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ing apparatus of circuits board block for vehicle

申请号 KR20100120762 申请日 2010-11-30 公开(公告)号 KR20120059133A 公开(公告)日 2012-06-08
申请人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发明人 KIM JA MIN;
摘要 PURPOSE: A substrate block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tightly fix a substrate block in a mounting space by hanging a mounting hook between spacer projections on a joining sill. CONSTITUTION: A substrate block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es spacer projections(26) and mounting hooks(28). The spacer projections are proje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a housing in a pair and are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a mounting space. The mounting hook is formed into a cantilever shape at a recessed portion(26') between the pair of spacer projections.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hook is proj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space. A hanging sill(28') of the mounting hook is hung on a joining sill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The bottom edge of the housing is mounted on the hanging sill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权利要求
  • 박스의 메인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기판블록을 장착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쌍을 지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서돌부와,
    상기 스페이서돌부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장착공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 내면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장착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가장자리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에 안착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삽입방향을 안내하고 유동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돌부와 걸이턱은 상기 하우징커버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하단부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된 체결걸이에 걸어져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걸이는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스페이서돌부와 같은 정도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면중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스페이서부채널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채널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몸체리브가 삽입되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면에 쌍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돌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 양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리브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둘러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리브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보다 더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
  • 说明书全文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Mounting apparatus of circuits board 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형 회로기판을 내장하여 차량에서 필요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용 기판블록을 박스에 장착하기 위한 기판블록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는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과 제어 등을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션박스, 조인트박스, 배터리박스 등의 박스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박스는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과 회로기판 등이 집적되어 구성된다.

