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기

申请号 KR1019830002445 申请日 1983-06-01 公开(公告)号 KR1019910005757B1 公开(公告)日 1991-08-02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이찌에몽쇼오샤; 发明人 가부시키가이샤이찌에몽쇼오샤;
摘要 내용 없음.
权利要求
  • 케이스 본체는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는 극실을 갖고, 각, 극실에 형성된 가동 접점은 도전재로써된 지지틀을 수립하고 이 지지틀의 정상부에 가동 접점바아를 원추형 접합하여서 좌우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갖게 하여서 형성하고, 각 극실에 한쌍의 조작틀이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조작틀은 창을 갖는 틀부와 이 틀분의 아랫면의 일측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아래로 늘어뜨려 연장하는 다리 틀부를 갖게 하여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창에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을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의 아암부를 조작틀의 창에 관통시켜서 한쌍의 접점 스프링에 의하여 끼워두고, 좌우 한쌍의 조작틀은 각각의 다리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각 다리 틀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의 아랫면에 형성한 복귀 스 프링을 갖고 설치되고, 가동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의 각 선단에 각각 적어도 1개의 가동 접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점단자와 대응하는 개소에 각각 고정접점 단자가 형성되고, 극실의 일측에는 적어도 2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1개의 접속단자가 형성됨으로서 구성한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은 같은 길이의 치수를 갖고 같은 탄성율을 갖게 형성된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은 조작틀에 형성된 창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 설치하고, 각각의 자유단은 틀부에 따라서 상하 신축 작동하도록 안내되어서된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케이스 본체의 아랫면에 돌출하는 결선부를 형성하는 단자바아를 갖고 있는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전자석 가대에 피복 설치된 평판의 이면에 베아링부를 형성하고, 이 베아링부에 연간을 그 중앙부에서 원추형 접합하고 연간의 양단에 한쌍의 조작틀의 각각의 각 틀부를 원추형 접합하여 연결시켜서된 접촉기.
  • 제1항에 있어서, 각 극실에 형성된 한쌍의 조작틀은 틀부를 일련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위치하는 틀부의 아랫면에만 각 틀부를 늘어뜨려 설치시켜서된 접촉기.
  • 케이스 본체는 복수개의 극실을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 형성하고, 각 극실에 형성된 가동접점은 도전재로써된 지지틀을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틀의 정상부에 가동 접점바아를 원추형 접합하여서 좌우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갖추어서 형성하고, 한쌍의 조작틀이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조작틀은 창을 갖는 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틀부의 아랫면 일측부로부터 각 틀부를 일체로 수직 하방으로 돌출설치하고 창에는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를 창에 관통시켜서 상하 한쌍의 접점 스필링으로써 끼우고, 좌우 한쌍의 조작틀은 각 틀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 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의 아랫면에 설치한 복귀 스프링을 갖추어 설치된 접촉� ��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의 각 선단아랫면에 각 1개씩의 가동 접점단자를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의 각 하방 위치의 각 가동 접점 단자에 대응하는 개소에 각 1개씩의 고정접점 단자를 형성하고, 극실의 일측에 단자 U,V,W와 단자 Z,X,Y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단자 U,V,W을 형성하고, 좌측의 고정접점 단자를 단자 Z,X,Y에 접속하고, 우측의 고정접점 단자를 단자 U,V,W에 접속하고, 단자 R,S,T를 각 극실의 가동 접점에 접속하고, 단자 Z와 W,X와 U,V와 Y에 접속하여서 정역 전환용의 접점 구성을 갖게 하여 구성한 접촉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고정접점 단자는 접점바아를 통하여 각각의 단자 Z,X,Y 및 U,V,W에 접속하고, 상기 단자 R,S,T,Z,X,Y 및 U,V,W는 각각 케이스 본체의 아랫면에 돌출하는 결선을 갖는 단자바아가 형성되어 결선에 의하여 접속시켜서된 접촉기.
  • 케이스 본체는 복수개의 극실을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 형성하고, 각 극실에 형성된 가동접점은 도전재로써된 지지틀을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틀의 정상부에 가동 접점바아를 원추형 접합하여 좌우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갖게 하여서 형성하고, 한쌍의 조작틀이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조작틀은 창을 갖는 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틀부의 아랫면 일측부로터 각 틀부를 일체로 세워서 돌출 설치하고 창에는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를 창에 관통시켜서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으로써 끼우고, 좌우 한쌍의 조작틀은 각 