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극 코킹장치

申请号 KR1020087011987 申请日 2006-11-22 公开(公告)号 KR1020080063847A 公开(公告)日 2008-07-07
申请人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发明人 사이토아키히코; 도노시게루; 야마모토켄;
摘要 Provided is an electrode caulking device capable of mounting electrodes (2)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a shape-memory alloy wire (1) which is heated to be restored to an original shape. A roundup caulking device (101) includes: a load mechanism (20)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tension of the axial direction to the shape-memory alloy wire (1); a pair of support units (4) for supporting the shape-memory alloy wire (1) at two positions arrang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having a caulking unit; a pair of electric connection contact units (5)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hape-memory alloy wire (1) at two positions sandwiching the pair of support units (4) for making electric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tact points; and a pair of pressing units (6) for plastically deforming the caulking portion of the electrodes (2) held by the support units (4) so as to caulking-fix the electrodes (2) to the shape-memory alloy wire (1).
权利要求
  •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한 쌍의 전극을 코킹(caulking) 고정시키는 전극 코킹장치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그 축 방향의 소정 장력을 가하는 부하기구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축 방향으로 소정간격 떨어진 2개소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코킹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전극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사이에 두는 2개소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접촉하고, 상기 2개소의 접촉점 사이에 통전(通電) 시키는 한 쌍의 통전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전극의 코킹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전극을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코킹 고정시키는 한 쌍의 압압(押壓)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중,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영역을 덮는 커버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압압부의 양 쪽 또는 어느 한쪽을 가열 하기 위한 히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중, 적어도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영역을 보온액에 담구기 위한 보온액 저액(貯液)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극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전극을 양 바깥 측에서부터 끼워넣는 한 쌍의 전극 지지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접촉부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지지하는 홈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통전접촉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전극을 상기 축 방향으로 위치결정 하는 위치결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통전접촉부는, 기대(基台)의 지지면 상(上)에, 더욱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압압부는, 기대의 지지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압압 지지체의 아랫면에, 더욱이 한 쌍의 지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압압부는, 승강기구에 의해 압압 지지체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그것에 의해,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및 상기 전극을 상기 압압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가압하여,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상기 전극을 코킹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코킹장치.
  • 说明书全文

