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감지기

申请号 KR1020130063640 申请日 2013-06-03 公开(公告)号 KR1020140142429A 公开(公告)日 2014-12-12
申请人 지멘스 주식회사; 发明人 조재철; 박범석; 신용규;
摘要 화재감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는, 일측면이 건축물에 부착되고, 타측면에 베이스 터미널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결합되되, 베이스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 터미널과 화재감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이 접속한 상태에서 베이스 터미널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도록, 베이스에는 베이스 터미널 외측에 형성되어 베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터미널 외측에 베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력과 외력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설치시와 점검시에 작업자 및 점검자의 감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权利要求
  • 일측면이 건축물에 부착되고, 타측면에 베이스 터미널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 터미널과 화재감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과 상기 단말기 터미널이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터미널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 터미널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터미널은,
    제1 통전 단자; 및
    상기 제1 통전 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단말기 터미널이 개재되도록, 상기 제1 통전 단자와 이웃하여 마련되는 제1 탄성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외부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2 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통전 단자와의 사이에 외부 전원선이 개재되도록, 상기 제2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단자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 단자와 상기 제2 통전 단자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 단자와 상기 제2 탄성 단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 상기 제2 통전 단자와 상기 제2 탄성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은 상기 제2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상기 제2 탄성 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자부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단자와 상기 제2 통전 단자 사이에 외부 전원선이 개재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자부에 상기 탄력단자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상기 단말기 터미널의 개재시 탄성변형하여 상기 단말기 터미널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탄성 단자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전 단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단자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터미널에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에 개재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 说明书全文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출화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detector, 火災感知器)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자동소화설비의 화재를 직접적으로 탐지하는 부품을 말하며,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差動式)감지기와 열의 축적을 이용한 열(熱)감지기가 있다. 공기 팽창과 열의 축적을 동시에 이용한 보상식(補償式) 및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기로 대별되며,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국소 부분을 감지하는 스포트형 감지기와 전체 면적을 감지하는 분포형 감지기로 분류된다. 감지기의 종류는 차동식 스포트형, 차동식 분포형, 보상식 스포트형, 정온식 스포트형, 정온식 감지선형, 이온화식, 광전식, 열복합형, 연기 복합형, 열연기 복합형 등이 통용되고 있다.

    감지기에서 받은 신호는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고 있는 수신기에서 받고 더욱이 경보로 해서 벨을 작동함과 동시에 발신기에 의해 소방관서 등에 통보되기 때문에 화재경보설비를 구성하는 기기나 배선의 신뢰성, 보전은 대단히 중요하며 또 대상 건축물 등에 대한 감지기의 설치방법이나 배선의 내열, 내화 등에 관해서는 소방법규에 의해서 상세한 설치기준이 규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02358호는 '화재감지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007-0102358호는 천정 또는 벽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2)와, 화재감지 센서(11)가 결합되어 부착부(2)의 타측면에 회전결합되는 몸체(10)로 구성된다. 몸체(10)의 외주연 다수 곳에는 돌출부인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파지부(15)를 구비하여 몸체(10)와 부착부(2)와의 회전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부착부(2)와 몸체(10)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몸체(10)의 일측에는 결합고리(12)가 돌출형성되고, 부착부(2)에는 결합부(3)가 마련되어 몸체(10)와 부착부(2)의 회전결합시 결합고리(12)가 부착부(2)의 결합부(3)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결합고리(12)는 연감지센서 또는 열감지센서 등 센서(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연감지센서 또는 열감지센서가 작동하게 되면 결합고리(12) 및 결합부(3)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센터로 전송되어 센서에서는 화재발생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합부(3)는 상측 결합부(3a)와 하측 결합부(3b)로 구성된다. 상측 결합부(3a) 및 하측 결합부(3b)는 각각 금속 플레이트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인접한 전선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측 결합부(3a)와 하측 결합부(3b)의 사이에는 몸체와 부착부의 회전 결합시 결합고리(12)가 끼워지게 된다.

