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파워 윈도용 스위치

申请号 KR1019960016620 申请日 1996-05-17 公开(公告)号 KR100192137B1 公开(公告)日 1999-06-15
申请人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发明人 죠셉에프.말렉크; 데니스디.카우프만; 로드니에이.데일;
摘要 장치(20)는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자동차 파워윈도(22)의 이동을 제어한다. 장치(20)는 작동시 윈도(22)를 이동시키는 구동가능한 전기 모터(66)를 포함한다. 스위치 어셈블리(62)는 자동차윈도(22)를 상기 위치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전기 모터(66)를 작동시킨다. 스위치 어셈블리(62)는 제1전기 접촉부(282) 및 제1전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전기 접촉부(284)를 포함한다. 도전성 디스크(286)는 외주부(288)및 반구형부(290)를 가지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제1및 제2전기 접촉부(282,284)중 하나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및 제2전기 접촉부(282,284)의 다른 접촉부는 디스크(286)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처음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된다. 디스크(286)는 제1전기 접촉부와 제2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제1및 제2전기 접촉부(282,284)의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도록 탄력있게 편향가능하다. 부재(104)는 이동에 대해 지지되며 소정의 위치에 가해지는 수동의 힘에 응하여 이동가능하다. 부재(104)의이동은 윈도(22)를 상기 위치 중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기 모터(66)을 가동시키기 위해 디스크(286)의 반구형 위치(290)의 편향이 제1및 제2전기 접촉부(282,284)의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한다.
权利要求
  • 작동시 윈도를 이동시키는 전기 모터에 동작적으로 결합된 차량 윈도의 이동을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쪽으로 윈도를 이동시키도록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작동 수단은, 제1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1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2전기 접촉부와; 외주 및 반구형부를 구비한 도전성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에서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한쪽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기 접촉부 중 다른 접속부는 상기 디스크에 근접하게 그리고 초기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디게 배치되며, 상기 반구형부는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여 상기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끔 탄력적으로 편향가능하며;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에, 상기 디스크의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상기 반구형부의 편향을 초래하도록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수동력에 응하여 이동가능한 제1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디스크 사이에 배치된 제2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상기 반구형부를 편향시키도록 상기 제1부재의 이동에 응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디스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디스크쪽의 방향으로 선형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볼록한 표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부재의 상기 단부와 결합되는 오목한 V-형태 표면을 갖는 단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반구형부에 대체로 수직 연장하는 경로를 따라 선형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반구형부가 상기 제1및 제2접촉부를 분리시킨 후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유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가 작동되지 않는 상기 제1부재의 뉴우트럴 위치와 상기 제1부재의 소정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가 한쪽 방향으로 제1중간 위치에 유지될 때에만 윈도를 완전 개방 위치쪽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로커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제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제2포커 어셈블리 및 도전성 제2디스크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 제1부재는 제2중간 위치 및 제2소정의 위치로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제1부재의 제2중간 위치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2중간 위치에 유지될 때에만 완전 폐쇄 위치쪽의 방향으로 윈도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로커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고, 제2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기 제1부재는 완전 폐쇄 위치로 윈도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디스크가 상기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동 제어 장치.
  • 자동차 윈도를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작동시, 윈도를 이동시키는 작동가능한 전기 모터와;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쪽의 방향으로 윈도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위치 수단은, 제1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1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2전기 접촉부와; 외주 및 반구형부를 구비한 도전성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의 외주에서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한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다른 접촉부는 상기 디스크에 근접하게 그리고 초기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반구형부는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 접속을 제공하여 상기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끔 탄력적으로 편향가능하며; 제1부재에 가해지는 수동력에 응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와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되게 상기 디스크의 반구형부를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제1부재의 이동에 응하여 소정의 위치쪽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부재를 포함한 반구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반구형부에 대체로 수직 연장하는 경로를 따라 선형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반구형부가 상기 제1및 제2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와 분리된 후에 상기 전기 모터의 작동을 유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이동 장치.
  • 오토-다운 모드에서 자동차 윈도를 작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윈도를 지지하는 메카니즘과; 상기 메카니즘과 결합되어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윈도를 이동시키는 작동가능한 전기 모터와; 작동시에,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고 초기 작동후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모터의 작동을 유지하는 작동가능 회로 수단과;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하고,상기 스위치 어셈블리는, 제1전기 접촉부와; 상기 제1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제2전기 접촉부와; 외주 및 반구형부를 갖는 도전성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크는 외주에서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한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는 상기 디스크에 근접하게 그리고 초기에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반구형부는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여 처음에 상기 회로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와 접촉하게 탄력적으로 편향가능하고; 종축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반구형부를 상기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상기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편향시키도록 선회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동작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가 수동 작동 위치로 유지될 때에만 상기 로커 어셈블리가 상기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수동 작동 위치로 수동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동작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볼록한 표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플런저의 상기 단부와 결합하는 오목한 V-형태 표면을 갖는 단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암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윈도 동작 장치.
  • 베이스와; 비-도전성 조건 및 도전성 조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로커 스위치와; 비-도전성 조건 및 도전성 조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게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에 의해 받쳐지는 반구형 스위치와; 뉴우트럴 위치, 한 방향으로 한계 위치, 및 뉴우트럴 위치와 한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 사이에서 선회축 이동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제1부재와; 한계 위치로 선회되는 상기 제1부재에 응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반구형 스위치에 근접하게 상기 베이스에서 선행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 스위치의 조건은 뉴우트럴 위치에서 중간 위치까지의 상기 제1부재의 선회축 이동에 응하여 비-도전성 조건에서 도전성 조건으로 변화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가 비-전도성 조건에서 도전성 조건으로 상기 반구형 스위치의 조건을 변화시키기 위해 한계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반구형 스위치와 결합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스위치가 비-도전성 조건으로 리턴된 후에 작동 신호 발생을 계속하기 위해 도전성 조건에 있는 상기 반구형 스위치에 의해 기동되는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는 볼록한 표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제2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부재의 상기 단부와 결합하는 오목한 V-형태 표면의 단부를 갖는 액츄에이터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
  • 제15항에 있어서, 뉴우트럴 위치에서 중간 위치까지 선회되는 상기 제1부재에 응하여 비-도전성 조건에서 도전성 조건으로 상기 로커 스위치를 이동시키는 핀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로커 스위치의 일부분 및 상기 반구형 스위치를 지지하는 인쇄 회로 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스위치.
  • 说明书全文

