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申请号 KR1020070083567 申请日 2007-08-20 公开(公告)号 KR100876535B1 公开(公告)日 2008-12-31
申请人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发明人 양홍익; 이상철; 안길영;
摘要 The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is provided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on/off switch generated by over stroke of the link module installed at the auxiliary contact apparatus of breaker. The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comprises the switch axis(100) opening and cutting off the electric current by rotation, the auxiliary contact part(200) including the on/off switch which is installed at the circuit breaker bod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xternal indicator, the cam driving axis(300) installed at the on/off switch front of the auxiliary contact part, the driving cam(400) which is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m drive axis, and the link axis(500) connecting the cam drive axis and switch axis.
权利要求
  • 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개폐기구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통전전류를 연결 및 차단시키는 개폐축과,
    상기 차단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표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접점부와,
    상기 보조접점부의 온오프 스위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구동축과,
    상기 캠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압박 또는 해제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구동축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동캠과,
    상기 개폐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구동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축과 상기 캠구동축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개폐축의 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폐축과 함께 회전하는 주동회전링크와,
    일단이 상기 주동회전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플러링크와,
    일단이 상기 커플러링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구동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캠의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위치 및 상기 구동캠의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의 압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에 대하여 각각 상기 종동회전링크와 상기 커플러링크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링크와 접하는 상기 종동회전링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부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수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일측이 상기 차단기 본체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캠구동축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복수의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각각이 접하는 면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구동축은 다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구동캠은 중공의 내부에 상기 캠구동축이 형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캠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
  • 说明书全文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AKER}

