가 불일치)의 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9의 서버에 격납되는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도 19의 서버에 격납되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비콘 ID와 전자기기 ID가 대응시켜진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의 ID와, 당해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ID가 대응시켜진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의 ID와, 당해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품 카테고리의 전자기기 ID가 대응시켜진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예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설명은 하기한 순서로 행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또는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 제1의 실시의 형태(상태정보로서 비콘장치의 전지 잔량을 관리하는 예)

    2. 제2의 실시의 형태(상태정보로서 비콘장치에 대한 조작을 관리하는 예)

    3. 제3의 실시의 형태(비콘신호 및 상태정보를 암호화하는 예)

    4. 변형례

    5. 제4의 실시의 형태(상태정보로서 전자기기의 상태 및 동작을 관리하는 예)

    6. 변형례

    <1.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은, 비콘장치(전자기기의 한 예)와 스마트폰(통신단말의 한 예)을 포함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에서, 비콘장치(1A, 1B)는, 무선 통신에 의해 비콘신호를 간헐적으로 송신한다. 스마트폰(2)은, 통신단말의 한 예이고, 비콘장치(1A, 1B)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이 비콘신호에는, 비콘장치(1A, 1B)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이하, 「비콘 ID」라고 기재한다)가 포함되어 있다. 이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비콘 ID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마트폰(2)으로부터 후술하는 서버(40)(도 2 참조)에 보내진다. 그리고, 서버(40)가, 비콘 ID와 대응시켜진 정보를 스마트폰(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폰(2)의 표시부에 비콘 ID(비콘장치)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서버(40)로부터 제공되는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는, 특정한 물품(예를 들면, 상품으로서 나타나는 스커트(3) 및 T셔츠(4))에 관한 정보이고, 상품의 화상, 상품명, 가격 등이 포함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양품점의 점(店) 내의 벽재(壁材)(5)에 봉형상 부재를 통하여 행거가 매달리고, 이들의 행거에 걸려진 복수의 스커트(3) 및 복수의 T셔츠(4)가 진열되어 있다. 그리고, 스커트(3)의 근처에 비콘장치(1A)가 배치되어 있고, 비콘장치(1A)의 비콘 ID(100)와 스커트(3)가 대응하고 있다. 또한, T셔츠(4)의 근처에 비콘장치(1B)가 배치되어 있고, 비콘장치(1B)의 비콘 ID(101)와 T셔츠(4)가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2)을 휴대한 구매자(6)가 비콘장치(1A)에 근접하면, 비콘장치(1A)의 비콘 ID(100)에 대응하는 스커트(3)의 상품정보가 스마트폰(2)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구매자(6)가 비콘장치(1B)에 근접하면, 비콘장치(1B)의 비콘 ID(101)에 대응하는 T셔츠(4)의 상품정보가 스마트폰(2)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비콘장치(1A)와 비콘장치(1B)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 또는 총칭하는 경우에는, 비콘장치(1)라고 기재한다. 비콘장치(1)를, 스커트(3) 및 T셔츠(4)의 각 상품에 클립 등으로 부착하는 등, 상품마다 비콘장치(1)를 부착하여도 좋다.

    이하, 제1의 실시의 형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비콘장치 등의 전자기기가 송신한 무선 신호(예를 들면 비콘신호)에, 당해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포함시키고, 이 상태정보를 통신단말의 외부에서 유지하여 관리함에 의해, 전자기기의 메인터넌스 등에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2는,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한 예)의 전체 구성도이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비콘장치(1), 스마트폰(2) 및 서버(40)에서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후술하는 기능 블록의 연휴(連携)에 의해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상태정보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은, 비콘장치(1), 스마트폰(2), 및 서버(40)를 구비한다. 서버(40)에는, 비콘장치(1)의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의 데이터베이스가 격납되어 있다. 그 정보는, 예를 들면 비콘 ID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다. 이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품 사이트의 URL이, 서버(40)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된다.

    (비콘장치의 구성)

    비콘장치(1)는, 제어부(11), 기억부(12), 비콘 송신부(13), 전원부(14), 및 전지 잔량 검출부(15)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비콘장치(1) 내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상태정보 취득부(11a)를 갖는다.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비콘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취득한다. 이 제어부(11)는, 예를 들면, 저소비 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1)는, 비콘 송신부(13)에 대해, 기억부(12)에 기억된 비콘 ID(ia)와 비콘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2)(제1의 기억부의 한 예)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12)에는, 제어부(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파라미터, 비콘 ID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비콘 송신부(13)는, 제어부(11)의 제어하에, 비콘장치(1)의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비콘 송신부(13)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LE(Low Energy) 규격(이하, 「BLE 규격」이라고 약기한다.)에 의해 규정되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비콘신호로서 생성하고, BLE 규격에 따른 순서로 비콘신호를 부도시한 안테나에 보낸다. 그리고, 안테나로부터 비콘장치(1)의 주위에 비콘신호가 송신된다.

    도 3은, 비콘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비콘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비콘신호를 구성하는 패킷의 페이로드(데이터 본체 부분)에, 비콘장치(1)를 식별하는 비콘 ID(ia)와, 비콘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b)가 격납되어 있다.

    전원부(14)는, 비콘장치(1) 내의 각 부분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다. 전원부(14)으로는, 예를 들면 버튼 전지가 사용된다. 전원부(14)는, 소형이고, 전지 용량이 작기 때문에, 비콘장치(1) 내의 각 부분의 소비 전력은 가능한 한 억제할 것이 요구된다.

    전지 잔량 검출부(15)는, 전원부(14)의 나머지 용량(전지 잔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1)의 상태정보 취득부(11a)에 보낸다. 예를 들면, 전지 잔량 검출부(15)는, 전원부(14)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상태정보 취득부(11a)에 보낸다.

    제어부(11)의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이 검출 결과로부터 비콘장치(1)가 소정의 상태(예를 들면, 전지 잔량이 적다)가 된 것을 검지하고, 소정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태정보는, 전지의 잔량에 관한 정보이다.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현재의 전지의 잔량과 미리 설정한 임계치를 비교하고, 전지의 잔량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 전지의 잔량이 없다(부족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임계치가 전원부(14)의 정격전압(규정치)의 90%로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전지 잔량 검출부(15)로부터 입력된 전원부(14)의 전압이 정격전압보다도 10% 이상 감소하고 있다면 전지 잔량이 적다고 판단하고, 이 정보를 상태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이 임계치는, 전원부(14) 또는 비콘장치(1)의 사양 등에 응하여 임의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이 상태정보를 취득하면 비콘신호에 상태정보를 포함시킨다. 이 비콘신호는, 비콘 송신부(13)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한편으로, 비콘장치(1)의 상태가 소정의 상태(전지 잔량 부족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비콘장치(1)로부터 스마트폰(2)에 상태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비콘 ID만을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전원부(14)(예를 들면, 버튼 전지)가 교환되는 등으로 전지 잔량(상태)이 초기화한 때에도, 스마트폰(2)에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마트폰의 구성)

    스마트폰(2)은, 제어부(21), 기억부(22), 비콘 수신부(23), 서버 통신부(24), 조작부(25), 및 표시부(26)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에 의거하여, 스마트폰(2)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제어부(21)는, 비콘장치(1)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가 포함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그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인식하지 않고 그대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40)에 송신하다. 또한, 제어부(21)는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인식하지 않는다고 하였지만, 비콘 ID(ia)만 인식한다고 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부(21)는, 서버(40)로부터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ic)(URL)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21a)를 갖는다. 제어부(21)는, 조작부(25)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나 서버 통신부(24)가 부도시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각종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26)에 텍스트,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22)는, 예를 들면, ROM, RAM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22)에는, 스마트폰(2)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비콘 수신부(23)는, 상술한 BLE 규격에 따라 통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비콘 수신부(23)는, 비콘장치(1)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를 제어부(21)에 보낸다. 또한, 비콘 수신부(23)는, 부도시한 안테나로부터 무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제어부(21)에 보내는 처리를 행한다.

