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심 케이블 조립체

申请号 KR2020130005665 申请日 2013-07-10 公开(公告)号 KR2020140000421U 公开(公告)日 2014-01-20
申请人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다나카마사토;
摘要 선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할 때, 접속 부재를 확장할 필요없이, 양호한 작업성과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접속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심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시켜서 접속 부재가 되는 기판(30)에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케이블은 케이블의 직경마다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을 구성하고, 케이블이 갖는 실드 부재와 도통하도록 그라운드 바(16, 27)가 고정된다. 각 그라운드 바(16, 27)는 기판(30)의 그라운드 패드(31)에 도통 접속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그라운드 바(16, 27)는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1개의 그라운드 바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그라운드 바(16, 27)는 각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겹쳐진 위치에 배치된다.
权利要求
  •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시켜서 접속 부재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직경이 다른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의 직경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케이블이 갖는 실드 부재와 도통하도록 상기 복수의 그룹마다 그라운드 바가 고정되고, 상기 그라운드 바와 상기 접속 부재에 구비되는 그라운드 패드 사이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배치하여, 각 그룹의 상기 그라운드 바가 상기 그라운드 패드에 도통 접속되고,
    상기 케이블의 병렬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그라운드 바는, 각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병렬한 방향으로, 다른 1개의 그라운드 바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그라운드 바는, 각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겹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상기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접속 부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과 2심 케이블의 2종류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각 그룹의 상기 케이블은 동일한 종류 또한 직경이 동일한 케이블이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심 케이블은 중심 도체를 절연 피복한 절연 코어를 2개 포함하고, 2개의 상기 절연 코어를 덮는 실드 부재를 갖고, 각각의 상기 2심 케이블의 상기 실드 부재는 땜납에 의해 상기 그라운드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2심 케이블은 드레인선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선은 상기 2심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되접어 꺾여서 그 선단이 상기 그라운드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케이블은 직경이 다른 상기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고, 직경이 동일한 상기 동축 케이블이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
  • 说明书全文

    다심 케이블 조립체{MULTI-CORE CABLE ASSEMBLY}

    본 고안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한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초음파 진단 장치 등의 의료기기의 프로브에 접속되는 케이블 하네스(cable harness)로서 복수개의 세경(細徑) 동축 케이블을 집합 일체화시킨 플랫 케이블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플랫 케이블 유닛의 일례에서는,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이 병렬하여 배치되고, 이러한 동축 케이블은 그 외피가 제거되어 실드(shield) 부재, 절연체 및 중심 도체가 계단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고정하는 그라운드 바(ground bar)가 각 실드 부재에 고정되어 동축 케이블의 피치가 규정되어 있다.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상기의 플랫 케이블 유닛을 접속하고, 다심 케이블 조립체를 제작하는 경우, 각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를 접속 부재의 신호 단자부에 접속하여, 각 동축 케이블의 실드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그라운드 바를 접속 부재의 그라운드 패드에 접속한다. 이러한 접속은 납땜 등에 의해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각 동축 케이블의 실드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그라운드 바와, 기판 등의 접속 부재의 그라운드 패드가 접속된 구성이 된다.

    상기와 같은 의료기기의 프로브 등의 기판이나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구성에 있어서, 그 제품의 사양에 따라서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복합 케이블이나, 구조가 다른 동축 케이블과 2심 동축 케이블[트윈악스 케이블(twinax cable)] 양쪽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트윈악스 케이블은 신호선이 평형 전송용으로 트위스트 페어 선(twisted pair cable)이 되고, 금속재의 실드 부재로 페어 선이 덮인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복합 케이블의 구성에 대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그라운드 바에 일괄 접속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고속 전송과 저속 전송의 쌍방에 대응하기 위해서, 선 직경이 다른 고속 전송용의 동축 케이블의 실드 부재 또는 트윈악스 케이블의 드레인선과, 저속 전송용의 절연 전선을 동일한 그라운드 바에 접속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12-49035 호 공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시킨 경우, 그라운드 패드와 그라운드 바 사이에 복수의 케이블을 끼우고, 그 내부를 땜납으로 메우는 것에 의해 고정하는 구성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 태경(太徑)의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그라운드 패드와 그라운드 바의 간격이 규제되기 때문에, 세경의 케이블이 불안정하게 되어, 접속 작업성이나 접속 정밀도가 악화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과 같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한 복합 케이블의 경우, 모든 케이블을 일괄하여 그라운드 바에 고정하면, 각각의 케이블에서 접속 조건이 달라서 기판에 대한 접속을 잘 실행할 수 없다.