    자동차 파워 윈도용 스위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스위치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 파워 윈도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제어 시스템의 일부분을 개략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스위치 어셈블리의 정면도.

    제5도는 로커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4도의 라인5-5를 따라 취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부를 단면도로 표시한 개략도.

    제6도는 다른 위치에서 로커 스위치부를 도시한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6a도는 다른 로커스 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4도의 라인 6A-6A를 따라 취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부를 단면도로 표시한 개략도.

    제7도는 디스크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3도의 라인 7-7을 따라 취한 스위치 어셈블리의, 일부를 단면도로 표시한 개략도.

    제8도 및 제8a도는 다른 위치에서 디스크 접촉부를 도시한 제7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디스크 접촉부의 확대된 단면도.

    제10도는 다른 위치에서 디스크 접촉부를 도시한 제9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동차 파워 윈도 시스템

    24 : 이동가능한 프레임 및 이동 메카니즘

    28 :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 30 : 아암 레스트

    62 : 스위치 어셈블리 66 : 모터

    68 : 접속기 104 : 레버

    106,108 : 로커 스위치 122,124 : 반구형 스위치

    126,128 : 플런저 140,142 : 보유 회로

    182 : 이동 로커 접촉부 188 : 선회축 지지부

    206,286 : 디스크 290 : 반구형부

    본 발명은 자동차(vichile) 파워 윈도의 이동을 제어하는 전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동 및 자동 제어 특징을 갖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 파워 윈도를 구비한 자동차는 몇개의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다. 각각의 스위치는 자동차 윈도를 개폐하는 전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관련된 윈도 가까이에 배치된다. 제어 시스템은 한곳의 단일 위치에서 자동차의 모든 윈도를 원격 제어하는 마스터 스위치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한다. 마스터 스위치 어셈블리는 자동차 운전자 가까이에 배치된다.

