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하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 및 그를 위한 방법

申请号 KR1020127030875 申请日 2011-04-19 公开(公告)号 KR1020130021390A 公开(公告)日 2013-03-05
申请人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发明人 크라헨벌,존,헨리; 에디,로저; 슬래비,지리;
摘要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100)에 선택적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을 포함하고, 이들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에 걸쳐 서로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과 동작가능한 컨트롤러(105)는 전극 노드들(205)을 통해 흐르는 전류(또는 그 양단의 전압)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 및 포함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206)로부터 전극 노드들(205)에 대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로부터의 압력에 좌우되어, 체결 시그너쳐(771)를 확립한다. 컨트롤러(105)는 체결 시그너쳐(771)로부터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식별하고,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유발되는 전극 노드들(205)의 각각의 전류(770) 또는 그 양단 전압의 변동들로 인한 체결 시그너쳐(771)로부터의 변경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权利要求
  • 전자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에 걸쳐 서로로부터 분리된 복수의 전극 노드들;
    상기 전자 디바이스로의 선택적 부착을 위해 구성된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와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 사이들에 배치된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 - 이에 의해 상보형 전극 노드에 대해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를 체결(engage)함 -; 및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과 동작가능하고, 각각의 전극 노드 양단의 전압 또는 각각의 전극 노드를 통한 전류 중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체결 시그너쳐(signature)을 검출하며, 상기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전극 노드 양단의 전압 또는 상기 각각의 전극 노드를 통한 전류 중 하나의 변화들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이전에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을 통해 감지된 전류들로부터 상기 체결 시그너쳐를 교정(calibrate)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와 상기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 사이에서 체결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보다 수가 더 적은 전자 디바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의 각각은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의 비-동일 평면(non-coplanar face)들을 따라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은 상기 각각의 전극 노드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웰 내의 강체 지지부(rigid support)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는 적어도 2개의 배향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를 식별한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를 식별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을 론칭(launch)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를 식별한 경우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재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체결 시그너쳐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교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의 사용자 액츄에이션 시에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된 촉각 응답;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선호도들;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 레벨들; 또는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임계 레벨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은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보다 수가 더 적은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의 주면은 터치-감응성 사용자 입력으로서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는 터치 제어 표면, 하나 이상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패드, 시각 장애인용 키패드, 게임 컨트롤러,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 컨트롤러들, 하나 이상의 록커 컨트롤러들, 또는 하나 이상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컨트롤은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과 상기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체결에 의해 제어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 노드들을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의 양단 전압 또는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을 통한 전류 중 하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체결 시그너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상기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의 양단 전압 또는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을 통한 전류의 변화들을 검출하고 상기 양단 전압 또는 상기 전류의 변화량으로부터 사용자 액츄에이션, 및 하나 이상의 전극 노드들 중 어느 것이 상기 변화량에 대응하는지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사용자 액츄에이션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를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를 동작 모드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의 양단 전압 또는 상기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을 통한 전류 중 하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 이후에,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을 론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와 동작가능한 방법.
  • 说明书全文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하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 및 그를 위한 방법{PASSIVE USER INPUT ATTACHMENTS ENGAGING COMPRESSIBLE CONDUCTIVE ELEMENT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보조 제어 디바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응하는 전극 노드들에 걸쳐 임피던스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하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전자 디바이스는 오늘날의 사회에서 더욱 더 우세하게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너무 오래되지 않는 이전에, 모바일 전화기들은 단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12-키 키패드를 가지는 극단적으로 단순화된 디바이스들이었다. 오늘날, "스마트"폰들, 개인휴대단말기, 및 다른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은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어드레스 북들을 관리하고 칼렌더들을 유지하며, 음악 및 비디오를 플레이하고, 그림들을 표시하며, 웹을 서핑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전자 디바이스들의 성능들이 더욱 복잡하게 됨에 따라, 그들 사용자 인터페이스들도 또한 그렇게 된다. 제한된 개수의 키들을 가지는 이전 키패드들은 터치 민감성 스크린들 또는 터치 민감성 패드들과 같은 정교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그 자리를 양보했다. 터치-민감성 디바이스들에서, 일련의 키들을 누르기보다는, 사용자는 터치 민감성 제어 표면을 따라 일련의 제스쳐들을 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조작하고 제어한다.

    이들 디바이스들이 더욱 강력해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이들은 또한 더 작아지고 있다. 이것은 다수의 오늘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의 기능에 제한을 가한다. 사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에서 네비게이팅할 수 있도록 설계자가 채용하기 원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충분한 표면 영역이 결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들을 더 복잡하게 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더 작게 됨에 따라, 그들 조작이 더 도전받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는 개선된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기회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 및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예로 든 전극 노드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극 노드와 대안 돌출물-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체결을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자 노드를 체결하는 또 하나의 돌출물-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전자 노드를 체결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의 다양한 물리적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각각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초기 체결들로 나타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과 전극 노드들 사이의 접촉 구성의 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식별에 이용될 수 있는 2개의 상이한 초기 체결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하나의 주면 상에 돌출부들을 가지는 하나의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3개의 주면들 상에 돌출부들을 가지는 하나의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2개의 주면들 상에 돌출부들을 가지는 대안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는 제1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도 16은 제3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를 예시하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터치 민감성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로서 이용되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하나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과 이용하는데 적합한 다양한 사용자 컨트롤들을 예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에 대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예시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에 대한 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예시하고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로 실행에 적합한 하나의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도면들의 구성요소들이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예시되어 있고 반드시 스케일링되도록 그려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면들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은 다른 구성요소들에 비해 과장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제어 표면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 조작(manipulation)에 가용한 전자 디바이스에 따른 영역을 증가시킨다.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상이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이 원하는 동작 또는 제어 모드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사용자 커스터마이제이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처음에서 표준 구성으로 전자 디바이스를 구매하고 그리고나서 나중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을 추가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전하게 "연기가능한( postponable)"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러그들, 소켓들, 또는 다른 표준 전기 접속들없이도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메커니즘을 확장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조하기에 비용 효율적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하나 이상의 전극 노드들로부터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실행가능한 코드로, 간단하게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하고 그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 양쪽 모두가 가능하다. (유의할 점은, 본 기술분야에 주지된 바와 같이, 전극 노드들은 대안적으로 전극 패드들, 도전성 스위치 컨택트들, 또는 도전성 컨택트들로 지칭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 도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거나 체결한다. 돌출부들은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로부터 확장되거나, 대안적으로 단순히 전자 디바이스의 일부이고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돌출부들은 패시브 사용자 부착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확장되기 보다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위쪽으로 확장될 수 있다.

