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전차단기

申请号 KR1019970009034 申请日 1997-03-17 公开(公告)号 KR100248843B1 公开(公告)日 2000-03-15
申请人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发明人 미마타요시히사; 미야우라노부마사;
摘要 본 발명은, 누전이 발생하면, 전원과 부하의 사이를 순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기구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고, 제품내부의 프린트기판에도 짜넣기 쉬운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에 있어서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에 있어서,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200)와, 접속부(200)의 일부가 관통되는 대략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300)와,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400)와, 누설전류검출센서 (300)와 차단기구(400)가 내장되는 보디(10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权利要求
  •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대략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이 누설전류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와,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차단기구가 내장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는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져 있고, 상기 차단기구는,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여자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여자에 따라서 변위하는 작동자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1쌍의 가동접편과, 이 가동접편과 접속되는 1쌍의 고정접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접편, 고정접편의 어느 한쪽 또는 상기 가동접편의 한쪽과 이것에 접속하지 않는 다른 쪽의 고정접편 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고, 상기 가동접편은 상기 작동자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해서 고정접편과의 접속이 단접(斷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에는 차단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테스트위치의 테스트용접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은 보디에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용접편의 이동방향은, 가동접편의 이동방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가동접편과 다른 쪽의 고정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함께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진 과전류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의 가동접편 또는 고정접편의 어느 하나가 관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접편이 과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고, 상기 가동접편이 과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의 인접평행부간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평행부의 일부가 상호로 근접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함께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진 과전류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의 가동접편 또는 고정접편의 어느하나가 과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의 인접평행부간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평행부의 일부가 상호로 근접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의 인접평행부간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평행부의 일부가 상호로 근접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
  • 说明书全文

    누전차단기.

    본 발명은, 누전이 발생했다면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순간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이전에 일본국 실원평 5-31887호를 출원하고 있다. 이것은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구부착플러그로서, 부하에 전원을 접속하는 급전코드와, 이 급전코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플러그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플러그핀과, 상기 플러그본체에 내장되어 있고,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이 주설전류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소 상기 플러그핀과 급전코드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에는, 급전코드와 플러그핀을 접속하는 1쌍의 단자판이 관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누전차단기부착플러그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이 누전차단기부착플러그는, 플러그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그 기구, 특히 차단기구는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각 부품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고, 누전차단기부착플러그는 소형화가 어려운 것이 되고 있었다. 플러그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취급 등의 면에서 어느정도의 크기가 필요하지만, 제품내부의 프린트기판 등에 짜넣을 경우에는 소형화가 필수의 요청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서 창안된 것으로서, 차단기구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고, 제품내부의 프린트기판에도 짜넣기 쉬운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전자회로의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전자회로의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저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배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적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저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디 200: 접속부

    210: 가동접편 220: 고정접편

    230: 방전갭 240: 어스접편

    300: 누설전류검출센서 400: 차단기구

    410: 코일 420: 작동자

    700: 과전류검출센서

    본 발명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의 일부가 관통되는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이 누설전류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와,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차단기구가 내장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는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져 있고, 상기 차단기구는,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여자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여자에 따라서 변위하는 작동자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1쌍의 가동접편과, 이 가동접편과 접속되는 1쌍의 고정접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접편, 고정접편의 어느 한쪽 또는 상기 가동접편의 한쪽과 이것에 접속하지 않는 다른 쪽의 고정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고, 상기 가동접편은 상기 작동자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해서 고정접편과의 접속이 단접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접편에, 차단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테스트스위치의 테스트용접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편을 보디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테스트용 접편의 이동방향을, 가동접편의 이동방향과는 다르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함께 보디의 아래쪽에 과전류검출센서를 짜넣고, 상기 접속부의 가동접편 또는 고정접편의 어느 하나를 과전류검출센서에 관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의 인접평행부간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평행부의 일부를 상호로 근접대향할 수 있다.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과 함께,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을 배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전자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가 전원과 부하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의 개략적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전자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사시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개략적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적차단기의 접속부의 개략적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보디의 개략적배면도이다.

