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申请号 KR1020077000031 申请日 2005-04-28 公开(公告)号 KR1020070088438A 公开(公告)日 2007-08-29
申请人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쿠로다신이치;
摘要 In an elevator monitor system, an operation monitor device receives data on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from a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device and displays the operating conditions on a monitor. An interphone base device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monitor device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ased on information on communicating conditions of an interphone terminal device received from the interphone base device, the operation monitor device is capable of displaying the communicating conditions of the interphon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on channel selection for selecting an interphone terminal device can be inputted in the operation monitor device. The interphone base device is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communicating conditions and is capable of switching conditions of connection with an interphone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channel selec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monitor device.
权利要求
  • 복수의 인터폰 자기 장치와의 통화가 가능한 인터폰 메인 장치,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로부터 운행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운행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 및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로부터 받은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통화하는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는 상기 운행 감시 장치에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운행 감시 장치로부터 받은 상기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는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와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자기 통신 수단과, 상기 운행 감시 장치에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통신 수단을 가지며,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제 1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통신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통신 수단에 상기 선국 정보를 송신하는 제 2 통신 수단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는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가 선국 버튼으로서 표시되고,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모니터의 표시 화면 내에서 상기 선국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내를 촬영하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영상을 상기 모니터에 표시 가능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에는 통상 표시 영역과 선택 표시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입력된 선국 정보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영상을 상기 선택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동시에, 다른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영상을 상기 통상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모니터의 표시 화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하는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에 대한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상기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호출음을 발생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는 통신 상태 정보 및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호출음을 발생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 및 상기 운행 감시 장치는 서로간의 통신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확인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상기 인터폰 메인 장치 및 상기 운행 감시 장치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호출음을 발생시키는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
  • 说明书全文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ELEVATOR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의 표시에 의해 감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group management) 제어 장치로부터 운행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운행 상황을 모니터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4-18935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 긴급 사태가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으로부터 관리실에 인터폰을 통하여 통보가 있었을 경우, 관리실의 관리인은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상에서 이상 내용을 확인한 후, 인터폰 메인 앞으로 이동하여 선국 버튼을 조작하여 승객과 통화한다. 이 때문에, 통화를 하기까지 많은 시간과 작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과의 인터폰 통화를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인터폰 자기(子機) 장치 (handset unit) 와의 통화가 가능한 인터폰 메인 장치 (base unit) 및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로부터 운행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운행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인터폰 메인 장치 및 운행 감시 장치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운행 감시 장치는 인터폰 메인 장치로부터 받은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에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통화하는 인터폰 자기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인터폰 메인 장치는 운행 감시 장치에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 가능함과 동시에, 운행 감시 장치로부터 받은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인터폰 자기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의 변환 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모니터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표시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입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모니터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표시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모니터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표시 제어 수단에 설정된 감시 카메라와 호기 명칭과의 대응 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표시 제어 수단의 통상 처리 플로우에 의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 은 도 9 의 입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표시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입력 제어 수단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는 A 호기 ~ C 호기의 3 기의 엘리베이터의 감시를 실시하는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이 관리실의 관리인과 통화하기 위한 인터폰 자기 장치(4~6)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폰 자기 장치(4~6)에는 수화기(도시생략)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관리실이란, 예를 들면 건물 내의 방재 센터이다. 관리실에는 인터폰 메인 장치(7)와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운행 감시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폰 메인 장치(7)는 인터폰 자기 장치(4~6)와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자기 통신 수단(9), 운행 감시 장치(8)와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제 1 통신 수단(10) 및 인터폰 자기 장치(4~6) 중에서 통화처를 선택하기 위한 회선 선택 수단(11)을 가지고 있다.

