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장치

申请号 KR1020030037062 申请日 2003-06-10 公开(公告)号 KR1020030095345A 公开(公告)日 2003-12-18
申请人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사사키마고토;
摘要 본 발명은 조작시의 덜거덕거림을 없애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지는 요동조작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판스프링〔19(20)〕에 탄성 가세되는 구동체〔17(18)〕가, 그 피가압부 〔17b(18b)〕와 슬라이딩작동부〔17d(18d)〕를 각각 조작손잡이(22)의 가압 돌기부〔22b(22c)〕와 도체판〔15(16)〕에 탄성 접촉되어 있고, 조작손잡이(22)로 피가압부〔17b(18b)〕를 누르면 슬라이딩작동부〔17d(18d)〕가 도체판〔15(16)〕위를 슬라이딩하도록 해 둔다. 또 조작손잡이(22)를 여압(與壓)상태에서 설치하면, 구동체〔17(18)〕가 약간량 회전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여, 조작손잡이(22)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작동부〔17d(18d)〕와 도체판〔15(16)〕과의 맞닿음위치를 설정해 둔다. 따라서 조작손잡이(22)로 피가압부(17b)를 누르면, 피가압부(18b)는 약간 상승한다.
权利要求
  • 바닥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맞붙여진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압 돌기부를 가지는 조작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벽상에 노출하는 복수의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바닥벽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접점부재와 접촉, 이탈하는 도체판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판상에 배치되어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동체와, 이 구동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바닥벽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밖의 옆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상기 가압 돌기부에 탄성 접촉하는 피가압부와, 이 피가압부가 상기 가압 돌기부에 눌림으로써 상기 도체판의 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작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설치시에 상기 가압 돌기부가 상기 피가압부를 일정량 누르는 여압상태로 하고, 이 여압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작동부가 상기 도체판상의 소정위치와 맞닿도록 상기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작동부와 상기 도체판과의 맞닿음위치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판이,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상승부와, 이 상승부의 한쪽 끝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무부하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작동부와 맞닿는 초기 받이부와, 상기 상승부의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접점부재와 접촉, 이탈 가능한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여압상태에서 상기 초기 받이부 근방의 상기 경사면에 상기 슬라이딩작동부가 맞닿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부재가, 상기 도체판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가동접점부와 접촉, 이탈하는 제 2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도체판과의 접촉부분을 상기 도체판의 요동지지점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접점부재가, 상기 도체판 중 상기 초기 받이부로부터 상기 상승부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설치된 부분과 접촉, 이탈하는 제 3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각의 상기 고정접점부재군과 상기 도체판 및 상기 구동체를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 说明书全文

    스위치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조작손잡이를 거쳐 요동 조작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체판을 요동시켜 고정접점부재에 접촉, 이탈시킴으로써 온·오프의 전환이 행하여지고,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3은 이 종류의 스위치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1a)을 가지는 케이스(1)에는 인서트성형가공에 의하여 제 1과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2a, 2b, 2c)가 고정되어 있고, 각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로부터는 케이스(1)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단자(8)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는 케이스(1)의 바닥벽(1a) 상에 노출되어 있고, 도체판(3)이 중앙의 고정접점부재(2a)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도체판(3)은 골부(3a)의 양쪽에 한쌍의 상승부(3b, 3c)를 가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M자형상의 금속판이며, 길이방향 한쪽 끝측이 고정접점부재(2b)와 접촉, 이탈 가능하고,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이 고정접점부재(2c)와 접촉, 이탈 가능하다. 도체판(3) 상에는 구동체(4)의 작동부(4a)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4)는 코일스프링(5)에 의하여 바닥벽(1a)측으로 항상 가세되어 있기때문에, 작동부(4a)는 도체판(3)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이들 구동체(4) 및 코일스프링(5)은 회동레버(6)의 수납부(6a) 내에 조립되어 있다. 이 회동레버(6)는 케이스(1)를 덮도록 설치된 덮개체(7)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도시 생략한 조작손잡이가 회동레버(6)에 설치된다. 이 조작손잡이는 조작자에게 요동 조작되는 부재이고, 조작손잡이의 요동에 따라 회동레버(6)가 회동하기 때문에, 구동체(4)의 작동부(4a)가 도체판(3) 위를 슬라이딩한다.

