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申请号 KR1020080088919 申请日 2008-09-09 公开(公告)号 KR1020100030126A 公开(公告)日 2010-03-18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방효재; 김도근; 김홍균; 전영복;
摘要 PURPOSE: A memor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develop SSD(Solid State Disk) in a short time at an affordable price. CONSTITUTION: A memory element(111) is mounted on a PCB(Printed Circuit Board)(110). The board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set(115)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set(117)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n adapting connector(130) includes connector connecting terminals and interface terminal(135). The first or secondary connection terminal se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or connecting terminals.
权利要求
  • 메모리 소자가 실장되고, 복수의 제 1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복수의 제 2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2 연결단자 세트를 구비하는 기판; 및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하는 어댑팅 커넥터(adapting connector);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가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상기 제 2 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상기 기판의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상기 기판의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들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기판의 제 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기판의 중심 쪽에 가까운 제 2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과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의 가장자리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과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의 가장자리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지 않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과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의 배열을 갖는 부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가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솔더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커넥터가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기판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와 맞물림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이 직선 단부를 갖는 핀 형태를 갖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기판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의 직선 단부가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이 곡선부를 갖는 핀 형태를 갖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기판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의 곡선부가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기판을 수납하되,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고 나머지 일면을 노출시키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어댑팅 커넥터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기판을 수납하되, 상기 기판의 일면만을 덮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기판의 타면만을 덮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어댑팅 커넥터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의 외형을 이루는 입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골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개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 제 1 항의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길안내 시스템(navigation system), 전자 사전, 외장 기억장치, 휴대전화, 의료 기기, 영상 재생 장치, 평판 표시 장치, 감시 카메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说明书全文

