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申请号 KR2020160006715 申请日 2016-11-17 公开(公告)号 KR2020160004421U 公开(公告)日 2016-12-23
申请人 서희식; 发明人 서희식;
摘要 인쇄회로기판을구비한유에스비전용멀티탭이개시된다. 본고안의인쇄회로기판을구비한유에스비전용멀티탭은, 하우징; 및상기하우징내에적어도하나의유에스비(USB) 플러그와각각전기적으로접속가능하도록마련되되, 인쇄회로기판을구비하는전원연결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본고안에의하면, 내부에인쇄회로기판구조를도입하여기존의멀티탭에비해간단한구조를구현할수 있고저렴한비용으로제조할수 있다.
权利要求
  •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USB) 플러그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플러그와 각각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선은 전원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연결부는,
    상기 패턴 영역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의 피복부위는 상기 와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따라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전원을 공급하는 대상체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판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을 커버함과 더불어 필요시 상기 네임판을 커버 가능하도록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일면 또는 양면 기판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양면 기판일 경우,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노출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
  • 说明书全文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MULTI TAB FOR USB-ONLY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에스비 플러그 전용 멀티탭으로서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전기 접속구조를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비로 제조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 매입설치된 콘센트의 경우 대부분 2구 내지는 3구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전기기기를 연결할 수가 없으며, 특히,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스캐너 등 여러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따로 구입하여 컴퓨터 본체 및 각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대개 4구 내지는 6구 등 다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이 콘센트에 컴퓨터와 그 주변장치 이외에도 TV와 VTR, 앰프 등 여러개의 전기기기들이 한군데 모여있는 곳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탭은 내부에 복수의 전기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각각 접속되기 위한 복잡한 접속구조가 마련되어 있고 더욱 많은 전기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해 접속구의 개수를 증가시킬 경우 이러한 접속구조의 복잡성은 더욱 증대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멀티탭의 내부 구조를 종래에 비해 상당히 단순화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사무용 책상 주변에 배치되어 USB(universal serial bus)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 가능한 미니 선풍기, 미니 가습기 및 기타 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 및 휴대폰 충전, 휴대폰 배터리 충전 등의 충전 작업을 수행 가능한 유에스비 플러그 전용 멀티탭을 제안하는 바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097호 (2014. 08. 14 등록)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에스비 플러그 전용 멀티탭으로서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전기 접속구조를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비로 제조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USB) 플러그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이 제공된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패턴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플러그와 각각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선은 전원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선 연결부는, 상기 패턴 영역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선의 피복부위는 상기 와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에 따라 압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에 삽입되는 상기 유에스비 플러그가 전원을 공급하는 대상체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판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을 커버함과 더불어 필요시 상기 네임판을 커버 가능하도록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일면 또는 양면 기판이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양면 기판일 경우,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및 타측에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인쇄회로기판 구조를 도입하여 기존의 멀티탭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에스비 플러그 전용 멀티탭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컴퓨터에 마련된 유에스비 접속소켓에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전자기기, 휴대폰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컴퓨터의 파워부품 손상 및 컴퓨터의 연산 속도 하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에서 전원선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의 전원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에서 전원선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이하, '멀티탭'이라 함)은, 유에스비 플러그 전용 멀티탭 콘센트로서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한 전기 접속구조를 마련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비로 제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에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USB) 플러그(2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인쇄회로기판(310)을 구비하는 전원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의 예를 들어 복수의 스크루 등을 통해 서로 결합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플러그(20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은 하우징(100)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 상면 및 하면, 경사진 상면 또는 경사진 하면에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상부 하우징(110)에만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20)에도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10)이 양면 기판으로 적용되고 인쇄회로기판(310)의 양측면에 각각 유에스비 플러그(20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구조가 마련된다면 사용자는 하우징(100)의 양측, 즉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 측에도 각각 다수개의 유에스비 플러그(20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유에스비 플러그(200)를 더욱 손쉽게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하우징(100)의 상면,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은 하우징(100)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10)을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마련하고,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을 경사진 상태의 인쇄회로기판(310)에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31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터(130)들은 서로 간에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유에스비 플러그(200)를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에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 전원연결부(300)는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어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플러그(2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300)는, 인쇄회로기판(310)과, 인쇄회로기판(310)의 패턴(311)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유에스비 플러그(200)와 각각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원연결부(300)는 복수의 서포터(130)에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관련 도면에서 패턴(311)은 인쇄회로기판(310)에 형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 뿐, 도 5에 도시된 디자인대로 형성되는 것은 크게 중요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310)은 일면 또는 양면 기판일 수 있으며, 일면 기판일 경우 기판의 일면에는 패턴(311)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패턴(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부품의 실장(납땜)이 가능한 영역(미도시)이 마련되며, 양면 기판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10)이 양면 기판으로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상하 또는 좌우 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300)는 AC 220V, 110V 등과 같은 공급 전압을 유에스비 플러그(200)의 스펙에 해당하는 전압, 예를 들면 DC 4V, DC 5V 등으로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포머(330), 인쇄회로기판(310)에 실장되는 IC, 저항 등 각종 전자 부품을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330)는 인쇄회로기판(310) 상에 실장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조에 따라 하우징(100) 내에서 인쇄회로기판(310)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인쇄회로기판(310)의 패턴(311)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40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선(400)은 전원선 연결부(410)를 통해 패턴(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선 연결부(410)는, 패턴(311) 영역에 인쇄회로기판(310)을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삽입되는 나사부(411)와, 나사부(411)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와셔(41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원선(400)의 피복부위는 와셔(412)와 인쇄회로기판(310) 사이에 개재되어 나사부(411)의 회전에 따라 압착 가능하게 된다. 덧붙이자면, 나사부(411)의 회전에 따라 전원선(400)의 피복 부위는 인쇄회로기판(310)의 패턴(311) 측으로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부(411)는 쇼트 발생을 방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310)을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M류 나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선 연결부(410)는 클램프 구조 등과 같이 전원선(400)의 피복부위와 패턴(311)이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310)에서 복수의 유에스비 플러그(200)로의 통전 상태를 사용자가 조절하도록 하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패턴(311a)과 제2 패턴(311b)의 연결부에 마련되거나, 전원선(400)과 패턴(311)의 연결부위 등에 마련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통전 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치는 하우징(100) 외부에 일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푸시 동작 또는 미는 동작을 통해 스위칭 변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스위치는 텀블러 스위치, 푸시 스위치, 온오프 다이오드 스위치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한 유에스비 전용 멀티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을 설명하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상부 하우징(110)에서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가 힌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에서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에는 복수의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에 삽입되는 유에스비 플러그(200)가 전원을 공급하는 대상체, 예를 들면 TV, 모니터, 본체, 스피커, 에어컨 등과 같은 대상체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는 네임판(15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네임판(150)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대상체의 이름을 교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110)의 복수의 영역에는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를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힌지 브래킷(160)이 마련되어 있으며, 힌지 브래킷(160)에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는 90도 내지 270도의 각도 범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에는 힌지축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의 미사용시 사용자는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를 90도 회전시켜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을 상측에서 덮어 커버할 수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140)가 270도로 회전하게 되면 네임판(150)을 측면에서 덮어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관련된 도면에서는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도면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유에스비 접속소켓(320)이 하우징(100)의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하우징 140: 유에스비 접속소켓 커버
    150: 네임판 160: 힌지 브래킷
    300: 전원연결부 310: 인쇄회로기판
    320: 유에스비 접속소켓 330: 트랜스포머
    410: 전원선 연결부 411: 나사부
    412: 와셔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