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 형상의 입력장치 및 전자기기

申请号 KR1020030029245 申请日 2003-05-09 公开(公告)号 KR100502750B1 公开(公告)日 2005-07-21
申请人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하기와라야스지; 이나무라준이찌;
摘要 (과제) 조작성이 우수한 동시에 패션성이 높은 형태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 10)는, 평평한 끈 형상의 스트랩(11), 스트랩(11)을 고리 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15) 및 연결부재(15)와 휴대용 음향기기(18)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코드(접속수단: 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权利要求
  • 목걸이형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을 고리 형상으로 연결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에, 저항체층 또는 전극층을 구비한 1 이상의 띠형상의 적층체를 구비한 입력부가 내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가요성 기판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적층된 한 쌍의 기판 중 일측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타측 가요성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상기 슬릿에 삽입 통과되어 이 슬릿을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층 어긋남 이동이 자유로운 선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적어도 일부가 방수형 포장체에 싸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음성신호용 배선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체를 구비한 포장체와 상기 배선부재가 외장체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와 배선부재를 구비한 외장체의 양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케이스형으로 되고, 이 연결부재의 외벽에 부분적으로 이중벽 구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벽 구조부를 통해 상기 스트랩의 피복체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접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재 내부측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에 케이스형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내부에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배선부재가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의 내부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접속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수납되고, 상기 타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에 상기 배선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기기용의 출력이 가능한 단자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탈착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접속된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면 상에서 지시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표입력을 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입력부 동작의 허가/금지를 전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 항에 기재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리스트형 등의 띠 형상의 스트랩, 상기 스트랩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스트랩에 내장된 1 이상의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이 각각에 저항체층 또는 전극층을 구비한 1 이상의 띠 형상인 가요성 기판의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된 한 쌍의 기판 중 일측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타측 가요성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상기 슬릿에 삽입 통과되어 이 슬릿을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층 어긋남 이동이 자유로운 선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적어도 일부가 방수형 포장체에 싸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음성신호용 배선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체를 구비한 포장체와 상기 배선부재가 외장체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와 배선부재를 구비한 외장체의 양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케이스형으로 되고, 이 연결부재의 외벽에 부분적으로 이중벽 구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벽 구조부를 통해 상기 스트랩의 피복체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접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재 내부측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에 케이스형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내부에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배선부재가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의 내부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접속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수납되고, 상기 타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에 상기 배선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기기용의 출력이 가능한 단자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탈착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접속된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면 상에서 지시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표입력을 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입력부 동작의 허가/금지를 전환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14 항에 기재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서로 대향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1 또는 복수개의 노치부를 갖는 스페이서층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각 노치부에 대응하는 평면영역이 이 입력장치의 입력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입력부에, 상기 스페이서층의 노치부와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둘러싸인 간극부 및 이 간극부에 면하는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내면에 각각 형성된 접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입력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에 면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접점부재가 모두 양도체(良導體)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접점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스위치로 작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부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기판 길이방향의 단부에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탈착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면 상에서 지시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표입력을 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이 기판 상을 직접 또는 커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의류 일부에 점착 또는 내장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평평한 끈 형상의 스트랩의 외면측에 점착 또는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을 목에 걸 수 있게 되고, 상기 기판이 스트랩을 목에 걸었을 때에 사용자의 가슴 부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트랩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27 항에 기재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서로 대향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스페이서층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스페이서층 사이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 1 전극부 및 상기 제 1 전극부와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 1 전극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 2 전극부를 갖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에 면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 내면의 접점부재가 저항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판의 접점부재가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입력부의 평면영역 내의 위치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입력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에 면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접점부재가 모두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접점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스위치로 작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부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기판 길이방향의 단부에 외부의 전자기기와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탈착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면 상에서 지시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표입력을 행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이 기판 상을 직접 또는 커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의류 일부에 점착 또는 내장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평평한 끈 형상의 스트랩의 외면측에 점착 또는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을 목에 걸 수 있고, 상기 기판이 스트랩을 목에 걸었을 때에 사용자의 가슴 부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트랩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 제 40 항에 기재된 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说明书全文

    끈 형상의 입력장치 및 전자기기{INPUT DEVICE AND ELECTRONIC MACHINE OF CORD TYPE}

    본 발명은 전기신호를 통해 전자기기의 조작이나 정보 입력을 행하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34는 리모콘장치(입력장치)를 탑재한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휴대용 음향기기(1231)의 케이스 상면에는, 십자방향 위치에서 시소 작동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원반형 조작부(12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부(1232)에 의해 예컨대 음향디스크의 재생/정지, 스킵(한곡 건너뛰기)이나 백스킵(한곡 되돌리기)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휴대용 음향기기(1231)의 리모콘장치(R2)에는, 휴대용 음향기기(123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S2), 이 조작부(S2)를 구비한 케이스(1233)에 접속된 음성신호용 피복선(1235), 피복선(1235)의 일단부에 접속된 한 쌍의 이어폰(1236) 및 상기 케이스(1233)에 부착되고 일단에 플러그(1237)를 구비한 끈 형상의 피복선(123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피복선(1238)은 음성신호용의 피복선(1235)과 조작부(S2)로부터의 신호를 인출하는 피복선(도시 생략)이 일체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S2)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박스형 케이스(1233) 및 케이스(1233)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조작부(1232)와 동일하게 십자방향에서 시소 작동함으로써 스위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체(123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체(1234)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1231)의 케이스에 구비된 조작부(1232)와 동일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장치(R2)는, 플러그(1237)를 휴대용 음향기기(1231)의 잭부에 끼우거나 뽑아 분리함으로써, 휴대용 음향기기(1231)로의 탈착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1231)의 사용 형태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음향기기(1231)를 의복의 포켓이나 백에 넣은 상태에서 이어폰(1236)을 귀에 꽂고 사용한다. 그리고, 리모콘장치(R2)의 조작부(S2)에 의해 음악 재생/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은 휴대용 음향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리모콘장치로서 유연성을 갖는 끈 형상의 외부장착부재에 형성된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58078호).

    최근, 휴대용 음향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리모콘장치는 소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도 34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리모콘장치(R2)를 소형화하면, 필연적으로 조작부(S2)도 소형화되게 되어 시소 작동하는 조작체(1234)의 폭이나 스트로크가 작아지기 때문에, 조작성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 조작부(S2)로서는 조작체(1234) 대신에 복수개의 버튼스위치를 구비한 것도 있지만, 그 경우에 조작부를 소형화하면 조작성 저하가 더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조작성과 본체의 소형화를 실현시킨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특징을 갖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목걸이형 스트랩 및 상기 스트랩을 고리 형상으로 연결한 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에 1 이상의 입력부가 내장되며,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리스트(wrist)형 스트랩, 이 스트랩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 및 상기 스트랩에 내장된 1 이상의 입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는 목걸이형 또는 리스트형 등의 띠 형상의 스트랩에, 예컨대 전자기기의 조작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들 구성을 구비한 입력장치에 의하면 우수한 조작성을 유지하며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의 패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쉽다.