    도 1~5에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500B)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200)와, 이 접속부(200)의 일부가 관통되는 대략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세서(300)와, 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400)와,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300)와 차단기구(400)가 내장되는 보디( 1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200)는, 1쌍의 가동접편(210A)(210B)과, 1쌍의 고정접편(220)으로 구성된다. 가동접편(210A)은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 부분이 가동부(211A)가 되고, 짧은 부분이 관통부(212A)가 되고 있다. 가동부(211A)의 선단부에는 가동축접점(213A)이 장착되어 있다. 또, 관통구(212 A)에는, 후술하는 보디(100)에 고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빠짐방지용 잘라세운 부분(2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구(212A)의 선단부는, 도면외의 프린트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가동접편(210B)은, 대략 L자형상으로 된 가동부(211B) 및 관통부(2 12B)와, 관통부(212B)쪽에서 가동부(211B)로부터 뻗어설치된 테스트용접편(215B)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가동접편(210B)은, 가동접편(210A)과 마찬가지로, 긴 부분이 가동부(211B)가 되고, 짧은 부분이 관통부(212B)가 되고 있다. 가동부 (211B)의 선단부에는 가동측접점(213B)이 장착되어 있다. 또, 관통부(212B)에는, 후술하는 보디(10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빠짐방지용 잘라세운부분( 2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부(212B)의 선단부는, 도면외의 프린트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스트용 접편(215B)은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 즉 누전이 발생했을때에 순간에 차단기구(400)가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것이고, 보디(100)의 바깥쪽으로까지 뻗어나와 있다. 이 테스트용접편(215B)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동방향이 가로방향인 가동부(211B)와는 이동방향이 다른 것이다. 이에 의해, 테스트용접편(215B)을 상하방향으로 압압조작했다고 해도, 가동부(211B)가 부주의하게 움직일 염려가 없다. 이 테스트용접편(215B)은 압압되면 누전차단기가 장착되는 도면외의 프린트기판에 세워설치된 핀에 접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핀은, 전원(500A)과 부하(500B)를 접속하는 것인데, 누설전류검출센서 (300)를 우회하고 있는 것이다.

    또, 가동부(211B)의 선단부에는 가동측접점(213B)이 장착되어 있다. 또, 관통부(212B)에는, 후술하는 보디(10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빠짐방지용 잘라세운부분(21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부(212B)의 선단부는, 도면외의 프린트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접편(220)은, 선단부에 고정측접점(223)이 장착되어 있고, 후단부는 도면와의 프린트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기 위하여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고정접편(220)의 측면에는 고정접편(220)이 보디(10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기 위한 빠짐방지용 돌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디(100)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차단기구(4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코일(410)이 수납되는 코일수납부(110)와, 접속부(20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동접편(210A)(210B)과 고정접편(220)이 수납되는 접편수납부(120)와, 누설전류검출센서(300)가 수납되는 센서수납부(13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이 보디(100)는 접속부(200), 차단기구(400)를 수납한 상태에서 덮개(150)에 의해 폐색된다.

    상기 코일수납부(110)는 코일(410)이 수납될 뿐만아니라, 차단기구(4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작동자(420)와 탄성체(430)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코일수납부(110)에는, 코일(410)은 고정적으로 수납되는 것이지만, 작동자(420)등은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가지고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일수납부(110)에는 코일(410)을 고정하는 코일고정용 벽부(111)가 있고, 이 코일고정용 벽부(111)와 접편수납부(120)와의 사이의 틈새에 작동자(420) 및 탄성체(430)가 수납되는 것이다. 코일수납부(110)의 접편수납부(120)의 벽쪽에는, 탄성체(4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접편수납부(120)는, 1쌍의 가동접편(210A)(210B)의 가동부(211A)(211B)가 수납될 정도의 깊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접편수납부(120)에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2조의 관통구멍(121)(122)이 뚫려있다. 한쪽의 관통구멍(121)은, 가동접편( 210A)(210B)의 관통부(212A)(212B)가 관통하는 것으로서, 센서수납부(130)의 중심부와 연통하고 있다. 또, 다른쪽의 관통구멍(122)은, 고정접편(220)의 관통부(221)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양 가동접편(210A)(210B)은, 관통부(212A)(212B)가 각각 관통구멍(121)(122)을 관통하므로 보디(100)에 유지되게 된다.

