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

申请号 KR1020060064337 申请日 2006-07-10 公开(公告)号 KR100764969B1 公开(公告)日 2007-10-08
申请人 현대자동차주식회사; 发明人 정용수;
摘要 A structure of a module switch for a power window of a vehicle is provided to install a push type knob on a hinge flap having a pair of protrusions where plural contact points are disposed, and leaf springs inserted on two inner surfaces of the knob to allow the knob to be pulled up or pushed down to selectively contact the contact points for simplifying the contact point patterns as well as prevent contraction of the contact points in an extremely cold regions, thereby preventing generation of rattling noise and malfunctioning of the power window. In a structure of a module switch for a power window of a vehicle, a knob(17) is coupled to a hinge flap(11) having a pair of protrusions(13,14) by a shaft(12) to be pulled up or pushed down with respect to the shaft. Conductors are fixed on two inner surfaces of the knob to let the knob be disposed on the center of vertical axis in the horizontal state.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15a,15b,15c,16a,16b,16c) having different lengths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protrusions. The conductors selectively contact the contact points respectively when the knob is pulled up or pushed down. The conductors installed on two inner surfaces of the knob are leaf springs.
权利要求
  •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힌지편에 놉을 상, 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축으로 결합하되, 놉의 양쪽 내 측면에는 놉이 수평상태에서 수직 중심축 상에 위치되게 도체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힌지편의 각 돌출부에는 놉의 상, 하방향 회동 시 각 도체가 택일적으로 순차 접속하는 길이가 다른 복수 개의 접점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놉의 양쪽 내 측면에 고정되는 도체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이 놉의 양 측면에 인써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
  • 说明书全文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Module Switch Structure of Power Window for an Automobile}

    도 1은 종래 슬라이드 타입의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놉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편의 측면도

    도 7a는 놉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도어 글라스를 여는 상태도

    도 7b는 놉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도어 글라스를 닫는 상태도

    도 8은 도 7a의 C - C선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힌지편 12 : 축

    13, 14 : 돌출부 15a, 15b, 15c, 16a, 16b, 16c : 접점

    17 : 놉 18a, 18b : 도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글라스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Power Window)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온도가 낮은 극지방에서 자동차의 운행 시에도 파워 윈도우의 조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도어 글라스를 개폐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대별된다.

    상기 수동식은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도어핸들의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도어글라스를 승, 하강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전동식은 스위치의 조작 시 모터의 동력을 매개로 도어 글라스를 승, 하강시키는 방식, 즉 파워 윈도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파워 윈도우는 도어의 내 측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모듈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도어 글라스가 한꺼번에 개폐되거나, 일정량씩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종래 슬라이드 타입의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도어 트림(도시는 생략함)에 모듈 스위치(1)의 하우징(2)이 내장되어 외부로 슬라이드 놉(3)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놉의 저면에는 하우징(2)의 저면에 위치된 다수 개의 접점(4a)(4b)(4c)과 콘택트(contact)되는 가동 접점(5)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놉(3)이 도 1과 같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가동 접점(5)이 접 지 접점(4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도어 글라스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슬라이드 놉(3)의 이동으로 가동 접점(5)이 열림 접점(4b)에 접속되면 도어 글라스(도시는 생략함)가 열리고, 반대로 도어 글라스가 열린 상태에서 가동 접점(5)이 닫힘 접점(4c)과 접속되면 도어 글라스가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슬라이드 타입의 모듈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외기의 온도가 낮은 극지방의 경우 저온(약 -30℃정도)의 구간에서 가동 접점이 수축되는 현상으로 인한 공차 증가로 인해 래틀링 노이즈(rattling noise)가 발생되므로 윈도우의 개폐 시 오 조작되는 현상이 야기되었다.