    전극 코킹장치{ELECTRODE CAULKING DEVICE}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양단에 한 쌍의 전극을 코킹(caulking)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전극 코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가열에 의해 소정온도까지 도달하면, 기억된 형상으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진다. 그 때문에, 이 성질을 이용해서, 종래부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기계제조의 액츄에이터로서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6-222752호 공보 참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가열방법으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직접 전류를 흘려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내부에 발생하는 줄(joule)열을 이용해서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이 가열방법을 통전 가열이라고 부른다. 이 통전 가열을 이용함에 의하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가열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통전 가열을 행하기 위해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양단부에 통전용의 전극을 접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열팽창으로 인해 가열 전(상온시)의 길이와 통전 가열시의 길이가 상이하다. 통상, 상온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에 전극을 접합시키고 있다. 혹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상의 소정거리를 띄워둔 2개소에 전극을 접합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기계제품에 집 어 넣은 상태에서 통전 가열하여,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켰다고 해도, 열팽창 분 만큼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길이 또는 전극 간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그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발생하는 응력은 열팽창에 의한 오차를 포함하므로, 응력을 정확하게, 동시에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결과, 가열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있고, 경시열화(經時劣化)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상의 소정거리 떨어진 개소에 전극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 코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한 쌍의 전극을 코킹 고정시키는 전극 코킹장치로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그 축 방향의 소정 장력을 가하는 부하기구와,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축 방향으로 소정간격 떨어진 2개소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코킹부를 가지는 한 쌍의 전극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사이에 두는 2개소에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와 접촉하고, 상기 2개소의 접촉점 사이에 통전시키는 한 쌍의 통전접촉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전극의 코킹부를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전극을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코킹 고정시키는 한 쌍의 압압(押壓)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상의 소정거리(L)만큼 떨어진 개소에 한 쌍의 전극을 코킹 고정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되어도, 열 팽창에 의한 길이의 변화가 고려되어 있으므로, 소망하는 응력을 정확히, 동시에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열상태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저감 되어, 경시열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구성 및 그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A는 통전(通電)전, 도 1B는 통전 개시시점, 도 1C는 코킹작업 중을 나타내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코킹작업 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구성 및 그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구성 및 그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구성 및 그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는 코킹작업 전, 도 5B는 코킹작업 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요부의 구성 및 그 움직임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A는 코킹작업 전, 도 6B는 도 6A의 BB 단면도, 도 6C는 코킹작업 중에 있어서의 BB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A는 코킹작업 전, 도 7B는 도 7A의 CC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에 대해서, 도 1A~1C, 2A 및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1C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전극 코킹장치(101)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상의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개소에 전극(2)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전극 코킹장치(101)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는 부하기구(20)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그 축방향으로 소정거리(L)떨어진 2개소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코킹부를 가지는 전극(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4)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4)를 사이에 두는 2개소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접촉 하고, 그 2개소 사이에 통전 시키는 한 쌍의 통전접촉부(5)와, 각 지지부(4)가 지지하는 전극(2)의 코킹부를 소성변형시켜, 각 전극(2)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코킹 고정시키는 한 쌍의 압압부(6)를 갖추고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4) 및 한 쌍의 통전접촉부(5)는, 기대(基台)(3)의 윗면인 지지면(3a) 위에, 동시에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압압부(6)는, 기대(3)의 지지면(3a)에 대향 하도록 설치된 압압 지지체(12)의 아랫면에, 동시에 한 쌍의 지지부(4)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4)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상기 일직선상에 지지함과 아울러, 각각 통전 가열용의 전극(2)을 1개 지지한다. 각 지지부(4)는, 기대(3)의 지지면(3a)상에서, 소정거리(L)를 둔 개소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는, 그 축 방향으로 소정거리(L)떨어진 2개소에서 지지된다.

    전극(2)은, 도 2A 및 2B에 도시한 것처럼, 그 내부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삽통(揷通)되는 양단관통의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다. 전극(2)의 전체가 압압부(6)에 의해 편평(扁平)상으로 눌러 찌그러짐에 의해, 전극(2)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전극(2)이 코킹 고정 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극(2)은, 그 전체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대해서 코킹 고정 되는 코킹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원통형상의 전극(2)은, 지지부(4)의 윗면에 형성된 직사각형상 단면을 가지는 오목부(21)내에 지지 된다. 오목부(21)는, 고정전의 전극(2)에 대해서 그 직경 방향(도 2B 중의 좌우방향)에 소정의 공극을 가지고 있고, 변형 후의 전극(2)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도록, 전극(2)의 변형을 가이드 한다.

    또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축 방향(도 2A 중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21)내에서의 전극(2)의 위치결정은, 전극 고정용의 가동체(축 방향의 위치결정부재)(22)를 전극(2)의 일단면에 꽉 누름에 의해 행해진다. 가동체(22)는, L자 형상을 가지고 있고, 토션(torsion) 스프링인 탄성체(23)를 통해서, 그 일단측이 지지부(4)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23)의 부세력(付勢)에 의해, 가동체(22)가 지지부(4)에 대해서 도 2A 중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가동체(22)의 타단측(他端側)이 전극(2)의 축 방향의 단면에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전극(2)을 위치결정 한다.