    상측 결합부(3a)는 하측 결합부(3b)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결합고리(12)를 하측 결합부(3b)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작용을 한다. 하측 결합부(3b)는 부착부(2)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결합고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측 결합부(3b)는 부착부(2)의 하중을 지탱하므로 상측 결합부(3a)에 비해 3배 내지 7배 정도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화재감지기는 부착부(2)와 몸체(10)가 결합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측 결합부(3b)가 상측 결합부(3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결합부(3)와 결합고리(12)의 결합구조가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측 결합부(3b)는 스프링 작용을 하는 상측 결합부(3a)와의 사이에 결합고리(12)가 끼워짐에 따라 상측 결합부(3a)로부터 지속적인 가압력을 받는다. 그리고, 화재감지기는 보통 천장에 설치되므로 하측 결합부(3b)는 상측 결합부(3a)의 가압력과 함께 몸체(10)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항시 작용하는 가압력과 몸체(10)의 하중에 의해 하측 결합부(3b)를 구성하는 금속의 결정립 내부에서는 소성변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에는 항시 전원이 공급되므로 하측 결합부(3b)에는 전기 저항에 의한 줄 열(Joule heat)이 발생하여 결정립 내부의 소성변형은 더욱 가속된다. 아울러, 소방안전법에 의거한 주기적인 안전점검시 부착부(2)로부터 몸체(10)를 분리할 때마다 하측 결합부(3b)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에너지 준위가 높아진 결정립계(grain boundary)에 크랙(crack)이 발전하여 하측 결합부(3b)의 영구변형은 가시적으로 발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3)와 결합고리(12)의 결합력이 약해지게 되면 하측 결합부(3b)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영구변형에 의해 하측 결합부(3b)와 결합고리(12)의 접촉면적이 감소하게 되고, 결합부(3)의 이상과열과 화재감지기의 오작동 및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결합부(3)는 결합고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측 결합부(3b)가 부착부(2)의 하부에 노출됨에 따라 부착부(2)의 천장설치시나 전선 커넥터에 전원선 연결시 또는 몸체(10) 결합시에 작업자의 손이 닿아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결합부(3)와 전선 커넥터는 단순히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 센서(11)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부착부(2)에서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어 통전되는 구성임에 반해, 종래에는 결합부(3)와 전선 커넥터가 따로 제작되어 부착부(2)의 몸체(1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으며,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 센서(11)로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3)와 전선 커넥터의 통전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었다.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778,295호(등록일 : 2007.11.15)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력과 외력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부에 연결하기 위한 통전구조가 단순화 및 효율화되며, 설치시와 점검시에 작업자 및 점검자의 감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면이 건축물에 부착되고, 타측면에 베이스 터미널이 마련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베이스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 터미널과 화재감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과 상기 단말기 터미널이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터미널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 터미널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터미널은, 제1 통전 단자; 및 상기 제1 통전 단자와의 사이에 상기 단말기 터미널이 개재되도록, 상기 제1 통전 단자와 이웃하여 마련되는 제1 탄성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외부 전원선과 접속되는 제2 통전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통전 단자와의 사이에 외부 전원선이 개재되도록, 상기 제2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전 단자와 상기 제2 통전 단자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탄성 단자와 상기 제2 탄성 단자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타측면에 상기 제2 통전 단자와 상기 제2 탄성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터미널은 상기 제2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상기 제2 탄성 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단자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 단자와 상기 제2 통전 단자 사이에 외부 전원선이 개재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자부에 상기 탄력단자를 가압하는 누름버튼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전 단자는, 상기 단말기 터미널의 개재시 탄성변형하여 상기 단말기 터미널을 가압하도록, 상기 제1 탄성 단자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통전 단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단자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터미널에는, 상기 베이스 터미널에 개재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터미널 외측에 베이스 터미널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력과 외력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설치시와 점검시에 작업자 및 점검자의 감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터미널은, 제1 통전 단자와 제2 통전 단자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제1 탄성 단자와 제2 통전 단자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단자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부에 연결하기 위한 통전구조가 단순화 및 효율화되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결합부와 결합고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누름버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외부 전원선의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전원선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는, 가압력과 외력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 간의 결합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부에 연결하기 위한 통전구조가 단순화 및 효율화되며, 설치시와 점검시에 작업자 및 점검자의 감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누름버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외부 전원선의 삽입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3의 화재감지기의 전원선의 분리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3의 화재감지기의 베이스 터미널과 단말기 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재감지기(1)는 베이스(10)와 단말기(50)로 구성된다. 베이스(10)는 일측면이 건축물에 부착되고, 단말기(50)는 베이스(10)의 타측면에 조립된다. 베이스(10) 및 단말기(50)는 천장에 설치될 때 평면도 상 원형의 형태를 나타내며, 베이스(10)에 대한 단말기(50)의 상대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화재감지기(1)는 보통 건물의 천장면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화재감지기(1)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결합구조에 대한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서 상하 위치를 구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10)는 일측면이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한 쌍의 지지부(200) 및 단자부(300)가 형성되어 베이스 터미널(100)이 삽입된다. 베이스(10)에는 건축물의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단말기(50)는 베이스 터미널(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말기 터미널(500)과 화재감지부(600)가 형성되며,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된 베이스(10)와 회전결합된다.

