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장치

申请号 KR1019997006189 申请日 1998-01-09 公开(公告)号 KR100305246B1 公开(公告)日 2001-11-03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发明人 이토히로야스; 나리타히사시;
摘要 공통고정접점과이와접속되는고정접점의수를순차로증가시킬수 있도록한 것에있어서, 다이오드를이용하지않고달성할수 있도록하는것을과제로한다. 이를해결하는수단으로제 1기판(20)에제 1공통고정접점(B1), 제 1, 제 3고정접점(E1)(E3)을갖는제 1고정접점군(2)을배치하고, 제 2기판(21)에제 2공통고정접점(B2), 제 2, 제 4고정접점(E2)(E4)을갖는제 2고정접점군(23)을배치하며, 제 1공통고정접점(B1)과제 2공통고정접점(B2)을접속한다. 레버조작을기초로제 1, 제 2가동접촉자(26)(28)는동기하여화살표시 (다)방향및 (라)방향으로이동한다. 제 1, 제 2가동접촉자(26)(28)가화살표시(다) 및 (라)방향으로이동할때 마다공통고정접점(B1)(B2)과이와접속되는고정접점(E1∼E4)의수가순차로증가해간다.
权利要求
  • 공통고정접점과 이와의 접속순서가 설정된 여러개의 고정접점을 갖고 공통고정접점이 서로 접속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여러단계로 조작되는 하나의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을 기초로 동기하여 소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대응하는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에 따라 순차로 접속하는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이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수를 순차로 증가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은 각각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대응하는 2개의 고정접점이 대응하는 가동접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대응하는 고정접점군의 공통고정접점 및 2개의 고정접점에 대해 접촉하는 접점부를 각각 3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은 따로 기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说明书全文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도 7에는 4단 연속접속회로의 접속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것은 제 1작동상태(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되고, 제 2작동상태(I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각각 접속되고, 제 3작동상태(III)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3고정접점(E1∼E3)이 각각 접속되며 그리고 제 4작동상태(IV)에서는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4고정접점(E1∼E4)이 각각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접속관계가 되는 스위치장치를 극히 작은 스페이스로 성립시키는 구성으로서 종래는 예를들어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의 것이 있다. 이 것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기판(1) 뒷면에 있어 좌측부에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제 4의 고정접점(E1∼E4)을 갖는 고정접점군(2)이 배치된다. 이 고정접점군(2)은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 및 (E4)이 가동접촉자(3)의 이동방향인 화살표시 (가)방향을 따라 3열이 되도록 배치된다. 가동접촉자(3)는 그 3열의 고정접점에 대응하여 3개의 접점부(3a)(3b)(3c)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재의 조작에 기초하여 OFF위치와 제 1∼제 4의 작동위치(I∼IV)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기판(1)의 우부에 있어 뒷면측에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3)사이에는 각각 도 9에 도시하는 극성의 다이오드(4a)(4b)가 접속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동접촉자(3)가 OFF위치에서 제 1작동위치(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1작동상태(I) 참조).

    가동접촉자(3)가 제 2작동위치(I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c)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2작동상태 II참조). 이 때 제 1 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사이는 다이오드(4a)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2작동상태(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또 가동접촉자(3)가 제 3작동위치(III)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3고정접점(E3)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3작동상태(III) 참조). 이 때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 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3)사이는 다이오드(4a)(4b)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3고정접점(E1∼E3)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3작동상태(I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동접촉자(3)가 제 4작동위치(IV)로 이동되면 접점부(3a)(3b)(3c)가 공통고정접점(B)과 제 3 및 제 4고정접점(E3) 및 (E4)에 접촉하여 이들 사이를 접속한 상태가 된다(도 9의 제 4작동상태(IV) 참조). 이 때도 제 1고정접점(E1)과 제 2고정접점(E2) 사이 및 제 2고정접점(E2)과 제 3고정접점(E2) 사이는 다이오드(4a)(4b)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공통고정접점(B)과 제 1∼제 4의 고정접점(E1∼E4)이 접속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4작동상태(IV)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스위치장치에 있어서는 2개의 다이오드(4a)(4b)를 필요로 하고, 이들 다이오드(4a)(4b)는 고정접점군(2)과는 별도로 기판(1)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구성의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기판부분의 평면도.

    도 2는 기판의 종단측면도.

    도 3은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중 XX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3중 YY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6은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필요로 하는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종래예를 도시하는 도 1상당도.