    또, 본 발명의 「리스트형 등의 띠 형상의 스트랩」에는, 손가락으로 지지하여 휴대, 사용하는 띠 형상의 스트랩뿐만 아니라, 리스트밴드 형상의 손이나 손목 등에 장착한 형태로 사용하거나 휴대하는 것, 직접 손으로 쥐는 것은 아니지만 손으로 쥐어 조작할 수 있고, 가방이나 핸드백, 수화물 등에 감는 타입의 스트랩, 어깨끈형 스트랩, 부츠 스트랩, 손목시계 밴드로서의 스트랩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형이며 경량인 입력장치로 할 수 있어 휴대할 때 및 조작할 때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하여 바람직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스트랩이 각각에 저항체층 또는 전극층을 구비한 1 이상의 띠 형상인 가요성 기판의 적층체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된 한 쌍의 기판 중 일측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슬릿이 형성되고, 타측 가요성 기판의 길이방향 타단부측에 상기 슬릿에 삽입 통과되어 이 슬릿을 따라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층 어긋남 이동이 자유로운 선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되는 한 쌍의 기판의 타단부측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적층됨으로써, 스트랩을 절곡한 경우에 기판끼리 층이 어긋남으로써, 기판끼리의 상호 간격, 나아가서는 전극층 간격 또는 저항체층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부의 전극층이나 저항체층에 국소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타측 기판의 선단부를 슬릿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기판의 층 어긋남 구조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적층체의 적어도 일부가 방수형 포장체에 둘러싸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포장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음성신호용 배선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적층체를 구비한 포장체와 상기 배선부재가 외장체에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층체를 포장체로 덮음으로써 방수성이 높아져 입력부 근방의 내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적층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층 또는 저항체층측에 수분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층이 은 페이스트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수분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은 부식이나 마이그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포장체와 배선부재를 구비한 외장체의 양 단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일체화되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트랩이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목걸이형 또는 리스트형 어느 형상으로 해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외장체의 단부를 피복체로 덮어 이 피복체로 연결부재에 접속시킴으로써, 외장체와 연결부재가 강고하게 접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연결부재가 케이스형으로 되고, 이 연결부재의 외벽에 부분적으로 이중벽 구조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중벽 구조부를 통해 상기 스트랩의 피복체 또는 상기 전자기기로의 접속수단이 상기 연결부재 내부측에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의 이중벽 구조부를 통해 접속수단이 접속됨으로써, 연결부재 내부로의 수분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연결부재 내부에 형성된 접속부분에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 컨트롤러를 비나 안개 속에서 사용해도 연결부재 내부의 회로단자나 전기접속 부분에 부식 문제를 잘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스트랩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각각에 케이스형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연결부재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전자기기의 접속수단이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랩 내부에 상기 접속수단에 접속된 배선부재가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일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의 내부에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접속수단을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수납되고, 상기 타측 케이스형 연결부재에 상기 배선부재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기기용의 출력이 가능한 단자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 내의 단자를 이용하여 전자기기의 출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단자는 스트랩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형 연결부재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 기기의 접속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접속수단에 접속된 전자기기로부터의 음향 정보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1 또는 복수개의 노치부를 갖는 스페이서층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각 노치부에 대응하는 평면영역이 이 입력장치의 입력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입력부에, 상기 스페이서층의 노치부와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둘러싸인 간극부 및 이 간극부에 면하는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내면에 각각 형성된 접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에 의하면, 거의 평면형상의 입력장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쉽고 또한 소형화에 의한 조작성 저하도 낮으므로, 쾌적하게 전자기기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입력장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입력장치의 주요부인 제 1, 제 2 기판이 가요성을 가지며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복이나 휴대품 등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도 쉽다.

    상기 전자기기와의 접속수단으로는 전자기기로의 접속코드를 형성할 수도 있고, 전파 등을 통한 무선 접속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스페이서층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스페이서층 사이에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 1 전극부 및 상기 제 1 전극부와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 1 전극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스트라이프 형상의 제 2 전극부를 갖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는 손가락 등 지시체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해 제 1 전극부와 제 2 전극부 사이에 형성된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 검출량에 따른 입력을 가능하게 한 이른바 정전용량식 입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거의 평면형상의 입력부를 구비한 입력장치로 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가 쉬운 동시에 조작성도 우수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복 등 일부로 사용하는 것이 쉽고 패션성이 우수한 입력수단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에 면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 내면의 접점부재가 저항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판의 접점부재가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입력부의 평면영역 내의 위치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에 의하면, 입력부의 평면영역 상에서 손가락 등의 지시체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지시체의 위치나 이동방향에 따른 출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음향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시체의 위치나 이동방향에 따라 재생 음량이나 음질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입력부가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입력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위치 정보를 출력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에 의하면, 띠 형상의 입력장치에 따라 지시체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그 위치나 이동방향 또는 이동속도에 따른 출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우 자연스러운 조작에 의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어 우수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입력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간극부에 면하여 배치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의 접점부재가 모두 양도체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두 접점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 스위치로 작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평면형상이며 스위치의 ON/OFF 동작이 쉬운 입력부를 구비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두 기판의 외부형상이 띠 형상으로 되고, 상기 두 기판의 외측 단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연결된 스트랩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자기기 등의 입력수단을 스트랩과 겸용할 수 있어 입력부를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성이 손실되는 일이 없다. 종래 휴대용 음향기기에 구비된 조작부와 같이 소형화한 경우에, 조작성이 손실되는 일도 없고 휴대성,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휴대할 때 및 조작할 때의 번거로움을 저감시켜 사용하기 편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접속부에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자기기에 탈착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상 전자기기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조작부로 사용하고, 전자기기에서 분리하면 리모콘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이 기판 상을 직접 또는 커버를 통해 간접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조작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직접 또는 다른 커버 등의 부재를 통해 상기 조작부재에 의해 기판을 눌러 스위칭 동작이나 좌표입력 조작을 행하므로, 항상 소정의 가압력으로 기판을 눌러 조작할 수 있어 가압력의 흔들림에 의한 오조작 등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조작할 때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접속부 또는 연결부재에 접속된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판을 눌러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한 스위칭 조작이나 좌표입력 동작과 함께 보다 복잡한 동작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 좌표입력장치는 좌표입력기능만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나 스위치장치 등을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좌표입력장치가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면 상에서 지시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좌표입력을 행하게 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태블릿을 구비한 입력장치로 할 수 있고 또한 복잡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즉, 평면형상의 조작면을 통해 조작함으로써, 2차원 또는 3차원의 좌표 정보를 전자기기에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의 커서 조작 등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구성을 의류 일부에 점착 또는 내장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슈츠나 넥타이 등에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이며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쉽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에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기능이 탑재되기 때문에, 소형이며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휴대할 때의 패션성이 우수한 입력장치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손목시계나 손목시계형 컴퓨터 등의 스트랩이나 벨트 등에 탑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랩형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스트랩을 목에 걸 수 있게 되고, 상기 기판이 스트랩을 목에 걸었을 때에 사용자의 가슴 부근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트랩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을 목에 건 상태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입력부가 배치되므로,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장치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조작부재에 의해 상기 입력부 동작의 허가/금지를 전환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스트랩으로 사용할 때에 입력부를 잘못 조작하여 전자기기가 예기치 못한 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는 상기 입력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형이며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수단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작성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목걸이형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도면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10)는, 평평한 끈 형상의 스트랩(11), 스트랩(11)을 고리 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재(15) 및 연결부재(15)와 휴대용 음향기기(휴대용 전자기기: 18)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코드(접속수단: 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11)의 표면측(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목에 걸었을 때에 겉이 되는 측)에는, 연결부재(15)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 입력부(12∼14)가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에서는, 도시된 우측(조작자에게 있어서 왼쪽 가슴측)에 배치된 입력부(12)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재생 음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도시된 좌측(조작자에게 있어서 오른쪽)에 배치된 입력부(13,14)에 의해 각각 스킵(곡 건너뛰기) 및 백스킵(곡 되돌리기)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15)의 정면측에는 버튼스위치(1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버튼스위치(15a)의 조작에 의해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재생/정지 조작이나 스트랩(11)에 형성된 입력부(12∼14) 동작의 허가/금지 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재생 음량을 조절하는 입력부(12)에 대해서 도 2∼도 4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2는 입력부(12)의 조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은 입력부(12)를 분해시켜 나타내는 사시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HH선을 따라 자른 단면구조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부(12)는, 띠 형상의 시트 형상의 제 1 기판(21) 및 제 2 기판(24) 사이에 내측에 노치부(26a)를 갖는 띠 형상의 시트 형상의 스페이서층(26)이 위치하여 구성되고, 제 1, 제 2 기판(21,24)과 스페이서층(26)의 노치부(26a)에 둘러싸인 공간이 간극부(27)로 되어 있다. 간극부(27)에 면하는 제 1 기판(21) 내면측(스페이서층측)에 저항체막으로 이루어진 저항체층(접점부재: 22)이 형성되고, 제 2 기판(24) 내면측에 양도체막으로 이루어진 도전체층(접점부재: 2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스페이서층(26)을 사이에 두고 기판(21,24)을 접합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낸 스트랩(11)이 구성되고, 스트랩(11)에서 스페이서층(26)에 형성된 노치부(26a)에 대응하는 평면영역이 입력부(12)로 되어 있다.