    거기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케이블중, 동일 직경의 케이블을 정리하여 그라운드 바에 고정하고, 동일한 직경을 갖는 케이블마다의 플랫 케이블 유닛을 작성하고, 이러한 플랫 케이블 유닛을 나열하여 접속 부재에 각각 일괄 접속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각각의 플랫 케이블 유닛이 갖는 그라운드 바는, 그 양단에 귀부(部)가 있다. 귀부는 병렬한 케이블보다 병렬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플랫 케이블 유닛의 그라운드 바를 기판의 그라운드 패드에 접속할 때에, 땜납의 열에 의해 케이블이 외상을 받지 않도록 땜납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에 기인한다.

    이러한 플랫 케이블 유닛을 복수로 나열하여 기판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하는 경우, 각각의 그라운드 바의 귀부끼리가 간섭하여 방해가 되고, 소정의 스페이스의 접속 부재에 대해서 접속이 잘 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그라운드 바를 절단하려는 경우에도, 케이블의 근방에서는 케이블의 외상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그라운드 바를 절단할 수 없다.

    또한, 복수 나열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전체 폭에 맞추어 기판 등의 접속 부재 자체의 크기를 확장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접속 부재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그라운드 바의 귀부 정도의 길이여도 접속 부재의 대형화는 시장 요구 등으로부터 쉽게 허용되지 않는다.

    또는, 그라운드 바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의 케이블을 접속 부재측의 그라운드 패드에 접속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수작업으로 1개씩 케이블을 그라운드 패드에 접속시킬 필요가 생겨, 시간이 걸리고 번잡하다. 또한, 수작업으로 땜납 접속하면, 사용하는 땜납의 양도 많아져서 납땜부의 높이(또는 두께)가 커진다. 또한, 땜납의 열에 의해 케이블의 외피에 외상이 생겨 절연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시킬 때, 접속 부재를 확장할 필요없이, 양호한 작업성과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접속을 실행할 수 있게 한 다심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는,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시켜 접속 부재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다심 케이블 조립체이며, 복수의 케이블은 직경이 다른 케이블을 포함하고, 케이블의 직경마다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케이블이 갖는 실드 부재에 도통(道通)하도록 복수의 그룹마다 그라운드 바가 고정되고, 그라운드 바와 접속 부재에 구비된 그라운드 패드 사이에 복수의 케이블을 배치하고, 각 그룹의 그라운드 바가 그라운드 패드에 도통 접속된다. 케이블의 병렬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그라운드 바는 각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케이블의 병렬된 방향으로, 다른 1개의 그라운드 바를 사이에 두고서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그라운드 바는 각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겹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각 그룹의 케이블의 중심 도체는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접속 부재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과 2심 케이블의 2종류의 케이블을 포함하고, 각 그룹의 케이블은 동일한 종류 또한 직경이 동일한 케이블이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2심 케이블은 중심 도체를 절연 피복한 절연 코어를 2개 포함하고, 2개의 절연 코어를 덮는 실드 부재를 갖고, 각각의 2심 케이블의 실드 부재는 땜납에 의해 그라운드 바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2심 케이블은 드레인선을 포함하고, 드레인선은 2심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되접어 꺾여서 그 선단이 그라운드 바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케이블은 직경이 다른 상기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고, 직경이 동일한 상기 동축 케이블이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도 좋다.