    각 돌출부는 상보형 전극 노드들에 대해 하나 이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한다.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개수, 로케이션, 도핑, 연성, 및 그에 대한 압력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쳐 저항이 확립될 것이다. 저항은 각각의 전극 노드 양단의 전압 또는 그를 통한 전류 중 어느 하나에 영향을 미친다. 저항의 크기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에 인가되는 압력,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탄성, 및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가 각각의 전극 노드를 접촉하는 대응하는 표면 영역에 좌우될 것이다. 각각의 전극 노드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컨트롤러는 그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단 식별되면, 여기에서 체결 시그너쳐로 지칭되는, 모든 전극 노드들에 걸친 초기의 전기적 "풋프린트"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 또는 다르게는 전극 노드들과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 사이의 접촉 로케이션의 변동들로 인한 전류 또는 전압의 후속 변경들이 전기적 속성 변동들로서 검출될 수 있도록, 교정되거나 정규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적 속성 변동들은 전극 노드들 양단의 임피던스 변경들로 인해 전압 또는 전류에서 변경될 것이다. 이들 전기적 속성 변동들은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사용자 조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전류는 자주 예시 목적상 이용될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에 의해 확립된 임피던스는 전압이 대신에 감지될 수 있도록 전압 분할기에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스마트 폰은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로서 이용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여기에 기재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POS 단말기들, 차량용 컨트롤들, 등을 포함하여 임의의 개수의 전자 디바이스들과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배터리 도어가 여기에서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자 입력 부착부로서 이용되지만, 임의의 개수의 부착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카메라 렌즈 커버, 보호 케이싱, 휴대(carrying) 특징,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터치 민감성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따라 손가락을 이동시킴에 따라,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의 풋프린트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발휘된 압력으로부터 변경된다. 이러한 변화는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친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들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키패드로서 기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촉각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슬라이더들, 스위치들, 토글 스위치들, 조이스틱들 등과 같은 다른 제어 디바이스들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상이할 수 있지만, 각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친 전압 또는 전류 변경들을 통해 결정된다.

    하나 이상의 전극 노드들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컨트롤러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타입 또는 구성을 식별하고 부착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적응하도록 구성된 동작 모듈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경우에,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은 체결 시그너쳐를 하나 이상의 전극 노드들에게 전달한다. 체결 시그너쳐는 전극 노드들을 접촉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양,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에 의해 접촉되는 전극 노드들의 기하학적 구조, 및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쳐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좌우될 수 있다. 체결 시그너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전극 노드들을 접촉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도핑, 전극 노드들을 접촉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로케이션, 및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쳐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 또는 신호 위상 시프트를 포함한다.

    컨트롤러와 동작가능한 식별 모듈은 초기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시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은 이러한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들을 변경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을 런칭하는, 등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재구성은 또한 디스플레이 상의 데이터 프리젠테이션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가 터치-민감성 디스플레이이고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터치 민감성 제어 디바이스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보다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주로 이용할 것이라는 추정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프리젠테이션을 교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의 결과적인 추정상 부재는 향상된 데이터 프리젠테이션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적응 모듈은 디바이스 성능 파라미터들 및 사용자 선호도들과 연관된 추가 변경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예시의 목적상 스마트 폰으로서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01), 및 하나 이상의 포트들 및 커넥터들(104)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키패드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된 사용자 입력 컴포넌트(102), 및 하나 이상의 선택적 전용 키들(103)이 또한 포함된다.

    컨트롤러(105)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서 동작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또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는 컨트롤러(105)는 도 21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들은 컨트롤러(105), 또는 메모리(106), 또는 컨트롤러(105)와 동작가능한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0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모듈들과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모듈들은 식별 모듈(107), 캘리브레이션 모듈(108), 입력 감지 모듈(109), 및 적응 모듈(11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모듈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모듈들은 예를 들면 실행가능한 코드로서 구성되거나, 다르게는 컨트롤러(105)에 포함되거나 이것으로 대체되거나 또는 그와 동작가능한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모듈들의 각각과 함께, 컨트롤러(105)는 또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 통신 회로들, 사용자 입력 포트들 또는 컨트롤들, 등과 같은 소자들을 포함하여,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식별 모듈(107)은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었던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타입을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처음 결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체결 시그너쳐를 분석함으로써 달성된다. 체결 시그너쳐 분석은 전극 노드들에 걸쳐 전압 또는 전류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캘리브레이션 모듈(108)은 초기 체결 시그너쳐를 교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교정" 프로세스는 입력 감지 모듈(109)이 전극 노드들을 통한 전류, 또는 그 양단의 전압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게 허용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조작하는 경우에,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이 전극 노드들에 대해 확장 및 수축하고, 그럼으로써,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친 임피던스들을 변경시킨다. 입력-감지 모듈(109)은 결과적인 전류 또는 전압의 변경을 검출하고 그리고나서 이것을 사용자 입력으로서 해석하도록 구성된다.