    본 발명은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장치에 설치된 링크부의 오버스트로크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반복적인 개폐에도 보조접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변전 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또한, 차단부가 절연물로 절연되어 조립된 차단기는 통상 사용 상태의 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금속용기 외부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개폐할 수 있고,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적으로 선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이 전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차단기의 차단부에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이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접촉되게 하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선로의 어딘가에서 발생한 고장으로 대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신속히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에서 떼어내어 전류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차단부를 조작하는 방식에 따라 공기조작방식, 유압조작방식 및 스프링조작방식 등으로 차단기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를 떼어낼 때 발생하는 아크의 소호방식에 따라, 공기를 불어서 아크를 소호하는 기중차단기(ACB, Air Circuit Braker) 및 가스를 불어서 아크를 소호하는 가스차단기(GCB, Gas Circuit Braker)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에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보조접점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보조접점장치는 차단부의 개폐, 즉 고정 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연결 및 차단에 따라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주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의 보조접점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 사용 상태의 선로가 통전 중인 때에는 상기 보조접점장치와 연결된 표시기가 연결 상태임을 표시하고, 이 경우 고정 접촉자에 가동 접촉자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접지나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개폐기구가 작동하여 개폐축을 회전시키고, 개페축의 회전에 따라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이탈되어 통전선로가 차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축과 연동하는 링크부에 의해 상기 보조접점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며, 상기 온오프 스위치와 연결된 외부의 표시기에 차단부가 차단 상태임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본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해제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압박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 차단기 본체(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개폐기구(20)와 상기 개폐기구(2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개폐축(30)이 있다. 또한, 차단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개폐축(30)의 회전에 따라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로 구성된 차단부가 연결 또는 차단되어 통전선로를 개폐시킨다. 기타 각종 내부 부하 및 차단시 상기 가동 접촉자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는 소호장치 등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차단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축(30)의 회전에 따라 통전선로의 연결 및 차단 상태를 외부의 표시기, 즉 램프 또는 부저를 통해 알려주는 보조접점장치(40)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40)는 개폐축(30)과 연결되어 상하 작동하는 푸시바(52)와, 상기 푸시바(52)에 의해 구동축(5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주동회전링크(54) 및 상기 구동축(5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종동회전링크(58)의 링크부(50)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회전링크(58)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접점장치(40)의 온오프 스위치(42)를 압박 또는 해제하여 온오프시켜 차단기의 연결 및 차단 여부를 외부의 표시기로 표시하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선로가 통전 중인 때이므로 차단기 본체(10) 내부의 고정 접촉자에 가동 접촉자가 연결되어 있어 개폐축(30)이 시계방향 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개폐축(30)과 연결된 푸시바(52)는 하부로 쳐져 있어 주동회전링크(54)를 밀지않고, 구동축(56)의 회전이 없어 종동회전링크(58)는 온오프 스위치(42)를 압박하지 않고 해제시킨 상태이다. 온오프 스위치(42)와 연결된 외부 표시기에는 차단기가 연결 상태로 표시된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전류가 감지되어 차단 상태인 때에는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이탈되고, 개폐축(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개폐축(30)과 연결된 푸시바(52)는 상부로 들어 올려지고, 주동회전링크(54)를 푸시바(52)가 밀게 된다. 그 다음에 주동회전링크(54)의 회전으로 구동축(56)이 함께 회전하며 종동회전링크(58)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종동회전링크(58)의 회전으로 온오프 스위치(42)가 압박되어 온오프 스위치(42)와 연결된 외부 표시기에는 차단기가 차단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차단부의 차단 동작시 개폐기구(20)의 작동에 의하여 강력한 충격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개폐축(30)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링크부(50) 각각의 링크에 전달된다. 또한, 종동회전링크(58)에 전달된 회전력은 온오프 스위치(42)에 강한 충격력으로 전달되고, 더욱이 개폐축(30)의 과도한 회전은 푸시바(52)의 오버스트로크를 불러 일으켜 링크부(50)의 설정된 회전반경 이상을 회전시킨다. 결국, 종동회전링크(58)에 의해 압박 또는 해제되는 온오프 스위치(42)에 상기 오버스트로크에 의한 충격량이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는 개폐축에 연동하는 링크부의 작동에 따른 오버스트로크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그에 따라 보조접점장치의 오작동을 불러 일으켜 반복적인 개폐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접점장치에 설치된 링크부의 오버스트로크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반복적인 개폐에도 보조접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는, 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개폐기구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통전전류를 연결 및 차단시키는 개폐축과, 상기 차단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의 표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접점부와, 상기 보조접점부의 온오프 스위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캠구동축과, 상기 캠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압박 또는 해제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구동축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동캠과, 상기 개폐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구동축이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축과 상기 캠구동축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개폐축의 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폐축과 함께 회전하는 주동회전링크와, 일단이 상기 주동회전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플러링크와, 일단이 상기 커플러링크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구동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종동회전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캠의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위치 및 상기 구동캠의 최대 양정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를 해제하는 해제위치에 대하여 각각 상기 종동회전링크와 상기 커플러링크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링크와 접하는 상기 종동회전링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접점부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수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일측이 상기 차단기 본체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캠구동축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복수의 고정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은 일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각각이 접하는 면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구동축은 다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구동캠은 중공의 내부에 상기 캠구동축이 형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캠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는, 캠구동축 및 구동캠에 링크부를 연결함으로써 구동캠의 최대 양정에 대해서만 온오프 스위치가 압박되므로 보조접점장치에 설치된 링크부의 오버스트로크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반복적인 개폐에도 보조접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동회전링크에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통전선로의 연결 및 차단시, 즉 구동캠의 최대 양정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의 압박 및 해제시 링크부가 겉돌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서 회전을 멈출 수 있어 각 링크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프레임 및 브라켓의 구성을 변화시켜 온오프 스위치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차단기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컴팩트한 보조접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본체에 보조접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해제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압박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온오프 스위치 및 스위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캠구동축 및 구동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보조접점장치는 차단기 본체(10)에 설치된 개폐기구(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개폐축(100), 보조접점부(200), 캠구동축(300), 구동캠(400) 및 링크부(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접점부(200)는 온오프 스위치(220), 스위치 프레임(240) 및 브라켓(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링크부(500)는 주동회전링크(520), 커플러링크(540) 및 종동회전링크(5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단기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커버가 제거된 상태로서, 각종 구성요소가 취부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차단기 본체(10)에 취부되는 각종 구성요소로는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로 구 성된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를 동작시키는 개폐기구(20) 및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내부 부하 등이 있다. 차단기 본체(10), 개폐기구(20) 및 차단기 본체(100)에 취부되는 각종 구성요소들은 종래 기술로 구현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차단기 본체에 설치된 보조접점장치의 링크부에 따른 오버스트로크에 의한 온오프 스위치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하고, 반복적인 개폐에도 보조접점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보조접점장치에 따른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폐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0)에 설치된 개폐기구(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통전전류를 연결 및 차단시킨다. 즉, 개폐축(100)은 개폐기구(20)와 연동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개폐축(100)의 회전에 의해 차단기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가동 접촉자를 고정 접촉자로부터 연결 또는 분리시킨다. 따라서, 고정 접촉자에 가동 접촉자가 연결된 때는 통상의 통전전류가 연결된 상태이고,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분리된 때는 통전전류가 차단된 상태가 된다. 결국, 개페축(100)의 회전에 따라 통전전류가 연결 및 차단되는 것이다.