    스트랩(11) 외면에는 입력부(12)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되어 있는데, 이들 인쇄는 기판(21,24) 외면에 직접 인쇄할 수도 있고, 기판(21,24)을 덮어 천이나 수지, 피혁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부재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부재에 자수나 음각 또는 인쇄 등의 수단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기판(21), 제 2 기판(24) 및 스페이서층(26)은 가요성을 갖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고, 예컨대 시트 형상의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미드 등의 수지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입력부(12)에서 저항체층(22)은, 예컨대 카본이나 ITO(인듐주석산화물) 등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전계 분포가 발생하는 도전막으로 구성되고, 도전체층(25)은 Al나 Ag, Cu 등의 양도체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한 입력부(12)를 작동시키는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21,24) 상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기판(21,24)을 부분적으로 휘게 하여 저항체층(22)과 도전체층(25)을 부분적으로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저항체층(22)의 양 단에 전압을 인가하여 저항체층(22)의 연장방향의 전계 분포를 형성해 두면, 접촉 위치에서 도전체층(25)에서 취출되는 전위에 의해 입력부(12)의 길이방향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연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얻음으로써, 기판 상을 슬라이딩하는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이동속도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얻은 위치 정보나 이동방향에 따라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부(12)에 의해 음량을 조절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물론 음질 조절 등의 연속적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조작에 입력부(12)를 할당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3 및 14)는 도 4에 나타낸 입력부(12)의 단면 구조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며 구성되어 있고, 제 1 기판(21)과 제 2 기판(24) 사이에 노치부(26a)를 갖는 스페이서층(26)이 위치하게 되고,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내면에 각각 접점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입력부(13,14)가 입력부(12)와 다른 점은 기판(21,24) 내면에 형성된 접점부재가 모두 양도체로 이루어진 도전체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입력부(13,14)에서는, 기판(21,24)을 손가락 사이에 오게 하여 쥐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기판(21,24)을 휘게 하여 상기 도전체층을 접촉시켜 스위치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부(13)를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스킵(한곡 건너뛰기) 동작을 행할 수 있고, 입력부(14)를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백스킵(한곡 되돌리기)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 내면에 형성된 접점부재를 모두 도전체층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들 입력부(13,14)를 입력부(1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상기 기술한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고, 또 입력부(13,14) 상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에 대해서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 즉, 입력부(13)을 손가락으로 쥐면 스킵 동작을 행하고, 입력부(13) 상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딩시키면 빨리감기 동작을 행하도록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15)와 휴대용 음향기기(18)를 접속코드(16)로 접속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접속코드를 형성하지 않은 무선 접속이나 적외선 접속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는 예컨대 연결부재(15)에 무선 접속이나 적외선 접속을 위한 모듈이나 기기를 탑재함으로써 쉽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10)는, 휴대용 음향기기(18)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부나 푸시버튼스위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목걸이형 스트랩으로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휴대성을 갖는 컨트롤러로 된다. 또, 입력부(12∼14)나 버튼스위치(15a)가 사용자의 가슴부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어 양호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입력부(12∼14)를 조작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하측의 입력부를 접촉하듯이 조작하여 음량 제어 등을 하는 경우에, 스트랩의 고리 부분이 목에 걸려 있으므로 한쪽 손으로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손가락으로 상측의 입력부를 접촉하듯이 조작하는 경우에는, 스트랩 일부를 누른 상태에서 입력부를 윗방향으로 접촉하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또한, 스트랩(11)에 여러가지 디자인을 부가함으로써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스트랩 컨트롤러(10)에서는, 입력부(12∼14)를 구성하는 제 1 기판(21) 및 제 2 기판(24)을 각 입력부에서 공통으로 했는데, 본 발명은 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부(12∼14)의 각각을 별개의 기판 및 스페이서층으로 구성하고,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입력부(12∼14)를 예컨대 천제나 끈제의 스트랩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력부(12∼14)를 보호할 수 있고, 신뢰성이 우수한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입력부(12∼14)를 소형화해도 조작성을 잘 손실시키지 않는다는 이점도 갖고 있다. 또한, 스트랩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되어 보다 패션성이 우수한 스트랩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10)에서는, 음악 재생/정지 또는 입력부(12∼14) 동작의 허가/금지 전환에 사용할 수 있는 버튼스위치(15a)를 연결부(15)에 형성한 구성으로 했는데, 이 버튼스위치(15a)의 기능을 갖는 입력부를 추가로 스트랩(11)에 형성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13,14)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입력부를 추가로 형성하면 된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랩 컨트롤러(10) 및 휴대용 음향기기(18)를 접속코드(16)를 통해 접속시킨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10)는 태블릿 등의 좌표입력장치를 구비한 구성이나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고리 형상으로 연결된 스트랩(11)의 연결부분에 무선통신수단을 내장한 좌표입력장치(17)를 구비한 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에 나타낸 스트랩(11)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등한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트랩 컨트롤러에 구비된 좌표입력장치(1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형상의 조작면(17a)을 가지고 있고, 이 조작면(17a) 상에서 손가락 등 지시체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2차원의 좌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좌표입력장치(17)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접촉식이나 정전용량식 태블릿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10)보다 복잡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5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를 개인용 컴퓨터 등의 조작에 사용하면, 좌표입력장치(17)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전환이나 페이지 넘기기, 볼륨 조정 등의 조작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좌표입력장치(17)는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10)와 같이 접속코드를 통해 전자기기에 접속시킬 필요가 없어 조작할 때나 휴대할 때의 번거로움이 저감되어 사용감이 우수한 입력장치로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3 실시형태이고, 도 6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는 연결부재(15)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지지된 스트랩(11), 연결부재(15)에서 연이어 형성된 접속코드(16), 접속코드(16)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재(16b), 이 걸림부재(16b)를 관통한 접속코드(16)의 선단에 형성된 접속플러그(16a) 및 걸림부재(16b)에 고리 형상으로 지지된 장착끈(16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각 구성 요소 중 도 1과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것은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는 스트랩(1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스트랩(11) 상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로운 조작부재(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조작부재(19)는 스트랩 컨트롤러의 입력보조수단으로 기능하고, 스트랩(11)에 형성된 입력부 조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조작부재(19)를 손가락 등으로 잡아 도시된 상하방향(스트랩(1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스트랩(11)을 부분적으로 일정 압력으로 눌러 끼울 수 있으므로, 조작부재(19)에 의해 스트랩(11)에 형성된 입력부에 대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스트랩(11)에 대한 가압력(끼움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오조작 등이 잘 발생하기 않게 되어 사용하기 편한 스트랩 컨트롤러를 실현할 수 있다.