    자동차 파워 윈도용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알려진 스위치 구조는 파워윈도를 제어하기 위해 자동차 운전자에 근접한 마스터 스위치 어셈블리에 배치된다. 스위치는 결합하는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수동으로 저하되는 액추에이터 및 모터를 작동시키는 폐쇄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모터는 액추에이터가 선회되는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윈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윈도 움직임을 수동 제어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전기 접촉부를 결합하게 하는 소정의 거리에서 한 방향으로 선회된다. 유저는 윈도가 소정의 위치로 상승 또는 하강될 때까지 모터를 작동시키는 위치에서 액추에이터를 유지한다. 액추에이터에 가해지는 압력은 윈도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유저에 의해 해제된다.

    스위치는 또한 작동가능한 전자 회로에 동작적으로 접속된다. 회로는 윈도를 완전 개폐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계쏙적으로 작동시킨다. 초기 작동시에, 회로는 모터를 작동시키고 스위치에 가해진 수동 저하력이 해제된 후에도 작동을 계속한다. 회로의 초기 작동은 윈도 이동의 수동 제어가 발생하는 소정의 거리 이상의 위치에서 액추에이터를 선회함으로써 통상 일어난다. 상기 특징은 자동-다운(auto-down) 또는 자동-업(auto-up)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자동차의 파워윈도를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작동시에 소정의 방향으로 윈도를 이동시키는 작동가능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장치는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중 한쪽으로 자동차 윈도를 이동시키는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제1전기 접촉부를 갖는 스위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2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1전기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외주 및 반구형부를 갖는 도전성 디스크는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한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및 제2전기 접촉부의 다른 접촉부는 디스크에 근접하게 그리고 처음에는 반구형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반구형부는 제1과 제2전기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의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탄력적으로 편향가능하다. 수동 이동 부재는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반구형 부분의 편향을 초래하기 위해 이동 부재에 가해지는 수동력에 응하여 이동되고 전기 모터를 작동시킨다.

    제2부재는 수동 이동가능한 부재와 디스크 사이의 이동에 지지된다. 제2부재는 제1및 제2전기 접촉부 중 다른 접촉부와 결합하게 반구형부를 편향시키기 위해 수동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이동된다. 제2부재는 디스크로부터 먼 및 디스크쪽 방향으로 선형 이동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크의 반구형부에 대체로 수직 연장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2부재는 볼록면을 갖는 단부를 포함한다. 수동 이동가능한 부재는 제2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2부재의 단부를 결합하게 하는 오목한 V-형태 단부를 구비한 액추에이터 아암을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디스크의 반구형 부분이 제1및 제2접촉부의 나머지 쪽의 접촉을 분리시킨 후에 전기 모터의 작동을 유지시키는 회로 수단을 포함한다. 제1부재가 전기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뉴우트럴(neutral)위치와 반구형부가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편향되는 위치와의 중간 위치에 수동으로 유지될 때에만, 로커 접촉부는 완전 개방 위치쪽 방향으로 윈도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하 설명을 판독시에 본 발명에 관련한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자동차 파워 윈도 시스템(20)(제1및 제2도)은 도어(26) 안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 및 이동 메카니즘(24)에 장착된 윈도(22)를 포함한다. 윈도(22)는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히 이동한다.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는 자동차 운전자가 조종하는 의자(도시되지 않음) 가까이에 있는 도어(26)의 아암 레스트(30)(arm rest)에 장착된다.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위치 및 자동차 윈도(22) 각각의 이동을 제어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는 도체(42)를 통해, 새시(chassis)및 프레임 접속(44)(접지)은 도체 (46)를 통해 자동차 파워(40)(B+)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는 다수의 개별 스위치 어셈블리(62,6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위치 어셈블리(62,64)는 자동차의 관련된 윈도(22) 이동을 초래하는 반대 방향으로 선회가능하다. 각각의 스위치 어셈블리(62,64)는 중심 또는 윈도(22)의 이동이 초래되지 않는 뉴우트럴 위치로 리턴하도록 탄력적으로 바이어스 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의 한 스위치 어셈블리(62)는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을 통합한다.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는 세개의 스위치 어셈블리(64)를 또한 포함한다. 스위치 어셈블리(62,64)의 어떤 교제 결합이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화한 스위치 어셈블리(62)는 운전자 위치에 근접한 윈도(22)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위치 어셈블리(64)는 프론트 시트 승객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된 윈도 및 백 시트 승객 위치에 근접하게 배치된 윈도와 같은, 운전자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된 윈도(22)를 제어한다. 모든 스위치 어셈블리(62,64)는 관련된 윈도(22)의 이동을 수동제어가능하다. 스위치 어셈블리(62)는 운전자 위치에 근접한 윈도(22)의 이동을 또한 오토 제어가능하다.