    도 13은 회동레버(6)가 회전하고 있지 않는 비조작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고정접점부재(2a, 2c)가 도체판(3)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를 눌러 회동레버(6)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작동부(4a)가 상승부(3b) 상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작동부(4a)가 고정접점부재(2a)를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도체판(3)은 고정접점부재(2c)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부재 (2b)에 맞닿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2a, 2b)가 도체판(3)을 거쳐 도통되어 스위치 온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를 누르고 있는 조작력이 제거되면, 코일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4a)가 상승부(3b) 위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작동부(4a)가 고정접점부재(2a)를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3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자동적으로 스위치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13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를 거쳐 회동레버(6)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부(4a)는 상승부(3c) 위를 슬라이딩하나, 도체판(3)은 미리 고정접점부재(2c)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는 일은 없고, 때문에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 그대로이다.

    또한 케이스(1)의 바닥벽(1a) 상에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 군을 2열 배치하고, 각각의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군마다 도체판(3)이나 작동부(4a) 등을 배치시킴으로써, 케이스(1) 및 회동레버(6)를 공유하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병설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조작손잡이를 일방향으로 누르면, 한쪽의 스위치소자가 제 1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조작손잡이를 다른 방향으로 누르면, 다른쪽의 스위치소자가 제 2 구동신호를 출력한다는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스위치장치는,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 경우, 조작손잡이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윈도우의 개방동작이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윈도우의 개방도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메뉴얼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회동레버(6)의 회동에 따라 구동체(4)가 수납부(6a) 내에서 승강하기 때문에, 구동체(4)와 회동레버(6)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필요하고, 이 클리어런스가 조작시 덜거덕거림으로서 느껴지기 쉬웠다. 또 조작손잡이를 스냅 끼워맞춤에 의하여 회동레버(6)에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조작손잡이와 회동레버(6) 사이에도 덜거덕거림이 발생하기 쉽워진다. 그 때문에 종래의 이 종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덜거덕거림이 없는 양호한 조작감촉을 얻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시의 덜거덕거림을 없애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지는 요동조작형의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커버와 판스프링을 생략한 상기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조작하여 도체판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조작하여 푸시 스위치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상기 스위치장치를 긴 변측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짧은 변측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저면도,

    도 12는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의 상기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Oa : 바닥벽

    11a 내지 11c, 12a 내지 12c : 고정접점부재

    15, 16 : 도체판 15a, 16a : 초기 받이부

    15b, 16b : 상승부 15d, 16d : 가동접점부

    17, 18 : 구동체 17a, 18a : 축부

    17b, 18b : 피가압부 17d, 18d : 슬라이딩 작동부

    19, 20 : 판스프링 22 : 조작손잡이

    22b, 22c : 가압 돌기부 24, 25 : 푸시 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바닥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맞붙여진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가압 돌기부를 가지는 조작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벽상으로 노출하는 복수의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바닥벽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접점부재와 접촉, 이탈하는 도체판과, 승강동작이 허용된상태에서 상기 도체판상에 배치되어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동체와, 이 구동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바닥벽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밖의 옆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으로 상기 가압 � ��기부에 탄성 접촉하는 피가압부와, 이 피가압부가 상기 가압 돌기부에 눌림으로써 상기 도체판의 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작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설치시에 상기 가압 돌기부가 상기 피가압부를 일정량 누르는 여압상태로 이루고, 이 여압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작동부가 상기 도체판상의 소정위치와 맞닿도록 상기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작동부와 상기 도체판과의 맞닿음위치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에서는, 스프링부재에 탄성 가세되는 구동체가 피가압부와 슬라이딩작동부를 각각 조작손잡이와 도체판에 탄성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조작시에는 조작손잡이의 가압 돌기부가 피가압부를 직접 눌러 구동체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작동부가 도체판상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손잡이에 대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있던 구동체를 상기 스프링부재가 되밀기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가 도체판상을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피가압부를 누르고 있던 조작손잡이의 가압 돌기부가 상기 피가압부에 의해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체나 조작손잡이가 조작시에 덜거덕거림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진다.