    (제 4, 제 5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 4, 제 5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의 사시구성도로, 도 7A는 리스트 스트랩형의 형태로 한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직사각형 형태로 한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7A에 나타낸 리스트형(손으로 휴대하는 형)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 40a)는 연결부(42), 이 연결부(42)의 일측면에 양 단부가 지지된 고리 형상의 스트랩(41a) 및 스트랩(41a)이 배치된 연결부(42) 측면과 반대측인 측면에 접속된 접속코드(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41a) 상에는 5개의 입력부(44∼48)가 배열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컨트롤러에서는 각각의 입력부에 음악 재생/정지, 음량 조절, 트래킹(곡 시작부분 찾기) 등의 기능을 할당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7B에 나타낸 직사각형 컨트롤러(40b)는 스트랩(41b)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것 이외에는, 도 7A에 나타낸 리스트 스트랩형 컨트롤러(40a)와 동일한 구성으로, 스트랩(41b) 상에 입력부(44∼48)가 배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A, 도 7B에 나타낸 연결부재(42)는 전자기기와의 무선 접속을 위해 또는 적외선 접속을 위한 모듈을 내장할 수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접속코드(43)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도 8은 도 7B에 나타낸 직사각형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B에 나타낸 FF선을 따라 자른 단면구조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7B에 나타낸 컨트롤러(40b)의 스트랩(41b)은 PET 등의 수지재료로 이루어진 기판(50)과 도 8의 좌측에 나타낸 PET 등의 수지제의 스페이서층(52)으로 구성된다. 기판(50)은 스트랩(41b)의 외부형상을 이루는 2개의 기판부(50a,50b)가 그 기초단부측(연결부(42)에 배치되는 측)에 형성된 가교부(50c)에 의해 연결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기판부(50a,50b)는 각각 스트랩(41b)의 표면 및 이면을 이루고, 가교부(50c)를 절곡시켜 양자를 중첩시킴으로써 스트랩(41b)의 외형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층(52)은 평면사각형상의 시트 형상의 부재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5개의 원형 노치부(52a)가 배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랩(41b)은 가교부(50c)를 절곡시킴으로써 겹쳐지는 기판부(50a,50b) 사이에 스페이서층(52)을 끼우고 접착 등의 고정수단으로 서로 일체화시킴으로써 구성된다. 스트랩(41b) 외면에는 입력부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는 문자나 도형이 인쇄되어 있는데, 이들 인쇄는 기판부(50a,50b) 외면에 직접 인쇄할 수도 있고, 기판부(50a,50b)를 덮어 천이나 수지, 피혁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부재 외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부재에 자수를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기판부(50a)의 도시된 상면측(기판부(50b)와 겹쳤을 때에 내면에 배치되는 면)에는 Ag나 Al 등의 양도체로 구성된 대략 원형상의 전극(접점부재: 55a∼59a)이 일렬로 배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극(55a∼59a)은 배선(5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배선(53)의 일단측은 기판부(50a)의 기초단부측으로 연장되고, 이 기초단부로부터 가교부(50c)를 통해 기판부(50b)의 기초단부에 형성된 단자부(5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부(50b)의 도시된 상면측에도 대략 원형상의 전극(접점부재: 55b∼59b)이 배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극(55b∼59b)은 기판부(50a과 50b)가 겹쳐진 상태에서 전극(55a∼59a)의 각각과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전극(55b∼59b)의 각각으로부터 배선(51)이 접속되어 있고, 그 일단측이 단자부(5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부(50e)에는, 기판부(50a)측의 전극에 접속된 배선(53)과 기판부(50b)측의 전극에 각각 접속된 5개의 배선(51)의 일단측이 배치되고, 이 단자부(50e)에서 도 7B에 나타낸 연결부(42) 내부에서 접속코드(43) 내의 배선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단자부(50e) 양측에는 기판부(50b)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50d,50d)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42)에 스트랩(41b)을 걸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판(50)을 가교부(50c)에서 절곡시키는 동시에, 기판부(50a,50b) 사이에 스페이서층(52)을 끼우고 스트랩(41b)을 구성한 상태에서, 스페이서층(52)의 5개의 노치부(52a)는 각각 전극(55a∼59a)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노치부(52a)가 배치된 평면영역이 입력부(44∼48)에 대응한다. 예컨대, 입력부(44)는 도 9의 단면 구조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부(50a)의 내면측, 노치부(52a) 및 기판부(50b)의 내면측에 둘러싸여 형성된 간극부(54)에 면하여 전극(55a) 및 전극(55b)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입력부(44)를 스위치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입력부(44)의 기판부(50a,50b) 외면을 쥠으로써, 기판부(50a,50b)를 내측으로 휘게 하여 전극(55a)과 전극(55b)을 접촉시킨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입력부(45∼48)에서도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도 8, 도 9를 참조하여 도 7B에 나타낸 직사각형 컨트롤러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도 7A에 나타낸 리스트 스트랩형 컨트롤러(40a)도 그 기본 구성은 도 8, 도 9에 나타낸 구성과 거의 동일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판(50)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기판(50)보다 비교적 긴 띠 형상으로 된 기판을 준비하고, 스페이서를 사이에 둔 후에 연결부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판(50)으로서 기판부(50a,50b)가 가교부(50c)에 의해 접속된 기판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기판부(50a,50b)를 각각 다른 기판으로 준비하고, 물론 스페이서층(52)을 사이에 두고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직사각형 컨트롤러(40b)는 예컨대 휴대용 음향기기의 조작부로 사용할 수 있고, 입력부(44∼48)를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입력부를 스위치 작동시켜 각 입력부에 할당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44)를 조작한 경우에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음악 재생/정지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는, 리스트 스트랩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고 그 스트랩에 입력부(44∼4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써, 휴대용 음향기기의 조작부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종래의 리모콘장치에 비해 경량이며 박형인 동시에 쉽게 소형화할 수 있고, 소형화에 따라 조작성이 손실되는 일도 없다. 또, 스트랩형임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아 우수한 패션성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A, 도 7B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40a,40b)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컨트롤러 이외에, 물론 텔레비전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거치형 전자기기, 그 밖에는 디지털카메라, 필름카메라 등의 조작용 리모콘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 발신기나 통신기를 연결부재(42) 내부에 수납하고, 스트랩에 형성한 입력부에서 이들 적외선 발신기나 통신기를 조작하도록 하면, 텔레비전이나 개인용 컴퓨터, 카메라 등의 조작용 리모콘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텔레비전이나 개인용 컴퓨터, 카메라 이외의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전기기기, 전자기기 일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직사각형 컨트롤러(40b)를 구성하는 스트랩(41b)은 도 8에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스트랩의 다른 구성예를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41b)을 구성할 수 있는 기판(60)의 평면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기판(60)은 평면 L형으로 배치된 기판부(60a)와 기판부(60b)가 기초단부(60c)에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기판부(60a)의 도시된 상면측에는 5개의 전극(65a∼69a)이 배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전극(65a∼69a)은 배선(6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배선(63)의 일단측은 기초단부(60c)를 통과하여 기판부(60b)의 기초단부측에 형성된 단자부(6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기판부(60b)의 도시된 상면측에는 5개의 전극(65b∼69b)이 배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으로부터 배선(61)이 연장되고, 5개의 배선(61)의 일단측이 단자부(6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극(65a∼69a) 및 전극(65b∼69b)의 각각은 평면에서 보아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전극선이 이들 단부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기판(60)에 의해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41b)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초단부(60c)에서 기판(60)을 절곡시켜 기판부(60a)와 기판부(60b)를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겹친다. 이 때, 기판부(60a)와 기판부(60b) 사이에 스페이서로서 PET 시트 등의 가요성을 갖는 절연성 시트를 끼우고 대향 배치되는 전극(65a∼69a)과 전극(65b∼69b)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다. 이와 같이 하여 스트랩을 구성한 상태에서 전극(65a)과 전극(65b)은 평면에서 보아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고, 전극(65a)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극선과 전극(65b)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전극선은 평면에서 보아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또, 전극(66a∼69a)과 전극(66b∼69b)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전극(65a∼69a)의 평면영역이 스트랩(41b)에서의 입력부(44∼48)를 이룬다.