    본 고안의 다단(多段)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의하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할 때, 접속 부재를 확장할 필요없이, 양호한 작업성과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접속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적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적용되는 트윈악스 케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플랫 케이블 유닛을 접속한 기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시켜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한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병렬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 부재의 폭을 불필요하게 확장하는 일 없이, 접속 작업성 및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다심 케이블에 사용하는 케이블로서는, 직경이 다른 동축 케이블, 혹은 2심 케이블(트윈악스 케이블) 등이 적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적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동축 케이블(11)은 그 중심에 중심 도체(12)를 갖고, 중심 도체(12)의 주위에 절연체(13), 실드 부재(14) 및 외피(15)가 동축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중심 도체(12)는 예를 들어, 주석 도금된 구리 합금선(12a)을 복수개 연선하여 형성한 것이며, 그 외주를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polyolefin)(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에틸렌 등),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EV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EEA), 염화비닐 수지(PVC), 불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재로 피복함으로써 절연체(13)가 형성되어 있다.

    실드 부재(14)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구리 합금선 등의 도체(14a)를 나선형으로 감거나, 혹은 편조(編組) 구조로 하는 외부 도체이다. 그리고 실드 부재(14)의 외주측에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피(15)가 피복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적용되는 트윈악스 케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2의 (A) 및 (B)는 트윈악스 케이블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의 (A)의 트윈악스 케이블(21)은 중심 도체(22a, 22b)를 절연 피복한 절연 코어(23a, 23b), 실드 부재(25) 및 외피(26)를 갖는다.

    중심 도체(22a, 22b)로서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도체 또는 이러한 도체에 은이나 주석의 도금을 실시한 단선 또는 연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을 낮은 저항으로 하고 도체 중심측을 높은 저항으로 한 2층 구조의 도체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절연 코어(23a, 23b)의 피복층의 부분은 불소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된다. 2개의 절연 코어(23a, 23b)는 꼬아 합쳐져도 좋고, 연선되지 않고 병행(竝行)으로 가지런해도 좋다. 실드 부재(25)는 2개의 절연 코어(23a, 23b)를 포함하도록 덮는 부재이며, 예를 들면 Al-PET 등의 실드 테이프를 나선형으로 감는 것에 의해 마련된다.

    도 2의 (B)의 트윈악스 케이블(21)은 도 2의 (A)의 구성에 부가하여 드레인선(24)을 구비한 것이다. 드레인선(24)은 실드 부재(25)에 접촉하도록 마련된, 예를 들면, 연동(軟銅), 주석 도금 연동,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선이다. 드레인선(24)은 절연 코어(23a, 23b)에 세로로 첨가된 상태로 마련된다.

    실드 부재(25)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코어(23a, 23b)를 덮도록 마련되고, 그 외측에 드레인선(24)이 따르게 된다. 이 때, 실드 부재(25)가 Al-PET 등의 2층 구조의 실드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Al의 금속층을 외측으로 하여, 그 금속층과 드레인선(24)을 도통시킨다. 그리고 외피(26)는 상기의 2개의 절연 코어(23a, 23b), 실드 부재(25) 및 드레인선(24)을 일괄하여 덮는다.

    또한, 트윈악스 케이블에는, 실드 부재(25)의 금속을 내측을 향해서, 실드 부재(25)로 절연 코어(23a, 23b), 드레인선(24)을 함께 피복한 것도 있다. 이 경우, 실드 부재(25)는 절연 코어(23a, 23b)를 나열한 골의 부분에 드레인선(24)을 세로로 첨가하여 덮도록 마련하고, 이러한 절연 코어(23a, 23b)와 드레인선(24)을 실드 부재(25)로 일괄하여 덮도록 하여 구성한다. 또는, 절연 코어를 꼬아 합친 것도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동축 케이블이나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갖고 있다. 복수의 케이블은 각각 동일한 직경을 갖는 케이블마다 모아서, 케이블 직경마다의 복수의 플랫 케이블 유닛을 구성한다. 그리고 복수의 플랫 케이블을 나열하여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A)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선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측면도이다. 플랫 케이블 유닛(10)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이 배열되고 그라운드 바(16)를 고정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 유닛(10)에 있어서, 그라운드 바(16)를 고정하기 전의 각 동축 케이블(11)은 중심 도체(12), 절연체(13) 및 실드 부재(14)가 계단 형상으로 노출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평면 형상으로 배열시킨 동일 직경의 복수의 동축 케이블(11) 각각에 대하여, 외피(15)를 소정 길이 제거하여, 실드 부재(14)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실드 부재(14)를 소정 위치에서 절단하고, 그 절단 위치보다 선단측의 실드 부재(14)를 제거하여 절연체(13)를 노출시킨다. 이 때, 일정 길이의 실드 부재(14)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에서 노출된 실드 부재(14)에 그라운드 바(16)를 고정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실(絲) 땜납을 그라운드 바(16)와 실드 부재(14)의 사이에 끼우고, 혹은 페이스트(paste) 땜납을 그라운드 바(16)에 도포하고, 펄스 히터로 가열하여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그라운드 바(16)가 각 동축 케이블(11)의 실드 부재(14)와 도통 접속된다.