    서버 통신부(24)는, 부도시한 기지국 안테나와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기지국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24)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용의 부도시한 액세스 포인트나 루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 등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24)는, 변조한 데이터를 부도시한 안테나로부터 무선 송신하거나, 그 안테나로부터 무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제어부(21)에 건네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25)는, 스마트폰(2)의 케이스에 배치된 부도시한 버튼, 스위치 외에, 화면 터치에 의해 행하여진 조작 입력에 따라, 조작 신호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표시부(26)는, 제어부(21)의 제어하에,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6)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2)에서는, 조작부(25)와 표시부(26)는, 조작면과 표시면을 겹친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서버의 구성)

    서버(40)는, 통신부(41), 기억부(42), 제어부(43)를 구비한다.

    통신부(41)(단말 통신부의 한 예)는, 부도시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기지국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41)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용의 부도시한 액세스 포인트나 루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 등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부(41)는, 변조한 데이터를 부도시한 안테나로부터 무선 송신하거나, 그 안테나로부터 무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기억부(42) 및 상태 관리부(43a)에 건네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42)(제3의 기억부의 한 예)는, 예를 들면, ROM, RAM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42)에는, 서버(40)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억부(42)에,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에서는 「상품정보 DB」라고 기재)(42a)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도 2에서는 「상태정보 DB」라고 기재)(42b)가 격납되어 있다. 상품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의 한 예로서는, 상품의 상품정보(상품명, 설명, 화상, 가격 등),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의 정보 등이 있다. 이하, 상품의 상품정보와 상품의 그 밖의 정보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상품의 상품정보등이라고 기재한다.

    도 4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2a)의 한 예를 도시한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2a)에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와, 그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상품정보가 축적된다. 이 예에서는, 비콘 ID가 100인 경우에, 상품정보로서 스커트(3)의 상품 사이트의 URL이 기록되고, 비콘 ID가 101인 경우에, T셔츠(4)의 상품 사이트의 URL이 기록되어 있다.

    도 5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와, 그 비콘 ID(ia)에 대응하는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가 축적된다. 이 예에서는, 비콘 ID가 100의 비콘장치는, 상태정보로서 전지 잔량 있음(○표시)으로 기재되고, 비콘 ID가 101의 비콘장치는, 상태정보로서 전지 잔량 없음(×표시)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전지 잔량이 있는 비콘 ID(100)의 비콘장치에 관해서는, 전지 잔량의 항목의 플래그를 온 하고, 전지 잔량이 부족한 비콘 ID(101)의 비콘장치에 관해서는, 전지 잔량의 항목의 플래그를 오프 한다.

    또한,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서, 전지 잔량의 「유」, 「무」의 정보에 대신하여, 전지 잔량의 정보(전지 잔량의 값)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비콘장치(1)로부터 상태정보로서 전지 잔량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전지 잔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43)는, 서버(40) 내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43)는, 상태 관리부(43a)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이 제어부(43)는,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43)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비콘장치(1)의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수신하는 처리, 스마트폰(2)에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ic)(URL)를 송신하는 처리, 및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42a) 및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를 관리하는 처리를 제어한다. 제어부(43)는, 통신부(41)가 스마트폰(2)으로부터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수신할 때마다, 즉 비콘장치(1)가 스마트폰(2)에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를 갱신한다.

    기술(旣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정보인 URL을 이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서버(40)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되는,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ic)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이다. 상품의 명칭이나 설명, 가격 등은 협의의 상품정보이지만, 이 URL은 광의의 상품정보이다.

    서버(40)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된 URL이 표시부(26)에 표시되면, 스마트폰(2)을 보유하는 구매자(6)는, 이 URL을 클릭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클릭의 동작이 행하여지면, 스마트폰(2)은, 네트워크(30)를 경유하여 액세스한 Web 서버에 구축된, 당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상품정보등을 표시부(26)에 표시한다. 이 상품 사이트에는, 구매자(6)가 흥미를 갖는 상품의 상품정보 외에도 다수의 상품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6)에 구매 의욕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사이트가 네트워크(30)에 접속된 임의의 Web 서버에 구축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품 사이트를 서버(40)에 구축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상태 관리부(43a)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관리한다. 즉, 상태 관리부(43a)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를 확인하여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상태 관리부(43a)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가 갱신될 때마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전지 끊김이 있으면 통보하는 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표시 장치(44)는, 부도시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40)의 제어부(43)(상태 관리부(43a))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44)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된다.

    [비콘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

    다음에, 비콘장치(1)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에 의한 비콘장치(1)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처음에, 비콘장치(1)에서, 비콘 송신부(13)가 제어부(11)의 제어하에, 비콘장치(1)의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스텝 S1).

    다음에, 스마트폰(2)에서는, 비콘 수신부(23)가 제어부(21)의 제어하에,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1)의 제어하에, 서버 통신부(24)는, 그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40)에 송신한다(스텝 S2). 스마트폰(2)에서는, 비콘신호의 내용(데이터의 내용)은 인식하지 않는다.

    다음에, 서버(40)는, 통신부(41)에 의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40)의 제어부(43)는, 수신한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ic)로서, 상품정보를 게재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통신부(41)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스텝 S3).

    스마트폰(2)에서는, 정보 처리부(21a)가, 서버(40)로부터 송신된 URL을 표시부(26)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마트폰(2)을 보유한 구매자(6)가, 이 URL을 클릭함에 의해, 스마트폰(2)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액세스한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상품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스텝 S4).

    한편, 서버(40)에서, 제어부(43)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비콘 ID(ia)와 함께,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 격납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43a)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내용에 의거하여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스텝 S5). 예를 들면, 상태 관리부(43a)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 전지 잔량이 없는(전지 잔량이 임계치보다 적은) 비콘 ID(비콘장치(1))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비콘 ID를 갖는 비콘장치가 전지 끊어짐인 것을 알린다.

    도 7은, 전지 잔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의 통보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비콘장치(1B)의 전지 잔량이 없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버(40)의 상태 관리부(43a)는, 표시 장치(44)의 표시 화면(46)에, 비콘장치(1B)의 비콘 ID의 번호 "101"과 "전지 끊김"을 나타낸 경고 메시지(47a)를 표시시킨다. 또한, "전지를 교환하여 주세요"라고 나타낸 대처 메시지(47b)를 표시함에 의해, 이 표시를 본 관리자는, 지체 없이 비콘장치(1B)의 전지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통보 수단은, 표시로 한하지 않고, 음성 또는 진동이라도 좋다.