    이와 같이 해서 기판(60)을 사용하여 구성된 스트랩(41b)을 구비한 컨트롤러에서는, 도 8에 나타낸 기판(50)을 구비한 컨트롤러와 같이 입력부의 기판부를 휘게 하여 스위치 동작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 등을 입력부에 가까이 하거나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스위치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전극(65a)과 전극(65b)으로 구성되는 입력부에 대해서 설명하면, 대향 배치된 전극(65a)과 전극(65b)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65a)과 전극(65b) 사이에 전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 전극(65a,65b)에 대하여 손가락 등을 가까이 하면, 이들 전극간에 형성된 전계 상태가 변화하여 그에 따른 전압 변화를 신호로서 단자부(60e)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신호에 따른 스위치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에서는 기판부(60a,60b)를 겹쳤을 때에 전극(65a∼69a) 및 전극(65b∼69b)이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전극(65a∼69a) 및 전극(65b∼69b)이 외부 방향으로 되도록 기판부(60a,60b)를 겹침으로써, 기판부(60a,60b)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필요없게 할 수 있다.

    도 10에는 기판부(60a)와 기판부(60b)가 기초단부(60c)에서 접속된 구성을 갖는 기판을 나타냈는데, 물론 기판부(60a)와 기판부(60b)가 각각 독립된 기판일 수도 있고, 그 경우에도 전극이 형성된 면끼리가 대향하지 않도록 하여 양자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기판(60)으로 구성된 컨트롤러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기판(70) 및 도 12에 나타낸 기판(80)은 도 10에 나타낸 기판(60)과 동일하게 스트랩(41b)을 구성한 경우에, 정전용량식의 입력부를 구비한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는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기판(7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부(70a) 및 기판부(70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된 단자부(70e)를 구비하고, 기판부(70a)의 도시된 상면측에는 5개의 전극부(75∼79)가 배열 형성되어 있고, 기판부(70a) 상에서 전극부(75∼79)와 대응하는 영역이 도 7B에 나타낸 입력부(44∼48)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전극부(75)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전극(75b) 및 전극(75b)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프레임 형상의 전극(75a)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극(75a)과 전극(75b)은 협소한 간극을 두고 이간되어 있다. 또, 전극부(76∼79)도 각각 전극부(7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극(75a∼79a)은 배선(7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배선(73)의 일단측은 단자부(7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극(75b∼79b)의 각각으로부터 배선(71)이 연장되고, 배선(71)의 타단측은 단자부(7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기판(70)을 사용하여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41b)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기판(70)의 전극부가 형성된 측에 PET 시트 등의 절연성 보호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70)을 사용하여 구성된 스트랩(41b)을 구비한 컨트롤러는, 도 10에 나타낸 기판(60)을 구비한 컨트롤러와 동일하게 입력부(44∼48) 상에 손가락을 접근 또는 접촉시킴으로써 입력부의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다.

    도 12에 나타낸 기판(80)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부(80a) 및 기판부(80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된 단자부(80e)를 구비하고, 기판부(80a)의 도시된 상면측에는 5개의 전극부(85∼89)가 배열 형성되어 있고, 기판부(80a) 상에서 전극부(85∼89)와 대응하는 영역이 도 7B에 나타낸 입력부(44∼48)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전극부(85)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빗살 형상의 전극(85a) 및 평면에서 보아 대략 빗살 형상의 전극(85b)이 상호의 빗살 부분을 교대로 맞물리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고, 전극(85a)과 전극(85b)은 협소한 간격을 가지고 이간되어 있다. 또, 전극부(86∼89)도 각각 전극부(8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극(85a∼89a)은 배선(8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배선(83)의 일단측은 단자부(8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극(85b∼89b)의 각각으로부 배선(81)이 연장되고, 배선(81)의 타단측은 단자부(8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기판(80)을 사용하여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41b)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기판(80)의 전극부가 형성된 측에 PET 시트 등의 절연성 보호 시트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기판(80)을 사용하여 구성된 스트랩(41b)을 구비한 컨트롤러는, 도 10에 나타낸 기판(60)을 구비한 컨트롤러와 동일하게 입력부(44∼48) 상에 손가락을 접근 또는 접촉시킴으로써 입력부의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기판(60)과 동일하게 스트랩(41b)에 적용할 수 있는 기판(90)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기판(9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부(90a) 및 기판부(90a)의 길이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된 단자부(90e)를 구비하고, 기판부(90a)의 도시된 상면측에는 5개의 전극부(95∼99)가 배열 형성되어 있고, 기판부(90a) 상에서 전극부(95∼99)와 대응하는 영역이 도 7B에 나타낸 입력부(44∼48)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전극부(95)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 자 형상의 전극(95a)과 전극(95b)이 서로의 개구단측을 맞물리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고, 다른 전극부(96∼99)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극(95a)은 기판부(90a) 상에 형성된 배선(93)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배선(93)의 일단측은 단자부(9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전극(95b∼99b)의 각각으로부터 배선(91)이 연장되고, 배선(91)의 타단측은 단자부(90e)까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기판(90)을 사용하여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41b)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기판(90)의 전극부가 형성된 측에 PET 시트 등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와 보호 시트를 적층한다. 이 스페이서로는 전극부(95∼99)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개구된 것이 사용되고, 보호 시트로는 그 내면측의 전극부(95∼99)와 대향하는 위치에 금속박막 등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접점부가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41b)에서는 예컨대 입력부(44)를 손가락으로 쥠으로써, 보호 시트 또는 기판부(90a)가 부분적으로 휘게 되어 보호 시트 내면측의 접점부와 전극부(95)가 접촉됨으로써, 전극(95a)과 전극(95b)이 상기 접점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입력부(44)를 스위치 작동시킨다. 또, 입력부(45∼48)에서도 동일한 조작으로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다.