    화재감지부(600)는 단말기(50)의 중앙에 구비되고, 단말기 터미널(500)은 베이스 터미널(100)에 대응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베이스(10)에 대한 단말기(50)의 상대회전에 의해 베이스 터미널(100)에 삽입되도록, 단말기(50)가 회전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도 7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터미널(100)은 소방시스템의 전원선(C)과 단말기(50)의 단말기 터미널(500)을 전기적·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양극 전원선(C) 및 음극 전원선(C)과 각각 연결된다. 베이스 터미널(100) 한 쌍은, 단말기 터미널(500) 한 쌍과 결합되도록, 베이스(10)와 단말기(50)가 회전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베이스 터미널(100)은 각각 제1 베이스 터미널(110)과 제2 베이스 터미널(130)로 구성된다. 제1 베이스 터미널(110)과 제2 베이스 터미널(130)은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베이스 터미널(110)은 전원선(C)과 단말기 터미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제1 통전 단자(111)와 제2 통전 단자(115)로 구성된다. 제1 베이스 터미널(110)은 금속 플레이트가 수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통전 단자(111)는, 단말기 터미널(500)과 상측면이 밀착되는 제1 통전 플레이트(112) 및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 통전 플레이트(113)로 구성된다.

    제1 통전 플레이트(112)는 후술할 제1 탄성 플레이트(132)를 상측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상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면 탄성변형하여 단말기 터미널(500)과 평행한 접촉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통전 플레이트(112)의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단부는, 단말기 터미널(50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제2 통전 단자(115)는, 외부 전원선(C)이 상측면에 접속되는 제3 통전 플레이트(116), 제 3통전 플레이트(116)와 외부 전원선(C)이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4 통전 플레이트(117) 및 제3 통전 플레이트(116)와 대향되도록 제4 통전 플레이트(117)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5 통전 플레이트(118)로 구성된다.

    제1 통전 단자(111)와 제2 통전 단자(115)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방향과 외부 전원선(C)이 결합되는 방향은 수평면 상에서 서로 직교되며, 제5 통전 플레이트(118)의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방향의 측단부는 제2 통전 플레이트(113)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외부 전원선(C)은 화재감지부(600)와 병렬 연결되며, 제3 통전 플레이트(116) 및 제4 통전 플레이트(117)는 병렬 연결되는 양극 또는 음극 전원선(C)이 각각 접속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3 통전 플레이트(116)에는 후술할 누름버튼(400)의 가압돌기(410)가 통과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베이스 터미널(130)은 전원선(C)과 단말기 터미널(500)이 제1 베이스 터미널(110)과 결합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제1 탄성 단자(131)와 제2 탄성 단자(135)로 구성된다. 제2 베이스 터미널(130)은 금속 플레이트가 수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탄성 단자(131)는, 단말기 터미널(500)과 하측면이 밀착되는 제1 탄성 플레이트(132) 및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쪽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2 탄성 플레이트(133)로 구성된다. 제1 탄성 플레이트(132)는 제1 통전 플레이트(112)를 가압하도록 하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단부는 단말기 터미널(500)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다.