    상술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콘장치(1)가 스마트폰(2)에 송신한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스마트폰(2)을 개재시켜서 그대로 서버(40)에 송신한다. 서버(40)는, 수신한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축적한다. 또한, 서버(40)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ic)로서, URL을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그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표시부(26)에 상품의 상품정보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스마트폰(2)을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외부의 서버(40)에서 유지함으로써, 스마트폰(2)에 종래와 같은 추가의 부품이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마트폰(2)이나 그 스마트폰(2)을 사용하는 구매자(6)에게 부하를 거는 일 없이,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에는, 전지 잔량뿐만 아니라, 비콘신호의 발신 빈도, 발신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서버(40)로부터 표시 장치(44)에 출력되는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ib)를,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의 관리자가 확인하고, 이 상태정보(ib)에 의거하여, 비콘장치(1)의 전지를 교환하는 등의 메인터넌스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을 사용하는 구매자(6)는,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표시부(26)에 표시된 상품의 상품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

    <2. 제2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도 2)에, 비콘장치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마련한 구성이다.

    우선, 제2의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비콘장치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스마트폰(2)과, 비콘장치(50)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양복점의 점 내의 양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A는, 비콘장치(50)와 스마트폰(2)을 포함하는 비콘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도 8B는, 구매자(6)가 상품을 손에 든 예를 도시하고, 도 8C는, 구매자(6)가 비콘장치(50)에 접촉한 예를 도시하고, 도 8D는, 스마트폰(2)이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양복점의 점 내에, 부도시한 행거에 걸려진 상품(7)이 진열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품(7)에는, 비콘장치(50)가 클립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구매자(6)가 상품(7)에 접촉하지 않은 때는, 비콘장치(50)는 비콘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비콘장치(50)에 내장된 센서(16)(후술하는 도 9를 참조)만이 동작하고 있다. 센서(16)는, 예를 들면 경사(傾斜) 센서이다.

    한편, 구매자(6)는, 스마트폰(2)을 휴대하고 있고, 양복점의 점 내에서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7)을 찾고 있는 것으로 한다.

    구매자(6)가 흥미를 품은 상품(7)을 손에 들거나(도 8B), 구매자(6)가 상품(7)에 늘어뜨려진 비콘장치(50)에 접촉하거나 하면(도 8C), 비콘장치(50)에 내장된 센서(16)가 경사를 검지한다. 이와 같이 센서(16)가 경사를 검지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비콘장치(50)는 스마트폰(2)을 향하여 비콘 ID를 포함하는 비콘신호의 송신을 시작한다.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콘장치(5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 스마트폰(2)은, 비콘신호로부터 추출한 비콘 ID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40)(도 9 참조)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가, 비콘 ID와 대응시켜진 정보(URL)를 스마트폰(2)에 송신함으로써, 스마트폰(2)의 표시부(26)에 비콘 ID(비콘장치(50))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매자(6)는, 흥미를 품은 상품(7)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A)의 전체 구성도이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A)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도 2)과 다른점은, 비콘장치(50)가 센서(16) 및 카운터(17)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A)에 관해, 이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비콘장치(50)의 센서(16)는, 비콘장치(50)에의 유저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의 한 예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센서(16)는, 경사를 검지하는 경사 센서이다. 센서(16)는, 내부에 각각 부도시한 한 쌍의 단자와 금속구(金屬球)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16)가 소정의 각도인 경우에는, 금속구는 양 단자를 접속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센서(16)가 소정의 각도로부터 어느 각도 이상으로 경사한 경우에는, 금속구는 양 단자를 접속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단자 사이의 접속에 의해 전기 신호가 검지 출력으로서, 카운터(17)에 보내진다.

    카운터(17)는, 센서(16)로부터 검지 출력이 공급된 횟수 즉 비콘장치(50)가 경사한 횟수를 헤아리고, 카운트값을 비콘장치(5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어부(11)의 상태정보 취득부(11a)에 보낸다. 카운트값에 의해, 구매자(6)가 비콘장치(50)를 조작한 횟수, 즉 구매자(6)가 상품(7)을 손에 들거나 접촉하거나 한 횟수를 알 수 있다.

    상태정보 취득부(11a)는, 카운터(17)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을 상태정보의 하나로서 취득한다. 제어부(11)는, 카운터(17)로부터 공급되는 카운트값이 증가한 것으로 비콘장치(50)가 경사한(조작된) 것을 검지하고, 그 조작에 응하여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비콘 송신부(13)는,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비콘 ID(ia)와, 전지 잔량 및 카운트값의 정보를 상태정보(ib)로서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하다. 또한, 비콘장치(50)에 대한 조작에 응하여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이외에,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비콘장치(50)의 상태가 소정의 상태(예를 들면, 전지 잔량이 적다)가 되었을 때에, 그 때의 전지 잔량과 카운트값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송신하여도 좋다.

    스마트폰(2)은, 비콘장치(50)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비콘 ID(ia)와, 전지 잔량 및 카운트값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ib)를 추출하고, 그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40)에 송신한다.

    서버(40)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ic)로서, 예를 들면 쿠폰 정보를 게재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송신한다. 스마트폰(2)에서는, 서버(40)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된 URL을 표시부(26)에 표시하고, 구매자(6)의 클릭에 응하여, 네트워크(30)를 경유하여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액세스한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쿠폰 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

    한편, 서버(40)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장치(50)의 상태정보(ib)(전지 잔량, 카운트값)를 비콘 ID(ia)와 대응시켜서,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 격납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43a)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내용에 의거하여 비콘장치(1)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도 10은, 서버(40)에 격납된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 내의 카운트값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비콘 ID가 100, 101, 102, 103, 104, 105의 비콘장치에 관한 카운트값이 각각, 110회, 30회, 40회, 55회, 200회, 12회이다. 이 표로부터, 비콘 ID가 104의 비콘장치에 대응하는 상품의 인기가 높고, 비콘 ID가 105의 비콘장치에 대응하는 상품의 인기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콘장치(50)가, 전지 잔량에 더하여, 카운터(17)의 카운트값(비콘장치(50)에 대한 조작의 입력 횟수)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취득한다. 비콘장치(50)는, 비콘 ID(ia)와, 전지 잔량 및 카운트값으로 구성된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스마트폰(2)은, 수신한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비콘 ID(ia)와, 전지 잔량 및 카운트값으로 구성된 상태정보(ib)를, 서버(40)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40)는, 스마트폰(2)으로부터 수신한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여기서는 쿠폰 정보의 URL)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40)는, 수신한 상태정보(ib)(전지 잔량, 카운트값)를 비콘 ID(ia)와 대응시켜서,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 격납한다. 그리고, 서버(40)의 상태 관리부(43a)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내용에 의거하여 비콘장치(50)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서버(40)의 상태 관리부(43a)는, 비콘장치(50)의 전지 잔량을 관리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구매자(6)의 비콘장치(50)에 대한 조작의 입력 횟수인 카운트값을 취득함에 의해, 구매자(6)가 어느 상품(7)에 흥미를 갖고 있는지 등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콘장치(50)는, 상태정보(ib)로서 전지 잔량과 카운트값을 취득하고 있지만, 카운트값만이라도 좋다.