    보조접점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외부의 표시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오프 스위치(220)를 구비한다. 보조접점부(200)는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가 외부의 표시기, 예컨대 경고 램프 또는 부저 등과 연결되어 후술할 구동캠(400)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220)가 온오프된다. 그에 따라, 외부의 표시기는 램프의 불빛이나 부저의 경고음을 통해 차단기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보조접점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 스위치(220)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이 수용되는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240)과,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240) 각각을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일측이 상기 차단기 본체(10)에 결합된 브라켓(260)을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2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말하며, 회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온오프 스위치(220)가 전기회로를 온오프, 즉 개폐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오프 스위치(220)를 차단기의 차단 동작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스위치 프레임(240)에 수용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 스위치(220)는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스위치 프레임(240)에 각각 수용된다. 스위치 프레임(240)은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의 버튼 및 회동레버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각각이 접하는 면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된다. 슬라이딩 결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슬릿 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이나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부 등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말한다. 스위치 프레임(240)의 슬라이딩 결합을 통하여 온오프 스위치(220)의 정렬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프레임(240)은 상기 브라켓(26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스위치 프레임(240)이 상기 브라켓(26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 등을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브라켓(260)은 상기 스위치 프레임(24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위치 프레임(240)의 고정시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홈(268)이 관통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 프레임(240)은 일면에 상기 복수의 고정홈(268)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4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브라켓(260)은 일측이 상기 차단기 본체(10)에 결합됨으로써, 보조접점부(20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브라켓(260)은 후술할 캠구동축(3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의 고정리브(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구동축(300)은 상기 보조접점부(200)의 온오프 스위치(220)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캠(400)은 상기 캠구동축(300)의 회전에 따라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를 압박 또는 해제하여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구동축(30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캠구동축(300)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260)에 한 쌍의 고정리브(264)를 형성한 것이다. 구동캠(400)은 상기 캠구동축(3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를 압박 또는 해제함으로써, 외부의 표시기에 통전전류의 연결 또는 차단 상태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캠(400)의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온오프 스위치(220)를 압박하는 압박위치에서는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분리된 차단상태가 되는 것이고, 구동캠(400)의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온오프 스위치(220)의 압박을 해제하는 해 제위치에서는 고정 접촉자로부터 가동 접촉자가 연결된 연결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캠구동축(300)이 구동캠(4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구동축(300)은 다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구동캠(400)은 중공의 내부에 상기 캠구동축(300)이 형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캠구동축(300)의 회전력이 구동캠(40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링크부(5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축(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구동축(300)이 회전하도록 상기 개폐축(100)과 상기 캠구동축(300)을 연결한다. 개폐축(100)의 회전을 상기 캠구동축(300)에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의 링크기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링크부(500)는 4절 링크기구를 이용한다. 즉, 고정링크는 개폐축(100) 및 캠구동축(300)이 되는 것이며, 이하 2개의 회전링크와 하나의 커플러링크를 설명한다.

    주동회전링크(520)는 상기 개폐축(100)의 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폐축(10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커플러링크(540)는 일단이 상기 주동회전링크(5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동회전링크(560)는 일단이 상기 커플러링크(540)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캠구동축(3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축(100)의 회전에 따라 각 링크가 회동하게 되고, 결국 캠구동축(300)이 회전하여 구동캠(4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캠(400)의 회전으로 보조접점부(200)의 온오프 스위치(220)가 압박 또는 해제되어 외부의 표시기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통전전류의 연결 또는 차단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개폐축(100)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하여 각 링크의 관절부분에 큰 충격량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동회전링크(560)의 일면에 후술할 멈춤돌기(565)를 형성하는 것이다.

    멈춤돌기(565)는 상기 종동회전링크(560)의 회전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캠(400)의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를 압박하는 압박위치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캠의 최대 양정(450)의 프로파일이 상기 온오프 스위치(220)의 압박을 해제하는 해제위치에 대하여 각각 상기 종동회전링크(560)와 상기 커플러링크(540)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링크(540)와 접하는 상기 종동회전링크(56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도면 상으로는 2개의 멈춤돌기(565)가 형성되어 있으나, 각 링크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하나의 멈춤돌기(565)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박위치 및 해제위치 각각에 대하여 과도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멈춤돌기(565)의 특징이 있으므로 종동회전링크(560) 뿐만 아니라 각 링크의 일면에 상기 멈춤돌기(565)가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압박위치 및 해제위치에 대한 상기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본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해제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압박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본체에 보조접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해제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압박위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온오프 스위치 및 스위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장치의 캠구동축 및 구동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단기 본체

    20 : 개폐기구

    100 : 개폐축

    200 : 보조접점부

    220 : 온오프스위치

    240 : 스위치 프레임 245 : 고정돌기

    260 : 브라켓

    264 : 고정리브 268 : 고정홈

    300 : 캠구동축

    400 : 구동캠 450 : 최대 양정

    500 : 링크부

    520 : 주동회전링크 540 : 커플러링크

    560 : 종동회전링크 565 : 멈춤돌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