틀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 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의 아랫면에 형성한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여 설치된 접촉기에 � �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의 각 선단의 윗면 및 아랫면과의 4개의 가동 접점단자를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각 선단의 상방 및 하방위치에서 상기 4개의 가동 접점단자에 대응하는 개소에 배치하는 4개의 고정접점단자를 형성하고, 극실의 일측에 단자 R,S,T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단자 Z,X,Y와 단자 U,V,W를 형성하고, 좌측 상부의 고정접점 단자와 좌측 하부의 고정접점 단자를 단자 R,S,T에 접속하고, 우측의 상부의 고정접점단자를 단자 Z,X,Y에 접속하고, 우측의 하부에 고정접점단자를 단자, Y,Z,X에 접속하고, 단자 Z을 U에, X를 V에, Y을 W에 각각 접속시켜서 정역 전환용의 접점 구성을 갖게 함으로써 구성한 접촉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부 및 하부의 고정접점단자는 접점바아를 통하여 단자 R,S,T에 접속하고, 상기 우측 상부의 고정접점단자는 접점바아를 통하여 단자 Z,X,Y에 접속하고, 우측의 고정접점단자와 단자 Z,X,Y 및 U,V,W는 각각 케이스 본체의 아랫면에 돌출하는 결선부를 갖는 단자바아를 통하여 결선에 의하여 접속시켜서된 접촉기.
  • 케이스 본체는 복수개의 극실을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 형성하고, 각 극실에 형성된 가동접점은 도전재로써된 지지틀을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틀의 정상부에 가동 접점바아를 원추형 접합고여 좌우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갖게 하여 형성하고, 한쌍의 조작틀이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조작틀은 창을 갖는 틀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틀부의 아랫면 일측부로부터 각 틀부를 일체로 아래로 늘어뜨려 돌출설치하고 창에는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를 창에 관통시켜서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으로써 끼우고, 좌우 한쌍의 조작틀은 각 틀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 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의 아랫면에 형성한 복귀 스프링을 갖추어 설치된 접촉 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의 각 선단의 윗면 및 아랫면과의 4개의 가동 접점단자를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각 선단의 상방 및 하방위치에서 상기 4개의 가동 접점단자에 대응하는 개소에 배치하는 4개의 고정접점단자를 형성하고, 각 극실의 일측에 단자 R,S,T와 단자 U,V,W을 형성하고, 타측에 단자 Z,X,Y을 형성하고, 좌측 상부의 고정접점단자를 단자 U,V,W에 접속하고, 좌측 하부의 각 극실의 단자끼리를 접속하여서 공통단자로 하고, 우측의 상부 및 하부의 각 고정접점단자를 단자 Z,X,Y에 접속하고, 단자 R을 U에, T을 W에 접속시켜서 Y-△접점 구성을 갖게함으로써 구성한 접촉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상부의 고정접점 단자와 우측의 상부 및 하부의 고정접점 단자와는 각각 접점바아를 통하여 각각의 단자 U,V,W,Z,X,Y에 접속하고, 단자 R,S,T를 단자바아를 통하여 단자 U,V,W에 접속하고, 좌측 하부의 고정 접점단자는 케이스 본체의 아랫면에 돌출하는 결선부를 갖는 단자바아를 통하여 결선에 접속시켜서된 접촉기.
  • 케이스 본체는 복수실의 주접점용의 극실을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 형성하고, 각 극실에 형성된 주접점 가동 접점은 도전재로써된 지지틀을 세워 설치하고 이 지지틀의 정상부에 가동 접점바아를 원추형 접합하여서 좌우로 연장하는 아암부를 갖게 함으로서 형성하고, 한쌍의 조작틀의 주접점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조작틀은 창을 갖는 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틀부의 아랫면 일측부로부터 각 틀부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늘어뜨려 돌출설치하고 창에는 같은 탄성율의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를 창에 관통시켜서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으로써 끼우고, 좌우 한쌍의 조작틀은 각 틀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각각 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 �� 아랫면에 형성한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여 설치된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주접점용의 극실에 일련적으로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 형성하는 보조접점용의 극실을 형성하고, 보조접점 가동 접점은, 상기 주접점 가동 접점과 같이, 도전재로써된 지지틀과 지지틀의 정상부에 원추형 접합된 가동 접점바아와 창을 갖는 틀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틀부의 아랫면 일측부로부터 각 틀부를 일체적으로 아래로 늘어뜨려 돌출설치시켜 형성하는 한쌍의 조작틀을 보조접점 가동 접점의 좌우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한쌍의 조작틀은 각 틀부의 하단에서 연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각각 틀마다 연결한 전자석과 틀부의 아랫면에 형성한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여 설치되고, 이들 한쌍의 조작틀은 창에 다른 탄성율을 갖고 그리고 장단의 상하 한쌍의 접점 스 프링을 형성하여서 가동 접점바아의 좌우 아암부를 창에 관통시켜서, 주접점 가동 접점이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 소정 각도로 기울여서 접점을 형성시키도록 구성한 접촉기.
  • 说明书全文