    자기 통신 수단(9)은 음성 케이블(12~14)을 통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4~6)에 접속되어 있다. 자기 통신 수단(9)은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 1 통신 수단(10)에 입력한다. 제 1 통신 수단(10)은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운행 감시 장치(8)에 송신한다. 또, 제 1 통신 수단(10)은 통화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운행 감시 장치(8)로부터 받아 회선 선택 수단(11)에 입력한다. 자기 통신 수단(9)에는 회선 선택 수단(11) 및 음성 케이블(24)을 통하여 수화기(15)가 접속되어 있다. 수화기(15)는 관리인이 운행 감시 장치(8)를 조작· 감시하면서 통화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운행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 칸(1~3)의 운행을 제어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16)에 접속되어 있다. 군관리 제어 장치(16)는 예를 들면 건물의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운행 감시 장치(8)는 엘리베이터 칸(1~3)의 운행 상황 데이터를 군관리 제어 장치(16)로부터 수신한다. 운행 상황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층 바닥 정보(엘리베이터 칸 위치 정보), 도어 개폐 정보, 주행 방향 정보 및 호기 명칭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운행 감시 장치(8)는 제 1 통신 수단(10)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수단(17), 군관리 제어 장치(16)와 통신하기 위한 운행 상황 데이터 통신 수단(18), 엘리베이터 칸(1~3)의 운행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19), 모니터(19)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20), 관리인에 의한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21) 및 입력 장치(21)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입력 제어 수단(22)을 가지고 있다.

    제 1 통신 수단(10)과 제 2 통신 수단(17)은 통신 케이블(23)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통신 케이블(23)로는 이더넷(Ethernet)(등록상표)(「IEEE802.3 위원회」에 의해 표준화된 LAN(Local Area Network)에 관한 규격)의 규격을 충족한 케이블이 이용된다.

    운행 감시 장치(8)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갖는 컴퓨터(도시생략)를 가지고 있다. 표시 제어 수단(20) 및 입력 제어 수단(22)의 기능은 운행 감시 장치(8)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표시 제어 수단(20) 및 입력 제어 수단(2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연산 처리부는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표시 제어 수단(20) 및 입력 제어 수단(22)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 장치(21)로는 컴퓨터에 접속된 마우스 및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통신 수단(17)은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 1 통신 수단(10)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 제어 수단(20)에 입력한다. 즉, 제 2 통신 수단(17)은 표시 제어 수단(20)의 제 1 버퍼(도시생략)에 통신 상태 정보를 기입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수단(20)은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19)에 표시시킨다.

    운행 상황 데이터 통신 수단(18)으로 수신된 운행 상황 데이터는 표시 제어 수단(20)에 입력된다. 즉, 운행 상황 데이터 통신 수단(18)은 표시 제어 수단(20)의 제 2 버퍼(도시생략)에 운행 상황 데이터를 기입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 수단(20)은 운행 상황 데이터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1~3)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19)에 표시시킨다. 모니터(19)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CRT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제어 수단(22)은 입력 장치(21)의 조작에 따라 인터폰 메인 장치(7)의 통화처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제 2 통신 수단(17)에 입력한다. 선국 정보는 제 2 통신 수단(17)으로부터 제 1 통신 수단(10)에 송신된다.

    도 2 는 도 1 의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의 변환 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자기 통신 수단(9)은 음성 케이블(12~14)의 통신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도 2 의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통신 상태를 통신 심볼로 변환한다. 도 2 에 있어서, 「통화중」이란 인터폰 자기 장치(4~6)와 인터폰 메인 장치(7)와의 사이에서 통화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이다.「호출중」이란, 인터폰 자기 장치(4~6)로부터 인터폰 메인 장치(7)에 통화를 실시하고 싶은 취지를 알리고 있는 상태이다. 「대기중」이란, 통화중 및 호출중의 어느 것도 아닌 상태이다.