    또, 이 접편수납부(120)에는, 수납된 1쌍의 고정접편(220)이 부주의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1쌍의 고정접편(2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벽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접편수납부(120)에는 상기 벽부(123)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고 압압부재 (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부재(124)와 벽부(123)와의 사이에 틈새에는, 후술하는 차단기구(4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더(440)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넣도록 홈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편수납부(120)와 코일수납부(110)와의 사이의 벽에는, 상기 홈부(125)에 연결되는 잘린부분(126)이 형성되어 있다.

    접편수납부(120)에 가동접편(210A)(210B)을 수납하는, 즉 관통부(212A )(212B)를 관통구멍(121)에 관통시키면, 가동측접점(213A)(213B)은 벽부(12 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관통구멍(122)의 근처에 위치한다. 한편, 고정접편(220)을 접편수납부(120)에 수납하는, 즉 관통부(221)를 관통구멍(122)에 관통시키면, 고정측접점(223)은 벽부(12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가동측접점(213A)(213B)과 마주보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접편(210A)(210B)에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으면, 가동측접점(213A)(213B)과 고정측접점(223)은 접촉하고 있다.

    상기 센서수납부(130)는 접편수납부(12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고, 수납된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중심이 절편수납부(120)의 일단부쪽의 바로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디(100)의 두께치수는 수납되는 것중 가장 두꺼운 차단기구(400)의 코일(410)에 맞추고 있다. 즉, 그다지 깊이가 필요없는 접편수납부(120)의 아래쪽에 센서수납부(130)를 설치했으므로, 누전차단기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300)는, 누설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는 커런트센서이고, 링형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는, 자신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면, 그 취지를 도 5에 표시한 전자회로에 송출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기구(400)는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300)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여자되는 코일(410)과, 이 코일(410)의 여자에 따라서 변위하는 작동자(420)와, 이 작동자(420)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는 탄성체(430)와, 상기 작동자(420)의 변위를 가동접편(210A)(210B)에 전달하는 슬라이더(440)를 가지고 있다.

    차단기구(400)를 구성하는 코일(410)은, 누설전류검출센서(300)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여자되어 작동자(420)를 흡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작동자(420)는 자성체를 금속판을 대략 L자형상으로 절곡형성한 것이다. 이 작동자(420)의 긴 부분은 코일수납부(120)에 수납된 코일(410)과 보디(110)와의 사이에, 짧은 부분은 코일(410)의 철심(411)에 대향하도록 해서 코일수납부(120)에 수납된다. 또한, 코일(410)이 여자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자(420)의 긴 부분은 코일(410)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작동자(420)는, 굴곡부(421)를 중심으로 해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430)는 판스프링으로서 상기한 지지부(112)에 지지되고 있고, 작동자(420)의 굴곡부(421)에 접촉함으로써 작동자(420)의 덜거덕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40)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압압부(441)가 아래쪽에 설치된 베이스(442)에 의해서 연결된 것이다. 이 슬라이더(440)는, 상기 베이스(442)를 홈부(125)에 끼워넣으면, 압압부( 441)의 일부가 잘린부분(126)을 개재해서 코일수납부(110)쪽으로 돌출하게 된다. 즉, 이 슬라이더(440)의 코일수납부(110)쪽으로 돌출한 부분은 작동자(420)의 긴 부분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슬라이더(440)의 2개의 압압부(441)의 사이의 틈새에는 가동접편(210A)의 가동부(211A)가 반코일쪽의 압압부(441)와 보디(110)와의 사이에는 가동접편(210B)의 가동부(211B)가 각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한, 도 1에 있어서의 (310)은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리드단자, (412)는 코일(410)의 리드단자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누전차단기의 동작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누전차단기는, 가동접편(210A)(210B), 고정접점(220) 및 상기 리드단자( 310)(412)가 도면외의 프린트기판에 접속됨으로서,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은 소정의 전자회로와 접속된다.