    한 쌍의 통전접촉부(5)는, 기대(3)의 지지면(3a)상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4)를 그 내측 사이에 두도록 일직선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각 통전접촉부(5)는, 각각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접촉한다. 한 쌍의 통전접촉부(5)의 사이에는, 전원(7) 및 스위치(8)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스위치(8)를 켜면, 전원(7), 한쪽의 통전접촉부(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 다른쪽의 통전접촉부(5), 스위치(8) 및 전원(7)의 순서로 전류가 흘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양 통전접촉부(5)에 의해 끼워진 통전가능 영역을 통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통전 가열 가능한 영역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양 지지부(4)(즉, 지지부(4)에 지지된 전극(2))에 의해 끼워지는 소정거리(L) 사이를 포함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소정의 장력을 가하는 부하기구(20)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일단을 거는 제1 풀리(pulley)(9)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타단을 가이드하는 제2 풀리(10)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타단이 결합된 추(11)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압압부(6)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4)와 대향 하도록 압압 지지체(12)의 아랫면에 소정거리(L)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승강기구에 의해 압압 지지체(12)와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그것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 및 전극(2)을 압압부(6)와 지지부(4)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가압할 수 있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전극(2)을 코킹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극 코킹장치(101)를 이용해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전극(2)을 코킹 고정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A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일단을 제1 풀리(9)에 걸고, 그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한 쌍의 지지부(4)위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양 지지부(4)를 사이에 두는 2개소에서 한 쌍의 통전접촉부(5)와 접촉시키도록,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기대(3)의 지지면(3a) 위에 세트(set)한다. 더욱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타단에 추(11)를 설치하여,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축 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소정의 장력을 작용시킨다.

    다음으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8)를 켜서, 전원(7)에 의해 한 쌍의 통전접촉부(5) 사이에 소정의 전류가 흐르도록 전압을 인가한다. 그것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통전접촉부(5)와 접촉하는 2개소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때의 전류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변형을 일으키는(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소정의 온도까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가열시키는데 필요하고도 충분한 전류량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통전에 의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변형을 일으키는 온도로 가열되어, 열팽창 했다고 해도, 추(11)에 의한 장력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작용하므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는 느슨해 지는 일없이 일직선상으로 유지 되어 있다. 한편, 기대(3)의 열용량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열용량보다도 훨씬 크므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가열되었다고 해도, 기대(3)의 온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지지부(4) 사이의 소정 거리(L)는 유지된 그대로이다.

    이렇게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통전 가열한 상태에 있어서,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 지지체(12)와 한 쌍의 압압부(6)를 기대(3)로 향하여 하강시키면, 각 압압부(6)가 각각 대응하는 지지부(4)에 지지된 전극(2)의 코킹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2)의 전체)에 꽉 눌려서, 코킹부를 소성변형시킨다. 그 결과, 각 전극(2)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상의 소정 개소에 코킹 고정된다. 전극(2)의 고정완료 후, 압압 지지체(12)와 양 압압부(6)를 기대(3)에서 떨어지도록 상승시키는 것과 동시에, 스위치(8)를 꺼서 통전을 정지시키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기대(3)에서 떼어낸다.