    최근에 하나의 박스 내부나 별도로 박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로 만들어진 기판블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기판블록은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박스와 거의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판블록을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기능을 집적시켜 수행할 수 있고, 특히 기판블록을 박스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해당 박스의 기능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내부공간을 보다 효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별도로 만들어진 기판블록을 박스에 장착하는 경우에 기판블록이 박스에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판블록이 박스에 대해 유동하게 되면 기판블록의 동작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블록을 박스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박스 내부의 장착공간에 견고하게 기판블록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의 메인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는 기판블록을 장착하는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쌍을 지어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되는 스페이서돌부와, 상기 스페이서돌부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외팔보 형상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장착공간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 내면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장착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가장자리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하우징의 삽입방향을 안내하고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돌부와 걸이턱은 상기 하우징커버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하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와 하우징커버는 상기 하우징몸체에 형성된 체결돌기가 상기 하우징커버에 형성된 체결걸이에 걸어져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걸이는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스페이서돌부와 같은 정도로 돌출되어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면중 상기 스페이서돌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스페이서부채널이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부채널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몸체리브가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면에 쌍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돌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 양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리브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둘러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리브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보다 더 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박스의 장착공간 내면에 하우징커버에서 돌출된 스페이서돌부와 체결걸이가 밀착되고, 스페이서돌부 사이에서 장착후크가 박스의 체결턱에 걸어지므로 기판블록이 장착공간내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어 기판블록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커버의 내면중 스페이서돌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스페이서부채널이 형성되어 하우징몸체의 몸체리브가 안착되도록 하였으므로, 하우징커버의 두께와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전체 기판블록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커버의 외면과 박스의 장착공간 내면 사이에 스페이서돌부와 체결걸이 등에 의해 틈새를 형성할 수 있어, 이 틈새를 통해 기판블록에서 발생하는 열을 장착공간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발열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블록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판블록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커버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기판블록(10')이 장착되는 박스(1)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박스(1)는 일반적으로 메인몸체(도면부호 부여않음)와 상,하부 커버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도시된 것은 메인몸체이다. 상기 박스(1)에는 상하로 관통하여 장착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3)에는 상기 기판블록(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공간(3)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체결턱(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5)은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턱(5)은 상기 장착공간(3)의 주변 내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후크(28)의 걸이턱(28')이 걸어진다.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 하단에는 단차지게 지지턱(7)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7)은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을 둘러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커버(2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에는 또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가이드리브(9)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9)는 상기 기판블록(1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리브(9)는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채널(??)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리브(9)는 그 형성위치나 크기 등을 달리하여 기판블록(10')의 삽입방향이 틀려지지 않도록 하고, 기판블록(10')이 장착공간(3)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블록(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기판블록(1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 외에도 다른 부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에 의해 하우징(10)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에는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요입되어 가이드채널(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2')은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요입된 채널 형상이라기 보다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12')은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양단에 형성되는데, 그 형성 위치는 양단부에서 달리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2)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리브(13)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몸체리브(13)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외면 상단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몸체리브(13)는 상기 하우징커버(20)와의 결합을 안내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부채널(27)에 안착되어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 사이의 결합방향을 안내하고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유동이 없도록 한다. 상기 몸체리브(13)중 일부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의 결합이 정확하면서도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2)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4)을 내부에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과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일측에는 제1커넥터부(16)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하부로 내부공간(14)이 개방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 외면과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커버(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18)는 본 실시예에서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부와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후단을 포함하는 거의 대부분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는 그 내부가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박스(1)의 가이드리브(9)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20')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0')은 상기 가이드리브(9)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우징(10)의 삽입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커버(20)에서 상기 가이드채널(20')이 형성된 면은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 내면에 밀착되거나 거의 틈새가 없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설치부(22)가 하우징커버(2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부품설치부(22)에는 본 실시예에서 퓨즈(22')들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부품설치부(22)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설치부(22)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3)은 상기 부품설치부(22)에서 시작해서 하우징커버(20)의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23)이 하우징커버(20)의 양단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짐에 의해 상기 부품설치부(22)의 양측면을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설치부(22)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상기 하우징커버(20)를 상기 하우징몸체(1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체결돌기(18)에 걸어져 하우징커버(20)와 하우징몸체(12)가 결합되게 하는 체결걸이(2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2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통공형태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걸이(24)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부(26)의 돌출 정도와 같은 정도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걸이(24)도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 양측면에는 각각 스페이서돌부(26)가 하우징커버(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게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외면에서 하우징커버(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일 많이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기판블록(10')이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장착되는 경우, 그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표면이 박스의 내부공간에 밀착됨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보다 상대적으로 요입된 요홈부(26')가 된다. 상기 요홈부(26')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 사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후크(28)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는 스페이서부채널(27)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채널(27)은 상기 몸체리브(13)가 안내되고 위치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스페이서부채널(27)을 스페이서돌부(26)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함에 의해 하우징커버(20)의 두께 및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장착후크(28)는 상기 요홈부(26')의 내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일단부가 요홈부(26')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 연결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장착후크(28)에는 걸이턱(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8')은 상기 장착후크(28)의 선단부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 내면에 형성된 체결턱(5)에 걸어져 기판블록(10')이 박스(1)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장착후크(28)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보다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는 또한 걸이리브(29)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리브(29)의 구성은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리브(29)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진다. 상기 틈새는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상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약간 크거나 같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내부에 메탈코어가 들어 있다. 상기 메탈코어는 금속판으로서 예를 들면 동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탈코어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내부에서 골격을 형성하면서 전원공급을 위한 일종의 회로패턴역할을 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골격을 형성하는 메탈코어의 양측 표면에 절연층과 회로패턴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은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내면 천정과 마주보는 제1회로영역(31)과 상기 하우징몸체(12)의 일측 내면과 마주보는 제2회로영역(32)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31)과 제2회로영역(32)의 사이에는 절곡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33)는 상기 메탈코어가 외부로 그대로 드러난 영역이다. 즉, 메탈코어만으로 구성되는 부분이어서, 상기 절곡부(33)는 원하는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부(33)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제1회로영역(31)과 제2회로영역(32)이 그 가상의 연장면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31)에는 상기 부품장착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퓨즈(22')의 레그와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퓨즈결합단자(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퓨즈결합단자(34)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천정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회로영역(31)에서 상기 퓨즈결합단자(34)가 설치된 반대면에는 제1커넥터부단자(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부단자(36)는 상기 퓨즈결합단자(34)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커넥터부(16)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부(16)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회로영역(32)에는 점퍼핀(38)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점퍼핀(3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과 제1인쇄회로기판(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점퍼핀(38)은 일단부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인쇄회로기판(50)에 연결된다.

    센터보드(40)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회로영역(32)과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센터보드(4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제1회로영역장착부(41)가 구비된다.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착편(41')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41')은 얇은 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편(41')은 본 실시예에서 거의 대부분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와 직교하게 제2회로영역장착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도 장착편(42')이 얇은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42')은 제2회로영역장착부(42) 전체를 둘러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장착편(42')은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회로영역장착부(41)에서 연장되어서는 절곡부안착편(42")이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안착편(42")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절곡부(3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33)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의 곡면이 상기 절곡부안착편(42")에 형성된다.