    예를 들면, 인터폰 자기 장치(4)는 호출중, 인터폰 자기 장치(5, 6)는 대기중인 경우, 통신 상태 정보는 통신 상태에 대응하는 통신 심볼을 A 호기, B 호기, C 호기의 순서로 나란히 늘어놓은 「233」이 된다. 자기 통신 수단(9), 회선 선택 수단(11), 표시 제어 수단(20) 및 입력 제어 수단(22)에는 도 2 와 같은 공통의 변 환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모니터(19)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모니터(19)의 화면은 군관리 제어 장치(16)로부터의 운행 상황 데이터에 근거한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과, 자기 통신 수단(9)으로부터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한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을 포함하고 있다.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에는 호기명(A 호기 ~ C 호기), 층 바닥명(1층 ~ 5층) 및 엘리베이터 칸(1~3)에 대응한 엘리베이터 칸 표시 마크(1a~3a)가 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표시 마크(1a~3a)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1~3)의 승강에 따라 이동한다. 도 3 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3층, 엘리베이터 칸(2)이 4층, 엘리베이터 칸(3)이 1층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표시 마크(1a~3a)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1~3)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나타내는 삼각형(방향 표시부)이 부여되어 있다. 도 3 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이 아래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2, 3)이 위쪽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표시 마크(1a~3a)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1~3)의 도어의 개폐 상태를 표시한다. 도 3 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 3)이 문 폐쇄 상태, 엘리베이터 칸(2)이 문 개방 상태인 것을 표시하고 있다.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는 인터폰 자기 장치(4~6)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국 버튼(4a~6a)과, 선국 버튼(4a~6a)에 대응하는 호기명이 표시되어 있다. 선국 버튼(4a~6a) 내에는 자기 통신 수단(9)으로부터의 통신 상태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의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통신 심볼이 1이면 「통화중」, 통신 심볼이 2이면 「호출중」, 통신 심볼이 3이면 「대기중」이라고 표시된다. 도 3 에서는 통신 상태 정보가 「333」이기 때문에, 모든 선국 버튼(4a~6a)에 「대기중」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관리실의 관리인은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21)를 이용하여, 선국 버튼(4a~6a)의 어느 쪽인가를 지정하는 선국 정보를 입력 제어 수단(22)에 입력할 수 있다.

    도 4 는 도 1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도 4 에 나타낸 처리를 주기적(예를 들면, 200 밀리세컨드마다)으로 실행하고, 도 3 의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 및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동작에서는 우선 제 1 버퍼에 제 2 통신 수단(17)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 제 1 버퍼에 수신 데이터가 없으면, 제 2 버퍼에 운행 상황 데이터 통신 수단(18)으로부터의 수신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4). 어느 버퍼에도 수신 데이터가 없으면 처리는 종료한다.

    제 1 버퍼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었을 경우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단계 S2). 예를 들면, 제 1 버퍼에 통신 상태 정보 「233」이 기입되어 있었을 경우, 표시 제어 수단(20)은 A 호기의 통신 심볼이 「 2」, B 호기 및 C 호기의 통신 심볼이 「3」이라고 인식하고, 도 2 의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의 표시 내용을 A 호기 「호출중」, B 호기 「대기중 」, C 호기 「대기중」이라고 표시한다. 표시 내용을 갱신하면, 제 1 버퍼를 초기화(단계 S3)하여 제 2 버퍼 내의 수신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한다(단계 S4).

    제 2 버퍼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었을 경우,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의 표시 내용을 갱신하고(단계 S5), 제 2 버퍼를 초기화(단계 S6) 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도 5 는 도 1 의 입력 제어 수단(22)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처리 플로우는 입력 장치(21)를 이용하여 선국 버튼(4a~6a) 중 어느 쪽인가가 선택되는 것을 트리거로서 개시된다. 선국 버튼(4a~6a)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되면, 선택된 선국 버튼(4a~6a)의 표시가 「대기중」 또는 「호출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선택된 선국 버튼(4a~6a)의 표시가 「대기중」 또는 「호출중」이었을 경우, 입력 제어 수단(22)은 관리인이 승객과의 통화의 개시를 희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선국 버튼(4a~6a)의 표시를 「통화중」으로 변경한다(단계 S12). 또, 선택된 선국 버튼(4a~6a)의 표시가 「통화중」이었을 경우, 입력 제어 수단(22)은 관리인이 승객과의 통화의 종료를 희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 선국 버튼(4a~6a)의 표시를 「대기중」으로 변경한다(단계 S13).

    이 후, 변경후의 선국 버튼(4a~6a)의 표시 내용을 선국 정보로서 제 2 통신 수단(17)에 송신한다(단계 S14). 선국 정보는 도 2 에 나타낸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작성된다. 예를 들면, A 호기 및 C 호기의 선국 상태가 「대기중」, B 호기의 선국 상태가 「통화중」이면, 선국 정보는 통신 심볼을 사용하여 「313」으로 된 다.