    제2 탄성 단자(135)는, 외부 전원선(C)이 하단에서 가압되도록 외부 전원선(C)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탄성 플레이트(136), 제3 탄성 플레이트(136)의 상단에서 외부 전원선(C)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 탄성 플레이트(137)로 구성된다.

    제1 탄성 단자(131)와 제2 탄성 단자(135)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제4 탄성 플레이트(137)의 단말기 터미널(500)이 삽입되는 방향의 측단부는 제2 탄성 플레이트(133)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제3 통전 플레이트(116) 및 제4 통전 플레이트(117)는, 제3 통전 플레이트(116) 및 제4 통전 플레이트(117)와 마찬가지로, 병렬 연결되는 양극 또는 음극 전원선(C)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제1 베이스 터미널(110)과 제2 베이스 터미널(130)은, 제5 통전 플레이트(118)의 상면이 제4 탄성 플레이트(137)의 저면과 밀착되는 형태로서 결합된다. 제5 통전 플레이트(118)의 상면과 제4 탄성 플레이트(137)의 저면이 서로 밀착되면, 제1 통전 플레이트(112)의 상면은 제1 탄성 플레이트(132)의 저면과 서로 대향하며, 제3 탄성 플레이트(136)는 제3 통전 플레이트(116)와 제5 통전 플레이트(118)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4 탄성 플레이트(137)의 저면에는, 제5 통전 플레이트(118)와 제4 탄성 플레이트(137)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3 볼록부(B3)가 형성되고 제5 통전 플레이트(118)에는 제3 볼록부(B3)가 삽입되는 관통공(H)이 형성된다.

    한편, 제1 통전 플레이트(112)에는 관통공(H)이 형성되고, 제1 탄성 플레이트(132)에는 관통공(H)에 부분삽입되는 제1 볼록부(B1)가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기 터미널(500)에는, 베이스 터미널(100)에 삽입시 제1 통전 플레이트(112)의 관통공(H)에 삽입되는 제2 볼록부(B2)가 형성된다. 제2 볼록부(B2)가 관통공(H)에 삽입되면 물리적 삽입음 및 삽입결합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며, 이를 통해 작업자는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3 탄성 플레이트(136)의 하단부는 제3 통전 플레이트(116)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3 탄성 플레이트(136)와 제3 통전 플레이트(116) 사이에 삽입되는 외부 전원선(C)은 제3 탄성 플레이트(136)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제1 통전 플레이트(112)의 상면과 제1 탄성 플레이트(132)의 저면은, 단말기 터미널(500)의 삽입방향 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서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통전 플레이트(112)와 제1 탄성 플레이트(132)의 단말기 터미널(500)의 삽입반대방향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그 간격은 단말기 터미널(50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단말기 터미널(500)의 두께와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도 7c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터미널(100)은 베이스(10)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부(200)와 단자부(300)에 삽입된다. 지지부(200)와 단자부(300)는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이웃하여 형성된다. 지지부(200) 및 단자부(300)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단자부(300)는 베이스(10)의 내측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제2 통전 단자(115)와 제2 탄성 단자(135)가 삽입된다. 제3 통전 플레이트(116)는 제3 탄성 플레이트(136)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부(300)의 저면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 터미널(100)이 단자부(300) 내부에 1차 고정된다.

    단자부(300)의 내부에는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제3 통전 플레이트(116)와 제3 탄성 플레이트(136)를 격리하는 격벽(310)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병렬 연결되는 전원선(C)이 보다 용이하게 접속된다.