    다음에, 그라운드 바(16)를 고정한 동축 케이블(11)의 선단부에 있어서, 그라운드 바(16)로부터 소정 위치에서 절연체(13)를 제거하여, 중심 도체(12)를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플랫 케이블 유닛(1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공정은 플랫 케이블 유닛(10)을 제작할 때의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며, 실드 부재(14)와 그라운드 바(16)가 전도 접속되는 다른 구성이나 공정을 적당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의 도 4 내지 도 5의 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도 4는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4의 (A)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선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측면도이다.

    플랫 케이블 유닛(20)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복수의 트윈악스 케이블(21)이 배열되고, 그라운드 바(27)에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바(27)를 고정하기 전의 각 트윈악스 케이블(21)은 절연 코어(23a, 23b) 및 실드 부재(25)가 계단 형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되어 있는 실드 부재(25)에 실 땜납이나 페이스트 땜납을 사용하여 그라운드 바(27)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그라운드 바(27)가 각 트윈악스 케이블(21)의 실드 부재(25)와 도통 접속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바(27)로부터 선단측의 소정 위치에서 절연 코어(23a, 23b)의 피복층을 제거하여, 각 중심 도체(22a, 22b)를 노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플랫 케이블 유닛(2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의 (A)에 도시하는 구성의 트윈악스 케이블(21)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5의 (A)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선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플랫 케이블 유닛의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트윈악스 케이블(21)의 드레인선(24)을 그라운드 바(27)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경우, 그라운드 바(27)를 접속하기 전의 각 트윈악스 케이블(21)은, 외피(26)가 소정 길이 박리되어, 절연 코어(23a, 23b)가 노출되고 드레인선(24)도 도출된다.

    그리고 드레인선(24)을 트윈악스 케이블(21)의 길이 방향으로 되접어 꺾어서, 그 선단부를 그라운드 바(27)에 고정한다. 그라운드 바(27)의 고정은 예를 들면,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혹은 외피(26)의 손상을 막기 위해서 저온 땜납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드레인선(24)을 거쳐서 실드 부재(25)와 그라운드 바(27)가 도통 접속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바(27)로부터 선단측의 소정 위치에서 절연 코어(23a, 23b)의 피복층을 제거하여, 각 중심 도체(22a, 22b)를 노출시킨다. 이것에 의해, 플랫 케이블 유닛(20)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2의 (B)에 도시하는 구성의 트윈악스 케이블(21)에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플랫 케이블 유닛을 접속하는 기판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판(30)은 복수의 케이블을 병렬시켜 접속하는 접속 부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의료기기의 프로브 등에 마련된다. 기판(30)에는, 케이블의 신호 전송 선로가 되는 중심 도체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단자부(32)와, 플랫 케이블 유닛의 그라운드 바를 접속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31)가 구비된다.