    또한 이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손잡이를 여압상태에서 설치하면 구동체가 약간량 회전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여,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작동부와 도체판과의 맞닿음위치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를 여압상태에서 설치한 경우에 걱정되는 도체판상에서의 슬라이딩작동부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다. 따라서 조작시의 온 타이밍이 원하지 않게 빨라지는 등의 동작불량이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체판이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상승부와, 이 상승부의 한쪽 끝측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무부하상태에서 구동체의 슬라이딩작동부와 맞닿는 초기 받이부와, 상승부의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접점부재와 접촉, 이탈 가능한 가동접점부를 가지고, 조작력이 여압되어 있지 않은 상기 여압상태에서는 초기 받이부 근방의 상기 경사면에 슬라이딩작동부가 맞닿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을 때, 슬라이딩작동부에는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구동체의 피가압부는 가압 돌기부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가세되게 되어, 조작손잡이의 덜거덕거림 방지를 도모하기 쉽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구동체의 피가압부가 조작손잡이의 가압 돌기부에 눌리면, 슬라이딩작동부가 도체판의 상승부상을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체판을 회전시켜, 가동접점부를 소정의 고정접점부재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도체판을 회전시킨 후, 조작력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작동부가 상승부상을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도체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여압상태(비조작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정접점부재가, 상기 도체판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와, 가동접점부와 접촉,이탈하는 제 2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고, 제 1 고정접점부재와 도체판과의 접촉부분을 상기 도체판의 요동지지점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이에 더하여 도전체 중 초기 받이부로부터 상승부측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설치된 부분과 접촉, 이탈하는 제 3 고정접점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한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각의 상기 고정접점부재군과 상기 도체판 및 상기 구동체를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위치에 배치해 두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커버와 판스프링을 생략한 상기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조작하여 도체판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조작하여 푸시 스위치를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상기 스위치장치를 긴 변측에서 본 측면도, 도 10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짧은 변측에서 본 측면도, 도 11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저면도, 도 12는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의 상기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스위치장치는,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바닥벽(1Oa) 상에 측벽(10b, 10c)이나 칸막이 벽(10d)을 세워 설치하여 한쌍의 접점 수납공간(S1, S2)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10)와, 인서트성형가공에 의하여 케이스(10)의 바닥벽(1Oa) 상에 배치된 한쌍의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 및 12a 내지 12c)과,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케이스(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13)와,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케이스(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14)와, 각 접점 수납공간(S1, S2) 내에서 바닥벽(10a) 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도체판(15, 16)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상태에서 각 도체판(15, 16) 상에 배치되어 축부(17a, 18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쌍의 구동체(17, 18)와, 이들 구동체(17, 18)의 각 축부(17a, 18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 � �세하고 있는 한쌍의 판스프링(19, 20)과, 케이스(10)에 고정되어 그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하고 있는 금속판제의 커버(21)와, 지지축(22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손잡이(22)에 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손잡이(22)에는 한쌍의 가압 돌기부(22b, 22c)가 하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압 돌기부(22b, 22c)가 각각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와 탄성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스위치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회로기판(23)상에는 케이스(10)에 인접시켜 한쌍의 푸시 스위치(택트 스위치)(24, 25)가 설치되어 있고, 각 푸시 스위치(24, 25)의 조작부위(24a, 25a)가 각각 피가압부(17b, 18b)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측벽(10c) 및 4개의 칸막이 벽(l0d)과,긴 변측의 측벽(10c)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0b)이, 각각 바닥벽(10a)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측벽(10c)과 2개의 칸막이 벽(l0d)의 각 상단부〔상부 개구(10e)측의 끝부〕에는,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10f, 10g)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있어서 도시 왼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축부(17a)가 삽입되고, 도시 오른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축부(18a)가 삽입된다. 또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0b)에는, 각각의 중앙부에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노치형상의 슬릿(10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0h)에는 구동체(17, 18)의 아암부(17c, 18c)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2개의 측벽(10c)과 2개의 칸막이 벽(l0d)의 대향면에는 각각 돌출부(10i)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10i)는 상부를 원호형상로 하고 있다.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은 케이스(10)의 접점 수납공간(S1)의 안 바닥부에 일렬로 배치되어 있고, 요동지지점으로서 도체판(15)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11a)와, 도체판(15)에 접촉, 이탈하는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11b, 11c)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은 케이스(10)의 접점 수납공간(S2)의 안 바닥부에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고, 요동지지점으로서 도체판(16)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12a)와, 도체판(16)에 접촉, 이탈하는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12b, 12c)로 이루어진다. 단,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과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은,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의 배치로 되어 있다. 또 각 고정접점부재(11a 내지 11c)로부터 도출된 3개의 단자(13)와, 각 고정접점부재(12a 내지 12c)로부터 도출된 3개의 단자(14)는 모두 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체판(15)은, 조작손잡이(22)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도 12 참조)에서 구동체(17)를 지지하는 초기 받이부(15a)와, 이 초기 받이부(15a)의 한쪽에 경사면을 연속시키고 있는 측면에서 보아 역 V자형의 상승부(15b)와, 초기 받이부(15a)의 다른쪽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는 평탄부(15c)와, 상승부(15b)로부터 반대 초기 받이부(15a)쪽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는 가동접점부(15d)를 가지는 금속판이고,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와 접촉, 이탈 가능하고,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와 접촉, 이탈 가능하다. 또한 도체판(15)의 짧은 길이방향 양 측부에는 초기 받이부(15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5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5e)를 케이스(10)의 돌출부(10i)에 걸어맞춤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5)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도체판(16)은 도체판(15)과 동일형상이고, 초기 받이부(16a)의 양쪽에 상승부(16b)와 평탄부(16c)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쪽 끝측으로 연장 설치된 가동접점부(16d)가 고정접점부재(12b)와 접촉, 이탈 가능하고,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의 평탄부(16c)가 고정접점부재(12c)와 접촉, 이탈 가능하다. 이 도체판(16)의 짧은 길이방향 양측부에도 기점부(16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6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6e)를 케이스(10)의 돌출부(10i)에 걸어맞춤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6)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이들 한쌍의 도체판(15, 16)도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배치된다.