    접촉기

    제1도는 접점기구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정역 전환 접촉기의 사시도.

    제2도는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평면도.

    제4도는 주접점의 접점 구성의 "오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5도는 가동 접점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정전 조작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보조접점의 접점구성을 "오프"의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정역 전환의 접점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9도는 전환용의 접점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역 전환 접촉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그 주접점의 접점구성을 "오프"의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12도는 그 회로도.

    제13도는 또다른 실시에에 관한 Y-△접촉기를 나타낸 평면도.

    제14도는 그 주접점의 접점구성을 "오프"의 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15도는 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케이스 1 : 격벽

    2' : 극실 3 : 지지틀

    4 : 가동 접점바아 5 : 조작틀

    12, 12' : 아암부 13, 13' : 가동접점단자

    15 : 창 16 : 틀부

    17 : 다리틀부 19 : 복귀 스프링

    21, 21' : 접점 스프링 22, 22' 23, 23' : 접속단자

    24, 24' : 고정단자 26 : 결선부

    27 : 단자비아 28 : 가대

    29 : 평판 30 : 베아링부

    31 : 접속레버 34, 34', 35, 35' : 보조접점 가동단자

    36, 36', 37, 37' : 보조접점 고정단자

    38,38',39,39' : 보조접점용의 접점 스프링

    본 발명은 정역 전환용 및 Y-△용 또는 전환용 등의 각종 전환 모우드의 접촉기를 한대의 구조체로서 형성한 접촉기로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된 메틸방식의 가동 접점기구와, 고정접점과 케이스 본체의 이면에서 결선에 의하면 전기 접속시키는 각종 단자바아로써된 단자를 갖고, 상기 가동 접점기구와 각 단자는 고정접점의 전환에 따라서 정전용 및 역전용에 공통으로 사용 또는 Y용 및 △용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접촉기에는 회로의 단순한 투입, 차단, 회로의 전환, 3상 교류에 있어서의 Y-△ 전환 등의 전환모우드에 대응한 각종의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접촉기는 접촉이 일원적으로서 각종 전환 모우드를 얻기 위하여 복수대의 접촉기를 임의로 조합하여서 각각 전용의 접촉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들면 자동도어, 기체, 유체의 밸브 등의 조작에 대한 정역 운전에 사용하는 접촉기는 정전용과 역전용의 2대의 전자 접촉기를 조합하고, 그리고 접점구성을 위한 회로 배선을 하여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선 및 설치공정도 많고, 뿐만 아니라 종래 접촉기의 구조에서는 배선작업은 극히 곤란하며, 또한 대형이 되어 설치스페이스가 커질 뿐만 아니라, 원가에 대한 부담도 예측할 수 없는 등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접점과 고정접점과 단자, R,S,T,U,V,W 및 X,Y,Z를 정전용 및 역전용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1대의 구조체로서 구성된 정역 전환용의 접촉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정역 전환 접촉기와 같이 정전용과 역전용이 2대의 접촉기를 조합하여서 구성한 원가적인 부담 및 배선 등에 소용된 여러가지의 곤란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기구 및 단자 R,S,T,U,V,W 및 X,Y,Z을 Y용 및 △ 공용으로 공용하는 1대의 구조체로서 구성한 Y-△용의 접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기구와 1차측 및 2차측의 각 단자를 정전용 및 역전용 또는 Y용 및 △용으로 공용하는 1대의 구조체로 형성함으로써 그 결과 정역 전환용 또는 Y-△용의 접촉기의 최소형화를 실현시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방식의 가동 접점기구를 채용하는데 있다. 