    <3. 제3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는,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도 2)로부터 암호화한 비콘신호를 출력하고, 스마트폰(2)을 경유하여, 서버에서 이 비콘신호를 복호하는 구성이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B)의 전체 구성도이다.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B)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도 2)과 다른점은, 비콘장치(60)가 암호화 기능을 구비하고, 서버(40B)가 복호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B)에 관해, 이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도 2)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비콘장치(60)는, 제어부(11), 기억부(12), 비콘 송신부(13), 전원부(14), 및 전지 잔량 검출부(15)에 더하여, 암호화부(18)를 구비한다.

    암호화부(18)는, 제어부(1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정보)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데이터를 비콘 송신부(13)에 보낸다. 여기서는, 비콘 ID(ia)와, 상태정보(ib)로서의 전지 잔량의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비콘 송신부(13)에 보낸다. 또는, 비콘 ID(ia)와, 상태정보(ib)를 포함하는 비콘신호 전체를 암호화하여도 좋다.

    비콘 송신부(13)는, 암호화부(18)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생성하고, 스마트폰(2)에 보낸다. 이 암호화된 비콘 ID(ia)와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는, 스마트폰(2)을 경유하여 서버(40B)에 송신된다.

    서버(40B)는, 통신부(41), 기억부(42), 제어부(43)에 더하여, 복호부(49)를 구비한다.

    복호부(49)는, 통신부(41)가 수신한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암호화된 비콘 ID(ia)와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복호하고, 제어부(43)에 보낸다. 비콘신호 전체를 암호화한 경우는, 복호부(49)는, 통신부(41)가 수신한 비콘신호를 복호하고, 비콘 ID(ia)와 상태정보(ib)를 얻고서, 제어부(43)에 보낸다.

    [비콘장치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

    다음에, 비콘장치(60)의 상태를 관리하는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10B)에 의한 비콘장치(60)를 관리하는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12의 스텝 S12, S13, S15, S16, S17은, 도 6의 스텝 S1∼S5에 대응하고 있다.

    처음에, 비콘장치(60)에서, 암호화부(18)가, 비콘 ID 및 상태정보(예를 들면 전지 잔량)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비콘 송신부(13)에 보낸다(스텝 S11). 비콘 송신부(13)는,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암호화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콘신호를,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스텝 S12).

    스마트폰(2)은, 수신한 비콘신호로부터 암호화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암호화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서버(40B)에 송신한다(스텝 S13).

    다음에, 서버(40)는, 통신부(41)에 의해 스마트폰(2)으로부터 암호화된 비콘 ID(ia) 및 상태정보(ib)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호부(49)는, 통신부(41)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호하고, 제어부(43)에 보낸다(스텝 S14).

    그리고, 서버(40)의 제어부(43)는, 복호된 비콘 ID(ia)에 대응하는 정보(ic)로서, 쿠폰 정보를 게재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을, 통신부(41)로부터 스마트폰(2)에 송신한다(스텝 S15).

    스마트폰(2)에서는, 정보 처리부(21a)가, 서버(40)로부터 송신된 URL을 표시부(26)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마트폰(2)을 보유하는 구매자(6)가, 이 URL을 클릭함에 의해, 스마트폰(2)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스마트폰(2)은, 액세스한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쿠폰 정보를, 표시부(26)에 표시한다(스텝 S16).

    한편, 서버(40)에서, 제어부(43)는, 복호된 비콘장치(60)의 상태정보(ib)를 비콘 ID(ia)와 함께,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에 격납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43a)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42b)의 내용에 의거하여 비콘장치(60)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스텝 S17).

    상술한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더하여,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콘장치(60)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에 포함되는 상태정보(ib)가 암호화되어 있음과 함께 스마트폰(2)에서는, 그 암호화된 상태정보(ib)를 복호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마트폰(2)에는, 상태정보(ib)를 기억하는 기억부나 복호부 등의 추가의 부품이 필요없다.

    또한, 스마트폰(2)에서는 암호화된 상태정보(ib)가 복호되지 않기 때문에, 스마트폰(2)을 사용하는 구매자(6)가 상태정보(ib)를 보는 일이 없고, 유저에게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또한, 중계하는 스마트폰(2)이 악의를 갖고서 상태정보(ib)를 해석할 수가 없다.

    <4. 변형례>

    또한, 상술한 제1∼제3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서버(40, 40B)가 비콘장치의 상태정보를 관리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들의 서버와 별도로, 상태 관리부(43a)를 갖는 전용의 비콘장치 관리 장치를 마련하여도 좋다. 즉, 서버(40, 40B)로부터 비콘장치 관리 장치에 상태정보(ib)를 송신하고, 비콘장치 관리 장치에서 비콘장치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이 경우, 서버(40, 40B)의 통신부(41)가, 수신한 상태정보(ib)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부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서버(40, 40B)의 부하가 비콘장치 관리 장치에 분산된다.

    또한, 상술한 제2의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센서(16)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감압 센서, 진동 센서, 가속도 센서, 중량 센서, 정전 센서, 덕타일 스위치 등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조합으로 이용하여도 좋다.

    감압 센서는, 예를 들면, 압력이 가하여진 것을 검지하여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진동 센서는, 예를 들면, 댐퍼에 의해 지지되는 도전구(導電球)의 구름에 의해 진동을 검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예를 들면, 1축∼3축방향의 가속도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중량 센서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여, 가중(加重)을 검지할 수 있다. 정전(靜電) 센서는, 예를 들면,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거하여, 물체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다. 덕타일 스위치(누름버튼)는, 조작부를 누른 때에 온 되고, 떼면 오프 되는 것이고, 구매자(6)에 의한 명시적인 동작을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에 의해서도, 구매자(6)가 흥미를 갖는 물품에 대해, 어떠한 동작을 행한 것에 수반하는 비콘장치(1)의 자세나 동작의 변화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 비콘장치(50)에 대한 조작에 응하여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비콘장치(50)의 상태가 소정의 상태(예를 들면, 카운트값이 임계치 이상이다)가 되었을 때에, 비콘신호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비콘신호의 송신 횟수를 억제하면서, 서버(40)측에서 카운트값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카운트값에 대한 임계치는, 제1의 임계치, 제2의 임계치과 같이 복수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제3의 실시의 형태에서, 비콘장치의 설치 위치로서는, 상품이나 행거뿐만 아니라, 벽이나 전시대의 위, 레지스터 장치의 근처, 점포 내의 천장, 바닥면(床面) 등도 상정할 수 있다.