    각각의 스위치 어셈블리(62,64)는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 모터(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터(66)는 윈도(22)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이동 메커니즘(24)에 동작적으로 접속된다. 모터(66)는 모터가 동작될 때,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 윈도를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 및 이동 메커니즘(24)과 서로 협력한다. 전력(40) 소스는 점화 스위치(8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모터(66)는 양방향 회전가능한 DC모터이다. 스위치 어셈블리(62)(제4내지 제10도)는 마스터 제어 어셈블리(28)의 인쇄 회로 보드(100)(제4도)장착된다. 스위치 어셈블리(62)(제4, 제5및 제7도)는 베이스(102), 레버(104), 한 쌍의 로커 스위치(106, 108), 한 쌍의 반구형 스위치(122,124)(제7도의), 한 쌍의 플런저(126,128), 한 쌍의 보유 회로(140,142)및 LED(144)(제7도의)를 포함한다. 스위치 어셈블리(62)의 베이스(102)는 인쇄 회로 보드(100)로 받쳐진다. 레버(104)는 스위치 어셈블리(62) 축(A)(제4및 제5도)에 관하여, 제5도에 도시된 중심 위치 또는 뉴우트럴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의 선회측 이동에 대해 베이스(102)에 의해 지지된다.

    일련의 금속 스위치 터미널은 스위치의 베이스로부터 비어져 나오고 인쇄 회로(100)에 대응하는 홀을 통해 비어져 나온다. 스위치 단자는 인쇄 회로보드(100)에 의해 전송되는 회로 트레이스에 결합된다. 스위치 어셈블리(62)에서 및 로의 모든 전기 신호는 회로 트레이스를 통해 스위치 단자에 결합된다.

    한 쌍의 로커 스위치(106,108)는 축(A)에 평행 방향으로 스위치 어셈블리(62)에 이격된다. 로커 스위치(106,108)는 제2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이셈블리(62)에 관련괸 전기 모터(6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각의 로커 스위치(106,108)는 관련된 윈도(22)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수동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한 쌍의 반구형 스위치(122,124)는 완전 개폐 위치로 관련 윈도(22) 이동을 오토 제어하기 위해 모터(66)에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보유 회로(140,14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베이스(102)는 스위치(106,108,122,124)를 지지한다. 보유 회로(140,142)는 어떤 조건하에서 전력을 오토-업 및 오토-다운 모드의 함수에 인가한다. 보유 회로(140,142)는 반구형 스위치(122,124)가 전기적으로 적어도 순간적으로 전도된 후에 비전도되는 모터(66)의 작동을 유지한다.

    보유 회로(140,142)(제3도)는 소정의 기간동안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66)의 작동을 유지하는 어떤 형태의 적절한 회로일지도 모른다. 소정의 기간은 고정된 시간동안 또는 모터(66)의 과전류상황이 감지될 때까지 일수 있다. 과전류 상황은 완전 개폐 위치로 또는 윈도가 스트라이크되는 동일 중간 위치로 이동되는 윈도(22)를 표시한다.