결과, 고정접점의 배치를 다양하게 함과 동시에 접점기구와 단자를 정전용 및 역전용으로 또는 Y용 및 △용으로 공용시킬 수가 있는 다원적인 접촉기의 제공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1차측 및 2차측의 각 단자를 케이스 본체의 이면에서 결선에 의하면 전기 접속시키는 단자바아로 형성하고 이들 1차측 및 2차측의 각 단자의 접점구성을 위한 회로 배선처리를 극히 용이하게 그리고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단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정역 전환용 또는 Y-△용 또는 전환용의 각종 모우드에 대응하는 접점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결과, 단자의 전기 접속을 각종 모우드에 대응시켜서 배선처리하는 것만으로써 동일한 구조체로부터 정역 전환용 또는 Y-△용 또는 전환용 등의 각종 모우드의 접촉기를 제조할 수 있게 한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접점을 일체로 제공케 하여 형성한 전자 접촉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에 감하여 이뤄진 것으로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 실시의 일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정역 전환용의 전자 접촉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케이스 본체(S)는 복수의 격벽(1)에 의하여 세로로 절단하여, 구획한 주접점용의 극실(2,2,2)과 보조접점용의 극실(2',2')을 일련적으로 구비하여서 형성되고, 주접점용 및 보조접점용의 각 극실(2) 및 극실(2')에는 가동 접점을 요동 가능하게 설치할 가동 접점기구와, 고정접점과 케이스 본체(S)의 아랫면에서 결선하기 위한 단자바아로써된 접속단자를 갖고, 케이스본체(S)의 아랫면에 정전용 및 역전용의 2개의 전자석 MCF 및 MCR을 구비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주접점용의 가동 접점기구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재로써된 지지틀(3)과 가동 접점바아(4)와 한쌍의 조작틀(5)과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틀(3)은 U자형으로 곡절(曲折)되어서 저부(6)와 2개의 수지틀부(7)를 가지며, 이 수직틀부(7)의 상단에 세로홈으로 구멍을 낸 아링부(8)로써 형성되며, 이 지지틀(3)은 저부(6)에서 케이스 본체(S)의 중앙 저부에 구비한 받침대부 (9)에 나사(10)에 의하여 고착 설치한다. 상기 가동 접점바아(4)는 중앙부에 베아링부(11)를 갖고 좌우 한쌍의 아암부(12,12')를 일체적으로 수평으로 연장시켜서, 좌우의 각 아암부(12,12')의 선단이면에 주접점 가동단자(13,13')로써 형성하고, 상기 가동 점점바아(4)의 베아링부(11)를 지지틀(3)의 베아링부(8)에 추측(1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한쌍의 조작틀(5)은 세로로 긴 창(15)을 갖는 틀부(16)의 아랫면의 일측부로부터 다리틀부(7)를 일체로 아래로 늘어뜨려 돌출시켜 설치함과 동시에 다리틀부(17)의 하단에 축공(18)을 관통하여 뚫고, 틀부(16)의 아랫면에는 복귀 스프링(19)을 설치하기 위한 돌기부(20)를 구비하여서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들 한쌍의 조작틀(5)은 지지틀(3)의 양측에 각각 승강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설치되고, 가동 접점바아(4)의 좌우의 아암부(12,12')를 좌우의 조작틀(5)의 각 창(15)에 관통시켜서 주접점 가동단자(13,13')가 창(15)을 관통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좌우의 각 조작틀(5)의 각 창(15)에는 각각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12,12')을 창(51)의 상단 및 하단에서 고착 설치되고, 창(15)을 관통하는 가동 접점바아(4)의 각 아암부(12,12')를 상하의 접점 스프링(21,21')의 서로의 자유단에서 탄압적으로 끼워 붙인다. 이들 상항 한쌍의 접점 스프링(21,21')은 동율로 하여 "오프"의 상태에서 가동 접점바아(4)를 수평으로 위치 유지시킨다.