    플랫 케이블 유닛이 갖는 복수의 케이블의 병렬 방향을 기판(30)의 폭 방향(W)으로 할 때, 그라운드 패드(31)는 기판(30)의 폭 방향(W)의 거의 전체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케이블의 길이 방향(L)이라고 함]의 그라운드 패드(31)의 길이는 예를 들면, 복수의 케이블을 그라운드 패드 상에 수작업으로 납땜한 구성의 것과 비교해 길게 되어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 유닛의 그라운드 바를 케이블의 길이 방향(L)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기 위해 길이 방향(L)의 그라운드 패드(31)의 길이가 확장된 것이다. 이 경우, 기판(30)의 폭을 확장하는 일 없이, 기판(30)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L)으로 확장된 그라운드 패드(3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심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6의 기판(30)에 대해서 다른 케이블 직경을 갖는 복수의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을 접속한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1개의 기판(30)에 마련된 복수의 신호 단자부(32)에 대해서, 3종류의 직경의 케이블이 접속된다. 3종류의 케이블중, 2개는 동축 케이블이며, 직경마다 하나로 합쳐진 2개의 플랫 케이블 유닛(10)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다른 1개의 케이블은 트윈악스 케이블이며, 플랫 케이블 유닛(20)을 구성하고 있다. 플랫 케이블 유닛(10)은 도 3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일 직경의 복수의 동축 케이블(11)의 실드 부재(14)에 그라운드 바(1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플랫 케이블 유닛(20)은 도 4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동일 직경의 복수의 트윈악스 케이블(21)의 실드 부재(25)에 그라운드 바(27)가 도통 접속되어 있다.

    다심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2개의 플랫 케이블 유닛(10)은 각각의 그라운드 바(16)가 기판(30)의 그라운드 패드(31)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각 동축 케이블(11)의 중심 도체(12)가 신호 단자부(32)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트윈악스 케이블을 사용한 플랫 케이블 유닛(20)은, 그것의 그라운드 바(27)가 그라운드 패드(31)에 땜납에 의해 접속되고, 트윈악스 케이블(21)의 각각의 중심 도체(22a, 22b)가 순차적으로 신호 단자부(32)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그라운드 패드(31)에 대한 그라운드 바(16, 27)의 접속은 그라운드 패드(31)와 그라운드 바(16, 27) 사이를 땜납으로 메움으로써 실행하거나, 혹은 그라운드 바(16, 27)의 단부에 케이블의 직경에 거의 상당하는 도전성의 교각부(橋脚部)를 부여하고, 그 교각부를 거쳐서 그라운드 바(16, 27)를 그라운드 패드(31)에 도통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예의 다심 케이블 조립체는, 접속 부재가 되는 기판(30)에 접속하는 복수의 케이블에는, 직경이 다른 케이블이 포함된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케이블을 동일 직경의 케이블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마다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을 작성한다. 각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에는, 각 케이블의 실드 부재(17, 25)에 그라운드 바(16, 27)가 도통 접속되어 있고, 그러한 그라운드 바(16, 27)가 기판(30)의 그라운드 패드(31)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각 케이블[동축 케이블(11), 트윈악스 케이블(21)]은 동일 직경의 케이블마다 모아서, 그라운드 바(16, 27)와 그라운드 패드(31)에 의해 끼워진 형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의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중, 서로 인접하는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의 그라운드 바(16, 27)는 각 케이블[동축 케이블(11), 트윈악스 케이블(2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그라운드 패드(31)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플랫 케이블 유닛(10, 20)의 그라운드 바(16, 27)의 단부의 귀부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기판(30)의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스페이스를 쓸데없이 확장하는 일 없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3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라운드 바(16, 27)중, 서로 인접하는 그라운드 바, 즉, 다른 1개의 그라운드 바를 사이에 두고서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그라운드 바는 각 케이블의 길이 방향(L)으로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기판(30)의 그라운드 패드(31)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기판(30) 자체의 면적을 확장하는 일 없이 기판(30)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그라운드 패드(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동축 케이블(11), 트윈악스 케이블(21)]을 기판(30)에 접속하는 것이지만, 커넥터 등의 다른 접속 부재에 있어서도 동일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직경이 다른 복수의 케이블을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접속 부재에 접속할 때, 접속 부재를 확장할 필요없이, 양호한 작업성과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접속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10, 20 : 플랫 케이블 유닛 11 : 동축 케이블
    12 : 중심 도체 12a : 구리 합금선
    13 : 절연체 14 : 실드 부재
    14a : 도체 15 : 외피
    16 : 그라운드 바 17, 25 : 실드 부재
    21 : 트윈악스 케이블 22a, 22b : 중심 도체
    23a, 23b : 절연 코어 24 : 드레인선
    25 : 실드 부재 26 : 외피
    27 : 그라운드 바 30 : 기판
    31 : 그라운드 패드 32 : 신호 단자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