    도 9는 종래예에 있어 각 상태의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다이오드를 이용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공통고정접점과 이와의 접속순서가 설정된 여러개의 고정접점을 가지고, 공통고정접점이 서로 접속된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여러단계로 조작되는 하나의 조작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재의조작을 기초로 동기하여 소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대응하는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에 따라 순차로 접속하는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상기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는 이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소정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 수를 순차로 증가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 조작부재의 조작을 기초로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를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따라 제 1가동접촉자는 제 1고정접점군에 있어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를 따라 순차로 접속하고, 또 제 2가동접촉자는 제 2고정접점군에 있어 공통고정접점을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 설정된 접속순서를 따라 순차로 접속하게 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가 이동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합계 수가 순차로 증가 하게 된다.

    상기한 수단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에 의해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을 자동차의 배기브레이크 스위치에 적용한 일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있어서 스위치케이스(11)에 조작부재를 구성하는 레버(12)가 축부(13)를 중심으로 하여 도 3중 화살표시 (나)방향 및 화살표시 (나)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레버(12)는 OFF위치와 제 1∼제 4의 작동위치(I∼IV)사이의 5단계로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있고, 이 레버(12)와 스위치케이스(11) 사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각도조절기구에 의해 각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있다. 또 레버(12)에는 제 1 및 제 2암부(14)(15)가 일체로 회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케이스(11)의 윗면측에는 제 1 및 제 2암부(14)(15)의 선단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원호형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에 제 1 및 제 2암부(14)(15)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스위치케이스(11)에는 제 1 및 제 2삽입공(16)(17)의 아래쪽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좌우방향으로 뻗는 제 1 및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8)(19)가 배치된다.

    스위치케이스(11)의 뒤쪽에는 도 1 및 도 2에도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 기판(20)과 제 2 기판(21)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 경우 상측의 제 2 기판(21)은 하측의 제 1기판(20)보다도 길이방향으로의 길이가 짧으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제 2기판(21)에서 돌출한 제 1기판(20)의 윗면측에 있어서, 제 1콘택트 홀더 수용부(18)에 대응하는 부위에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과, 제 3고정접점(E3)을 갖는 제 1고정접점군(22)이 배치된다. 이 제 1고정접점군(22)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이 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다.

    또 제 2기판(21)의 윗면측에 있어서,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9)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과 제 4고정접점(E4)을 갖는 제 2고정접점군(23)이 배치된다. 이 제 2고정접점군(23)도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 및 (E4)이 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은 회로상에서 접속선(24)(도 6참조)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다른 제 1∼제 4의 각 고정접점(E1∼E4)은 각각 독립하고 있다. 또한 제 1기판(20) 및 제 2기판(21)의 도 1 및 도 2의 하측에는 외부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25a)(25b)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 1콘택트 홀더 수용부(18)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가동접촉자(26)를 갖는 제 1콘택트 홀더(27)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또 제 2콘택트 홀더 수용부(19)내에도 도 5와 같이 제 2가동접촉자(28)를 갖는 제 2콘택트 홀더(29)가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가동접촉자(26)는 도 1과 같이 3개의 접점부(26a)(26b)(26c)가 3각형상의 배치를 이루고 또 제 2가동접촉자(28)도 3개의 접점부(28a)(28b)(28c)가 3각형상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제 1콘택트 홀더(27)의 윗면부에는 제 1삽입공(1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상의 가이드홈(30)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30)에 제 1암부(14)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제 2콘택트 홀더(29)의 윗면부에도 제 2삽입공(1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직선형상의 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홈(31)에 제 2암부(15)의 선단부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하여 이 경우 레버(12)를 화살표시 (나)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와는 역으로 레버(12)를 화살표시 (나)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와 동기하여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의 작용을 각 상태에 있어 접속관계를 도시하는 도 6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레버(12)가 도 3에 도시하는 OFF위치에 있을 때 제 1콘택트 홀더(27)는 도 3의 우측에 가까운 곳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 2콘택트 홀더(29)는 도 3의 좌측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는 각각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OFF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 1가동접촉자(26)가 OFF위치에 있을 때는 이 접점부(26b)가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고 또 제 2가동접촉자(28)가 OFF위치에 있을 때는 이 접촉부(28b)가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게 되지만, 제 1 및 제 2공통고정접점(B1) 및 (B2)에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 상태는 모두 OFF상태이다.