    <5. 제4의 실시의 형태>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는, 서버가, 통신단말의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에 더하여, 그 전자기기에 관한 서비스(예를 들면 조작)의 제공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개요]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예를 들면, 공기조화장치(110), 냉장고(150), 자동차(160) 등)와, 통신단말(120)과, 서버(140)를 구비한다. 통신단말(120)과 각 전자기기와의 사이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되고, 데이터가 직접 송수신된다. 또한, 통신단말(120)과 서버(140) 사이의 경로는, 무선통신로 및 유선통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전자기기는, 통신단말(120)에 의한 처리 대상(이하 「제어 대상」라고 표기하는 일도 있다)이 되는 기기이다. 도 13에서는, 공기조화장치(110), 냉장고(150), 자동차(160)가 예시되어 있다. 각 전자기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부를 구비하고, 통신단말(120)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통신단말(120)은, 유저(102)와의 교환을 행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조작 입력을 접수, 또는, 표시 등의 출력을 행하는 단말이다. 통신단말(120)로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통신단말이 상정된다.

    서버(140)는,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전자기기 관리 서버의 한 예)이다. 서버(14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이고,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터가 적용된다.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에서, 공기조화장치(110), 냉장고(150) 및 자동차(160)의 각각에 조립된 통신 기능을 갖는 집적 회로(111)가, 식별정보(제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신한다. 이들의 전자기기에 조립된 집적 회로(111)가 발신하는 무선 신호의 도달 거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120)은, 이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단말(120)은,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1의 식별정보와, 통신단말(120) 자신이 유지하고 있는 식별정보(제2의 식별정보)를 서버(140)에 송신한다. 서버(140)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제1의 식별정보와 제2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제1의 식별정보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응하여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당해 통신단말(120)에 제공한다.

    이하, 제4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으로서,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이 공기조화장치(11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비콘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기 ID와 제어 대상의 전자기기 ID가 일치하는 경우]

    도 14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의 각 장치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공기조화장치(110)(전자기기의 한 예), 통신단말(120) 및 서버(140)에서는,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후술하는 기능 블록의 연휴에 의해 통신단말에의 정보 제공의 처리 순서가 행하여진다.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은, 공기조화장치(110), 통신단말(120), 및 서버(140)를 구비한다. 통신단말(120)과 서버(14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도 14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Identifier)와 제어 대상(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제어 대상 기기 ID)가 일치하는 경우의 예이다. 전자기기 ID는, 전자기기마다 고유한 식별자(제1의 식별정보)이다.

    (공기조화장치의 구성례)

    공기조화장치(110)는, 제어부(112), 기억부(113), 암호화부(114), 통신부(115), 필터 교환 검출부(116), 누수 검출부(117), 및 모터 이상 검출부(118)를 구비한다. 제어부(112), 기억부(113), 암호화부(114) 및 통신부(115)는, 집적 회로(111)에 실장되어 있다.

    제어부(112)는, 공기조화장치(110) 내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112)는,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112)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e)로서, 필터 교환 검출부(116), 누수 검출부(117), 및 모터 이상 검출부(118)가 검출한 결과를 수취한다. 제어부(112)는, 기억부(113)에 기억된 전자기기 ID(id)와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e)를 암호화부(114)에 보낸다.

    기억부(113)(제1의 기억부의 한 예)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113)에는, 제어부(11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파라미터, 전자기기 ID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기억부(113)에는, 당해 기억부(113)를 갖는 전자기기(도 14에서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id)가 기억되어 있다.

    암호화부(114)는,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제어부(112)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데이터)에 암호 키를 적용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한 정보를 통신부(115)에 보낸다. 여기서는, 전자기기 ID(id)와 상태정보(ie)를 각각 암호화하여, 통신부(115)에 보낸다. 또는, 전자기기 ID(id)와 상태정보(ie)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전체를 암호화하여도 좋다.

    통신부(115)(송신부의 한 예)는,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통신단말(120)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 및 수신을 행한다. 통신부(115)는, 암호화부(114)에서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통신단말(120)에 송신하고, 또한 통신단말(120)로부터 유저의 조작 지시(커맨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부(115)는, 송신할 때에는, 비콘신호(무선 신호)를 생성하고,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간헐적으로 송신한다.

    통신부(115)는, 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 규격(이하, 「BLE 규격」이라고 약기한다.)에 의해 규정되는 애드버타이즈 신호를 비콘신호로서 생성하고, BLE 규격에 따른 순서로 무선 신호를 부도시한 안테나에 보낸다. 그리고, 안테나로부터 공기조화장치(110)의 주위에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10)(전자기기)와 통신단말(120) 사이의 통신 방식으로서는, BLE 규격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 등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비콘신호를 생성하여도 좋다.

    도 15는,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무선 신호를 구성하는 패킷의 페이로드(데이터 본체 부분)에, 공기조화장치(110)를 식별하는 전자기기 ID(id)와,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e)가 격납되어 있다.

    필터 교환 검출부(116)는, 공기조화장치(110)의 내부에 마련된 필터의 교환의 필요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12)에 보낸다. 필터 교환 검출부(116)는, 예를 들면 필터의 오염 정도나 눈막힘 정도로부터 교환의 필요여부를 판단한다.

    누수 검출부(117)는, 공기조화장치(110)의 내부에서의 누수의 유무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12)에 보낸다.

    모터 이상 검출부(118)는, 공기조화장치(110)의 내부에 마련된 모터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부(112)에 보낸다. 모터 이상 검출부(118)는, 예를 들면 모터의 소리나 진동, 열 등으로부터 이상의 유무를 판단한다.

    필터 교환 검출부(116), 누수 검출부(117), 및 모터 이상 검출부(118)는, 각각 상태정보 취득부의 한 예이다. 각 검출부는, 공기조화장치(110)(의 필터 교환, 누수, 모터 이상의 각 항목)가 소정의 상태가 된 것을 검지하고, 소정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각 검출부는, 부도시한 주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주회로기판은, 공기조화장치(110)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갖는 메인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공기조화장치(110)는, 주회로기판에서 생성된 데이터(검출 결과)를, 집적 회로(111)를 통하여 통신단말(120)에 송신하고, 또한, 통신단말(120)로부터 데이터(조작 신호)를 수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집적 회로(111)가 부도시한 주회로기판에 실장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어부(112)는, 각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공기조화장치(110)(의 필터 교환, 누수, 모터 이상의 각 항목)가 소정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이 상태정보를 암호화부(114)에 보낸다.

    한편으로,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가 소정의 상태에 없는 경우에는,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통신단말(120)에 상태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전자기기 ID만을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부도시한 전원부(예를 들면, 버튼 전지)가 교환되는 등으로 공기조화장치(110)가 초기화한 때에도, 통신단말(120)에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통신단말의 구성례)

    통신단말(120)은, 처리부(121), 기억부(122), 통신부(123), 서버 통신부(124), 조작부(125), 및 표시부(126)를 구비한다.

    처리부(121)는, 기억부(122)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에 의거하여, 통신단말(120)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처리부(121)는,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에 의해 구성된다. 처리부(121)는,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처리부(121)는, 암호 키에 대응하는 복호건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이들의 정보를 인식하지 않는다. 그리고, 처리부(121)는, 그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서버(140)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통신단말(120)에서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가 복호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단말(120)을 사용한 유저가 이들의 정보를 보는 일이 없고, 유저에게 부담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악의를 갖는 자가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해석할 수가 없다.