    전원(500A)은 고정접편(220)에, 부하(500B)는 가동접편(210A)(210B)에 각각 접속된다. 누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코일(410)은 여자되고 있지 않으므로, 작동자(420)는 코일(410)의 철심(411)에는 흡착되고 있지 않다. 즉, 작동자(420)는 가동접편(210A)(210B)에 의해,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고, 가동접편(210A)(210B)의 가동측접점(213A)(213B)은, 고정접편(220)의 고정측접점(223)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500A)은 부하(550B)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누전이 발생했다면, 접속부(200)의 주위에 발생한 자계를 누설전류검출센서(300)가 검출함으로서 코일(410)이 여자된다. 즉, 누전이 발생했을 때,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고 있는 2선의 전류I의 크기가 다르고(평상시에는 크기가 동일하여 상쇄되기 때문에,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주위에는 자계를 발생하지 않는다).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주위에 자계가 발생하고, 전류 i가 발생해서 증폭되고 코일(410)이 여자되는 것이다.

    여자된 코일(410)은, 가동접편(210A)(210B)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작동자( 420)를 흡착한다. 작동자(420)는 흡착되면, 굴곡부(421)를 중심으로 해서 도 3에 표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러면 슬라이더(440)가 작동자(420)에 밀리므로 가동접편(210A)(210B)의 가동부(211A)(211B)가 도 3에 표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가동부(211A)(211B)의 움직임에 의해,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접점(213A)(213B)과 고정측접점(223)과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에 접속이 끊기는 것이다.

    누전의 원인이 해소되면 리세트스위치(600)를 조작함으로써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접속을 회복시킨다. 즉, 누전이 해소되면, 코일(410)이 여자되지 않게 되므로, 작동자(420)는 가동접편(210A)(210B)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고, 가동접편(210A)(210B)의 가동부(211A)(211B)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가동측접점(213A)(213B)과 고정측접점(223)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서 전원(500A)과 부하(500B)의 사이의 접속이 회복된다.

    누전이 해소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리세트스위치(600)를 조작해도 코일(4 10)은 여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접속을 회복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테스트용접편(215B)에 의해 행한다. 즉, 이 테스트용접편(215B)은 상기 핀과 접촉함으로써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우회해서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를 접속하므로, 누전이 발생한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이 때문에,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면, 테스트용접편(215B)을 압압하는 동시에 전원(500A)과 부하(5 00B)와의 접속이 순간에 끊기므로, 누전차단기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간단히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누전차단기의 가동접편(210B)에는, 테스트용접편(215B)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테스트용접편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1~도 5에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가동접편(210 A)(210B)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고 있는 타입의 것이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접편(220)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을 관통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누전차단기에서는, 누설전류검출센서(300)는 코일(41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센서수납부(130)는 코일수납부(110)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누전차단기에 있어서의 고정접편(220)(도 6에 있어서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에는, 대략 L자형상인 것과 대략 凹형상인 것이 있다. 모두 가동접편(210 A)(210B)의 가동측접점(213A)(213B)이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누설전류검출센서(3 00)를 관통하는 위치까지 뻗어있다.

    이 누전차단기에서는, 고정접편(220)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는 점과, 이에 따른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위치 및 고정접편(220)의 형상이 다를뿐이고 다른 주요 구성이나 작용등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누전차단기에서는, 테스트용 접편이 설치되어 있지않지만,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와 마찬가지로 테스트용 접편을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한쪽의 가동접편(210A)과, 이 가동접편(210A)에 접속되지 않는 다른 쪽의 고정접편(220)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도록 해도 되고, 다른쪽의 가동접편(210B)과, 이 가동접편(210B)에 접속되지 않는 한쪽의 고정접편(220)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부(200)의 어느부분이 누설전류검출센서(300)를 관통하는지는, 보디(100)의 형상이나,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배치위치 등의 각종의 요인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것을 채용하면 된다.

