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즈 유닛

申请号 KR1020137026545 申请日 2012-02-22 公开(公告)号 KR1020130143713A 公开(公告)日 2013-12-31
申请人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마츠무라노리오; 키부시히데노리;
摘要 퓨즈 유닛(1)은 버스 바(2)와 절연 보호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버스 바(2)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출력 연결부(4, 5),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주위에 설치된 단자 설치 오목부(13)를 구비한다. 상기 절연 보호부(20)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상기 출력 연결부(4, 5), 및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13)가 상기 절연 보호부(20)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버스 바(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다.
权利要求
  •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출력 연결부,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주위에 제공되는 단자 설치 오목부를 구비하는 버스 바;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상기 출력 연결부, 및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부분들이 절연 보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버스 바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절연 보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노출부의 폭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노출부의 폭 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는 상기 버스 바가 만곡되는 만곡부의 하나의 측면 상의 상기 버스 바의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는 상기 버스 바의 만곡부의 위치로 연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와 상기 출력 연결부는 퓨즈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 说明书全文

    퓨즈 유닛{FUSE UNIT}

    본 발명은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퓨즈 유닛이 직접 배터리에 연결되는 유형의 다양한 퓨즈 유닛이 종래 제안되어왔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유형의 퓨즈 유닛의 예시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서, 퓨즈 유닛(100)은 배터리 단자(130)를 통해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퓨즈 유닛(100)은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인 버스 바(110)와 인서트 수지 몰딩(insert resin molding)에 의해 버스 바(110)의 외부 표면상에 설치된 절연 보호부(120)를 포함한다.

    버스 바(110)는: 배터리 단자(130)가 연결되고, 전력이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 로드측 단자가 연결되는 다중 출력 연결부(112)(도시되지 않음); 및 각각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와 상기 출력 연결부(112)(도시되지 않음) 중 대응하는 것 사이에 배치된 퓨즈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절연 보호부(120)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 상기 출력 연결부(112)(도시되지 않음), 및 퓨즈부(도시되지 않음)의 부분들을 제외한 버스 바(110)의 외주연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퓨즈 유닛(100)의 강도에서의 증가 등을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출력 연결부(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커넥터 하우징(121)이 절연 보호부(120)에 의해 형성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에서, 버스 바(110)의 전면 및 후면은 절연 보호부(120)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며, 버스 바(110)의 하나의 단면(110a)을 포함한다. 볼트 삽입 구멍(111a)이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에 형성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에서, 배터리 단자(130)는 버스 바(110)의 노출된 하나의 단면(11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정된다. 그런다음, 배터리 단자(130)는 따라서 설정되고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는 서로 볼트 삽입구멍(111a)에 삽입된 볼트(130a)와 너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배터리 단자(130)는 그들 사이에 단단히 고정된 접촉을 하면서 버스 바(110)의 노출된 표면에 연결된다.