    통신단말(120)에는, 미리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공기조화장치(110)를 조작하기 위한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이 통신단말(120)에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125)를 조작하여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을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110)에 대해 설정 온도 변경 등의 지시를 행한다. 그러면, 처리부(121)는, 유저로부터 공기조화장치(110)에 대한 조작 지시가 이루어진 것을 검지하고,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이 제어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ID(제어 대상 기기 ID, 제2의 식별정보)를, 서버(140)에 송신한다. 또는,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의 기능으로서, 당해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의 제어 대상 기기 ID의 송신을 유저가 직접 지시할 수 있는 조작 메뉴를 준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억부(12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대상 기기 ID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이다.

    또한, 처리부(121)는, 서버(140)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처리부(121)는, 조작부(125)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나 서버 통신부(124)가 부도시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각종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부(126)에 텍스트, 화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가령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가 평문(平文) 데이터로 보내져 왔다고 하여도, 공기조화장치(110)는 이 평문 데이터의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해석하는 기능(어플리케이션)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보내 오는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가 암호화 데이터 또는 평문 데이터의 어느 것이라도, 통신단말(120)에서는 이들의 정보를 인식하지 않는다.

    기억부(122)(제2의 기억부의 한 예)는, 예를 들면, ROM, RAM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122)에는, 통신단말(120)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이 기억부(122)에는, 통신단말(120)에서 기동하고 있는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 ID(if)가 기억되어 있다.

    통신부(123)(수신부의 한 예)는, 처리부(121)의 제어하에, 상술한 BLE 규격 또는 Wi-Fi 규격 등에 따라 통신 제어를 행한다. 통신부(123)는, 부도시한 안테나를 통하여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처리부(121)에 보낸다. 또한, 통신부(123)는, 유저의 조작 지시(커맨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공기조화장치(110)에 송신한다.

    서버 통신부(124)는, 처리부(121)의 제어하에, 부도시한 기지국 안테나와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기지국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24)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용의 부도시한 액세스 포인트나 루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 등을 제어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124)는, 변조한 데이터를 부도시한 안테나로부터 무선 송신하거나, 그 안테나로부터 무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처리부(121)에 건네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통신단말(120)과 서버(140)와의 사이의 통신은, SSL/TLS(Secure Sockets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함에 의해, 안전한 접속을 보증하고 있다.

    조작부(125)는, 통신단말(120)에 배치된 부도시한 버튼, 스위치 외에, 화면 터치 등에 의해 행하여진 조작 입력에 따라, 조작 신호를 처리부(121)에 출력한다.

    표시부(126)는, 처리부(121)의 제어하에,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6)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통신단말(120)에서는, 조작부(125)와 표시부(126)는, 조작면과 표시면을 겹친 하나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되어 있다.

    (서버의 구성례)

    서버(140)는, 통신부(141), 기억부(142), 복호부(145), 판정부(146), 처리부(147) 및 상태 관리부(148)를 구비한다.

    통신부(141)(단말 통신부의 한 예)는, 부도시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행하여지는 기지국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141)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용의 부도시한 액세스 포인트나 루터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 등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부(141)는, 지시된 데이터를 변조하여 부도시한 안테나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거나, 그 안테나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하여 기억부(142)에 건네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142)(제3의 기억부의 한 예)는, 예를 들면, ROM, RAM 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억부(142)에는, 서버(140)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 제어 대상 기기 ID(if)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영구 기억 또는 일시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는, 기억부(142)에,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도 14에서는 「기기 ID DB」라고 기재)(143)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도 14에서는 「상태정보 DB」라고 기재144)가 격납되어 있다. 기억부(142)는, 통신부(141)가 통신단말(120)로부터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수신할 때마다, 즉 공기조화장치(110)가 통신단말(120)에 상태정보(ie)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마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를 갱신한다.

    도 16은,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의 한 예를 도시한다.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 ID(id)와, 그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전자기기의 정보가 격납된다. 도 16의 예에서는,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에, 전자기기 ID(id) "100"과, "공기조화장치(110)"가 대응시켜져서 격납되어 있다.

    도 17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의 한 예를 도시한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 ID(id)와, 그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정보(ie)가 격납된다. 이 예에서는, 전자기기 ID(id)가 "100"인 공기조화장치(110)에 관해, 상태정보(ie)로서, "필터 교환 필요", "누수 없음", "모터 이상 없음"이 격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상태가 된 항목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항목(이 예에서는 필터 교환)의 플래그를 온 하여, 해당하지 않는 항목(누수, 모터 이상)의 플래그를 오프 하여 둔다.

    또한,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서, 소정의 상태가 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대신하여, 현시점에서의 각 항목의 상태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필터 교환의 시기가 근접하여 온 것(교환까지의 날짜수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정보를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 기록하고, 통신단말(120)에 송신하도록 한 경우에는, 서버(140)의 감시원 또는 통신단말(20)의 유저가, 현시점에서의 공기조화장치(110)의 각 항목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복호부(145)는, 통신부(141)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의 데이터를 각각 복호하고, 판정부(146)에 보낸다. 또한, 수신한 제어 대상 기기 ID(if)의 데이터는 그대로 판정부(146)에 보낸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발신된 무선 신호 전체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는, 복호부(145)는, 통신부(141)가 수신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가 포함되는 데이터 전체를 복호한다. 또한, 복호부(145)는, 통신부(141)의 후단, 예를 들면 통신부(141)와 기억부(14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판정부(146)는, 통신부(41)가 수신한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에 의거하여,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처리부(147)에 보낸다. 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146)는, 제어 대상 기기 ID(if)를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의 전자기기 ID와 대조하고,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는,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이라고 판정한다.

    처리부(147)는, 기억부(142)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에 의거하여, 서버(140) 내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처리부(147)는, 예를 들면,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에 의해 구성된다. 처리부(147)는, 판정부(146)의 판정 결과에 응하여, 통신부(141)를 통하여 통신단말(120)에 당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를 제공하도록 처리를 행한다. 제공하는 정보(ig)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나,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 ID(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예를 들면 상품정보)가 있다. 이 경우, 서버(140)의 기억부(142)에는, 부도시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격납된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id)와, 그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상품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상품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기기 ID(id)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다. 처리부(147)에 의해,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품 사이트의 URL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되고, 통신단말(120)에 송신된다. 또한, 상품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의 한 예로서는, 상품의 상품정보(상품명, 설명, 화상, 가격 등), 상품을 판매한 점포의 정보 등이 있다. 이하, 상품의 상품정보와 상품의 그 밖의 정보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상품의 상품정보등이라고 기재한다. 상품의 명칭이나 설명, 가격 등은 협의의 상품정보이지만,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은 광의의 상품정보이다.