    적응 모듈(110)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110)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101) 상에 프리젠팅되는 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재구성은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운용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명령하는 대로, 정보를 이동하고, 정보를 재스케일링하거나, 또는 정보를 재-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110)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부착되어 식별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을 런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하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게임 컨트롤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부착될 때, 메모리(106)의 사용자 선호도는 특정 게임이 런칭되어야 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미디어 플레이어 컨트롤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되는 때에, 사용자는 음악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05)에 의해 런칭되는 것을 바랄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5)는 적응 모듈(110)과 함께 동작하여 이들 결과들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110)은 신호 레벨들 또는 다른 데이터 출력 특성들에 관한 세팅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전 문단으로부터의 게임 컨트롤러의 예에 계속하여, 게임 컨트롤러가 부착되는 경우에, 컨트롤러(105)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리 또는 햅틱 피드백을 증폭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투시도로 예시하고 있고, 단면 뷰(290)는 전자 디바이스(100) 위에 확대된 이미지로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전자 디바이스(100)로의 선택적 부착을 위해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원하는 대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대칭인 경우에, 사용자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이한 체결 시그너쳐를 전자 디바이스(1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어떠한 액티브 컴포넌트들도 포함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기전력의 어떠한 소스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패시브"인 것으로 간주된다. 달리 말하자면, 동작하는데 전압 입력을 요구하는 어떠한 디바이스도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 내에 없다.

    도 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배터리 도어로서 구성된다. 배터리 구획(202)은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 제공되고 배터리 웰(204) 내에 재충전가능 또는 주 배터리(20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도어는 배터리 구획(202)을 덮도록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된다.

    배터리 구획(202)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이다.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은 서로 분리되고, 전자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에 걸쳐 배치된다.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이 도 2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단일 표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 10-1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복수의 표면들을 따라서도 배치될 수 있다.

    간단히,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전극 노드(300)의 하나의 실시예의 확대된 뷰이다. 이러한 전극 노드(300)가 반복되어,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전극 노드들(205)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노드(300)는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유연한 기판 상의 노출된 구리 또는 알루미늄 트레이스들로 구성될 수 있는 2개의 도전체들(301, 302)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도전체들(301, 302)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2개의 도전체들(301, 302)은 엇갈린(interlaced) 핑거(303) 구성으로 종단되고, 여기에서 제1 도전체(301)로부터의 복수의 핑거들은 제2 도전체(302)로부터의 복수의 핑거들과 엇갈린 관계로 교대된다.

    전극 노드(300)는 전자 디바이스(100)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극 노드(300)는 단순히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면을 따라 노출된 채 남겨질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극 노드(300)는 오염물 및 파편이 전극들의 동작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전성 커버링(304)은 전극 노드(300) 위에 배치되어, 전극 노드(300)가 노출되지만, 오염물 및 파편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한다.

    도 3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전극 노드(300)는 원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전극 노드(300)는 다수의 기하학적 형태들, 크기들 및 엇갈린 구성들 중 임의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전극 노드들(205)의 로케이션들에 상보적인 로케이션들에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들(206)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자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경우에, 각각의 돌출부(206)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노드(205)와 기하학적으로 정렬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부착되는 경우에, 복수의 돌출부들(206)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전극 노드(205)와 정렬된다.

    유의할 점은, 돌출부들(206)의 개수는 전극 노드들(205)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는 점이다. 도 2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8개의 전극 노드들(205)이 도시되어 있고 단지 6개의 돌출부들만이 존재하므로, 돌출부들(206)의 개수는 전극 노드들(205)의 개수보다 작다.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개수, 로케이션 또는 그 조합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식별하는데 더 이용될 수 있다.

    각 돌출부(206)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를 대응하는 전극 노드(205)와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은 엘라스토머들과 같은 탄력성있고 휘기 쉬운 재료들로 제조된다. 이들은 추가로 전류를 도전시킬 수 있다. 그러한 도전성 엘라스토머들은 본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고, 종종 "저항성 필들(resistive pills)"로 지칭된다. 이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도전성 엘라스토머들의 이점들은 4중이다: 첫 번째로, 이들은 압축가능하다. 이것은 전극 노드들에 걸쳐 생성되는 표면 접촉 영역들을 가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두 번째로, 도전성 엘라스토머들은 수용가능하게 정확한 범위들 내인 저항들로 설계될 수 있다. 세 번째, 엘라스토머들은 다양한 재료들로 도핑되어, 연관된 저항을 설정하거나, 사용자 입력 부착부와 동작하는 각각의 저항성 필의 저항들을 가변시킬 수 있다. 네 번째, 도전성 엘라스토머들은 용이하게 형상지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의 베이스는 원형이다. 그러한 기하학적 구성은 도전성 엘라스토머들을 이용할 때 용이하게 달성가능하다.