    일본공개특허출원 제2010-73516호

    일본공개특허출원 제2010-277985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에 연결된 연결 단자(131)가 배터리 단자(130)와 함께 고정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관련 기술에서, 배터리 단자(130)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반면, 절연 보호부(120)(도면에서 참조번호(120a)에 의해 지정된 부분)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의 후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의 아래의 공간과 위의 공간만이 연결 단자(131)를 설치하고 와이어(W)를 끄집어내기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연결 단자(131)로서 L형 단자를 사용하고 와이어(W)를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 아래의 공간으로(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또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111) 위의 공간으로(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끄집어 낼 수 밖에 없다. 상술한 이유로 인해, 연결 단자(131)의 설치 패턴의 자유도와 와이어(W)의 리드아웃 방향에서의 자유도는 작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연결 단자가 배터리 단자와 함께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에 연결되는 퓨즈 유닛으로서, 상기 연결 단자의 설치 패턴에서 큰 자유도와, 상기 와이어의 리드아웃 방향으로 큰 자유도를 가지는 퓨즈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출력 연결부,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주위에 설치된 단자 설치 오목부를 구비한 버스 바; 및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 상기 출력 연결부, 및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부분들이 절연 보호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버스 바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절연 보호부;를 포함하는 퓨즈 유닛이다.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노출부의 폭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에서의 상기 버스 바의 표면의 노출부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는 상기 버스 바가 만곡되는 만곡부의 하나의 측면 상의 상기 버스 바의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는 상기 버스 바의 만곡부의 위치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와 상기 출력 연결부는 서로 퓨즈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의 위의 공간과 상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의 아래의 공간에 추가하여 상기 단자 설치 오목부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단자의 설치 패턴에서의 자유도와 상기 와이어의 상기 리드아웃 방향에서의 자유도는 크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와이어가 하방으로 끄집어 내어질 때의 배터리 단자와 연결 단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와이어가 상방으로 또는 후방으로(배터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끄집어 내어질 때의 배터리 단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와이어가 상방으로 끄집어 내어질 때의 배터리 단자와 연결 단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 및
    도 6은 와이어가 후방으로(배터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끄집어 내어질 때의 배터리 단자의 구성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도면에 기초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은 미리정해진 형상을 가지도록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 버스 바(2) 및 버스 바(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절연 보호부(20)를 포함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제 1 출력 연결부(4), 4개의 제 2 출력 연결부(5)(도 4 내지 6에 도시됨), 및 퓨즈부(도시되지 않음)가 버스 바(2)에 형성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는 배터리 단자(30)를 통해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퓨즈부의 각각이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와 제 1 및 제 2 출력 연결부(4, 5) 중 대응하는 것 사이에 배치되고, 2개를 서로 연결시킨다. 버스 바(2)는 만곡부(2b)에서 직각으로 만곡되고 L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및 제 1 출력 연결부(4)는 만곡부의 하나의 측면 상의 버스 바(2)의 부분에 배치되고, 퓨즈부(도시되지 않음)와 제 2 출력 연결부(5)는 만곡부의 다른 측 상의 버스 바(2)의 부분에 배치된다.

    볼트 삽입 구멍(3a)이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에서 형성된다. 배터리 단자(30)는 볼트 삽입 구멍(3a)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볼트 프레스 핏(press-fit) 홈(10)은 제 1 출력 연결부(4)에서 형성된다. 볼트 나사 구멍(11)은 제 2 출력 연결부(5)의 각각에서 형성된다. 볼트(12)는 볼트 프레스 핏 홈(10)과 볼트 나사 구멍(11)의 각각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볼트(12)의 헤드부는 절연 보호부(20)에 의해 고정된다. 메이팅 단자(도시되지 않음)는 볼트(12)를 이용하여 제 1 출력 연결부(4)와 제 2 출력 연결부(5)에 각각 고정 및 연결된다.