    접속부(200)에 대해서는 또, 도 8 및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천둥서지대책이나 노이즈대책으로서의 방접갭(230)을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인접평행하는 1쌍의 가동접편(210A)(210B)의 고정부분인 관통부(212A)(212B)의 상단부에, 안쪽으로 역L자형상으로 돌출한 돌출부(215A)(215B)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돌출부(215A)(215B)를 약간의 틈새를 두고 대향시킴으로써, 이 사이에 방전갭(230)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가동접편(210A)(210B)의 관통부(212A)(212B)사이에 어스접편(240)을 배설하는 동시에, 한쪽의 관통부(212B)의 상단부에, 안쪽으로 역L자형상으로 돌출한 돌출부(215B)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어스접편(240)의 상단부와(2 15B)를 약간의 틈새를 두고 대향시킴으로써 이 사이에 방전갭(230)을 형성하고 있다.

    어느 접속부(200)에 있어서도, 방전갭(230)의 넓이를 0.5mm정도로 하므로써 1800V정도에서 방전이 발생하고, 또, 0.1mm정도로 하므로써 220V정도에서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천둥서지대책이나 노이즈대책이 강구된다. 이 대책은 종래에는 배리스터를 프린트기판에 장착하는 것이었으나, 여기에 있어서와 같이 접속부(200)에 방전갭(230)을 형성함으로써, 배리스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점수의 저감 및 이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소형화 및 코스트다운이 도모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방전갭(230)을 가동접편(210A)(210B)의 고정부분에 형성하고 있으나, 고정접편(220)(220)의 쪽에 이것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테스트용접편(215B)이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을 설치해도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 도 8과 같은 접편자체에 의해서 방전갭(230)을 형성하는 구성과, 도 9과 같은 어스접편(240)을 병용하는 구성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도 17에 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도 1~도 5에 표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와 비교해서, 과전류검출용센서(700)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또, 이에 따라서, 접속부(200) 및 보디(100)의 구조도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200) 및 보디(100)의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도 10~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200) 및 차단기구(400)(도 6참조)를 수납하는 보디(100)와, 보디(100)의 저면에 장착된 누설전류검출용센서(300) 및 과전류검출용센서(700)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200)는 도 13 및 도 14에 표시한 바와 같이, 1쌍의 가동접편( 210A)(210B)과, 이것에 조합되는 1쌍의 고정접편(220A)(220B)으로 이루어진다. 가동접편(210A)(210B)은 동일형상의 역L자형이고, 보디(100)내에 인접병행해서 짜넣어진다. 이 가동접편(210A)(210B)은 테스트용 접편(215B)이 생략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면, 도 1~도 5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고정접편(220A)(220B)은, 도 1~도 5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각각이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쪽의 고정접편(220A)은 상단부에 고정측접점(223A)이 장착된 제1수직부(225A)와, 제1수직부(225A)의 하부로부터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1수평부(226A)와, 제1수평부(226A)의 선단부아래가장자리로부터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2수평부(227A)와, 제 2수평부(227A)의 선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나온 제 2수직부(229A)로 이루어진다. 다른쪽의 고정접편(220B)은 상단부에 고정측접점(223B)이 장착된 제1수직부(22 5B)와, 제1수직부(225B)의 하부로부터 판면에 병행한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1수평부 (226B)와, 제1수평부(226B)의 선단부로부터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2수평부(227B)와, 제2수평부(227B)의 선단부아래가장자리로부터 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나온 제 3수평부(228B)와, 제3수평부(228B)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나온 제 2수직부(229B)로 이루어진다. 제2수직부(229A)(229B)는, 보디(100)의 저판부를 관통해서 아래쪽의 프린트기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관통부이다.

    이 접속부(200)는,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의 접속부(200)와 동일하다. 도 13에서는 차단기구(400)가 생략되고 있으나, 보디(100)내에 차단기구(400)를 짜넣으면 도 6과 같이 된다.