    도 2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들(206)은 가변되는 높이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206)는 돌출부(209)보다 더 크다. 상이한 높이들을 가지는 돌출부들(206)을 설계함으로써, 각각의 돌출부(206)는 상이한 힘의 크기로, 대응하는 전극 노드(205)에 대해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를 누르고, 그럼으로써 각각의 전극 노드(205) 양단에 상이한 저항을 확립한다.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에 대해 원형으로 된 하부 표면 영역을 가지는 부드럽고 휘기 쉬운 도전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각각은 대응하는 전극 노드(205)에 대해 가변되는 정도로 "샌드위칭되게" 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전극 노드(205)의 더 많거나 더 적은 엇갈린 핑거들(303)이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과 접촉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컨트롤러(105)가 각각의 전극 노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 - 또는 그 양단의 전압 -를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 컨트롤러(105)는 돌출부(206)가 전극 노드(205)에 대해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를 얼마나 "강하게" 누르고 있느지, 및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가 어떤 재료 또는 형태로 만들어지는 지에 대응하는, 전기적 등가물, 즉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각 전극 노드(205)의 양단 전압 또는 그 전류를 조사함으로써, 컨트롤러(105)는 복수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에 의해 생성된 체결 시그너쳐, 또는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의 탄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초기 체결 시그너쳐는 돌출부들의 개수, 돌출부들의 로케이션, 및 돌출부의 높이 또는 물리적 구성의 함수일 수 있다. 추가로, 초기 체결 시그너쳐는 각각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의 도핑의 함수일 수 있다. 컨트롤러(105)는 초기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식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105)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식별한 이후에, 컨트롤러(105)는 다양한 것들 중 임의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로, 그것은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도록 전극 노드들(205)의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또는 그 양단의 전압)를 계속해서 감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것은 전극 노드들(205)의 각각의 하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추가 변경들을 감지함으로써 체결 시그너쳐로부터의 변동들을 검출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터치-민감성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로부터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조작하는 경우에,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의 일부는 더 많이 압축되지만, 다른 것들은 덜 압축될 것이다. 컨트롤러(105)는 이들 변경들을 사용자 입력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5)는 선택적으로 복수의 전극 노드들을 통해 감지된 전류들(또는 그 양단의 전압들)로부터 체결 시그너쳐를 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5)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특별한 상태 또는 동작 모드로 두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5)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결합된 경우에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런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5)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5)는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를 교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게임 컨트롤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은 게임 컨트롤러가 부착되는 경우에 가청 또는 촉각 피드백이 증폭되도록 유발한다.

    도 2의 예시적 돌출부들(206)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의 표면(208)으로부터 기계적 포스트의 형태로 말단으로 확장된다. 기계적 포스트는 딱딱할 수 있고, 도 6 및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에들에서는 유연하거나 압축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사출성형 프로세스에서와 같이,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에, 기계적 포스트는 단순히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확장부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금속과 같은 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기계적 포스트는 접착제들, 스냅들, 리벳들, 용접물들, 스크류들, 또는 다른 접속 메커니즘들에 의해 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206)는 터미널 엔드에서 대응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207)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결합되는 경우에,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이 돌출부들(206)에 의해 전극 노드들(205)에 대해 눌려진다. 각각의 전극 노드(205)가 전자 디바이스(100)의 표면을 따라 노출된다는 점에서, 이것은 "오픈" 구성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7)을 전극 노드들(205)과 체결하는 하나의 방식이지만, 다른 구성들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도 2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는 정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둘레가 대칭이라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돌출부들(206)이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적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201)를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재부착함으로써, 상이한 체결 시그너쳐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4개 이상의 체결 시그너쳐들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어셈블리(400)의 대안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실시예는 전극 노드(405)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밀봉된" 구성이다.