    상기 케이스 본체(S)의 좌측에는 2개의 주접점단자(22,23)가 외측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가 되는 떨어진 위치에서 배치되고, 우측에도 같이 2개의 주접점단자(22',23')가 외측 하부 위치 및 내측 상부 위치의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주접점 고정단자(24,24')는 가동 접점바아(4)의 좌우단 아랫면에 갖는 주접점 가동단자(13,13')의 요동동작에 대응하는 개소에 배치 설치되고, 주접점 고정단자(24)를 주접점 단자(23)에 접점바아(25)를 통하여 접속하고, 주접점 고정단자(24')를 주접점단자(23')에 접점바아(25')를 통하여 접속한다.

    상기 주접점단자(22,23,22',23')는 케이스 본체(S)의 아랫면에 돌출시키는 결선부(26)를 갖는 단자바아(27)를 갖고, 동일하게 가동 접점바아(4)의 지지틀(3)은 결선부(26)를 갖는 단자바아(27)를 통하여 받침대부(9)에 고착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바아(27)는 그 설치개소의 상황에 따라서 여러가지 형상 및 치수 길이를 갖고 형성되며, 그리하여 결선부(26)가 케이스 본체(S)의 아랫면에 돌출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2개의 전자석 MCF, MCR을 수납하는 가대(28)의 윗면에 평판(29)을 피복 설치하고, 평판(29)의 이면에 베아링부(30)를 형성하고, 이 베아링부(30)에 접속레버(31)를 그 중앙부에서 원추형 접합으로 설치한다. 그리하여 연간(31)의 좌우 양단에 각각 좌우에 위치하는 조작틀(5)의 다리틀부(17)의 축공(18)과 전자석 MCF 또는 MCR의 가동철심(32,32')을 동축에 원추형 접합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복귀 스프링(19)은 조작틀(5)의 틀부(16)의 아랫면에 갖는 돌기부(20)와 가대(28)에 갖는 오목부(33)와의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보조 접점용의 가동 접점기구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접점용의 가동 접점기구와 동일하게, 지지틀(3)의 가동 접점바아(4)와 좌우 한쌍의 조작틀(5)로서 조립 형성되며, 좌우의 조작틀(5)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가동 접점바아(4)를 요동 조작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보조접점용의 가동 접점바아(4)는 좌우 아암부(12,12')의 각 선단의 윗면 및 아랫면의 4개소에 보조접점 가동단자(34,34',35,35')가 형성되며, 이들 4개의 보조접점 가동단자(34,34',35,35')에 대응하는 4개의 보조접점 고정단자(36,36',37,37')를 가동 접점바아(4)의 좌우의 각 상하에 있어서의 각 보조접점 가동단자(34,34',35,35')의 요동 동작에 대응하는 개소에 접속되어서 보조접점단자(38,38',39,39')에 접속된다. 이들 보조접점단자(38,38',39,39')는 상기 주접점단자(22,22',23,23')와 같이, 케이스 본체(S)의 좌우의 각각 외측 하단 및 내의 상단에 떨어져 배치되어, 고정단자(36)를 단자(38)에, 고정단자(37)를 단자(39)에, 고정단자(36')를 단자(38')에, 고정단자(37')를 단자(39')에 각각 접속한다.