    (입력장치의 적용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적용예에 대해서 도 14∼도 17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일 형태인 리모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4B는 상기 리모콘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례인 비디오카메라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A에 나타낸 리모콘장치(105)는 본체부(101), 본체부(101)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입력부(102) 및 본체부(10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된 접속부(10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장치에서 입력부(102)는 앞서 설명한 도 7의 입력부(44∼48)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본체부(101)는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접속부(106)에는 도시되지 않은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코드(108)를 통해 비디오카메라(109)에 접속하는 사용형태 이외에, 상기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비디오카메라(109)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부터 박형 또는 소형이며 경량이고 또한 무선에 의해 쾌적하게 전자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한 우수한 리모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일 형태인 리모콘장치의 사시구성도로, 리모콘장치(100)는 본체부(101)와 본체부(101)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입력부(102) 및 본체부(101)의 일측면에 접속된 접속코드(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장치에서 입력부(102)는 앞서 설명한 도 7에 나타낸 입력부(44∼48)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본체부(101)는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리모콘장치보다 박형이며 경량인 리모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7B에 나타낸 컨트롤러(40b)의 스트랩(41b)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입력장치를 넥타이에 내장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넥타이(110)에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111)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이 넥타이(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조작할 수 있고, 패션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도 7B에 나타낸 컨트롤러(40b)의 스트랩(41b)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입력장치를 슈츠의 가슴 포켓부에 내장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슈츠(120)에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121)가 탑재되어 있으므로, 슈츠(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조작할 수 있고, 패션성 및 조작성이 우수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기기)

    도 18∼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를 손목시계(또는 손목시계형 컴퓨터)의 스트랩(시계 밴드)으로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 도면에 나타낸 손목시계(180)는 시계 본체부(181)와 스트랩(시계 밴드: 185)을 구비하고 있고, 스트랩(185) 외면측에 복수개의 입력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목시계형이기 때문에 휴대 사용이 쉽고 쾌적하며 또한 다른 전자기기도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9는 상기 실시형태의 목걸이형 스트랩 컨트롤러(10)를 구비한 비디오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비디오카메라(130)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10)에 의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 있다.

    도 20은 상기 실시형태의 목걸이형 스트랩 컨트롤러(10)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휴대전화기(140)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10)에 의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컨트롤러(10)에 이어폰 및 마이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핸즈프리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1은 상기 실시형태의 직사각형 컨트롤러(40b)를 구비한 노트형 개인용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노트형 개인용 컴퓨터(150)는 본 발명에 관한 직사각형 컨트롤러(40b)에 의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 있다.

    도 22는 상기 실시형태의 직사각형 컨트롤러(40b)를 구비한 휴대정보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휴대정보단말(160)은 본 발명에 관한 직사각형 컨트롤러(40b)에 의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실시형태의 목걸이형 스트랩 컨트롤러(10)를 구비한 미니디스크플레이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미니디스크플레이어(170)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10)에 의해 쾌적하게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패션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상 설명한 스트랩 컨트롤러에서는 목걸이형과 리스트형, 시계 밴드형의 것을 설명했는데, 스트랩 컨트롤러의 스트랩에는, 이것들 이외에 가방이나 핸드백, 수하물 등에 감는 타입의 스트랩, 어깨끈형 스트랩, 부츠 스트랩 등으로 여러가지 형태의 스트랩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 6 실시형태)

    도 24∼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 200)는 목걸이형의 평평한 끈 형상(띠 형상)으로 대략 V 자형으로 형성된 스트랩(211), 이 스트랩(211)을 고리 형상으로 연결하고 있는 제 1 연결부재(215)와 제 2 연결부재(216)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215)와 도시되지 않은 휴대용 음향기기를 접속시키는 접속코드(접속수단: 2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형태에서는 접속코드(217)의 선단부에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휴대용 전자기기: 18)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플러그(미니플러그: 217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제 6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200)에서, 스트랩(211)은, 제 1 연결부재(215)를 일단측에, 제 2 연결부재(216)를 타단측에 각각 배치하여 이들을 연결하여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2개의 스트랩 본체(211A,211B)로 이루어지고, 일측 스트랩 본체(211A)에는 1 세트의 스위치부재(입력부: 218,219)가 내장되는 동시에, 타측 스트랩 본체(211B)에는 슬라이드형 스위치부재(입력부: 220,22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트랩 본체(211A,211B) 내부에는 PET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가요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멤브레인(223)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상기 멤브레인(223)은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 1∼제 4 기판(223a,223b,223c,223d)을 평행하게 이간 배치시키고, 추가로 4개의 기판(223a∼223d) 각각의 일단측을 창살부(223e)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창살부(223e)의 중앙부측에서 제 3 기판(223c)의 형성측과 반대측에는 창살부(223e)를 혀 모양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단자부(224)가 돌출 형성되고, 이 단자부(224)에는 후술하는 입력부의 접점부에 접속시켜 전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로패턴(2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멤브레인(223)은 도 26B 또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223a)의 기초단부측 창살부(223e)의 일부분을 폴딩하여 제 2 기판(223b) 상에 제 1 기판(223a)을 겹쳐 적층체(223A)로 되고, 제 4 기판(223d)의 기초단부측 창살부(223e)의 일부분을 폴딩하여 제 3 기판(223c) 상에 제 4 기판(223d)을 겹쳐 적층체(223B)로 되며, 전체적으로 도 26B 또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갈래 형상으로 되도록 가공되어 있다. 또, 폴딩된 창살부(223e)의 근방 표면에 형성된 접착층(226)에 의해 제 2 기판(223b)의 기초단부측에 제 1 기판(223a)의 기초단부측이 접착되고, 제 3 기판(223c)의 기초단부측에 제 4 기판(223d)의 기초단부측이 접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기판(223b)과 제 3 기판(223c)의 선단부측에 이들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슬릿(223f)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기판(223a)과 제 4 기판(223d)의 각 선단측 양측 가장자리부에 각 기판(223a∼223d)의 횡폭을 상기 슬릿(223f)을 삽입 통과할 수 있는 횡폭으로 조정하기 위한 노치부(223g,223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223a)은 그 선단부(223a1)를 상기 제 2 기판(223b)의 슬릿(223f)을 통해 제 2 기판(223b)의 이면측으로 내서 제 2 기판(223b)에 겹쳐지는 동시에, 제 4 기판(223d)은 그 선단부(223d1)를 상기 제 3 기판(223c)의 슬릿(223f)을 통해 제 3 기판(223c)의 이면측으로 내서 제 3 기판(223c)에 겹쳐진다.