    도 4에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407)는 전자 디바이스의 웰(445) 내에 밀봉된다. 전극 노드(405)는 웰(445)의 베이스에 배치되고,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407)가 그 위에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단단한 지지부(442)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407) 위에 있다. 단단한 지지부(442)는 돌출부(406)가 전극 노드(405)에 대해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407)를 압축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기능하고, 그럼으로써 표면 영역, 및 전극 노드(405)에 걸친 결과적인 임피던스를 가변시킨다. 단단한 지지부(442)는 가스켓(444)에 의해 웰(445) 내에 밀봉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401)는 그 내부 표면(446)으로부터 확장되는 돌출부(406)를 가지고 있다. 대안적으로, 돌출부(406)는 단단한 지지부(442)로부터 위로 확장될 수 있다. 어느 구성에서든, 사용자 입력 부착부(401)가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경우에, 돌출부(406)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441) 내의 개구를 통과하고, 그럼으로써 단단한 지지부(442)를 체결하며 전극 노드(405)에 대해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407)를 압축한다. 가스켓(444)은 돌출부(406)의 길이에 종속되는 압축을 허용하도록 구부려진다(flex).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부분적으로 절단된 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507)가 하우징(551) 내에 배치된 전극 노드(505)에 대해 눌러질 수 있는 또 하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507)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502)의 내부 표면 또는 윤곽선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2와 유사하다. 돌출부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502)의 내부 표면에 마운팅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507)에 의해 형성된다. 전극 노드(505)는 노출되지만, 이를 오염물 및 파편으로부터 보호하도록 도전성 커버링으로 덮여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극 노드를 체결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의 또 다른 하나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601)로부터 확장되는 돌출부(606)는 압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돌출부(606)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조작할 때 압축 소자로서 기능하는 스프링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돌출부(606)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601)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위로 확장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스프링 부재는 토션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다른 타입의 스프링일 수 있다는 점이다. 돌출부(606)의 높이 및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상수를 구성함으로써, 설계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전극 노드(605)에 대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부재(607)의 압축량을 맞출 수 있다. 이러한 높이는 또한 사용자 입력 부착부(601)에서 오목부 윤곽선들(점선으로 도시됨)을 설계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100) 내의 내부 회로, 소프트웨어 모듈들, 펌웨어 모듈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700)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개략적인 블록도가 일반적인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도록 일반화되어 있지만, 모바일 전화기들, 스마트 폰들, 개인휴대단말기들(PDAs), 팜-탑 컴퓨팅 플랫폼들, 원격 컨트롤러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개수의 특정 디바이스들에 용이하게 적응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컨트롤러(105)는, 도 1에 지적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들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05)는 메모리(1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5)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실행하여 디바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전극 노드들(705)은 컨트롤러(105)에 결합되고 그와 동작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05)는 복수의 전극 노드들(705)의 각각을 통한 전류 또는 전압(77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면 영역은 각각의 전극 노드(705)에 걸친 대응하는 저항을 정의하므로, 전류 또는 전압의 양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의 압력에 의해 생성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707)의 각각의 표면 영역에 좌우될 것이다. 컨트롤러(105)는 각각의 전극 노드(705)에 걸친 이러한 전류 또는 전압을,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에 의해 인가된 체결 시그너쳐(771)로서 검출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체결 시그너쳐(771)는 돌출부들(706) 및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707)의 크기, 형태, 높이, 배치, 배열 및 그 조합들에 종속될 수 있다. 추가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707)의 도핑 및 탄성은 각각의 전극 노드(705)에 걸친 임피던스를 가변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체결 시그너쳐(771)를 변경시킨다.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707)의 표면 영역은 전극 노드들(705)에 걸친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컨트롤러(105)가 체결 시그너쳐(771)를 결정한 이후에, 식별 모듈(772)은 거기에 결합되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 모듈(772)은 체결 시그너쳐(771)를 분석하여,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를 식별한다. 이것은 전극 노드들(705)을 체결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707)의 개수, 각각의 전극 노드(705)를 통한 전류 또는 전압, 전극 노드들(705)을 체결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707)의 로케이션들, 또는 그 조합들을 결정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다. 이들 각각은 물론, 각각의 전극 노드(705)에서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식별 모듈(772)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를 식별한 이후에, 적응 모듈(773)은 특정 타입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특성들을 변경할 수 있다. 적응 모듈(773)은 전자 디바이스를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재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773)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74)에 의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프리젠팅되는 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터치 민감성 표면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를 주로 제어 디바이스로서 이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 터치 민감성 디스플레이는 제어 입력으로서가 아니라, 주로 디스플레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응 모듈(773)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크거나 상이한 방식으로 그림들, 텍스트 및 다른 정보와 같은 데이터가 프리젠팅되도록 유발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773)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경우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775)을 런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하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특정 게임 컨트롤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메모리의 사용자 선호도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때에 특정 게임이 런칭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미디어 플레이어 컨트롤러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미디어 플레이어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거기에 결합되는 경우에 음악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런칭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5)는 적응 모듈(773)과 함께 동작하여 이들 결과들을 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 모듈(773)은 하드웨어 어댑터(776) 및 디스플레이 구성 어댑터(77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어댑터(776)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가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것에 응답하여, 촉각 피드백 시스템, 오디오 출력, 등과 같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재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성 어댑터(777)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774)를 통해 디스플레이 상에 프리젠팅된 정보를 크기조정하고, 스케일링하며, 재배치하고, 재로케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성 어댑터(777)는 디스플레이의 휘도 또는 다른 특징들을 또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응 모듈(773)은 전자 디바이스의 메모리(106)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된 특정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에 대응하는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778)과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778)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이들 중 몇 가지가 여기에 기재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778)은 전자 디바이스의 선호되는 동작 모드들에 대응하는 동작 특성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들 선호되는 동작 모드들은 특정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되는 경우에 적응 모듈(773)에 의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선호되는 동작 모드들은 이하: 폰트 크기, 이미지 해상도, 표시 휘도, 등과 같은 미리 정해진 표시 특성들;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전달되는 선호되는 촉각 응답;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 레벨들; 부착부의 표면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키-누름, 조이스틱 조정, 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한 것과 같이 부착부의 액츄에이션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용자 입력 부착부(701)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민감도를 커스터마이징하는 각각의 전극 노드들에 대한 임계들; 및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런칭된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데이터의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선호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파라미터들은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체결 시그너쳐(771)는 다양한 인자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로케이션 및 개수에 기초한 일부 초기 체결 시그너쳐들이다. 뷰(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801)는 표면에 걸쳐 배치된 8개의 전극 노드들(805)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881)는 2개의 돌출부-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조합들(882)을 가지고 있고, 그럼으로써 전극 노드들(805) 양단의 저항을 확립함으로써 제1 타입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한다. 사용자 입력 액세서리(883)는 4개의 돌출부-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조합들(884)을 가지고 있고, 그럼으로써 제2 타입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한다. 사용자 입력 액세서리(885)는 7개의 돌출부-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조합들(886)을 가지고 있고, 그럼으로써 제3 타입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한다.

    상이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881, 883, 885)을 접속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는 상이한 동작 모드들로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부착부(881)가 특정 배향으로 거기에 결합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제1 어플리케이션을 런칭함으로써, 제1 사용자 입력 부착부(881)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1 동작 모드로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883)가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경우에, 제2의 동작 모드가 액츄에이팅될 수 있다. 각각의 동작 모드는 각각이 부착부-특정 초기 체결 시그너쳐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터치-표면 네비게이터일 수 있는 한편,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게임 컨트롤이며, 제3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미디어 컨트롤, 등일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하나의 장점은, 사용자가 단일 전자 디바이스, 및 각각이 상이한 제어 메커니즘들 또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수 개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로, 대칭적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단일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그 기하학적 배향에 따라 복수의 제어 메커니즘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예들로서, 제1 사용자 입력 부착부(881) 및 제3 사용자 입력 부착부(885)는 각각 4개의 상이한 초기 체결 시그너쳐들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883)는 단지 그 대칭성으로 인해 단지 하나의 초기 체결 시그너쳐만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883)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각각이 상이한 도핑들 또는 탄성들을 가지는 경우에, 대칭은 파괴되고, 기하학적 대칭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초기 체결 시그너쳐들이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어느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지를 용이하게 기억하는데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컬러-코딩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컬러는 그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체결 시그너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입력 부착부(881)가 적색인데 대해,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청색, 제3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녹색이다. 유추하면, 전자 디바이스(801)가 승용차였다면, 각각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881, 883, 885)는 부착될 수 있는 상이한 컬러 후드로서 나타날 수 있다.