    이렇게,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상의 소정 거리(L)만큼 떨어진 개소에 한 쌍의 전극(2)을 코킹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얻은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되었다고 해도, 열팽창에 의한 길이의 변화가 고려되어 있으므로, 소망하는 응력을 정확히, 동시에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가열상태에 있어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저감 되고, 경시열화가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로의 통전은, 정전류의 통전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작업시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온도를 작업조건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2)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2)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점만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2)에서는, 기대(3)의 지지면(3a)보다도 윗쪽의 공간을 덮는 커버(25)가 설치되고, 이 커버(25)에 의해, 기대(3)위에 배치된 지지부(4), 통전접촉부(5),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 전극(2), 압압부(6)등이 둘러싸여져 있다. 커버(25)는, 통전 가열상태에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온도가, 바람의 영향에 의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공간에서의 바람의 영향이 커버(25) 안으로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25)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적어도 한 쌍의 전극(2)의 사이가 되는 영역을 덮어, 바람막이를 행하는 구조이면 좋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3)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3)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점만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3)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4)와 한 쌍의 압압부(6)에, 각각 히터(26)가 설치되어 있다. 각 히터(26)는 가열부용 전원(27)에서의 전력공급으로 발열하여, 각각 지지부(4)와 압압부(6)를 개별로 가열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전 가열상태에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열이 지지부(4)와 압압부(6)를 통해서 방산 되어 온도저하가 발생한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히터(26)는, 각 지지부(4)에 만 또는 각 압압부(6)에 만 설치해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4)에 대해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4)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점만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4)에서는, 기대(3)의 중앙부분을 움푹 꺼지게 해서 저액조(貯液槽)(3b)를 형성하고, 저액조(3b)의 바닥면을 지지면(3a)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지지면(3a)에는, 한 쌍의 지지부(4)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 쌍의 지지부(4)를 사이에 두도록 한 쌍의 도르래(28)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도르래(28)을 통해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기대(3)의 저액조(3b)의 둘레의 단차를 따라서 크랭크(crank)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저액조(3b)에는, 뜨거운 물이나 기름으로 된 보온액(40)이 충전되어 있다. 또한, 도 5 중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면(3a)상의 한 쌍의 지지부(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접촉하는 한 쌍의 통전접촉부(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처럼, 저액조(3b)가 보온액(40)으로 가득 찬 상태에서, 지지면(3a)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4)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가 지지됨과 동시에, 전극(2)이 지지 되므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 중에서 적어도 한 쌍의 전극(2) 사이의 영역이, 보온액(40)에 담궈진다. 그 때문에, 통전 가열상태에 있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열이 지지부(4)와 압압부(6)를 통해서 방산 되어 온도저하가 발생한다 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5)에 대해서,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5)의 기본적 구조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1)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점만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5)에서는, 지지부(4)의 오목부(21)내에 지지된 원통형상의 전극(2)을 직경방향(도 6B의 좌우방향)의 양 바깥쪽에서부터 탄성적으로 끼워넣은 한 쌍의 전극 지지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극 지지부재(30)는, 인장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탄성부재(31)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이 탄성부재(31)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해 부세력(付勢力)이 주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지부(4)의 오목부(21)내에 지지된 전극(2)의 축 방향의 단면에 전극고정용의 가동체(22)가 탄성적으로 눌려 닿아져 축 방향의 위치결정이 되는 동시에, 양 바깥쪽에서부터 한 쌍의 전극 지지부재(30)가 탄성적으로 눌려 닿아져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된다.

    이 상태에서,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통전 가열하고, 압압부(6)를 기대(3)에 접근하도록 하강시키면, 각 압압부(6)가 지지부(4)가 지지하는 전극(2)의 코킹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극(2)의 전체)에 눌려 닿아져, 전극(2)의 코킹부를 편평상으로 눌러 찌그러뜨리도록 소성변형시킨다. 쌍을 이루는 양 전극 지지부재(30)의 상부에는, 상단에 가까워 질수록 서로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30a)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압부(6)가 전극(2)을 코킹 고정하여 감에 따라, 압압부(6)가 상기 테이퍼 면(30a)에 닿아서 양 전극 지지부재(30)의 간격을 넓힌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2)은, 코킹 고정의 개시시점에서는 양 전극 지지부재(30)에 끼워져서, 확실히 직경방향의 위치결정이 되고, 코킹 고정 중에는, 양 전극 지지부재(30)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전극(2)은 문제없이 편평상으로 소성변형된다. 그 때문에, 코킹 고정 시에 전극(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확실히 전극(2)을 소망하는 형상으로 소성변형시킬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6)에 대해서,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6)의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5)와 같으므로,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점만을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전극 코킹장치(106)에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와 접촉해서 통전 가열하는 통전접촉부(5)의 상부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를 위쪽에서부터 끼워넣어 위치결정하기 위한 홈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에는, 한 쌍의 통전접촉부(5)의 한쪽 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양쪽의 통전접촉부(5)에 상기 홈부(3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통전접촉부(5)에 홈부(32)를 설치함으로써, 전극(2)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에 코킹 고정 할 때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한 실시형태의 구성은 적당히 설계변형 가능함과 아울러, 적당히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5-341207 및 2006-147369에 근거를 두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당연 히 본원발명에 합체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의 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다고 해도, 여러 가지 변경과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서 명확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당연히 해석되어야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