    그리고, 기판(223a, 223b)을 겹친 상태에서 제 1 기판(223a)의 노치부(223g)는 제 2 기판(223b)의 슬릿(223f)의 내연측 위치에 맞춰지는 동시에, 기판(223c,223d)을 겹친 상태에서 제 4 기판(223d)의 노치부(223g)는 제 3 기판(223c)의 슬릿(223f)의 내연측 위치에 맞춰지고, 제 1 기판(223a)의 선단측과 제 2 기판(223b)의 선단측이 서로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층 어긋남이 자유롭게), 또한 제 3 기판(223c)의 선단측과 제 4 기판(223d)의 선단측이 서로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층 어긋남이 자유롭게) 겹쳐져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기판(223a)의 선단부(223a1)측과 제 2 기판(223b)의 선단부(223b1)측이 슬릿(223f)을 따라 노치부(223g,223g) 부분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겹쳐지고, 제 3 기판(223c)의 선단부(223c1)측과 제 4 기판(223d)의 선단부(223d1)측이 슬릿(223f)을 따라 노치부(223g,223g) 부분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겹쳐져 있다.

    한편, 상기 제 1∼제 4 기판(223a∼223d)의 각각의 표면측에는 단자부(224)의 회로패턴(224a)에 접속하는 양도전체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층(223p)이 각 기판을 따라 예컨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성되고, 이들 전극층(223p) 상에는 저항체막으로 이루어진 저항체층(223q)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저항체층(223q)은 그 근방 부분이 절연성 레지스트막(223r)으로 오버코팅되어 소정 범위가 노출되고, 이들 각 노출부분이 접점부(223s)로 되어 있고, 각 기판(223a∼223d)의 표면 부분에는 동일한 평면형상의 접점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기판(223a)과 제 2 기판(223b)을 겹침으로써,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판의 저항체층(223q)끼리 소정 간격 이간되어 배향 배치되어 스위치부재(입력부: 218,219,220,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는 대향하는 저항체층을 휘게 하여 서로 접근시켜 접촉시킴으로써 사용한다.

    또, 상기 기술한 멤브레인(223)의 단자부(224)의 회로패턴(224a)의 각 단자는 상기 제 1∼제 4 기판(223a∼223d) 각각의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층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접점부로부터의 입력이 회로패턴(224a)의 각 단자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스위치부재(218∼221)에서 저항체층의 양 단에 전압을 인가하여 저항체층의 연장방향의 전계 분포를 형성해 두면, 접촉위치에서 전극층으로부터 취출되는 전위에 의해 접점부의 길이방향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연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얻음으로써 기판 상을 슬라이딩하는 손가락의 이동방향이나 이동속도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얻은 위치 정보나 이동방향에 따라 예컨대 단자플러그(217)에 접속된 장치가 앞서 도 1을 기초로 설명한 휴대용 음향기기(18)라면 그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점부에 의해 음량을 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물론 접점부 위치에 따라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전원의 ON/OFF나 채널 전환 또는 트랙 전환 등의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적용되는 스위치부재(218∼221)에서는, 도 26∼도 29에 나타낸 형상을 갖는 저항막과 전극막을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3, 도 4에 나타낸 입력부(12)의 적층구조, 도 8, 도 9에 나타낸 입력부(44)의 적층구조, 도 10∼도 13에 나타낸 각종 구조를 갖는 스위치의 적층구조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부재(218)가 스킵 동작, 스위치부재(219)가 백스킵 동작, 스위치부재(220)가 음량(볼륨: VOL) 다운, 스위치부재(221)가 음량(볼륨) 업의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데, 물론 이들 기능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두 갈래 형상으로 가공된 멤브레인(223)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223a)과 제 2 기판(223b)을 겹친 부분을 폴리에틸렌 자루 등 자루 형상의 가늘고 긴 방수성 포장체(227)에 삽입하고, 제 3 기판(223c)과 제 4 기판(223d)을 겹친 부분을 폴리에틸렌 자루 등 가늘고 긴 자루 형상의 방수성 포장체(228)에 삽입하며, 또 이들을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망 조직체 등의 외장체(229,230)에 삽입 장착되고, 또한 제 3 기판(223c)과 제 4 기판(223d)을 통과한 측의 외장체(230)측에 포장체(228)의 외부를 통과하도록 가요성 배선 기판(배선부재:231)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상기 포장체(227,228)는 일단부를 닫고 타단부를 개구시킨 자루 형상으로 되고, 멤브레인(223)의 직사각형 형상의 기판 전체길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기판(223a)과 제 2 기판(223b)과 이들을 덮는 포장체(227)와 외장체(229)에 의해 일측 스트랩 본체(211A)가 구성되는 동시에, 제 3 기판(223c)과 제 4 기판(223d)과 이들을 덮는 포장체(228)와 가요성 배선 기판(231)과 외장체(230)에 의해 타측 스트랩 본체(211B)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겹쳐진 제 1 기판(223a)과 제 2 기판(223b)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는 포장체(227)의 가장자리부(도 26B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 227a)는 용착되어 간극없이 기판(223a,223b)을 싸는 동시에 겹쳐진 제 3 기판(223c)과 제 4 기판(223d)의 일측 가장자리의 부분에 위치하는 포장체(228)의 가장자리부(도 26B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 228a)도 용착되어 이들이 간극없이 기판(223c,223d)을 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장체(229,230)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상기 멤브레인(223)의 단자부(224)와 상기 가요성 배선 기판(231)의 일단(231A)이 필요한 길이로 연장되는 동시에, 이들 측의 외장체(229,230)가 겹쳐져 이들 표면에 수지 몰드에 의해 형성된 피복체(몰드체: 232)가 형성되어 양자가 결속되는 동시에, 두 갈래로 나뉜 측의 외장체(229,230)의 각 타단부측 표면의 각각에 수지 몰드에 의해 형성된 판 형상의 피복체(233,2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외장체(230)의 타단측에서도 가요성 배선 기판(231)의 타단부(231B)가 필요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외장체(229,230)에서 피복체(232)를 형성한 측이 상기 기술한 연결부재(215)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15)는 평면에서 보아 레이스 트랙형으로 되고, 상면이 개구된 박형 저부 케이스체(240) 및 하면이 개구된 박형 상부 케이스체(241)로 이루어진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 케이스체(240) 내부의 일측에는 상기 기술한 외장체(229)의 단부와 피복체(232)를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제 1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접속코드(217)의 기초단부 커넥터(244)를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게 형성된 제 2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5)가 형성되며, 이 수용부(245)에 인접하여 매닮용 루프형 끈체(246)의 기초단부(246a)를 수용할 수 있는 제 3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7)가 형성되고, 또한 배선 접속용 부착 기판(248)과 커넥터(249)와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부재 등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243)에서는 저부 케이스체(240)의 외벽 일부에 외장체(229)의 단부를 넣기 위한 삽입구(251)가 형성되고, 이 삽입구(251)를 통해 연결부재(215) 내부로 넣어진 상기 기술한 피복체(232)를 그 두께 절반정도 둘러싸기 위한 내부벽(25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벽부(250)의 내측에는 피복체(232)에 형성된 둘레홈부(232A)에 걸기 위한 오목부(250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250a)의 부분을 외장체(229)의 멤브레인(223)이 넘어가는 형태로 넣어져 멤브레인(223)의 단자부(224)의 회로패턴(224a)이 기판(248) 상의 커넥터(249) 회로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외장체(229)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가요성 배선 기판(231)의 배선 선단부(231c)가 커넥터(249) 회로의 일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 2 수용부(245)는 저부 케이스체(240)의 둘레벽 내측에 상기 기술한 접속코드(217)의 커넥터(244)의 선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의 내부벽(260)을 구비한 이중벽 구조로 되고, 저부 케이스체(240)의 둘레벽 일부와 그 내측의 내부벽(260)의 일부를 관통하여 접속코드(217)용의 커넥터(244)가 접합되어 있다. 또, 제 3 수용부(247)는 저부 케이스체(240)의 둘레벽 내측에 상기 기술한 끈체(246)의 이음매가 되는 기초단부(246a)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벽(262)을 가지고, 저부 케이스체(240)의 외벽 일부에 형성된 투과구멍(265)에 상기 끈체(246)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들 제 1∼제 3 수용부(243,245,247)는 연결부재(215)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215)의 저부 케이스체(240) 상에는, 이 저부 케이스체(240)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도 32에 나타낸 상부 케이스체(241)가 나사 고정 등의 접합수단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 상부 케이스체(241)의 중앙부에는 투과구멍(241a)이 형성되고, 이 투과구멍(241a)에 내측으로부터 장착하도록 방수용 고무로 이루어진 원반 형상의 시일체(266)와 원반 형상의 키톱부재(2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키톱부재(267)는 도 31과 도 32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는 스위치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푸시버튼을 구성한다. 또, 상부 케이스체(241)의 둘레벽 내측에는 상기 저부 케이스체(240)의 제 1 수용부(243)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내부벽(2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벽(268)은 상부 케이스체(241)를 저부 케이스체(240)에 덮어서 일체화시킨 경우에, 상기 피복체(232)의 두께 절반 정도를 둘러싸는 내부벽(250)과 함께 상기 제 1 수용부를 구성하여 피복체(232)를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체(241)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저부 케이스체(240)의 제 2 수용부(245)의 내벽부(260)와 함께 커넥터(244)의 선단부를 두께 절반 정도 둘러싸는 내벽부가 구성되어 이중벽 구조로 되고, 또한 상기 저부 케이스체(240)의 제 3 수용부(247)의 내벽부와 함께 끈체(246)의 기초단부(246a)를 둘러싸는 내부벽이 구성되어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부 케이스체(241)의 이중벽 구조 부분은 도 32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연결부재(215)에서는, 저부 케이스체(240)와 상부 케이스체(241)의 제 1 수용부와 제 2 수용부와 제 3 수용부에 의해 상기 외장체(229)의 단부측 및 피복체(232), 접속코드(217)의 커넥터(244) 부분 및 끈체(246)가 모두 방수성이 향상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15)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장체(229,230)에서 반대측의 단부에 도 33에 분해구조를 나타내는 제 2 연결부재(216)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부재(216)는 저부 케이스체(270)와 상부 케이스체(271)로 이루어진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16) 내부에 기판(272)과 접속단자 받이용 단자박스(273)가 수납되는 동시에, 저부 케이스체(270)와 상부 케이스체(271)의 두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275,276)를 통해 외장체(229,230)의 타단부측이 연결부재(216) 내부측에 도입되고, 연결부재(216) 내부에 피복체(233,234)가 수납되어 외장체(229,230)가 빠짐 방지되어 지지되고 있다. 또, 저부 케이스체(270)와 상부 케이스체(271)의 앞면측에는 단자박스(273)의 단자(273a)를 노출시키기 위한 구멍부(277,27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273a)에 별도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접속단자를 외부로부터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 컨트롤러(200)는, 연결부재(215)측을 가슴측에 연결부재(216)를 목 뒷측으로 하여 고리 형상으로 접속된 스트랩 본체(211A,211B)를 목에 걸고 단자플러그(217A)를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휴대용 음향기기(18)에 접속한 상태에서 사용한다.