    제 2 통신 수단(17)은 입력 제어 수단(22)으로부터의 선국 정보를 수신하면, 그 선국 정보를 즉석에서 제 1 통신 수단(10)에 송신한다. 제 1 통신 수단(10)은 수신한 선국 정보를 회선 선택 수단(11)에 입력한다. 회선 선택 수단(11)은 입력된 선국 정보에 따라 수화기(15)와 인터폰 자기 장치(4~6)와의 회선 접속의 ON/OFF 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선국 정보가 「313」이었을 경우, 회선 선택 수단(11)은 「통화중」을 나타내는 통신 심볼이 B 호기에 할당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B 호기의 인터폰 자기 장치(5)에 접속된 음성 케이블(13)과 수화기(15)에 접속된 음성 케이블(24)과의 접속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B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2) 내의 승객과 관리실의 관리인과의 통화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 1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인터폰 메인 장치(7) 및 운행 감시 장치(8)가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운행 감시 장치(8)는 인터폰 메인 장치(7)로부터 받은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를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과 함께 모니터(19)에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운행 감시 장치(8)는 통화하는 인터폰 자기 장치(4~6)를 선택하기 위한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인터폰 메인 장치(7)는 운행 감시 장치(8)에 통신 상태 정보를 송신 가능함과 동시에, 운행 감시 장치(8)로부터 받은 선국 정보에 근거하여 인터폰 자기 장치(4~6)와의 접속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인은 운행 감시 장치(8)의 앞에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을 모니터링 하면서 원하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과 인터폰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긴급 사태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관리인은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과의 인터폰 통화를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3)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1~3) 내를 상시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31~3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감시 카메라(31~33)는 영상 케이블(34~36)을 통하여 운행 감시 장치(8)에 접속되어 있다.

    운행 감시 장치(8)에는 감시 카메라(31~33)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통신 수단(37)이 설치되어 있다. 감시 카메라(31~33)는 영상 데이터 통신 수단(37)에 감시 카메라(31~33)마다 설치된 버퍼(도시생략) 내에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예를 들면 1/30 밀리세컨드마다)으로 기입한다.

    영상 데이터 통신 수단(37)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 수단(20)에 입력한다. 즉, 영상 데이터 통신 수단(37)은 표시 제어 수단(20)의 제 3 버퍼(도시생략)에 영상 데이터를 주기적(예를 들면 100 밀리세컨드마다)으로 기입한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감시 카메라(31~33)로 촬영된 영상을 모니터(19)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모니터(19)에는 엘리베이터 칸(1~3)의 운행 상황 및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와 함께, 감시 카메라(31~33)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도 7 은 도 6 의 모니터(19)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의 우측에서 통신 상태 표시 영역(26)의 아래에는 감시 카메라(31~33)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영상 표시 영역(38)이 설치되어 있다. 영상 표시 영역(38)에는 엘리베이터 칸(1~3)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31a, 32a, 33a)과 호기명이 표시되어 있다.

    도 8 은 도 6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도 8 에 나타낸 처리를 주기적(예를 들면, 200 밀리세컨드마다)으로 실행하고, 도 7 의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 및 영상 표시 영역(38)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다.

    또, 실시형태 2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동작 중,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 및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관한 동작(단계 S1 ~ 단계 S6)은 실시형태 1 (도 4)과 동일하다. 그리고, 표시 제어 수단(20)은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관한 동작후, 제 3 버퍼에 기입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영상을 영상 표시 영역(38)에 표시시킨다(단계 S7).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 2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운행 감시 장치(8)는 감시 카메라(31~33)로부터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영상을 모니터(19)에 표시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인은 운행 감시 장치(8)의 앞에 있으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상황과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31a, 32a, 33a)을 모니터링하면서, 원하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과 인터폰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31a, 32a, 33a)을 영상 표시 영역(38) 내에 간단히 표시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31a, 32a, 33a)의 표시부에 선국 버튼(4a~6a)과 동일한 기능을 추가해도 된다. 즉, 입력 장치(21)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31a, 32a, 33a)의 어느 쪽인가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도, 입력 제어 수단(22)이 도 5 에 나타낸 동작을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 제어 수단(22)은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에 대응하는 선국 버튼의 표시 상태를 확인하게 되지만, 다른 동작은 도 5 와 동일하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표시 제어 수단(20)은 영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감시 카메라(31~33)로 촬영된 영상을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모니터(19)에 순차적으로 표시시킨다. 또, 표시 제어 수단(20)은 입력 제어 수단(22)으로부터의 선국 정보를 받아 입력 장치(21)에서 선택된 인터폰 자기 장치(4~6)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영상을 모니터(19)에 선택적으로 표시시킨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2 와 동일하다.