    보디(100)는, 도 15~도 16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차단기구(400)의 코일(410)을 수납하는 코일수납부(110)와, 접속부(200)의 가동접편(210A)(210B) 및 고정접편(220A)(220B)을 수납하는 접편수납부(120)를 가진다. 접편수납부(12 0)의 저면에는 가동접편(210A)(210B)의 관통부(212A)(212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21)(121)이 형성되어 있다. 접편수납부(120)로부터 코일수납부(110)에 걸쳐서의 저면에는, 고정접편(220A)의 제1수직부(225A) 및 제1수평부(226A)가 끼워맞춤하는 L형상의 홈부(127A)와, 고정접편(220B)의 제1수직부(225B), 제1수평부(226B) 및 제2수평부(227B)가 끼워맞춤하는 L형상의 홈부(127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수납부(110)의 저면에는 홈부(127A)에 연속해서 고정접편(220A)의 제2수평부(227A)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128A)와, 홈부(127B)에 연속해서 고정접편(220B)의 제1수평부(228B)가 끼워맞춤하는 오목부(128B)가 형성되고, 이들에는 고정접편(220A)(220B)의 관통부인 제2수직부(229A)(229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 (122A)(122B)이 형성되어 있다.

    보디(100)내에 접속부(200)의 가동접편(210A)(210B) 및 고정접편(220A )(220B)을 수납하면, 접편수납부(120)에 있어서 가동접편(210A)(210B)의 가동측접점(213A)(213B)이. 고정접편(220A)(220B)의 고정측접점(223A)(223B)에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도 1~도 5에 표시된 누전차단기나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의 경우와 동일하다(도 13참조). 또 가동접편(210A)(210B)의 관통부 (212A)(212B)가 보디(100)의 접편수납부(12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고정접편 (220A)(220B)의 관통부인 제2수직부(229A)(229B)가 보디(100)의 코일수납부( 1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것은,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의 경우와동일하다.

    보디(100)의 바닥판부 하면에는, 코일수납부(110)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원주 형상의 돌출부(160)(170) 및 (170)이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접편수납부(12)의 아래쪽에 위치해서 사각기둥형상의 돌출부(180)(180) 및 (190)이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코일수납부(11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돌출부(160)에는, 고정접편(220A)(220B)의 관통부인 제2수직부(229A)(229B)를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제2수직부(229A)(229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22A)(1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70)(170)에는, 코일수납부(110)에 수납된 코일(410)의 리드단자(412)(412)를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리드단자가 관통하는 관통구멍( 116)(1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접편수납부(1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사각기둥형상돌출부(180)(180)에는, 가동접편(210A)(210B)의 관통부(212A)(2 12B)를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관통부(212A)(212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21 )(121)에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190)는 지지다리이다.

    그리고, 고정접편(220A)(220B)의 관통부인 제2수직부(229A)(229B)가 관통하는 돌출부(160)의 바깥쪽에는, 돌출부(160)에 설치된 스냅클릭(161)에 의해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300)가 유지되고 있고, 가동접편(210A)(210B)의 관통부( 212A)(212B)가 관통하는 돌출부(180)(180)의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냅클릭에 의해 링형상의 과전류검출센서(700)가 유지되고 있다. 이에 의해, 누설전류검출센서( 300)의 안쪽을 고정접편(220A)(220B)의 관통부인 제2수직부(229A)(229B)가 관통하고, 과전류검출센서(700)의 안쪽을 가동접편(210A)(210B)의 한쪽의 관통부(2 12B)가 관통하게 된다.