    OFF위치에 있는 레버(12)를 제 1작동위치(I)로 조작하면 제 1암부(14)를 통해 제 1콘택트 홀더(27)가 화살표시 (다)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고, 또 제 2암부(15)를 통해 제 2콘택트 홀더(29)가 화살표시 (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가동접촉자(28)도 제 1작동위치(I)에 이르게 된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6a)(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하고 이들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1작동위치(I)에 이르러도 접점부(28b)가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OFF위치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이 접속된 상태이며(도 6의 제 1작동상태(I)참조), 도 7의 제 1작동상태(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2작동위치(II)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2작동위치(II)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2작동위치(II)에 이르러도 접점부(26a)(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고정접점(E1)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1작동위치(I)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2작동위치(I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 접점부(28a)(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하고, 이들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고정접점(E2)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2작동상태(II)참조).

    이 때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은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 및 제 2고정접점(E1) 및 (E2)이 접속된 상태가 되며, 도 7의 제 2작동상태(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3작동위치(III)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6a)(260b)(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의 고정접점(E1)(E3)에 접촉하고, 이들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E3)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3작동상태(III)참조).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3작동위치(III)에 이르러도 접점부(28a)(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 및 제 2고정접점(E2)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2작동위치(II) 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이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제 3의 고정접점(E1∼E3)이 접촉된 상태가 되고 도 7의 제 3작동상태(III)와 같은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12)를 제 4작동위치(IV)로 조작하면 제 1가동접촉자(26) 및 제 2가동접촉자(28)가 동기하여 제 4작동위치(IV)에 이른다.

    이 중 제 1가동접촉자(26)가 제 4작동위치(IV)에 이르러도 접점부(26a)(26b)(26c)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1 및 제 3고정접점(E1) 및 (E3)에 접촉한 상태 그대로이며, 제 3작동위치(III)일 때와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한편 제 2가동접촉자(28)가 제 4작동위치(IV)에 이르는 것에 의해 이들 접점부(28a)(28b)(28c)가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및 제 4고정접점(E2)(E4)에 접촉하고, 이들 제 2공통고정접점(B2)과 제 2 및 제 4고정접점(E2)(E4)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도 6의 제 4작동상태(IV)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제 2공통고정접점(B2)이 접속선(24)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제 1∼제 4의 고정접점(E1∼E4)이 접촉된 상태 그대로이며, 도 7의 제 4작동상태(IV)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과 제 1 및 제2가동접촉자(26) 및 (28)에 의해 제 1 및 제 2공통고정접점(B1)(B2)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E1∼E4)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 필요로 했던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지며 또 본 실시예와 같이 그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제 1 및 제 2기판(20)(21)으로 나눌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고정접점군(22)은 제 1공통고정접점(B1)과 이와 대응하는 2개의 고정접점(E1)(E3)을 제 1가동접촉자(26)의 이동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함과 동시에 제 1가동접촉자(26)는 제 1고정접점군(22)의 제 1공통고정접점(B1) 및 2개의 고정접점(E1)(E3)에 대해 접촉하는 접점부(26a)(26b)(26c)를 3개 갖는 구성으로 하고 또 제 2고정접점군(23) 및 제 2가동접촉자(28)도 상기 제 1고정접점군(22) 및 제 1가동접촉자(26)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고정접점군 및 가동접촉자를 2조로 나누는 구성으로 하면서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는 극히 작게할 수 있다.

    즉 고정접점군을 2조로 나눌 경우, 공통고정접점과 2개의 고정접점을 가동접촉자의 이동방향을 따라 3열로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같은 경우에는 그 3열의 나열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가 커지게 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이 2열로 하는 것에 의해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극히 작게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개개의 기판(20)(21)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22) 및 (23)을 한층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이 변형 또는 확장할 수 있다.

    각 고정접점군(22)(23)에 있어 공통고정접점(B1)(B2) 이외의 고정접점의 수로서는 3개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가동접촉자(26)와 제 2가동접촉자(28)의 이동방향은 동일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26)(28)가 이동할 때 마다 공통고정접점(B1)(B2)과 접속되는 고정접점수가 제 1 고정접점군(22)측과 제 2고정접점군(23)측에서 번갈아 증가하는 데 한정되지 않고 한쪽이 연속하여 증가한 후 다른쪽이 연속하여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과 제 1 및 제 2가동접촉자에 의해 공통고정접점과 이와 접속되는 고정접점의 수를 순차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오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고정접점군을 제 1고정접점군과 제 2고정접점군으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한곳에 큰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접점군 및 가동접촉자를 2조로 나누어 구성하면서도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극히 작게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고정접점군을 따로 기판에 배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그들 고정접점군을 한층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