    구동체(17)는 축부(17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도체판(15)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딩작동부(17d)와, 축부(17a)로부터 옆쪽으로 연장되어 한쪽의 슬릿(10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7c)와, 이 아암부(17c)의 선단에 형성되어 측벽(10b)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피가압부(17b)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체(18)는 축부(18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도체판(16)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딩작동부(18d)와, 축부(18a)로부터 옆쪽으로 연장되어 다른쪽의 슬릿(10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8c)와, 이 아암부(18c)의 선단에 형성되어 측벽(10b)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피가압부(18b)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구동체(17, 18)는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조립되고, 서로의 아암부(17c, 18c)가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구동체(17, 18)를 케이스(10)에 맞붙일 때에는, 케이스(10)내에서 접점 수납공간(S1, S2) 사이에 존재하는 폭이 좁은 공간에 아암부(17c, 18c)를 배치시켜, 그 폭이 좁은 공간을 거쳐 대향하는 한쌍의 슬릿(10h)의 바깥쪽으로 각각 피가압부(17b, 18b)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쌍을 이루는 한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축부(17a)를 삽입하고, 또한 한쌍을 이루는 다른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축부(18a)를 삽입한다.

    판스프링(19)은 케이스(10)의 측벽(10b)에 설치되어 구동체(17)의 축부(17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기 때문에, 그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17)의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에 탄성 접촉된다. 그리고 축부(17a)를 중심으로 구동체(17)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상을 슬라이딩하여, 이 도체판(1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판스프링(20)도 측벽(10b)에설치되어 구동체(18)의 축부(18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고, 그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18)의 슬라이딩작동부(18d)가 도체판(16)에 탄성 접촉된다. 그리고 축부(18a)를 중심으로 구동체(18)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작동부(18d)가 도체판(16) 상을 슬라이딩하여, 이 도체판(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이 스위치장치는 판스프링(19)이나 구동체(17)나 도체판(15)이나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을 접점 수납공간(S1) 내에 배치시킨 제 1 스위치소자와, 판스프링(20)이나 구동체(18)나 도체판(16)이나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을 접점 수납공간(S2) 내에 배치시킨 제 2 스위치소자가 케이스(10) 내에 병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커버(21)에는 하단부의 4 모서리에 설치편(片)(21c)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설치편(21c)을 구부려 케이스(10)의 4 모서리에 걸어 멈춤으로써,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한 상태에서 커버(21)는 케이스(10)에 고정된다.