    레버(104)는 제5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또는 뉴우트럴 위치로부터 축(A)에 관하여 두 반대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수동적으로 저하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는 제1작동 위치(I)에 관하여 한 방향으로, 예를 들면 왼쪽으로 선회가능하다. 제1작동 위치(I)는 레버의 선회가능한 이동의 단부 한계는 아니다. 상기 제1작동 위치(I)에 있을 때, 로커 스위치(106) 수동은 모터(66)를 작동시킨다. 모터(66)는 레버(104)가 제1작동 위치(I)에서 수동으로 유지되는 동안만은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된다. 모터(66)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레버(104)가 제1작동 위치(I)에 있을 때, 모터(66)의 작동은 로커 스위치(106)를 통해 완성되고, 로커 스위치(106)는 작동되거나 또는 전력(40)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레버(104)는 선회 이동 한계 에서 또는 가까이에서 제2작동 위치(II)에 관하여 동일 방향으로(왼쪽으로) 약간 더 선회될 수 있다. 레버(104)의 제2작동 위치(II)는 보유 회로(40)에 파워를 공급함으로써, 반구형 스위치(122)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폐쇄한다. 반구형 스위치(122)는 보유 회로(40)를 가동시키기 위해 순간적으로 작동되어야만 한다. 레버(104)가 제2작동 위치(II)로부터 해제되고 뉴우트럴 위치로 리턴된 후에도 보유 회로(140)는 모터(66)의 작동을 계속한다.

    레버(104)는 제3작동 위치(III)의 축(A)(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에 관하여 반대 방향으로 수동 선회가능하다. 레버(104)의 제3작동 위치(III)가 그 방향으로 레버의 선회가능한 이동 단부 한계는 아니고 모터(66)의 작동을 초래한다. 스위치 어셈블리(62)는 작동의 수동-업모드상태이고 레버(104)가 제3작동 위치에서 수동으로 유지되는 동안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66)를 작동시킨다. 모터 작동은 로커 스위치(108)를 통해 완성되고, 로커 스위치는 레버(104)가 전력을 모터(66)에 제공함으로써 제3작동 위치(III)에 있을 때 작동된다.

    또한 레버(104)는 이동 한계 에서 또는 가까이에서 제4작동 위치(4)에 관하여 동일 오른쪽 방향으로 수동 선회한다. 제4작동 위치(4)는 보유회로(142)에 파워를 공급함으로써 반구형 스위치(124)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폐쇄한다. 반구형 스위치(142)는 보유 회로(142)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순간적으로 작동되어야만 한다. 보유 회로(142)는 레버(104)가 해제되고 뉴우트럴 위치로 리턴된 후에도 모터(66)의 작동을 계속한다.

    로커 스위치(106,108)는 버(104)가 제1또는 제3작동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만은 모터(66)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도전되도록 작동된다. 로커 스위치(106,108)는 윈도(22)의 이동의 업 또는 다운을 수동으로 제어한다.

    반구형 스위치(122,124)는 전력이 소정의 기간 동안 모터(66)에 가해지도록 레버(104)가 각각의 보유 회로(140,142)를 기동시키기 위해 제2또는 제4작동 위치로 이동될 때 작동된다. 반구형 스위치(122,124)는 윈도(22)의 오토 이동을 제어한다.

    제5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가 처음에 중심 또는 뉴우트럴 위치에 있다. 레버(104)가 뉴우트럴 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106,108,122,124)는 작동되지 않고 전력을 모터(66)에 공급하지 않는다. 레버(104)가 한쌍의 스프링 바이어스된 핀(162,164)(제5, 제6및 제6a도)을 구비하고 있다. 로커 스위치(106)(제5및 제6도)는 통상적으로 M-형태 이동 로커 접촉부(182), 포지티브 접촉부(184), 접지 접촉부(186) 및 선회축 지지부(188)를 포함한다. 로커 스위치(106)의 포지티브 접촉부(184)은 전력(40)(제3도)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지 접촉부(186)은 인쇄 회로 보드(100)의 트레이스를 통해 자동차 섀시 또는 접지 접속(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동 로커 접촉부(182)은 선회축 지지부(188) 및 접속기(68)를 통해 전기모터(66)의 단자(2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기(68)는 인쇄회로 보드(100)에 장착되고 제5도에 도시되지 않았다.

    스프링 바이어스된 핀(162)은 하향으로 힘을 가해 통상적으로 이동 로커 접촉부(182)가 선회측 지지부(188) 및 접지 접촉부(186)와 하향으로 결합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가 제1작동 위치에 선회될 때, 이동 로커(182)는 접지 접촉부(186)를 분리시키고 포지티브 접촉부(184)와 결합하기 위해 선회축 지지부(8) 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한다. 차례로, 상기는 모터(66)를 작동하게 하고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하여 하향 방향으로 윈도(22)를 이동하게 한다.