    도 10 은 도 9 의 모니터(19)의 표시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영상 표시 영역(38)에는 모든 엘리베이터 칸(1~3)의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을 주기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통상 표시 영역(38a)과, 엘리베이터 칸(1~3) 중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선택 표시 영역(38b)이 포함되어 있다.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이란, 선국 버튼(4a~6a)의 표시가 「통화 중」으로 되어 있는 호기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칸, 즉 관리인과 인터폰 통화를 실시하고 있는 승객이 타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이다.

    표시 제어 수단(20)에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감시 카메라(31~33)와 호기명과의 대응 테이블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카메라 ID란, 모든 감시 카메라(31~33)에 일의적으로 할당되어 있는 번호이다. 호기 명칭이란, 영상 데이터 통신 수단(37)으로부터 표시 제어 수단(20)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순서이다. 도 10 의 예에서는 A 호기, B 호기, C 호기의 순서로 영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 수단(20)에 입력된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선택 표시 영역(38b) 이외의 표시에 관한 통상 처리 플로우(도 12)와, 선택 표시 영역(38b)에 대한 표시에 관한 선택 표시 처리 플로우를 따라 동작한다.

    우선, 도 12 는 도 9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통상 처리 플로우에 의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도 12 에 나타낸 동작을 주기적으로 실행한다. 또, 실시형태 3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동작 가운데, 운행 상황 표시 영역(25) 및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관한 동작(단계 S1 ~ 단계 S6)은 실시형태 1 (도 4)과 동일하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관한 동작 후, 카메라 ID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영상을 통상 표시 영역(38a)에 표시시킨다(단계 S8). 즉, 도 11 의 대응 테이블을 사용하여 카메라 ID에 대응하는 호기 명칭을 취득하는 동시에, 취득한 호기 명칭과 이 호기 명칭을 갖는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엘 리베이터 칸 내 영상을 통상 표시 영역(38a)에 표시시킨다.

    이 후, 카메라 ID를 갱신한다(단계 S9). 즉, 도 11 의 대응 테이블을 따라 갱신전의 카메라 ID가 「1」이었을 경우는 「2」로, 갱신 전의 카메라 ID가 「2」였을 경우는 「3」으로, 갱신전의 카메라 ID가 「3」이었을 경우는 「1」로 카메라 ID를 갱신한다. 따라서, 도 13 의 동작을, 예를 들면 200 밀리세컨드마다 실행하는 경우, 통상 표시 영역(38a)에 표시되는 영상도 200 밀리세컨드마다 변환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 은 도 9 의 입력 제어 수단(22)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처리 플로우는 입력 장치(21)를 사용하여 선국 버튼(4a~6a)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트리거로서 개시된다. 또, 선국 버튼(4a~6a)의 표시 전환이나 선국 정보 송신에 관한 동작(단계 S11 ~ 단계 S14)은 실시형태 1 (도 5)과 동일하다.

    선택된 선국 버튼(4a~6a)의 표시를 「통화중」으로 했을 경우(단계 S12), 도 2 의 변환 테이블을 사용하여 통신 심볼 「1」과 이 호기 명칭을 표시 제어 수단(20)의 선택 표시 처리 플로우에 보낸다(단계 S15). 또, 선택된 선국 버튼(4a~6a)의 표시를 「대기중」으로 했을 경우, 통신 심볼 「3」과 이 호기 명칭을 표시 제어 수단(20)의 선택 표시 처리 플로우에 보낸다.

    다음으로, 표시 제어 수단(20)의 선택 표시 처리 플로우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 표시 처리 플로우는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그리고, 입력 제어 수단(22)으로부터 통신 심볼 「1」을 수신한 경우, 표시 제어 수단(20)의 제 3 버퍼로부터 이 호기 명칭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 데이터에 근거한 영상과 이 호기 명칭을 선택 표시 영역(38b)에 표시한다. 또, 입력 제어 수단(22)으로부터 통신 심볼 「3」을 수신한 경우, 선택 표시 영역(38b)에 블루백(blue-back) 영상을 표시한다. 즉, 인터폰 통화를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선택 표시 영역(38b)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통상 표시 영역(38a)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영상을 전환하면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므로, 많은 대수의 감시 카메라(31~33)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보다 큰 사이즈의 영상으로 엘리베이터 칸(1~3) 내를 감시할 수 있다. 또, 선택된 엘리베이터 칸의 엘리베이터 칸 내 영상을 선택 표시 영역(38b)에 표시하므로, 인터폰 통화중인 승객이 타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에 대해서도 보다 큰 사이즈의 영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승객과 인터폰 통화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 에서는 통상 표시 영역(38a)을 하나로 하였으나, 복수의 통상 표시 영역을 설치하거나 통상 표시 영역 내를 복수로 분할하거나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많은 대수의 감시 카메라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감시 카메라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고, 블록 내의 감시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전환하면서 대응하는 통상 표시 영역에 순차적으로 표시시켜도 된다.