    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memor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짧은 기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이 가능한 메모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용량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로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점차 대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더 짧은 기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메모리 소자가 실장되고, 복수의 제 1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복수의 제 2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2 연결단자 세트를 구비하는 기판; 및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하는 어댑팅 커넥터(adapting 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는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는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면에 구비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상기 제 2 면에 구비된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는 상기 기판의 동일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는 상기 기판의 동일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일부가 상기 기판의 제 1 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들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기판의 제 2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기판의 제 1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제 1 영역보다 상기 기판의 중심 쪽에 가까운 제 2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단자들과 상기 제 2 연결단자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기판의 가장자리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거나 나란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솔더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어댑팅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가 형성된 기판 부분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와 맞물림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기판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기판을 수납하되, 상기 기판의 일면을 덮고 나머지 일면을 노출시키는 케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어댑팅 커넥터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형을 이루는 입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골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개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케이스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적어도 일부분이 도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 장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메모리 소자가 실장되고, 복수의 제 1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복수의 제 2 연결단자들을 갖는 제 2 연결단자 세트를 구비하는 기판; 및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하는 어댑팅 커넥터(adapting 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는 짧은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어떤 층이 다른 층 "위"에 있다라고 기재되는 경우에, 상기 어떤 층은 상기 다른 층에 직접 접촉하여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그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여러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들 용어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됨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다른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논의되는 제 1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애당초 제 2 요소, 구성부, 영역, 층 및/또는 섹션으로 명명하였더라도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 소자가 실장된 기판과 어댑팅 커넥터(adapting connector)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판에는 낸드(NAND)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복수의 제 1 연결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1 연결단자 세트와 복수 의 제 2 연결단자들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단자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팅 커넥터는 커넥터 연결단자들과 인터페이스 단자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는 외부의 전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일 수 있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규격에 따라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따라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의 개발도 상기 규격에 따라 별도로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의 개발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규격이 서로 다른 메모리 장치들에 대하여 동일한 회로 기판을 이용하여 일거에 개발하면서 상기 회로 기판과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만을 규격에 따라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발 기간과 개발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메모리 장치들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 여러 규격을 갖는 메모리 장치들에 대하여 공통의 크기를 갖는 회로 기판을 개발하되, 각 메모리 장치 규격에 대응하는 연결단자 세트들을 마련하고, 원하는 메모리 장치 규격에 대응되는 어댑팅 커넥터를 원하는 메모리 장치 규격에 대응되는 연결단자 세트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때, 상기 메모리 장치는 원하는 메모리 장치 규격에 적합한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로 기판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적절히 내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해당되는 규격의 메 모리 장치를 요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나타낸 구현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고 예시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하기 구현예들의 범위로 한정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100)는 기판(110)과 어댑팅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 소자(111)들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소자(111)는 상기 기판(110)의 일면에만 실장될 수도 있고, 상기 기판(110)의 양면에 모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에는,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을 포함하는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을 포함하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는 커넥터 연결단자들(미도시)과 인터페이스 단자(13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어댑팅 커넥터(130)를 d-d'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180°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는 커넥터 연결단자들(133)을 구비한다.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의 내부에서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은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135)와 전기적으로 적절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단자(135)가 외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결국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는 상기 기판(110)이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매개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및 제 2 연결단자 세트(117) 중의 하나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과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도 1과 도 2에서는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이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의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내어졌지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의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기판(110)의 일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단자 세트(115)는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118)에 위치하고, 제 2 연결단자 세트(117)는 상기 가장자리(11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나타낸 것과 반대로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118)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상기 가장자리(118)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의 위치에 따라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에서의 커넥터 연결단자들(133)의 위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기판(110)의 동일한 면 위에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모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선택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의 제 1 면(110a)에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110)의 제 2 면(110b)에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기판(110)을 가장자리(118)의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기판(110)을 가장자리(118)의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으로서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상기 기판(110)의 상이한 영역에 형성되었지만, 도 5에서는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및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상기 기판(110)의 동일한 영역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기판(110)의 일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상기 기판(110)의 제 1 영역(121)에 형성되고,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상기 기판(110)의 제 2 영역(12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123)은 상기 제 1 영역(121)에 비하여 상기 기판의 중심 쪽에 가까울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나타낸 것과는 반대로 상기 제 1 영역(121)에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123)에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에 포함되는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에 포함되는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배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기판(110)의 일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이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118)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이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118)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지 않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6과 도 7에는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개수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내어졌지만,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개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일부는 상기 기판(110)의 가장자리(118)에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다른 일부는 나란하지 않게 배열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배열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기 위한,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기판(110)의 일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확대 평면도들이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가장자리(118)를 따라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과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이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하나 또 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연결단자들)-(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연결단자들)의 순서를 취할 수 있다(도 8b의 A부분 참조).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모두 기판(110)의 동일한 면에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지만, 상기 기판(110)의 제 1 면(110a)에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110)의 제 2 면(110b)에 상기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의 나머지 일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판(110)의 제 1 면(110a)에 상기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110)의 제 2 면(110b)에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의 나머지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기판(110)을 가장자리(118)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제 1 면(110a)과 제 2 면(110b)에 각각 제 1 연결단자들(115a, …, 115b) 및 제 2 연결단자들(117a, …, 117b)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의 커넥터 연결단자들(133)과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상기 제 2 연결단자 세트(117)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솔더볼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와 기판(11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연결단자 세트(115)는 어댑팅 커넥터(130)의 커넥터 연결단자들(133)과 솔더볼(12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상기 커넥팅 연결단자(133)와 연결 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솔더볼(125)을 통해 상기 커넥팅 연결단자들(133)과 연결될 수도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와 기판(110)이 솔더볼(125)이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11과 도 12를 각각 참조하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a, 130b)는 상기 기판(110)의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형성된 부분을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139a, 139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9a, 139b)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된 위치와 패턴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의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하우징(139a, 139b) 내부로 수납되었을 때,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 133b)이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기판(110)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a)에 고정되는 한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a)의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은 직선 단부를 갖는 핀(pin)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의 직선 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와 접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a)의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은 곡선부를 갖는 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의 곡선부가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의 곡선부가 상기 제 1 연결단 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와 접촉되면, 도 11의 직선 단부가 접촉되는 것에 비하여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과 상기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 사이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일 수 있어 이들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도 11과 도 12를 계속 참조하면, 상기 기판(110)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 133b)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더미 단자(134a, 134b)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더미 단자(134a, 134b)는 상기 기판(110)이 상기 하우징(139a, 139b) 내에 잘 고정되고 전기적인 연결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11과 도 12에는 기판(110)의 일면에만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의 양면에 모두 제 1 연결단자 세트(115) 및/또는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의 더미 단자(134a, 134b)에 대응되는 위치에도 커넥터 연결단자들(133a, 133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 1 연결단자 세트(115)가 상기 커넥팅 연결단자들(133a, 133b)과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 2 연결단자 세트(117)가 상기 커넥팅 연결단자들(133a, 133b)과 연결될 수도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 130a, 130b)는 각각 상기 메모리 장치(100)가 목적으로 하는 규격에 부합하는 인터페이스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는 기판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둘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전자기파 장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분이 전기적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그 전체 또는 일부분이 상기 어댑팅 커넥터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장치(100)는 상기 기판(110)을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기판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기계적 충격 및/또는 전자기적 외란(external disturbance)을 차단하거나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40)는 상기 기판(110)을 수납하되, 상기 기판(110)의 일면을 덮고 나머지 일면을 노출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낸 케이스(145)는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케이스(145)가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의 하우징과 일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145)의 모든 부분이 반드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상이한 재료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45)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의 일면만을 덮도록 케이스가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는 기판의 일면만을 덮는 제 1 케이스와 기판의 타면만을 덮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메모리 장치의 케이스는 기판의 일면만을 덮는 제 1 케이스(145)와 기판의 타면만을 덮는 제 2 케이스(147)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케이스(145)는 어댑팅 커넥터(13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것과는 달리 상기 어댑팅 커넥터(130)가 상기 제 2 케이스(147)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케이스(145)는 별도로 분리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스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구현예에서의 케이스(149)는 상기 케이스(149)의 외형을 이루는 입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골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골격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개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49)의 내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메모리 장치가 전자 장치에 응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6000)는 제어기(610), 입력/출력 장치(620), 메모리(630) 및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6000)는 모바일 시스템 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시스 템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o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wireless phone), 휴대 전화(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6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전자 장치(600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610)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620)는 전자 장치(6000)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00)는 상기 입/출력 장치(63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620)는, 예를 들어 키패드(keypad), 키보드(keyboard) 또는 표시장치(display)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630)는 제어기(61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기(61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3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640)는 상기 전자 장치(6000)와 외부의 다른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통로일 수 있다. 제어기(610), 입/출력 장치(620), 메모리(630) 및 인터페이스(640)는 버스(65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자 장치(600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고상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또는 가전 제품(household appliances)에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60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길안내 시스템(navigation system), 전자 사전, 외장 기억장치, 휴대전화, 의료 기기, 영상 재생 장치, 평판 표시 장치, 감시 카메라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산업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 분야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어댑팅 커넥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기판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기판을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들이다.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는 다른 구현예들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기판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기판을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따른 기판과 어댑팅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모리 장치 110: 기판

    111: 메모리 소자 115: 제 1 연결단자 세트

    115a, … , 115b: 제 1 연결단자 117: 제 2 연결단자 세트

    117a, … , 117b: 제 2 연결단자 130: 어댑팅 커넥터

    133: 커넥터 연결단자 135: 인터페이스 단자

    140, 145, 147, 149: 케이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