    또한, 누설전류검출센서(300) 및 과전류검출센서(700)를 수납하는 센서수납부 (130) 및 (140)는 보디(100)의 바닥판부아래쪽에 유지된 이들 센서에 아래쪽으로부터 장착되는 링형상캡이고, 보디(100)에는 일체화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에 있어서는, 도 1~도 5에 표시된 누전차단기나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누전차단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누전전류검출센서(300)에 의해 누설전류가 검출되고, 차단기구(400)가 작동함으로써, 가동측접점(213A)(213B)과 고정측접점(223A)(223B)의 각 접촉이 해제되고,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의 접속이 끊긴다. 즉, 누전이 발생했을때에,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안쪽을 관통하는 2성의 전류의 크기가 다른 것에 의해, 누설전류검출센서(300)에 전류가 흐르고, 이것을 받아서 차단기구(400)가 작동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과전류검출센서( 700)에 의해 과전류가 검출되고, 차단기구(400)가 작동함으로써, 가공측접전(21 3A)(213B)과 고정측접점(223A)(223B)의 각 접촉이 해제되고, 전원(500A)과 부하(500B)와의 사이의 접속이 끊긴다. 즉, 과전류검출센서(700)의 안쪽에 가동접편중 어느 한쪽만, 또는 고정접편의 어느한쪽만을 관통시킴으로써 과전류검출센서(700)에는 부하전류가 흐르나, 과전류검출센서(700)에 어떤 전류치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코일(410)을 여자시키도록 회로를 설정해둠으로써, 과전류센서(700)에 설정치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차단기구(400)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누전차단기능과 아울러서, 과전류차단기능을 가진다. 또한, 누설전류검출센서(300) 및 과전류검출센서(700)를 보디( 100)의 하부에 짜넣고, 그 안쪽을 접속부(200)의 일부가 관통하는 구성을 채용하므로, 부품점수가 적어 소형이다.

    또한, 여기서는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안쪽을 고정접편(220A)(220B)이 관통하고, 과전류검출센서(700)의 안쪽을 한쪽의 가동접편(210B)이 관통하고 있으나, 누설전류검출센서(300)의 안쪽을 가동접편(210A)(210B)이 관통하는 경우에는 과전류검출센서(700)의 안쪽에 고정접편(220A)(220B)의 한쪽을 관통시키는 것이 좋다. 또, 테스트용접편을 설치해도 되는 것을 말할 나위도 없다.

    본 발명에 관한 누전차단기는, 누전이 발생한 순간에 부하에의 급전을 정지하는 누전차단기로서,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부와, 이 접속부의 일부가 관통하는 대략 링형상의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이 누설전류검출센서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는 차단기구와,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와 차단기구가 내장되는 보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는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져 있고, 상기 차단기구는, 상기 누설전류검출센서가 누설전류를 검출하면 여자되는 코일과, 이 코일의 여자에 따라서 변위하는 작동자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1쌍의 가동접편과, 이 가동접편과 접속되는 1쌍의 고정접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접편, 고정접편의 어느 한쪽 또는 상기 가동접편의 한쪽과 이것에 접� �하지 않는 다른쪽의 고정접편이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고, 상기 가동접편은 상기 작동자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해서 고정접편과의 접속이 단접 되도록 되어있다.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것은 접속부의 일부이기 때문에, 독자의 배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전체로서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누설전류검출센서는 보디의 아래쪽에 짜넣어져 있기 때문에,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내부의 프린트기판에도 용이하게 짜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편에는 차단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테스트하는 테스트스위치의 테스트용접편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테스트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오동작의 체크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가동접편은 보디에 유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누전이 발생하고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가동접편이 부주의하게 움직여서 고정접편과의 사이의 접속이 부주의하게 차단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테스트용 접편의 이동방향은, 가동접편의 이동방향과는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테스트용 접편에 의해서 누전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테스트를 행한 경우에도, 테스트용접편의 움직임은 가동부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있으므로, 가동부가 부주의하게 움직일 염려가 없다. 이 때문에, 테스트할때에 가동부가 움직여서 전원과 부하와의 사이가 차단된다는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누설전류검출센서를 관통하는 접속부는 상기 가동접편 고정접편의 어느 한쪽 또는 상기 가동접편의 한쪽과 이것에 접속하지 않는 다른쪽의 고정접편이면되므로, 보디의 형상이나 누설전류검출센서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적당한 것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누전차단기의 보다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누설전류검출센서와 함께 보디의 아래쪽에 과전류검출센서를 짜넣고, 상기 접속부의 가동접편 또는 고정접편의 어느 하나를 과전류검출센서에 관통시킴으로써, 부품점수의 증대나 대형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과전류차단기로서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또,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의 인접평행부간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평행부의 일부를 상호로 근접대향시키거나, 가동접편의 고정부분과의 사이 또는 고정접편과의 사이에 방전갭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동접편의 고정부분 또는 고정접편에 근접해서 어스접편을 배설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증대를 수반하는 일없이, 천둥서지대책이나 노이즈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