    또, 실시형태 1~3 의 모니터(19)의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예를 들면 터치 패널로 구성하여 화면에 접촉함으로써 선국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더블데크 (double-deck) 엘리베이터나 원샤프트 멀티카(one-shaft multi-car) 방식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운행 감시 장치(8)에는 스피커(감시 장치측 스피커)(41)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 제어 수단(20)은 스피커(41)에 벨소리 울림 신호(bell sound ringing signal)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bell sound non-ringing signal)를 입력한다. 또, 입력 제어 수단(22)은 스피커(41)에 벨소리 울림 신호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입력한다. 스피커(41)는 벨소리 울림 신호를 받음으로써 호출음으로서 벨소리를 나게 하고,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받음으로써 벨소리의 울림을 정지한다.

    도 15 는 도 14 의 표시 제어 수단(2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1 버퍼에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었을 경우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의 표시 내용을 갱신한 후(단계 S2), 갱신 후의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호출중」의 표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1). 그리고, 「호출중」의 표시가 있었을 경우 벨소리 울림 신호를 스피커(41)에 출력한다(단계 S22). 또, 「호출중」의 표시가 없었던 경우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스피커(41)에 출력한다(단계 S23).

    예를 들면, 제 1 버퍼에 통신 상태 정보 「233」이 기입되어 있었을 경우, 표시 제어 수단(20)은 A 호기의 통신 심볼이 「2」, B 호기 및 C 호기의 통신 심볼이 「3」이라고 인식하고, 도 2 의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A 호기가 호출중이라고 판단하여 벨소리 울림 신호를 출력한다.

    도 16 은 도 14 의 입력 제어 수단(22)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입력 제어 수단(22)은 선국 버튼(4a~6a)의 표시를 「통화중」으로 변경한 후 (단계 S12), 선국 버튼 표시 영역(26)에 「호출중」의 표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4). 그리고, 「호출중」의 표시가 있었을 경우, 벨소리 울림 신호를 스피커(41)에 출력한다(단계 S25). 또, 「호출중」의 표시가 없었을 경우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스피커(41)에 출력한다(단계 S26).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 4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인터폰 자기 장치(4~6)의 통신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운행 감시 장치(8)에 설치한 스피커(41)로부터 벨소리를 나게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으로부터의 통보가 있었을 경우 스피커(41)로부터 벨소리를 나게 하여 관리인에게 신속히 알릴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5 는 실시형태 2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실시형태 4 의 스피커(41)에 관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으로부터의 통보가 있었을 경우 스피커(41)로부터 벨소리를 나게 하여 관리인에게 신속히 알릴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6 은 실시형태 3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실시형태 4 의 스피커(41)에 관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도, 엘리베이터 칸(1~3) 내의 승객으로부터의 통보가 있었을 경우, 스피커(41)로부터 벨소리를 나게 하여 관리인에게 신속히 알릴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4~6 에 있어서 호출음은 벨소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미리 녹음된 알림메시지 등이라도 상관없다.

    또, 스피커는 반드시 운행 감시 장치 본체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운행 감시 장치 본체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실시형태 7.

    다음으로,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인터폰 메인 장치(7)에는 스피커(메인 장치측 스피커)(4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통신 수단(10)으로부터 제 2 통신 수단(17)에 송신되는 통신 상태 정보에 「호출중」을 의미하는 통신 심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 1 통신 수단(10)은 제 2 통신 수단(17)과의 통신의 유효성에 따라 벨소리 울림 신호를 스피커(42)에 출력한다. 또, 제 1 통신 수단(10)은 제 2 통신 수단(17)으로부터 수신한 선국 정보에 「호출중」을 의미하는 통신 심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통신 수단(17)과의 통신의 유효성에 따라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스피커(42)에 출력한다.