    서버(140)로부터 통신단말(120)에 송신된 URL이 표시부(126)에 표시되면, 통신단말(120)을 보유하는 유저는, 이 URL을 클릭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클릭의 동작이 행하여지면, 통신단말(120)은,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액세스한 Web 서버에 구축된, 당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상품정보등을 표시부(126)에 표시한다. 이 상품 사이트에는, 유저가 흥미를 갖는 상품의 상품정보 외에도 다수의 상품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구매 의욕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사이트가 네트워크(130)에 접속된 임의의 Web 서버에 구축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품 사이트를 서버(140)에 구축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상태 관리부(148)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정보(ie)를 관리한다. 즉, 상태 관리부(148)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를 확인하여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상태 관리부(148)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가 갱신될 때마다,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의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공기조화장치(110)의 각 항목이 소정의 상태로 된 경우에 통보하는 등의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표시 장치(149)는, 부도시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140)의 상태 관리부(148)와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149)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단말에의 정보 제공의 처리 순서]

    다음에,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통신단말(120)에의 정보 제공의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은,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통신단말(120)에의 정보 제공의 순서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처음에, 공기조화장치(110)에서, 제어부(112)가 기억부(113)로부터 전자기기 ID를 판독함과 함께, 필터 교환 검출부(116), 누수 검출부(117), 및 모터 이상 검출부(118)로부터 각각의 검출 결과(상태정보)를 취득하고, 암호화부(114)에 보낸다. 다음에, 암호화부(114)가, 전자기기 ID 및 상태정보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통신부(115)에 보낸다(스텝 S21).

    다음에, 통신부(115)가 제어부(112)의 제어하에, 암호화된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통신단말(120)에 송신한다(스텝 S22).

    다음에, 통신단말(120)에서는, 통신부(123)가 처리부(121)의 제어하에, 공기조화장치(1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처리부(121)는,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서버 통신부(124)에 의해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서버(40)에 송신한다(스텝 S23). 이때 통신단말(120)에서는, 무선 신호의 내용(데이터의 내용)은 인식하지 않는다. 또한, 처리부(121)는, 기억부(22)에 기억된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 ID(if)를, 서버 통신부(124)에 의해 서버(140)에 송신한다(스텝 S23).

    다음에, 서버(140)는, 통신부(141)에 의해 통신단말(120)로부터 암호화된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140)는, 통신부(141)에 의해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기기 ID(if)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호부(145)는, 통신부(141)에 의해 수신한 각 데이터를 복호하고, 판정부(146)에 보낸다(스텝 S24).

    다음에, 판정부(146)는, 통신부(141)가 수신한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를 대조하여,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20)의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5).

    여기서,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가 일치한 경우, 판정부(146)는, 그 판정 결과를 처리부(147)에 통지하고(스텝 S26의 YES),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26의 NO).

    그리고, 처리부(147)는, 통신단말(120)에 당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스텝 S27). 예를 들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로서, 통신단말(120)에 의한 공기조화장치(110)의 조작을 허가하는 통지를 송신한다(도 14). 통신단말(120)의 처리부(121)는, 공기조화장치(110)의 조작의 허가 통지를 수신하면, 예를 들면, 서버(140)로부터 송신된 허가 통지를 표시부(126)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8). 허가 통지를 받음에 의해, 처리부(121)는,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을 이용하여, 유저의 조작 지시(커맨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공기조화장치(110)에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조화장치(110)의 제어부(112)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송신된 조작 지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조작 지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부도시한 주회로기판에 보내고, 조작 지시에 응하여 공기조화장치(110)를 동작시킨다.

    또한, 예를 들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로서,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정보(상품정보등)를, 통신단말(120)에 송신하여도 좋다. 수신한 전자기기 ID(id)에 대응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상품정보를 게재한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이다. 통신단말(120)에서는, 처리부(121)가, 서버(140)로부터 송신된 URL을 표시부(126)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8). 통신단말(120)

    을 보유하는 유저가, 조작부(125)를 조작하여 이 URL을 클릭함에 의해, 통신단말(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 URL에 의해 특정되는 상품 사이트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통신단말(120)은, 액세스한 상품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그리고, 다운로드한 상품의 상품정보를, 표시부(126)에 표시한다.

    한편, 서버(140)에서, 상태 관리부(148)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정보(ie)를 전자기기 ID(id)와 함께,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 격납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태 관리부(148)가,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의 내용에 의거하여 공기조화장치(110)의 상태정보를 관리한다(스텝 S29). 예를 들면, 상태 관리부(148)는,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 필터 교환이 필요한(도 17 참조) 등의 통지하여야 할 정보가 존재한 경우에, 그 정보를 통신단말(120)에 통지한다.

    [비콘신호를 출력하는 전자기기 ID와 제어 대상의 전자기기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 19는, 냉장고(150)의 전자기기 ID와 제어 대상(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제어 대상 기기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예이다. 이하, 도 19에 도시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에 관해, 도 14의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9에서, 통신단말(120)이 수신한 무선 신호(비콘신호)의 발신원은, 냉장고(150)이고, 통신단말(120)의 제어 대상 기기는 공기조화장치(110)(도 14 참조)이다. 도 19의 예에서는, 통신단말(120)의 근처에 냉장고(150)가 있지만, 통신단말(120)에는 공기조화장치(110)를 조작하기 위한 공조 어플리케이션(121a)이 설치되고, 또한 기동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에서는, 전자기기 ID(id) "200"과 "냉장고(150)"가 대응시켜져서 격납되어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는, 전자기기 ID(id)가 "200"인 냉장고(150)의 상태정보가 격납된다. 그리고, 냉장고(150)에 관한 상태정보(ie)로서, "누수 있음", "배관 막힘 없음", "모터 이상 없음"이 격납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100)에, 통신단말(120)에의 정보 제공의 순서(도 18 참조)를 적용하면, 스텝 S26에서 전자기기 ID(id)(냉장고(150)의 ID : 200)와 제어 대상 기기 ID(if)(공기조화장치(110)의 ID : 100)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도 18의 설명에서는,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련의 처리를 종료하였지만, 정보로서 판정 결과, 즉 통신단말(120)에 의한 냉장고(150)의 조작을 허가하지 않는 통지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통신단말(120)의 처리부(121)는, 냉장고(150)의 조작의 불허가 통지를 수신하고, 서버(140)로부터 송신된 불허가 통지를 표시부(126)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유저는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한 제어 대상 기기 ID를 지정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150)의 상태정보(ie)는, 서버(140)의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44)에 축적된다.

    상술한 제4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전자기기가 통신단말(120)에 송신한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기기 ID(id) 및 상태정보(ie)를, 통신단말(120)을 개재시켜서 그대로 서버(140)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단말(120)은, 제어 대상 기기 ID(if)를 서버(140)에 송신한다. 서버(140)는, 수신한 전자기기의 상태정보(ie)를 축적한다. 또한, 서버(140)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기 ID(id)와 제어 대상 기기 ID(if)에 의거하여,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서버(140)는, 판정 결과에 응하여 통신단말(120)에 당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ie)를, 통신단말(120)을 개재시킬 뿐이고 외부의 서버(140)에서 유지함으로써, 통신단말(120)에 종래와 같은 추가의 부품이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통신단말(120)이나 당해 통신단말(120)을 사용하는 유저에게 부하를 거는 일 없이, 전자기기의 상태정보(ie)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인 경우에, 서버(140)로부터 통신단말(120)에 당해 통신단말(120)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ig)(예를 들면, 전자기기의 조작 허가나 상품정보, 상태정보 등)를 송신함으로써, 통신단말(120)은, 당해 통신단말(120)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역으로, 전자기기 ID(id)가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서버(140)로부터 통신단말(120)에 대해 당해 통신단말(120)에 관계가 없는 정보(ig)를 보내지 않기 때문에, 통신단말(120)이 처리 대상이 아닌 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관계가 없는 정보를 열람하거나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보안이 유지된다.