    그리하여 보조접점용의 가동 접점기구는 "오프"의 상태에서 b접점을 형성시키므로, 탄발력을 동율로 하는 장단(長短) 2종의 접점 스프링(40,40')으로 한쌍으로서 조작틀(5)의 창(15)에 설치하여 가동 접점스프링(4)을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유지시켜서 고정단자(36)와 고정단자(37')에 접속유지 시킨다. 이 경우에 보조접점용의 정전 및 역전의 각 극실(2,2')과 각각의 가동 접점바아(4,4)와는 직교시켜서 b접점을 구성하면 결선에 편리하다.

    그리고 조작틀(5)은 주접점용 및 보조접점용의 각 극실(2,2')마다 개별로 형성하지 않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련적 일체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다리틀부(17) 및 복귀 스프링(19)은 양단의 각 2개소에 갖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케이스 본체(S)의 주접점용의 극실(2,2,2)의 주접점단자(22)를 단자 R,S,T로 하고, 단자(23)를 Z,X,Y로 하고, 단자(22')를 U,V,W로 하고, 그리고 단자(22)를 정전용 및 역전용의 전자석 MCF, MCR에 접속하는 단자 mc,mf,mr로서 설정하고, 보조접점용의 정전 및 역전의 각 극실(2',2')의 단자(38)를 참고번호 1a, 또는 1b'로 표시하고, 단자(39)를 참고번호 1b 또는 1a'로 하고, 단자(38')를 참고번호 1b' 또는 1a로 하고, 그리고 단자(39')를 참고번호 1a' 또는 1b로서 설정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주접점단자(22,23,22',23')는 각 단자바아(27)의 결선부(26)를 통하여 제8도 회로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R,S,T를 각 그실(2,2,2)의 각 가동 접점에 접속하고, 단자 U와 X,V와 Y,W와 Z에 결선함으로써 접점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오프"상태에 있어서, 주접점의 가동 접점바아(4)는 접점 스프링(21,21')에 의하여 수평 위치하여 주접점 가동단자(13,13')와 주접점 고정단자(24,24')가 이반하여 있으며, 보조접점의 가동 접점바아(4)는 장단의 접점 스프링(40,40')에 의하여 경사져서 b접점에 접속한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정전용 전자석 MCF가 여자하면, 가동철심(32')이 흡인되어서 정전측의 조작틀(5)이 복귀 스프링(19)에 탄발되어서 강하하여 주접점 가동단자(13')와 주접점 고정단자(24'), 즉 단자 U,V,W가 접속한다. 동시에 보조접점은 b접점이 열려져 a접점이 접속된다. 그러하여 상기 주접점 보조접점의 각 가동 접점바아(4)는 조작틀(5)의 창(15)에 갖는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21,21' 및 40,40')이 산장 또는 수측하여 정확한 접압으로서 접점을 접촉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전원단자 R,S,T는 가동 접점바아(4)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8도의 결선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RUX, SVY 및 TWZ가 접속되어 정전용 회로가 닫힌다. 정전용 전자서 MCF의 여자를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19)에 의하여 조작틀(5)이 복원된다.

    다음에 역전용 전자석 MCR을 여자하면, 주접점 가동단자(13)와 주접점 고정단자(24), 즉 단자 Z,X,Y가 접속하고, 제8도 도시와 같이 RZW, SX, U 및 TYV에 접속되어서 역전용 회로가 닫힌다. 동시에 a접점이 열리고, b접점이 닫힌다.