    제 1 및 제 2 통신 수단(10, 17)은 서로간의 통신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 신호를 송수신하고, 확인 신호의 수신 상황에 따라 벨소리(호출음)를 울리게 하는 스피커(41, 42)를 선택한다. 확인 신호로는 통신 상태 정보 및 선국 정보와 혼동하지 않도록 독특한 통신 심볼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확인 신호로는 제 1 통신 수단(10)으로부터는 OxFF 신호가 T초 주기로 출력되고, 제 2 통신 수단(17)으로부터는 OxFE 신호가 T초 주기로 출력된다. 따라서, 통신이 정상(유효)인 경우 통신에 필요로 하는 시간의 격차를 무시하면, 제 1 통신 수단(10)에서는 OxFE 신호가 T초 주기로 수신되고, 제 2 통신 수단(17)에서는 OxFF 신호가 T초 주기로 수신된다.

    여기서, 제 1 통신 수단(10)에 있어서의 OxFE 신호의 수신 간격을 T1 초로 하면, T1 초가 T 초를 크게 상회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통신 수단(10, 17) 간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에서는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턱값 TH를 TH = 3× T 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전제에 근거하면 제 1 통신 수단(10)은 T1 > TH로 되었을 때,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42)에 스피커 제어 신호로서 「ON」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T1 ≤ TH인 경우, 통신은 정상적이라고 판단하고, 제 1 통신 수단(10)은 스피커(42)에 스피커 제어 신호로서 「OFF」 신호를 송신한다.

    또, 제 2 통신 수단(17)에 있어서의 OxFF 신호의 수신 간격을 T2 초로 하면, 제 2 통신 수단(17)은 T2 > TH로 되었을 때, 통신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스피커(41)에 스피커 제어 신호로서 「OFF」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T2 ≤ TH인 경우, 통신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제 2 통신 수단(17) 은 스피커(41)에 스피커 제어 신호로서 「ON」 신호를 송신한다.

    인터폰 메인 장치(7)의 스피커(42)는 수신한 최신 스피커 제어 신호가 「OFF」 신호(통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벨소리 울림 신호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무 시하고 벨소리의 울림을 항상 정지한다. 또, 스피커(42)는 수신한 최신의 스피커 제어 신호가 「ON」 신호(통신 상태가 이상)인 경우,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벨소리 울림 신호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에 따라 벨소리의 울림 또는 비울림을 결정한다.

    운행 감시 장치(8)의 스피커(41)는 수신한 최신의 스피커 제어 신호가 「OFF」 신호(통신 상태가 이상)인 경우, 벨소리 울림 신호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를 무시하고 벨소리의 울림을 항상 정지한다. 또, 스피커(41)는 수신한 최신 스피커 제어 신호가 「ON」 신호(통신 상태가 정상)인 경우,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게 벨소리 울림 신호 및 벨소리 비울림 신호에 따라 벨소리의 울림 또는 비울림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형태 7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서는 제 1 및 제 2 통신 수단(10, 17)간에 통신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신호의 교환을 실시하고, 통신의 유효성에 따라 벨소리를 울리게 하는 스피커(41, 42)를 선택하게 되어 있으므로, 통신 상태가 정상이면 관리인이 근처에 있는 것이 상정되는 운행 감시 장치(8)의 스피커(41)만을 울리게 할 수 있어 벨소리의 소란스러움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통신 상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도, 인터폰 메인 장치(7)의 스피커(42)가 울리게 되므로 인터폰 자기 장치(4~6)로부터의 호출을 관리인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실시형태 8.

    다음으로, 도 2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8 은 실시형태 5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실시형태 7 의 통신의 유효성의 확인에 관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 성에 의해 통신의 유효성에 따라 벨소리를 울리게 하는 스피커(41, 42)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형태 9.

    다음으로, 도 2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 에 의한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시형태 9 는 실시형태 6 의 엘리베이터 감시 시스템에 실시형태 7 의 통신의 유효성의 확인에 관한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신의 유효성에 따라 벨소리를 울리게 하는 스피커(41, 42)를 선택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