    상기 제2회로영역장착부(42)의 반대면은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가 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도 장착편(43')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43') 역시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서는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 형성되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센터보드(40)의 각 장착부(41,42,43)에 형성되는 장착편(41',42',43')은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장착편(41',42',43')이 얇은 판형상으로 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30,5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최소로 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30,50)의 표면을 활용하는 면이나 방열의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센터보드(40)의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43)에는 제2인쇄회로기판(50)이 장착된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5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많은 부품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50)은 주로 제어를 위한 것으로, 제어를 위해 필요한 부품인 각종 칩들이 장착된다. 참고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주로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4) 하부로 선단이 개구되게 제2커넥터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부(52)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2회로영역(32)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몸체(12)의 내부공간(14)하부로 선단이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몸체(12)를 하부에서 보면 상기 제2커넥터부(52)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대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부(16)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0)의 제1회로영역(31)에 그 제1커넥터부단자(3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부단자(36)와 관련된 상기 제1회로영역(31) 상의 회로패턴의 길이(L)(도 3참고)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도면부호 54는 제2커넥터부(52)에 구비되는 제2커넥터부단자(54)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기판블록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기판블록을 박스에 장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판블록(10')은 그 자체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박스(1)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장착한 후에 상기 제1커넥터부(16)와 제2커넥터부(52)에 각각 대응되는 커넥터를 결합한다.

    상기 기판블록(10')이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스페이서돌부(26)는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사이에 있는 장착후크(28)가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 내에 있는 체결턱(5)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장착후크(28)는 상기 박스(1)의 장착공간(3) 내에 있는 체결턱(5)에 안내되어 탄성변형되다가 걸이턱(28')이 체결턱(5)을 통과하면 원형으로 복원되어 체결턱(5)에 걸이턱(28')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7)에 상기 하우징커버(20)의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상기 기판블록(10')을 장착공간(3)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채널(12',20')에는 상기 가이드리브(9)가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리브(9)는 상기 가이드채널(12',20')과 협력하여 상기 기판블록(10')이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블록(10')이 상기 장착공간(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채널(12',20')에 가이드리브(9)가 위치되어 상대적인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돌부(26)의 외면이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체결걸이(24)도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기판블록(10')과 박스(1)의 장착공간(3)과의 사이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면서 상대적인 유동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블록(10')이 박스(1)의 장착공간(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본체(12)는 직접적으로 상기 박스(1)와 결합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몸체리브(13)가 하우징커버(20)의 스페이서부채널(27)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체결걸이(24)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체결돌기(18)에 결합되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20)가 하우징본체(12)에 결합되는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체결걸이(21)가 스페이서돌부(26)와 같은 정도로 돌출되게 하는 것은 기판블록(10')과 장착공간(3) 내면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늘릴 수 있고, 스페이서돌부(26)에 해당되는 하우징커버(20)의 내면에 스페이서부채널(27)을 형성함에 의해 하우징커버(20)의 크기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블록(10')을 박스(1)의 장착공간(3)에서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장착후크(28)를 탄성변형시켜 요홈부(26')의 내면에 밀착되게 하여 걸이턱(28')이 체결턱(5)에서 분리되어 약간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장착후크(28)를 탄성변형시켜 체결턱(5)에서 걸이턱(28')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커버(20)의 부품장착부(22)를 손가락으로 잡으면 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의 주변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커버(20)의 상면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2)가 더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작업자가 쉽게 손가락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2)를 잡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블록(1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간(3)의 내면 사이에는 틈새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지지턱(7)의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와 체결걸이(24)와 장착공간(3) 내면 사이의 접촉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틈새가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틈새를 통해 기판블록(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돌부(26)와 체결걸이(24)가 동시에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스페이서돌부(26)와 상기 가이드채널(20')이 형성된 하우징커버(20)의 외면이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걸이(24)는 그러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상기 체결걸이(24)까지 장착공간(3)의 내면에 밀착되면 유동방지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9)와 가이드채널(12',20')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0) 자체의 형상에 의해 삽입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몸체(12)와 하우징커버(20)로 분리하여 하우징(10)을 설명하였으나, 하우징커버(20)가 실질적으로 박스(1)측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모두 가지므로 하우징커버(20)를 실질적으로 하우징(10)으로 볼 수 있다.

    10: 하우징 12: 하우징몸체
    12': 가이드채널 13: 몸체리브
    14: 내부공간 16: 제1커넥터부
    18: 체결돌기 20: 하우징커버
    20': 가이드채널 22: 부품장착부
    22': 퓨즈 23: 경사면
    24: 체결걸이 26: 스페이서돌부
    26': 요홈부 27: 스페이서부채널
    28: 장착후크 30: 제1인쇄회로기판
    31: 제1회로영역 32: 제2회로영역
    33: 절곡부 34: 퓨즈결합단자
    36: 제1커넥터부단자 38: 점퍼핀
    40: 센터보드 41: 제1회로영역장착부
    42: 제2회로영역장착부 43: 제2인쇄회로기판장착부
    41',42',43': 장착편 42": 곡면장착편
    50: 제2인쇄회로기판 52: 제2커넥터부
    54: 제2커넥터부단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