    단자부(300)의 저면에는 누름버튼(400)이 삽입되는 제1 삽입공(320) 및 제2 삽입공(33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누름버튼(400)이 결합된다. 누름버튼(400)의 상면에는 제3 탄성 플레이트(136)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돌기(410)와, 누름버튼(400)의 이탈 및 회전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420)가 형성된다.

    가압돌기(410) 한 쌍은 제1 삽입공(320)에 삽입되고, 이탈방지돌기(420)는 제2 삽입공(330)에 삽입된다. 이탈방지돌기(420)의 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단자부(300)의 내부에서 제4 탄성 플레이트(137)를 2차 고정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누름버튼(400)을 누르면 제3 탄성 플레이트(136)는 가압돌기(410)에 의해 가압되며, 제2 탄성 단자(135)와 제2 통전 단자(115) 사이에는 외부 전원선(C)이 삽입되거나 인출되는 간극이 형성된다. 외부 전원선(C)이 제2 탄성 단자(135)와 제2 통전 단자(115) 사이에 삽입될 경우에는 누름버튼(400)을 누르지 않아도 외부 전원선(C)이 제2 탄성 단자(135)의 경사면을 가압함으로써 전원선(C)이 삽입되는 힘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다.(도 10b) 외부 전원선(C)이 제2 탄성 단자(135)와 제2 통전 단자(115) 사이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누름버튼(400)을 누름으로써 간극을 형성하여 전원선(C)이 분리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베이스 터미널(100)과 단말기 터미널(500)이 접속한 상태에서 베이스 터미널(100)의 소성변형이 방지되도록 베이스 터미널(1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지지부(200)는, 베이스 터미널(100)에 단말기 터미널(500)이 접속되어 제1 통전 플레이트(112)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 제1 통전 플레이트(112)의 저면과 접촉됨으로써 제1 통전 플레이트(112)가 지면과 수평한 상태 이상으로 탄성 및 소형변형되지 않는 경계를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200)는 베이스 터미널(100)이 삽입되는 방향 및 단말기 터미널(500)이 접속되는 방향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제1 통전 단자(111) 및 제1 탄성 단자(131)를 격리하는 보호벽으로서 작용한다. 베이스 터미널(100)은 지지부(200)에 의해 작업자의 손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제1 통전 단자(111) 또는 제1 탄성 단자(131)의 면적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손이 지지부(200)의 개구된 부분에 닿더라도 제1 통전 단자(111) 또는 제1 탄성 단자(131)는 작업자의 손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터미널(100) 외측에 베이스 터미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력과 외력 등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베이스 터미널(100)과 단말기 터미널(500) 간의 결합구조 및 전기전도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설치시와 점검시에 작업자 및 점검자의 감전사고가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화재감지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 터미널(100)은, 제1 통전 단자(111)와 제2 통전 단자(115)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제1 통전 단자(111)를 가압하는 제1 탄성 단자(131)와 제2 통전 단자(115)를 가압하는 제2 탄성 단자(135)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소방시스템의 전원을 화재감지부(600)에 연결하기 위한 통전구조가 단순화 및 효율화되는 화재감지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화재감지기 10 : 베이스
    50 : 단말기
    100 : 베이스 터미널 110 : 제1 베이스 터미널
    111 : 제1 통전 단자 112 : 제1 통전 플레이트
    113 : 제2 통전 플레이트 115 : 제2 통전 단자
    116 : 제3 통전 플레이트 117 : 제4 통전 플레이트
    118 : 제5 통전 플레이트 130 : 제2 베이스 터미널
    131 : 제1 탄성 단자 132 : 제1 탄성 플레이트
    133 : 제2 탄성 플레이트 135 : 제2 탄성 단자
    136 : 제3 탄성 플레이트 137 : 제4 탄성 플레이트
    200 : 지지부 300 : 단자부
    400 : 누름버튼 500 : 단말기 터미널
    600 : 화재감지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