    초기 입력 체결 시그너쳐는 또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과 대응하는 전극 노드들 사이의 압축량에 좌우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다양한 압축 양들의 그래픽 표현으로서, 이들 각각은 컨트롤러들에 의해 - 전압 또는 전류 중 어느 하나로서 - 감지될 수 있는 전극 노드에 걸친 대응하는 저항을 확립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가변되는 압축은 돌출부들 또는 압축성 도전성 소자들의 크기, 탄성, 형태 또는 높이에 따라, 또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도핑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압축양은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 임피던스를 확립한다.

    뷰(901)에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907)는 대응하는 전극 노드(905)의 바로 위에 있다. 따라서, 결과적인 초기 체결(994)은 어떠한 접촉도 없다. 개방 회로가 전극 노드(905)에 걸쳐 존재하므로, 이것이 최대 임피던스, Rhi이다.

    뷰(902)에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907)와 대응하는 전극 노드(905) 사이에 제1의 접촉량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체결(991)이 결과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전극 노드(905)에 걸친 제1 값의 저항, R1을 확립한다.

    뷰(903)에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907)와 대응하는 전극 노드(905) 사이에 제2의 접촉량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체결(992)이 결과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전극 노드(905)에 걸쳐, 저항 R1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제2 저항, R2을 확립한다.

    뷰(904)에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907)와 대응하는 전극 노드(905) 사이에 제3의 접촉량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 체결(993)이 결과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최대 압축이라고 가정하면, 전극 노드(905)에 걸쳐 최저 저항, Rlo가 생성된다.

    도 9에 도시된 초기 체결(991, 992, 993)은 도 8에 도시된 로케이션 및 개수와 조합되어, 초기 체결 시그너쳐의 더 큰 분해능(re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2개의 초기 표면 영역 접촉 시그너쳐들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초기 접촉 영역 시그너쳐(1001)는 제1 구성에서 2개의 상이한 표면 영역들을 채용하는 7개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포함한다. 제2 초기 접촉 영역 시그너쳐(1002)는 또한 7개의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포함하지만, 상이한 기하학적 구성으로 되어 있고 3개의 상이한 표면 영역들을 채용한다. 유의할 점은, 각각의 도트는 대응하는 전극 노드에 걸쳐 확립된 상이한 임피던스를 표현하도록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는 점이다. 임피던스는 각각의 전극 노드를 통해, 또는 그 양단에서 감지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는, 돌출부들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단일 페이스 또는 표면을 체결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이제, 도 11-13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비-공면 페이스들로부터 확장되는 돌출부들을 또한 가지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의 구성들이다.

    도 11은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돌출부들(1101, 1102, 1103)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높이의 돌출부들(1101) 및 제2 높이의 돌출부들(1102, 1103)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1100)의 표면(1104)으로부터 연장된다. 돌출부들(1101, 1102, 1103)의 로케이션, 개수 및 상이한 높이들은 초기 체결 시그너쳐를 확립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다양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1106, 1107, 1108)이 상이한 저항들로 도핑되어, 초기 체결 시그너쳐를 또한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반대 표면(1105)을 따라 사용자 입력 부착부(1100)를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힘은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1106, 1107, 1108)에 의해 인가된 표면 영역들을 변경시킨다. 컨트롤러(105)는 각각의 전극 노드 양단의 전압 또는 그를 통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이것을 사용자 입력으로서 검출한다.

    도 12는 도 11에서와 같이 돌출부들(1201, 1202, 1203)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높이의 돌출부들(1201) 및 제2 높이의 돌출부들(1202, 1203)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1200)의 표면(1204)으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나, 도 12의 실시예는 또한 사이드들(1211, 1212)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들(1209, 1210)을 포함한다. 사이드들(1211, 1212)은 표면(1204)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수직이다. (유의할 점은,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1214, 1215)은 그 대응하는 전극 노드들을 처음에 접촉하거나, 또는 사용자 조작 시에만 그 대응하는 전극 노드들을 접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돌출부들(1201, 1202, 1203, 1209, 1210)의 상이한 높이들 및 로케이션은 초기 체결 시그너쳐를 확립한다.

    사용자가 표면(1205)을 따라 사용자 입력 부착부(1200)를 조작하는 경우에, 힘들은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1206, 1207, 1208)에 의해 인가된 표면 영역들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 부착부(1200)가 휘기 쉬운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1200)가 변형가능한 경우에, 힘들은 또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1213, 1214)에 의해 인가된 표면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컨트롤러(105)는 각각의 전극 노드에서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이들 변경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사용자 입력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1200)를 X-축을 따라 횡적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힘들은 압축가능한 소자들(1213, 1214)에 의해 인가된 표면 영역들을 변경시킨다. 이것은 각각의 대응하는 전극 노드에 걸친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컨트롤러(105)에 의해 횡적 모션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도 13은 반대로 대향하는 사이드들(1311, 1312) 상에 배치된 돌출부들(1309, 1310)을 가지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130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 구성은 표면(1305) 또는 표면(13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제, 도 14-16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거기에 부착된 다양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1401, 1501, 1601)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1401, 1501, 1601)의 부착에 응답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들에 들어가는 전자 디바이스(100)이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14-16에서 다양한 모드들에서 동작하고 있다. 도 14는 디폴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전자 디바이스(100)를 예시하고 있고, 이 경우에 표준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된다. 도 15 및 16은 2개의 적응형 모드들을 예시하고 있고, 여기에서 적응 모듈(773)은 특정 사용자 입력 부착부(1501, 1601)가 부착되어 그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식별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재구성하였다.

