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 백

申请号 KR2020020029413 申请日 2002-10-01 公开(公告)号 KR200307289Y1 公开(公告)日 2003-04-18
申请人 옥윤채; 发明人 옥윤채;
摘要 본 고안은 플러그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대략 평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각각의 커버는 그 내측 전면과 테두리에 걸쳐 쿠션부가 형성되고 잠금장치가 형성된 플러그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수납 공간내측 테두리에 걸쳐 하측면에 그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일정 크기의 연결 수단 설치 공간이 하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 공간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 외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연통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 공간에서 일측부에는 소정 크기의 충전지가 고정설치 되는데, 상기 충전지가 플러그백 측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가방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충전지가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은 전체적으로 상단부 폭이 하단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 설치된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와; 일단부는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러그가 그 단부에 연결된 일자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대략 평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각각의 커버는 그 내측 전면과 테두리에 걸쳐 쿠션부가 형성되고 잠금장치가 형성된 플러그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수납 공간내측 테두리에 걸쳐 하측면에 그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일정 크기의 연결 수단 설치 공간이 하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 공간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 외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연통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 공간에서 일측부에는 소정 크기의 충전지가 고정설치 되는데, 상기 충전지가 플러그백 측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가방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충전지가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은 전체적으로 상단부 폭이 하단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 설치된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와;
    일단부는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러그가 그 단부에 연결된 일자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설치공간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데, 커버 상단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접착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이를 통해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그 측면이 상기 수납 공간의 일측 구석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상기 충전지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센트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는 그 측면이 상기 플러그백의 하부 커버의 외부 일측면에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
  • 说明书全文

    플러그 백{PLUG BAG}

    본 고안은 플러그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백 내부에 플러그, 충전지 및 콘센트를 장착하여 백내부에 공간에 노트북 컴퓨터나 혹은 다른 전자장비를 놓고 바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도록 된 플러그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는 대부분 그 부피가 커서 이동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한 점이 있다. 이런 이유로 현재는 소형인 노트북 컴퓨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점점 더 소형화되고 부피가 줄어들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는 이동성이 좋고, 그 성능이 데스크 탑형에 비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요즘 비즈니스맨이나 세미나 각종 발표회장에서 프레젠테이션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트북 컴퓨터는 통상 노트북 가방에 보관하고 이동한 후 다시 꺼내서 사용하게 되며, 노트북 가방에는 컴퓨터 외에 전원 연결 케이블과 별도의 배터리등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가능한 특정한 장소로 이동한 후 사용하고자 하여도 그장소에 전원 연결을 위한 콘센트가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콘센트가 있더라도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없어서 사용할 수 노트북 컴퓨터나 기타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이동성 장비를 갖춘 가방내에 전원 연결을 위한 일체의 장비를 내장하여 그를 통해 이동장소에서도 쉽게 전원을 연결하여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플러그 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플러그백 S: 수납공간

    S1: 연결수단 설치공간

    132:개구부 140: 커버

    133,143: 접착수단 152: 케이블

    160: 걸림턱 170: 충전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평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상부 커버와 하부커버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며, 각각의 커버는 그 내측 전면과 테두리에 걸쳐 쿠션부가 형성되고 잠금장치가 형성된 플러그백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수납 공간내측 테두리에 걸쳐 하측면에 그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일정 크기의 연결 수단 설치 공간이 하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 공간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 외부에 형성된 개구부로 연통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 공간에서 일측부에는 소정 크기의 충전지가 고정설치 되는데, 상기 충전지가 플러그백 측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가방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충전지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은 전체적으로 상단부 폭이 하단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 설치된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와;

    일단부는 상기 충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러그가 그 단부에 연결된 일자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케이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백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설치공간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데, 커버 상단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접착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이를 통해 상기 커버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는 그 측면이 상기 수납 공간의 일측 구석 벽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되고,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는 상기 충전지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수납공간의 측면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콘센트가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는 그 측면이 상기 플러그백의 하부 커버의 외부 일측면에 부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백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백(100)은 일반적인 가방형태로 상부 커버(110)와 하부커버(120)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 수납 공간(S)을 형성한다. 각각의 커버(110)(120)는 그 내측 전면과 테두리에 걸쳐 쿠션부(112),(122)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S)내에 보관되는 장비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110)(120)는 개폐시 동작하는 잠금장치(도시 안됨)가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 커버(120)의 일측 외부에는 손잡이(190)가 부착되어 있고, 그 수납 공간(S)내측 테두리에 걸쳐 하측면에는 그 수직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일정 크기의 연결 수단 설치 공간(S1)이 하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설치 공간(S1)의 일단부는 상기 하부 커버(120)의 일측 외부에 형성된 개구부(132)로 연통된다. 상기 개구부(132)의 크기는 상기 설치공간(S1)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 수단 설치 공간(S1)에서 일측부에는 소정 크기의 충전지(170)가 고정설치 되는데 이때 충전지(170)가 플러그백(100)내의 설치공간(S1)에 고정됨과 동시에 가방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도 충전지가(170)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림턱(16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S1)은 전체적으로 상단부 폭이 하단부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32)는 커버(140)에 의해 폐쇄되는데, 커버(140) 상단부와 상기 개구부(132)의 상부에 접착수단(벨크로 파스너 등)(143,133)이 각각 설치되어 이를 통해 상기 커버(140)가 상기 개구부(132)를 폐쇄하면서 고정된다.

    참조 부호 182는 콘센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S1)내에 설치된 충전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측면이 수납 공간(S)의 일측 구석 벽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참조 부호 152는 연결 케이블을 나타낸 것으로서 일단부는 상기 충전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형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플러그(150)가 그 단부에 연결된 일자형 케이블(151)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152)은 상기 연결 수단 설치공간(S1)내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로 설치된 플러그 백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노트북 컴퓨터나 기타 전자 장비를 콘센트(182)에 연결하고 플러그(150)를 전원(도시안됨)에 연결한후에 노트북 컴퓨터나 전자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러그 백(100)의 충전지(170)가 충전된 경우에는 플러그(150)를 전원에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노트북 컴퓨터나 기타 전자 장비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통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센트(184)의 구조가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즉 충전지(170)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공(173)을 거쳐 연장되어 콘센트(1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콘센트(184)를 이동시켜 가면서 자신의 노트북 컴퓨터나 전자 장비를 전기적으로 상기 콘센트(184)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플러그백(100)의 나머지 구조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통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콘센트(186)의 구조가 플러그백(100)의 하부 커버(120)의 외측면 일측에 부착형성된 구조이다. 즉 콘센트(186)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플러그백(186)을 닫은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된 콘센트(186)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백에 따르면, 이동성 장비를 갖춘 가방내에 전원 연결을 위한 일체의 장비를 내장함으로써, 이동장소에서도 쉽게 전원을 연결하여 노트북 컴퓨터 혹은 각종 전자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백에 내장된 충전지 만으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일정시간동안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