    로커 스위치(108)(제 6a도)는 통상적으로 M-형태의 이동 로커 접촉부(222), 포지티브 접촉부(224), 접지 접촉부(226) 및 선회축 지지부(228)를 포함한다. 스프링 바이어스된 핀(164)은 하향으로 힘을 가해 통상적으로 이동 로커 접촉부(222)가 선회축 지지부(228) 및 접지 접촉부(226)와 하향으로 결합하게 한다.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가 제3작동 위치로 선회될때, 이동 로커 접촉부(222)는 접지 접촉부(226)를 풀고 포지티브 접촉(224)부와 결합하기 위해 지지부(228)에 관하여 왼쪽방향으로 선회한다. 차례로, 상기는 모터(66)를 작동시키고 완전 폐쇄 위치쪽에 상향 방향으로 윈도를 이동하게 한다.

    로커 스위치(108)의 포지티브 접촉부(224)는 전력(40)(제3도)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지 접촉부(226)는 접속기(46)를 통해 자동차 섀시 또는 접지 접속(44)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로커스위치(108)의 이동 로커(222)는 선회축 지지부(228) 및 접속기(82)를 통해 모터(66)의 단자(2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작동 위치(I, 수동-다운)에 대하여 레버(104)를 선회시에, 로커 스위치(106)의 이동 로커 접촉부(182)는 지지부(188)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포지티브 접촉부(184)와 결합한다. 이동 접촉부(182)는 접지 접촉부(186)와의 도전성 결합을 중단시킨다. 로커 스위치(108)의 이동 로커 접촉부(222)는 접지 접촉부(226)에 결합상태에 있다. 모터(66)를 통한 전력은 포지티브 접촉부(184)에서 이동 로커 접촉부(182)을 통해 로커 스위치(106)의 지지부(188)까지, 접속기(68)를 통해 단자(202)까지, 단자(204)를 통해 모터까지, 접속기(82)를 통해 로커 스위치(108)의 지지부(188)까지, 이동 로커 접촉부(222)를 통해 접지 접촉부(226)까지 공급한다. 상기 방법에서 전력의 흐름은 제1방향으로 모터(66)를 회전하게 한다. 모터(66)의 제1회전 방향은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해 하향 방향으로 윈도(22)를 이동한다.

    다른 한편으로, 레버(104)가 제3작동 위치(III, 수동-업)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선회될 때, 로커 스위치(108)의 이동 로커 접촉부(222)는 포지티브 접촉부(224)와 전도가능하게 결합한다. 로커 스위치(106)의 이동 로커 접촉부(182)는 접지 접촉부(186)와 전도 접촉한 상태에 있다. 모터(66)를 통한 전력은 포지티브 접촉에서, 이동 로커 접촉부(222)를 통해, 모터의 단자(204)을 통해, 접속기(82)를 통해 공급하고, 단자(202)에서 모터까지, 접속기(68)를 통해 로커 스위치(106)의 지지부(188)까지, 이동 로커 접촉부(182)를 통해 로커 스위치(106)의 접지 접촉부(186)까지 공급한다. 상기 방법에서 전력의 공급은 모터(66)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모터(66)의 제2회전 방향은 윈도를 상승시키고 폐쇄시킨다. 다른 한쪽 로커 스위치(108)의 이동 로커 접촉부(222) 또는 (182)이 관련된 접지 접촉부(226) 또는 (186)와 결합한 상태에 있는 동안에 관련된 포지티브 접촉부(184) 또는 (224)과 전기 접촉을 할 때에, 스위치 어셈블리(62)의 레버 작동은 로커 스위치(106) 또는 (108)의 이동 로커 접촉부(182) 또는 (222) 중 단지 한 접촉부와 결합한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반구형 스위치(122,124)(제7및 제8도)는 스위치 어셈블리 스위치(62)베이스 아래에 인접하여 인쇄 회로 보드(100)에 구비된다. 각각의 반구형 스위치(122,124)는 링-형태 접촉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제1외부 링 접촉부(282)(제9및 제10도)및 제2내부 환형 접촉부(284)를 포함한다. 도전 디스크(286)는 탄력있게 편향가능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외부 및 내부 접촉부(282,284)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286)는 외주(288) 및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섹션인 반구형부(290)를 포함한다. 디스크(286)는 최소한 디스크 외주(288)부에서 외부 접촉부(282)와 결합하고 인쇄 회로 보드(100)및 테이프 또는 접합물과 같은 적절한 수단(292)에 의한 외부 접착에 부착된다. 디스크(286)는 내부 접촉부(284)와 결합하게 편향가능하다.