    절연 보호부(20)는 버스 바(2)와 삽입된 부품인 볼트(12)로 삽입 몰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볼트(12)는 일시적으로 버스 바(2)에 고정된다. 절연 보호부(20)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제 1 출력 연결부(4), 제 2 출력 연결부(5), 및 퓨즈부(도시되지 않음)의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버스 바(2)의 외주연을 기본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에서, 버스 바(2)의 전면 및 후면은 절연 보호부(20)로 덮여지지 않고 노출되며, 버스 바(2)의 하나의 단면(2a)을 포함한다. 단자 설치 오목부(13)는 절연 보호부(20)에 의해 배치되지 않고 따라서 버스 바(2)의 표면을 노출시킴으로써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주변에 제공된다. 단자 설치 오목부(13)에서의 버스 바(2)의 노출 폭(WD)은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에서의 폭 보다 더 작고, 도 6에 도시된 연결 단자(31C)의 폭보다 조금 더 큰 폭으로 설정된다. 단자 설치 오목부(13)는 버스 바(2)의 만곡부(2b)의 위치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그에 의해 버스 바(2)의 만곡부(2b)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배터리 단자(30)와 함께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에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 단자(31A 내지 31C)의 설치 패턴의 설명이 주어진다. 먼저, 와이어(W)가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아래의 공간을 향해 리드아웃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의 설명이 주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단자 압력-본딩부(31a)와 와이어 클림프 부(31b) 사이의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만곡되는 L형 형상을 가지는 단자(LA 단자)가 연결 단자(31A)로서 사용된다. 연결 단자(31A)는 그들 사이에 하방으로 끄집어 내어진 와이어(W)와 함께 삽입된 배터리 단자(30)의 고정 볼트(30a)를 구비한다. 그런다음, 고정 볼트(30a)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볼트 삽입 구멍(3a)으로 삽입된다. 그런 다음, 고정 볼트(30a)와 너트(32)는 서로 고정된다. 연결 단자(31a)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아래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다음으로, 와이어(W)가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위의 공간을 향해 끄집어 내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의 설명이 주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30)의 고정 볼트(30a)는 아래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볼트 삽입 구멍(3a)으로 삽입된다. 그런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가 단자 압력-본딩부(31a)와 와이어 클림프 부(31b) 사이의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만곡되는 L형 형상을 가지는 단자(LA 단자)가 연결 단자(31B)로서 사용된다. 연결 단자(31B)는 그들 사이에 상방으로 끄집어내진 와이어(W)와 함께 삽입된 배터리 단자(30)의 고정 볼트(30a)를 구비하고, 고정 볼트(30a)와 너트(32)는 서로 고정된다. 연결 단자(31B)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위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또한, 단자는 연결 단자(31B)로서 사용되고, 상기 단자는, 단자가 단자 압력-본딩부(31a)와 와이어 클림프 부(31b) 사이의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만곡되는 L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단자 압력-본딩부(31a)는 긴 길이를 가진다. 또한, 와이어(W)는 또한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와 단자 설치 오목부(13)에서의 버스 바(2)의 노출 표면을 따라서 단자 압력 본딩부(31a)를 배치시키고, 하방으로 와이어 클림프부(31b)를 배치시킴으로써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후방측(배터리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끄집어 내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W)가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후방 공간(배터리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있는)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끄집어내어 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우의 설명이 주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30)의 고정 볼트(30a)는 아래로부터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볼트 삽입 구멍(3a)으로 삽입된다. 그런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압력-본딩부(31a)와 와이어 클림프부(31b)가 선형인 직선 형태를 가지는 단자(LA 단자)가 단자(31C)로서 사용된다. 연결 단자(31C)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후방 공간(배터리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있는)을 향한 방향으로 끄집어 내어지는 와이어(W)와 함께 그 안에 삽입되는 배터리 단자(30)의 고정 볼트(30a)를 구비한다. 그런다음, 고정 볼트(30a)와 너트(32)는 서로 고정된다. 연결 단자(31C)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와 단자 설치 오목부(13)에서의 버스 바(2)의 노출 표면을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설치 오목부(13)는 절연 보호부를 배치하지 않고, 따라서 버스 바(2)의 표면을 노출시킴으로써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의 주변에 제공된다. 따라서, 연결 단자(31A-31C)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 위의 공간과 아래의 공간에 부가하여 단자 설치 오목부(13)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단자(31A 내지 31C)의 설치 패턴에서의 자유도와 와이어(W)의 리드아웃 방향의 자유도가 개선된다.

    단자 설치 오목부(13)에서의 버스 바(2)의 노출 폭(WD)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에서의 폭 보다 더 작다. 따라서, 단자 설치 오목부(13)는 볼트(30a)와 너트(32)를 고정시키는 동안 연결 단자(31C)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버스 바(2)의 노출 면적은 가능한 작게 만들어지며, 그에 의해 강도의 감소가 억제된다.

    파워 서플라이 연결부(3)는 버스 바(2)가 만곡되는 만곡부(2b)의 한 측면 상의 부분에 배치되고, 단자 설치 오목부(13)가 버스 바(2)의 만곡부(2b)의 위치로 연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와이어(W)는 버스 바(2)의 만곡부(2b)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끄집어 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2)의 만곡부(2b)의 외부 측면 상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퓨즈 유닛(1)은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품들의 구성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임의의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