    또 이 스위치장치의 조립공정의 최종단계에서 조작손잡이(22)를 설치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가압 돌기부(22b, 22c)를 각각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에 탄성 접촉시켜 프리텐션을 걸은 상태(여압상태)로 해 둔다. 이 상태에서 구동체(17, 18)의 슬라이딩작동부(17d, 18d)는 각각 도체판(15, 16)의 상승부(15b, 16b)의 하단부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슬라이딩작동부(17d, 18d)는 각각 상승부(15b, 16b)의 경사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조작손잡이(22)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 즉 조립공정에서 조작손잡이(22)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경사져 있는 상승부(15b, 16b)에 의하여 구동체(17, 18)를 지지할 수는 없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슬라이딩작동부(17d,18d)는 각각 초기 받이부(15a, 16a)와 맞닿아 있고, 그에 따라 피가압부(17b, 18b)는 도 5에 나타내는 높이위치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조작손잡이(22)와 구동체(17, 18) 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조작시에 조작손잡이(22)가 피가압부(17b, 18b)를 일정량 누르는 여압상태로 해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미리 이 일정량의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체(17, 18)의 회전량을 고려하여, 조작손잡이(22)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는 슬라이딩작동부(17d, 18d)가 각각 도체판(15, 16)의 초기 받이부(15a, 16a)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는 도체판(15, 16)의 형상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조작시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체(17)의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의 하단부〔초기 받이부(15a)의 근방〕상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1a, 11c)가 도체판(15)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접점부재(11a, 11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 구동체(18)의 슬라이딩작동부(18d)는 도체판(16)의 상승부(16b)의 하단부〔초기 받이부(16a)의 근방〕상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2a, 12c)가 도체판(16)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접점부재(12a, 1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를 가압조작하여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소정량 회전시키면, 구동체(17)의 피가압부(17b)가 조작손잡이(22)의 가압 돌기부(22b)에 눌려 아암부(17c)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축부(17a)가 약간 상승하여판스프링(19)의 중앙부를 상향으로 밀어 휘게 하면서,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 상을 슬라이딩하여 가서, 슬라이딩작동부(17d)가 고정접점부재(11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도 6 참조). 또 이와 같은 조작손잡이(22)의 가압조작에 따라 가압 돌기부(22c)가 상승하기 때문에 구동체(18)는 무부하상태가 되고,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18d)가 초기 받이부(16a) 상으로 이동하여 피가압부(18b)가 약간 밀어 올려진다. 단, 슬라이딩작동부(18d)가 상승부(16b)로부터 초기 받이부(16a) 상으로 이동하여도 도체판(18)의 자세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1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체판(15)은 슬라이딩작동부(17d)가 상승부(15b) 상을 슬라이딩해 가는 과정에서 회전하고,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로부터 떨어져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에 맞닿기 때문에, 도체판(15)을 거쳐 고정접점부재(11a, 11b)가 도통됨에 의한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개방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3)로부터 출력된다.

    또 도 6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판스프링(19)의 복원력이 구동체(17)의 축부(17a)에 작용하여, 슬라이딩작동부(17d)가 상승부(15b)의 경사면을 따라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17d)가 고정접점부재(11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피가압부(17b)가 가압 돌기부(22b)를 밀어 올려, 도 5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구동체(18)의 피가압부(18b)는 다시 가압 돌기부(22c)에 눌려, 슬라이딩작동부(18d)가 상승부(16b) 상으로 이동하나,도체판(16)의 자세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단자(1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체판(15)은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로부터 떨어져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에 맞닿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1a, 11b)의 도통이 차단됨에 의한 스위치 오프의 전환신호가 단자(13)로부터 출력된다.