    플런저(126)는 반구형 스위치(122)위에 배치된다. 유사하게는, 플런저(128)는 반구형 스위치(124)위에 배치된다. 각각의 플런저(126,128)는 선형 및 디스크(286)의 반구형부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각각의 플런저(126,128)는 상호 선형 이동에 대해 베이스(102)를 통과하여 버티고 있는 가늘고 긴 물체(244)를 구비한다. 각각의 플런저(126,128)는 물체(244)의 상부에 배치된 확대된 버섯-형태의 헤드와 단부(246)를 또한 포함한다. 제4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 스위치(106)와 (108)사이의 플런저(126,128)는 베이스(102)의 중앙선을 따라 형성되어 통과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는 레버의 반대 쪽에 한쌍의 액추에이터 아암(242)을 구비한다. 각각의 레버(104)의 액추에이터 아암(242)은 결합하기 위해 V-형태이고 각각의 플런저(126,128)의 단부(246)를 디프레스하고 플런저 단부를 따라 미끄러지는 오목한 단부 표면(248)을 포함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4)가 제2작동 위치에서 선회될 때, 플런저(126)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된다. 플런저(126)는 내부 접촉부(284)(제10도)와 결합하게 디스크의 반구형부(290)를 편향시키기 위해 대체로 정상 디스크(286)에 대해 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는 반구형 스위치를 폐쇄시키고 보유 회로(140)를 황성화시킨다. 레버(104) 해제시에, 플런저(126)는 반구형 스위치(122)가 더이상 전도되지 않는 위치에서 디스크(286)의 탄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보유 회로(400)는 소정의 기간 동안 모터(66)를 계속 작동하게 한다.

    레버(104)가 선회될 때,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스위치(124)는 제4작동 위치에 대해 적어도 순간적으로 작동된다. 플런저(128)는 하향으로 이동되어 내부 접촉부(284)와 결합한 반구형 스위치(124)의 디스크(286)를 편향시키게 하고 보유 회로(142)를 황성화시킨다. 레버(104) 해제시에, 플런저(128)는 반구형 스위치(124)가 더이상 전도되지 않는 위치에서 디스크(286)의 탄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지만, 보유 회로(142)는 모터(66)를 계속하여 작동하게 한다.

    스위치(122) 작동시에, 보유 회로(140)는 활성화되고 모터(66)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회축 지지부(188)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완전 개방 위치에서 윈도를 이동한다. 스위치(124)가 작동될 때, 보유 회로(142)는 활성화되고 모터(66)에 전력을 전도하기 위해 지지부(228)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완전 폐쇄 위치에서 윈도(22)를 이동한다.

    파워 윈도의 전 수동 업/다운 제어 및 오토 업/다운 회로를 기동하는 적분 순간 폐쇄 반구형 스위치(122,124)에 대해, 로커 접촉부 스위치(106,108)를 구비한 완전한 모듈 스위치 어셈블리(62)가 기술된다. 설계는 치밀하고 융통성 있다. 스위치 어셈블리(64)는 수동 윈도 모터 제어만에 대해 반구형 스위치(122,124) 및 플런저(126,128)를 단순히 생략함으로써 또는 보유 회로(140,142)를 제공하지 않거나 또는 접속함으로써, 스위치 어셈블리(62)로부터 수정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기술로부터, 당업자는 개선, 변화 및 수정을 감지할 것이다. 당업 기술내에서의 이러한 개선, 변화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감춰지는 경향이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