    이와 같이 주접점 단자(22,22'23,23')를 정전용 및 역전용으로 공용하고, 1대의 구조체로써 정역 전환조작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제9도의 회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바아(27)의 결선을 바꾸는 것만으로써 전환 접촉기로서 접점 구성을 간단히 형성할 수가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역 저환 전자 접촉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케이스 본체(S), 가동 접점 기구 및 단자의 배치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7도의 정역 전환 접촉기와 동아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 본체(S)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접점용의 극실(2,2,2)과 보조접점용의 극실(2',2')을 일련적으로 구비하여 형성하며, 주접점용의 극실(2)에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틀(3)과 가동 접점바아(4)와 한쌍의 조작틀(5)로서 조립 형성되며, 이 접점바아(4)는 상하 한쌍의 접점 스프링(21,21')에 의하여 "오프"시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끼워져서 조작틀(5)의 승강에 따라서 요동 동작 가능하게 되며, 케이스 본체(S)의 좌우의 외측 하단 및 내측 상단에 주접점 단자(22,22',23,23')가 배치 설치되어서 나타내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주접점의 가동 접점바아(4)의 좌우 아암부(12,12')의 윗면 및 아랫면의 4개소에 주접점 가동단자(41,41',42,42')가 설치되며, 이들 4개의 주접점 가동단자(41,41',42,42')에 대응하는 수의 4개의 주접점 고정단자(43,43',44,44')가 가동 접점바아(4)의 좌우의 각 상하에 있어서 가동단자(41,41',42,42')의 요동 동작에 대응하는 개소에 배치설치된다. 그리하여 주접점 고정단자(43,44)는 주접점 단자(23)에 접점바아(45,46)를 통하여 접속되며, 주접점 고정단자(44')는 주접점 단자(23')에 접점바아(47)를 통하여 접속되며, 그리하여 주접점 고정단자(43') 및 주접점 단자(22,22'23')는 각각에 단자바아(27)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S)에 돌출하는 결선부(26)을 갖게 한다. 그리하여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23)을 R,S,T로 하고, 단자(22')을 U,V,W로 하고 단자(23')은 Z,X,Y로서 설정하고, 제12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바아(27)의 결선부(26)를 통하여 단자 Z와 U,X와 V,Y와 W를 결선하고 고정단자(43')Y를 단자 Y와, 고정단자(43')Z를 다나 Z와, 고정단자(43') X를 단자 X에 각각 결선한다. 또 보조접점은 제7도 도시의 실시예와 동일한 접점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므로 정전측의 전자석 MCF를 여자하면, 단자 RZU, SXV 및 T,Y,W가 접속하여서 정전회로가 "온"되며, 역전측의 전자석 MCR이 여자되면, 단자 RYW, SZY 및 TXY가 접속되어서 역전회로가 "온"된다.

    또한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Y-Δ전자 접촉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케이스본체(S), 가동 접점기구, 주접점 단자 및 4개의 주접점 고정단자는 제11도 도시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 부호로 나타나 있다.

    그리하여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접점 단자(22,23)가 단자바아(47)를 통하여 접속되며, 주접점 단자(23)을 주접점 고정단자(44)에 접점바아(48)을 통하여 접속되며, 주접점 단자(23')는 주접점 고정단자(43',44')을 접점바아(49,50)을 통하여 접속하고, 주접점 고정단자(43)는 단자바아(27)의 단자부(26)를 통하여, 제15도 회로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 접점(S)으로서 결선된다. 그리하여 단자 (22)를 R,S,T로 하고, 단자(23)를 U,V,W로 하고, 단자(23')를 Z,X,Y로 설정하며 Y용 전자석 MCS를 여자한 때에, RUZ, SVX, TWY가 접속되어서 Y회로를 구성하며, △용 전자석 MCD를 여자한 때에 공통접점(S)을 통하여 △회로는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탈방식의 가동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접점의 다원적인 접촉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단자 R,S,T,U,V,W 및 X,Y,Z을 정전용 및 역전용으로 또는 Y용 및 △용으로 공용하는 1대의 구조체로서 형성한 정역 전환 접촉기 또는 Y-△ 접촉기를 제공하며 그러므로 종래의 정역 전환 접촉기 또는 Y-△전환 접촉기와 같이 정전용과 역전용의 2대의 접촉기를 준비하거나 또는 Y용과 △용의 2대의 접촉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는 원가적인 부담 및 배선 등에 소요된 여러가지의 곤란을 해소하며 더우기 초소형의 접촉기를 제공할 수가 있을뿐 아니라 단자바아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의 이면에서의 결선하는 구조로서 접점구성에 대한 배선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또한 고정 접점의 접점바아 및 단자바아를 여러가지로 형성하여 접속 및 결선을 바꿈으로써 � ��일한 구조체로써 전환 접촉기 및 정역 전환 접촉기로부처 2접촉의 Y-△ 접촉기 및 3접촉기 방식의 Y-△ 접촉기에 이르는 여러가지의 것을 임의로 그리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동의 잇점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