    다음에, 도 6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를 다시 1단 누른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슬라이딩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 상을 더욱 슬라이딩해 가기 때문에, 상승한 축부(17a)에 의하여 판스프링(19)의 중앙부가 더욱 상향으로 밀어 휘어짐과 동시에, 가압 돌기부(22b)에 의해 피가압부(17b)가 더욱 아래쪽으로 눌린다. 이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가압부(17b)가 조작부위(24a)를 눌러 푸시 스위치(24)가 작동되기 때문에, 윈도우를 전체 개방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또 도 7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판스프링(19)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작동부(17d)가 상승부(15b)의 경사면을 따라 되밀리기 때문에, 도 6의 상태를 거쳐 도 5의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도 5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구동체(18)의 피가압부(18b)가 조작손잡이(22)의 가압 돌기부(22c)에 눌려 아암부(18c)가 회전하고, 슬라이딩작동부(18d)가 도체판(16)의 상승부(16b) 상을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작동부(18d)가 고정접점부재(12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6)이 회전한다. 따라서 고정접점부재(12a, 12b)가도통됨에 의한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4)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2)를 다시 1단 누르면, 가압 돌기부(22c)가 피가압부(18b)를 거쳐 조작부위(25a)를 눌러, 푸시 스위치(25)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를 전체 폐쇄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조작손잡이(22)를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 돌기부(22b)가 상승하기 때문에 구동체(17)는 무부하상태가 되어, 슬라이딩작동부(17d)가 초기 받이부(15a) 상으로 이동하여 피가압부(17b)가 약간 밀어 올려지나, 도체판(17)의 자세는 변화되지 않고, 단자(14)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스위치소자가 동일한 구성으로, 이미 설명한 동작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17, 18)가 도체판(15, 16)과 판스프링(19, 20)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고, 각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가 조작손잡이(22)에 탄성 접촉하고, 또한 슬라이딩작동부(17d, 18d)가 도체판(15, 16)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즉, 판스프링(19, 20)이 각각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를 도체판(15, 16)을 향하여 탄성가세하고 있고,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작동부(17d, 18d)에는 상승부(15b, 16b)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피가압부(17b, 18b)는 조작손잡이(22)의 가압 돌기부(22b, 22c)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가세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22)에 조작력이 부여되면 가압 돌기부(22b)(또는 22c)가 피가압부(17b)(또는 18b)를 직접 눌러 슬라이딩작동부(17d)(또는 18d)를 도체판(15)(또는 16) 위에서 슬라이딩시켜, 조작손잡이(22)에 대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피가압부(17b)(또는 18b)가 조작손잡이(22)을 되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17, 18)나 조작손잡이(22)가 조작시에 덜거덕거림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손잡이(22)를 여압상태에서 설치하면, 구동체(17, 18)가 약간량 회전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여, 조작손잡이(22)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서 슬라이딩작동부(17d, 18d)가 도체판(15, 16)의 초기 받이부(17a, 18a) 상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22)를 덜거덕거림이 없는 상태에서 설치한 경우에 염려되는 도체판(15, 16) 위에서의 슬라이딩작동부(17d, 18d)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다. 따라서 조작시의 온 타이밍이 원하지 않게 빨라지는 등의 동작불량이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17, 18)를 조작손잡이(22)로 직접 누를 수 있어, 다른 구동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복귀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판스프링(19, 20)을 축부(17a, 18a) 위의 좁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도모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조작손잡이(22)에 눌린 피가압부(17b, 18b)에 의해 푸시 스위치(24, 25)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푸시 스위치용의 구동부재를 따로 부설할 필요가 없고, 때문에 메뉴얼조작에 더하여 완전 개방, 완전 폐쇄조작을 행할 수 있는 다기능의 스위치장치이면서,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아 소형 박형화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또한 이 스위치장치는 케이스(10)의 바닥벽(1Oa) 상에 도체판(15, 16), 구동체(17, 18), 판스프링(19, 20), 커버(21)의 순으로 조립하여 갈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에도 우수하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과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끼리, 도체판(15)과 도체판(16)끼리, 및 구동체(17)와 구동체(18)끼리가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0)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측벽(10c)과 칸막이 벽(l0d)에 축부(17a, 18a)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부(10f, 10g)를 설치하고, 또한 케이스(10)의 측벽(10b)에 아암부(17c, 18c)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릿(10h)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0)의 높이 치수를 억제하면서 구동체(17, 18)의 가동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19)이나 판스프링(20)으로 케이스(10)의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하면, 커버(21)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스프링부재에 탄성 가세되는 구동체가 피가압부와 슬라이딩작동부를 각각 조작손잡이와 도체판에 탄성 접촉시키고 있고, 조작손잡이로 피가압부를 누르면 슬라이딩작동부가 도체판상을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나 조작손잡이가 조작시에 덜거덕거림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진다. 게다가 조작손잡이를 여압상태에서 설치하면, 구동체가 약간량 회전하는 것을 미리 고려하여, 조작손잡이가 존재하지 않는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딩작동부와 도체판과의 맞닿음위치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손잡이를 여압상태에서 설치한 경우에 염려되는 도체판상에서의 슬라이딩작동부의 위치 어긋남이 거의 없고, 온 타이밍이 원하지 않게 빨라지는 등의 동작불량이 미연에 방지되고 있다.

    또 구동체의 피가압부와 조작손잡이와의 사이에 다른 구동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복귀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스프링부재를 좁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장치 전체를 용이하게 박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케이스의 바닥벽상에 도체판, 구동체, 판스프링의 순서대로 조립하여 갈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에도 우수하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