    도 14로 시작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설치된 표준 사용자 입력 부착부(1401)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1401)는 어떠한 돌출부들 또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도 포함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폴트 동작 모드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전자 디바이스가 모바일 전화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모바일 전화기 어플리케이션(1402)이 전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운용되고 있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6개의 돌출부-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를 가지는 제2 사용자 입력 부착부(1501)가 전자 디바이스에 부착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부착부(1501)는 그 초기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식별된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1501)가 부착된 것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05)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1502)을 런칭함으로써 제2 동작 모드에 들어갔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사용자 입력 부착부(1601)가 부착된다. 제3 사용자 입력 부착부(1601)는 5개의 돌출부-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 조합들을 가지고 있다. 식별 시에, 컨트롤러(105)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호도 파일을 채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고 제3 어플리케이션(1603)을 런칭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의 하나의 예를 그 내부에 예시하고 있다. 도 17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1701)의 주면(1702)은 터치-민감성 사용자 입력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1701)가 전자 디바이스(1700)에 결합되는 경우에, 컨트롤러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1701)를 식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1701)는 터치 민감성 입력으로서 식별된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전류 또는 전압 변동들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1704)로부터 힘 입력(1703)을 검출할 수 있도록 체결 시그너쳐를 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전극 노드들 각각의 전류 또는 전압 변경들을 검출함으로써 달성되고, 여기에서 변경들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추정적으로 유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디바이스로서, 전자 디바이스(1700)의 전방의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를 조작해야 하기보다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170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디바이스의 후방에 손가락들을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조작할 수 있다. 결과는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는 사용자 조작 및 네비게이션이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입력 부착부와 함께 이용하는데 적합한 대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다. 도 17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는 터치 민감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 상에 임의의 개수의 사용자 컨트롤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컨트롤들 중 일부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것들은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도 18에 예시되어 있는 것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의 가능한 구성들 중 단지 수 개다.

    실시예(1801)는 QWERTY 키패드로서 구성된다. 처음에, 디바이스의 후방에 대해 구성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왜 전체 QWERTY 키패드로서 구성되는지를 물을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의 후방에 대한 배터리 도어는 단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기억하라.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체는 대체될 수 있고, 여기에 기재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에 의해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QWERTY 키패드를, 또 하나에 대해서는 네비게이션 컨트롤러를 원할 수 있다. 도 18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사용자 요구들을 수용할 수 있다. 추가로, QWERTY 키패드는 도 18에 예시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만, 키패드는 또한 비-영어 언어들로도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실시예(1802)는 큰 숫자 키패드이고, 여기에서 각각의 키는 용이한 가시성을 위해 큰 숫자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계산기, 스프레드시트 및 전화 어플리케이션들에 매우 적합하다. 도 18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큰 숫자 키패드는 전화 다이얼링 키패드의 것이다. 4x3 매트릭스 구조 및 * 및 # 키들을 가지는 표준 벨 키패드를 포함하는 큰 숫자 키패드들의 다른 변동들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1803)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브라유(Braille) 키패드이다. 브렐리 키패드들은 QWERTY 키패드들, 전화 키패드들, 또는 다른 변동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1804)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키패드이다. 그것은 네비게이션 휠(1805), 페이지 뒤로/앞으로 키들(1806, 1807), 엔터 키(1891), 및 D-패드(1890)와 같은 특징들을 포함한다.

    실시예(1807)는 2개의 조각들(1892, 1893)로 구성된 게임 컨트롤러 부착부이다. 각각의 조각은 단일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일부이거나, 다르게는 전자 디바이스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2개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말단 엔드들에 결합되어, 종래의 게임 컨트롤러를 시뮬레이팅할 수 있다.

    실시예(1808)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과 함께 포함될 수 있는 일부 가변된 컨트롤들을 예시하는 다기능 키패드이다. 그러한 컨트롤들은 슬라이더들(1811), 락커들(1809) 및 조이스틱들(1810)을 포함한다.

    도 18의 실시예들은 주로 자기-포함된 실시예들, 즉 단일 사용자 입력 부착부에 결합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운용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른 디바이스들과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19를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그 가능한 몇 가지 실시예들이다.

    도 19에서, 전자 디바이스(1900)는 여기에서 키패드로서 도시된 종래의 입력 디바이스(1990)와, 여기에서 모니터로서 도시된 보조 디바이스(1904)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1901)는 종래 입력 디바이스(1990)와 동작가능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한다. 그리고나서, 전자 디바이스(1900)는 종래의 입력 디바이스(1990)로부터 보조 디바이스(1904)에 제어 신호들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1901)는 종래의 입력 디바이스(1990)에 대한 어댑터로서 구성된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1901)는 패시브 디바이스이므로, 즉 사용자 입력 부착부(1901)에 인가된 기계적 힘들을 이용하여 전극 노드들에 대한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압축에 영향을 가함으로써 대응하는 저항을 변경시키는 것이므로, 도 19의 사용자 입력 부착부(1901)는 기전력의 소스가 압축성 도전성 소자들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어떠한 기전력이 없이도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2001)로서 동작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20의 실시예는 게임 컨트롤러의 것이고, 여기에서 사용자 입력 부착부(2001)는 2개의 핸들들(2002, 2003)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핸들들(2002, 2003)을 조작하는 경우에,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2004, 2005, 2006, 2007)이 압축 및 해제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전자 디바이스(2000)에게 운반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변동들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간단한 변동은 도 20의 게임 컨트롤러 대신에 다른 종래의 입력 디바이스들로 대체하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들, 다양한 환경 조건들에 이용하도록 된 산업계 디바이스 컨트롤러들, 데이터 수집 및 전달을 위한 액세서리들, 원격 제어 디바이스들, 등은 도 20의 게임 컨트롤러 대신에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유의할 점은, 도 20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전자 디바이스(2000)에 운반하는데, 사용자 입력 부착부(2001)에 어떠한 지능형 또는 액티브 하드웨어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자 디바이스(2000)의 지능(intelligence)은 그 안에 배치된 컨트롤러들(105)에 의해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도 21을 참조하면, 여기에 예시되어 있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과 함께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거기에 부착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법(2100)이다. 더 구체적으로, 방법(2100)은 패시브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하나 이상의 전극 노드들과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계 2101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폴트 입력 모드에서 동작함으로써 시작된다. 결정 단계 2102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디폴트 임피던스들 - 본 실시예에서 이들 모두는 개방 회로들임 -이 전극 노드들의 임의의 하나에 걸쳐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컨트롤러는 각각의 전극 노드에 걸친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이것을 수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방법(2100)은 단계 2101로 리턴한다.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을 체결하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가 부착된 경우에,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들은 단계 2103에서 복수의 전극 노드들 각각을 통해 흐르는 전류들 - 또는 그 양단의 전압들 -을 검출함으로써 체결 시그너쳐를 식별한다. 전류들 또는 전압들은 대응하는 전극 노드들로의 대응하는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에 대한 압력에 의해 생성되는 체결 시그너쳐를 확립할 것이다. 단계 2104에서, 컨트롤러는 체결 시그너쳐로부터 사용자 입력 부착부를 식별한다.