    둘째,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접지 접점 및 다운, 업 접점의 패턴이 복잡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게 됨은 물론 기판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셋째, 단품의 크기에 제약이 있어 레이 아웃(lay-out)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패턴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드 타입을 푸쉬 타입으로 변경하여 플레이트간의 공용화가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돌출부를 갖 는 힌지편에 놉을 상, 하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축으로 결합하되, 놉의 양쪽 내 측면에는 놉이 수평상태에서 수직 중심축 상에 위치되게 도체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힌지편의 각 돌출부에는 놉의 상, 하방향 회동 시 각 도체가 택일적으로 순차 접속하는 길이가 다른 복수 개의 접점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의 모듈 스위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놉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 - 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힌지편(11)에 축(12)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3)(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돌출부의 측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3개의 접점(15a)(15b)(15c)(16a)(16b)(16c)이 형성되어 있는데, 길이가 가장 긴 접점(15a)(16a)은 중립구간의 접점이고 중간 길이의 접점(15b)(16b)은 수동구간의 접점이며 길이가 가장 짧은 접점(15c)(16c)은 자동구간의 접점이다.

    즉, 도 6a에 나타낸 접점(15a)(15b)(15c)은 도어 글라스를 다운(down)시키기 위한 것이고, 도 6b에 나타낸 접점(16a)(16b)(16c)은 도어 글라스를 업(up)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편(11)에 형성된 축(12)에는 놉(17)이 상, 하방향으로 회동 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놉(17)의 양쪽 내 측면에는 놉(17)이 수평상태에서 수직 중심축 상에 위치되게 도체(18a)(18b)가 각각 고정되어 놉(17)의 회동에 따라 상기 도체(18a)(18b)가 접점(15a)(15b)(15c)(16a)(16b)(16c)에 택일적으로 접속되어 회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놉(17)의 양쪽 내 측면에는 축(12)에 끼워지는 삽입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편(11)과 놉(17) 사이에는 놉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놉을 수평상태로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체(18a)(18b)를 각 접점(15a)(15b)(15c)(16a)(16b)(16c)에 긴밀히 접속되도록 설치하면 되지만, 보다 긴밀한 접속을 위해 도 8과 같이 도체(18a)(18b)를 판 스프링으로 적용하고 상기 판 스프링을 놉(17)의 사출성형 시 인써트(insert)시키는 것이 대량 생산에 보다 유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힌지편(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놉(17)이 수평상태에서는 놉의 양 쪽 내 측면에 인써트 고정된 판 스프링과 같은 도체(18a)(18b)가 중립구간의 접점(15a)(15b)과 접속되어 있어 윈도우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도어 글라스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도어 글라스를 열기(down) 위해 놉(17)을 도 7a와 같이 약간 눌러주면 도체(18a)가 돌출부(13)에 형성된 중립구간의 접점(15a)과 수동 다운구간의 접점(15b)에 동시에 접속되므로 도어 글라스가 놉(17)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해서 열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놉(17)을 더욱 누르면 도체(18a)가 중립구간의 접점(15a)과 수동 다운구간의 접점(15b)은 물론이고 자동 다운구간의 접점(15c)과 동시에 접속되므로 도어 글라스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 글라스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글라스를 닫기 위해 놉(17)을 도 7b와 같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놉(17)의 반대편에 인써트 고정된 도체(18b)가 다른 일 측의 돌출부(14)에 형성된 중립구간의 접점(16a)과 수동구간의 접점(16b)에 동시에 접속되므로 놉(17)을 들어올리고 있는 동안 도어 글라스가 닫히게 된다.

    그러나 놉(17)을 최대한 들어올리면 도체(18b)가 중립구간의 접점(16a)과 수동 업구간의 접점(16b) 그리고 자동 업(up)구간의 접점(16c)과 동시에 접속되므로 열렸던 도어 글라스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플레이트 패턴의 단순화가 가능해져 플레이트간의 공용화 실현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게 된다.

    둘째, 불필요한 패턴을 단순화하므로 모듈 스위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셋째, 외기의 온도가 낮은 극지방에서도 플레이트 자체의 수축으로 인한 래 틀링 노이즈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단품 레이 아웃 상 크기를 축소할 수 있게 되므로 설계 용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