    또한, 서버(140)는, 통신단말(120)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ie)에 더하여, 그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 이외의 상태정보(ie)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업자 등은, 서버(140)의 정보에 액세스할 뿐으로, 유저로부터의 연락이 없어도 메인터넌스 정보나 유저의 전자기기의 사용 상황 등을 알 수 있다.

    즉,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통신단말은, 당해 통신단말의 처리 대상인 전자기기만에 관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는, 통신단말이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에 더하여, 그 처리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 이외의 상태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6. 변형례>

    상술한 제4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식별정보로서 공기조화장치(110) 또는 냉장고(150)의 전자기기 ID를 예시하고, 제2의 식별정보로서 통신단말(120)이 처리 대상(제어 대상)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전자기기 ID(제어 대상 기기 ID)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1의 식별정보는, 통신단말(120)과 통신하고 있는 전자기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좋고, 또한 제2의 식별정보는, 통신단말(120)의 처리 대상의 전자기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좋다. 즉, 도 16에 도시한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143) 외에도, 이하와 같은 것이 생각된다.

    도 22는,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제1의 식별정보는, 전자기기 ID에 대신하여, 무선 신호(비콘신호)를 출력하는 집적 회로(비콘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비콘 ID라도 좋다. 서버(140)의 기억부(142)에,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비콘 ID와 전자기기 ID를 대응시킨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여 둔다. 이에 의해, 서버(140)의 판정부(146)는, 통신단말(12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ID로부터 전자기기 ID를 특정하고, 제2의 식별정보와 대조할 수 있다. 도 22의 예에서는, 비콘 ID "AAA"와 공기조화장치(110)의 전자기기 ID "100"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제2의 식별정보에,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의 ID(이하 「어플리케이션 ID」라고 표기한다)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통신단말(120)의 기억부(122)에는, 어플리케이션 ID가 기억된다. 여기서, 하나의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이, 같은 제품 카테고리의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응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23에,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의 ID와, 당해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전자기기 ID가 대응시켜진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전자기기로부터 보내지는 전자기기 ID와, 통신단말(120)에서 기동(起動)하고 있는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의 정부(正否)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의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ID "BBB"와, 메이커 "××사", 공기조화장치의 제품 형번 "COMDIA", "CONDIB", 공기조화장치의 전자기기 ID "100"∼"199"가 대응시켜져 있다.

    또한, 하나의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의 제품 카테고리의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응하여도 좋다. 도 24에,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의 ID와, 당해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품 카테고리의 전자기기 ID가 대응시켜진 전자기기 ID 데이터베이스의 한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으로써, 도 23과 마찬가지로, 전자기기로부터 보내지는 전자기기 ID와, 통신단말(120)에서 기동하고 있는 복수의 제품 카테고리에 대응 가능한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ID)의 조합의 정부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4의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ID "CCC"와, 메이커 "□□사", 제품 카테고리 "공기조화장치", "냉장고", "세탁기", 전자기기 ID "100", "200", "300"가 대응시켜져 있다.

    또한, 제2의 식별정보로서, 예를 들면 유저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메이커, 제품 카테고리, 제품 형번 등을 지정함으로써, 조작용 어플리케이션을 좁혀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4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경우, 메이커와 제품 카테고리를 지정하면,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ID 및 제어 가능한 전자기기 ID가 특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의 식별정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음과 함께, 전자기기 ID와 제어 대상 기기 ID(어플리케이션 ID)의 대응시킴은, 여러 가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기조화장치(110)나 냉장고(150) 등의 전기 제품, 자동차(160)에 집적 회로(111)를 조립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집적 회로가 조립된 전자기기로서는, 이들의 전기 제품, 자동차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체중계나 체조직계(體組織計) 등의 건강 기기, 조명 장치 등의 주택 설비, 헤드폰 등의 주변 기기 등의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가 상정된다. 또한, 전자기기에는, 예를 들면 문(扉) 개폐의 검출 결과(상태정보)를 출력하는 문 개폐 센서 등, 임의의 대상물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또는 센서로부터 검지 출력이 공급된 횟수를 헤아려 카운트값을 대상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출력하는 카운터도 포함된다. 또한, 전자기기에는, 전기 제품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도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제1∼제4의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에서는, 통신단말의 한 예로서 스마트폰을 상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통신단말로서는, 피처폰, 페이저, 휴대 음악 플레이어, 손목시계 등의 다양한 모바일 단말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실시의 형태 및 변형례에서는, 휴대 가능한 통신단말이 아니라, 전자기기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치형의 통신단말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그 밖에 여러 가지의 응용례, 변형례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의 형태례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례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례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은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어느 실시례의 구성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례의 구성의 일부에 관해,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선이나 정보선은 설명상 필요하다고 생각된 것을 나타내고 있고, 제품상 반드시 모든 제어선이나 정보선을 나타내고 있는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대부분 모든 구성이 상호 접속되어 있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계열적인 처리를 기술하는 처리 스텝은, 기재된 순서에 따르고 시계열적으로 행하여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1, 1A, 1B, 50, 60 : 비콘장치
    2 : 스마트폰
    10, 10A, 10B : 비콘장치 관리 시스템
    11 : 제어부
    11a : 상태정보 취득부
    12 : 기억부
    11a : 상태정보 취득부
    13 : 비콘 송신부
    14 : 전원부
    15 : 전지 잔량 검출부
    16 : 센서
    17 : 카운터
    18 : 암호화부
    21 : 제어부
    21a : 정보 처리부
    23 : 비콘 수신부
    24 : 서버 통신부
    40, 40B : 서버
    41 : 통신부
    42 : 기억부
    42a :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42b :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
    43 : 제어부
    43a : 상태 관리부
    49 : 복호부
    ia : 비콘 ID
    ib : 상태정보
    ic : 비콘 ID에 대응하는 정보
    100 :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110 : 공기조화장치
    111 : 집적 회로
    112 : 제어부
    113 : 기억부
    115 : 통신부
    116 : 필터 교환 검출부
    117 : 누수 검출부
    118 : 모터 이상 검출부
    120 : 통신단말
    121 : 처리부
    121a : 공조 어플리케이션
    122 : 기억부
    123 : 통신부
    124 : 서버 통신부
    140 : 서버
    141 : 통신부
    142 : 기억부
    143 : 전자기기 ID 정보 데이터베이스
    144 : 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
    146 : 판정부
    147 : 처리부
    148 : 상태 관리부
    150 : 냉장고
    id : 전자기기 ID
    ie : 상태정보
    if : 제어 대상 기기 ID
    ig : 통신단말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