    선택적 단계 2105에서, 컨트롤러는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액츄에이션이 검출될 수 있도록 체결 시그너쳐를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은 전극 노드들을 통해 흐르는 전류들(또는 그 양단의 전압들)을 체결 시그너쳐가 확립되는 경우에 흐르는 (또는 양단의) 것들에 대한 것으로서 바이어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 후에 전류(또는 전압)의 변경들은 사용자 입력으로서 검출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전자 디바이스가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아이덴터티(identity)에 기초하여 소정 동작 모드에 들어가도록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도 21의 예시적 방법의 단계들 2106 및 2108에서 발생한다.

    단계 2106에서, 프로세서들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아이덴터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런칭할 수 있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이것은 메모리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선호도들 또는 프로파일들을 참조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108에서, 컨트롤러들은 촉각 피드백 시스템들 또는 오디오 시스템들과 같이,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선택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들 단계들 동안에, 또는 이들 단계들에 후속하여, 컨트롤러는 단계 2107에서 전극 노드들의 각각에서 전류들 또는 전압들의 변경들을 검출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사용자 액츄에이션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단계는 복수의 전극 노드들의 임의의 하나에서 전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개별적인 전극 노드에 대한 전류 또는 전압의 변경량을 결정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액츄에이션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 2109에서, 프로세서들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제거를 검출한다. 이것은 제로로 떨어지는 각각의 노드를 통한 전류, 또는 전극들 중 하나의 레일로 끌리는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105에서 초기 표면 접촉 영역 시그너쳐가 교정되었다면, 후속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이 적절하게 식별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단계 2110에서 다시 교정되어야 된다.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부착부들은 전극 노드들에 대한 가변 저항 탄성체들의 압축을 용이하게 하고, 그럼으로써 사용자 입력 부착부에 의해 인가된 압력에 기초하여 저항 변경을 유발한다. 초기 체결 시그너쳐로 표현되는 이러한 인가된 압력은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타입 및/또는 기능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사용자 입력 부착부의 후속 사용자 조작은 압력의 변경을 통해 검출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간단하고 연기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이는 심지어 디바이스 구성의 변경들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식별 특징을 제공하면서도 제거가능한 패시브 모듈들을 레버리징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 액세서리들보다 장점들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 액세서리들에 비해, 부착부들을 식별하는데 홀(Hall) 효과 센서들 등과 같은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각각의 부착부의 아이덴터티 및 특정사항들은 돌출부들 및 압축가능한 도전성 소자들의 간단한 어레이에 의해 제공된다.

    본 실시예들은 주로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사용자 입력 액세서리들의 식별 및 활용에 관련된 방법 단계들 및 장치 컴포넌트들의 조합들에 있다는 것은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장치 컴포넌트들 및 방법 단계들은 적절한 경우에 도면들에서 종래의 심볼들에 의해 표현되었고, 본 설명의 이점을 가지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를 모호하지 않게 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들,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일부 비-프로세서 회로들과 함께,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액세서리의 식별의 기능들의 일부, 대부분 또는 모두, 및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구성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고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들 기능들은 식별 및 구성을 수행하는 방법의 단계들로서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는, 일부 또는 모든 기능들은 어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도 가지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또는 각각의 기능 또는 일부 기능들의 일부 조합들이 커스텀 로직으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ASICs)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들 2개의 접근법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 기능들에 대한 방법들 및 수단이 여기에 기재되었다.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가능한 상당한 노력, 및 예를 들면 가용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동기화되는 다수의 설계 선택들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유도되는 경우에, 최소의 실험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 명령들 및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청구항들에 제시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다수의 변형들, 변경들, 변동들, 대체들 및 등가물들은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발견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되고, 모든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점들, 장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하거나 더 현저하도록 유발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핵심적이고, 요구되거나 필수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서의 계류 동안에 만들어진 임의의 보정들을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발행된 이들 청구항들의 모든 등가물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번호들은 전체 뷰들에 걸쳐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 및 청구항들 전체에 걸쳐 이용된 바와 같이, 이하의 용어들들은 컨텍스트가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여기에 명시적으로 연관된 의미들을 취하고: "하나(a, an)" 및 "그(the)"의 의미는 복수 참조를 포함하며, "내부(in)"의 의미는 "내부(in)" 및 "그 위(on)"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상부 및 기저부,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그러한 실체들 또는 액션들 사이에서 임의의 실제적인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함축하지 않고, 임의의 실체 또는 액션을 또 하나의 실체 또는 액션과 구별하는데에만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및 기저부, 등과 같은 관계 용어들은 그러한 실체들 또는 액션들 사이에서 임의의 실제적인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함축하지 않고, 하나의 실체 또는 액션을 다른 하나의 실체 또는 액션과 구별하는데에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괄호 안에 도시된 참조부호들은 설명중인 것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A를 설명하는 동안에 디바이스(10)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도 A 이외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 10을 지칭할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