    사용할 때에는 도 1을 기초로 앞서 설명한 구조를 갖는 스트랩 컨트롤러의 경우와 동일하게 스트랩 본체(211A,211B)의 어느 하나에 내장되어 있는 스위치부재(218∼221)를 손가락으로 쥐고 대향하는 저항체층끼리를 접촉시켜 스위치 기능이나 음량 조정을 행하여 휴대용 음향기기(18)를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또, 키톱부재(267)를 조작하여 연결부재(215) 내부의 버튼스위치 장치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휴대용 음향기기(18)의 재생/정지 조작이나 스트랩 본체(211A,211B)에 형성된 입력부나 스위치부 동작의 허가/금지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200)에서는 멤브레인(233)의 각 기판(233a∼233d)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층을 포장체(227,228)로 덮고 있으므로, 전극층의 방수성을 향상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전극층의 구성 재료로서 은 페이스트를 도포 소성시켜 이루어진 은 전극층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 은 전극층은 수분 존재에 의한 부식 현상에 의해 마이그레이션이라는 상태가 발생하기 쉽고, 마이그레이션을 발생시키면 은 전극층 상에 수지상 결정(dendrite)이 성장하여 대향하는 층끼리 사이에 쇼트현상을 유발시키는 등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포장체(227,228)로 덮어 둠으로써 전극층측에 대한 수분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목에 건 상태에서 사용하는 스트랩 컨트롤러(200)에서 비나 습기 존재에 의한 수분의 전극층에 대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마이그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방수성 향상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 스트랩 본체(211A와 211B)를 결속시키는 피복체(232)의 형성 위치를 포장체(227,228)로 멤브레인(223)의 기판(223a∼223d)을 싸는 부분으로 할 필요가 있고, 양자를 피복체로 구속 상태로 결속시킴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비나 안개 속에서 사용한 경우에, 외장체(229,230)에 만약에 수분이 부착되어도 내부측의 멤브레인(223)의 전극층측에 수분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전극층의 부식 또는 마이그레이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피복체(232)를 연결부재(215)의 이중벽 구조부를 통해 연결부재(215) 내부측에 형성하므로, 연결부재(215)의 근방 부분에서도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코드(217)의 커텍터(244)를 연결부재(215)에 도입한 부분 및 끈체(246)를 연결부재(215)에 접속시킨 부분에서도 이중벽 구조부로 하므로, 이들 부분에서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가요성 배선 기판(231)에서는 배선을 수지로 덮고 있으므로 배선 부분이 부식될 우려는 적고, 그래서 포장체(227,228)로 덮고 있지 않지만, 가요성 배선 기판(231)에서도 필요에 따라 포장체(227,228) 또는 다른 포장체로 별도로 덮어 방수성을 향상시켜도 상관없다.

    또, 상기 구성을 갖는 스트랩 컨트롤러(200)에서는 스트랩 본체(211A,211B)를 구부렸을 때, 슬릿(223f)을 따라 노치부(223g)를 구비한 제 1 기판(223a)의 선단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제 1 기판(223a)과 제 2 기판(223b)의 층이 어긋날 수 있는 동시에, 슬릿(223f)을 따라 노치부(223g)를 구비한 제 4 기판(223d)의 선단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제 3 기판(223c)과 제 4 기판(223d)의 층이 어긋날 수 있으므로, 스트랩 본체(211A,211B)의 요곡성(撓曲性)도 양호하고, 스트랩 본체(211A,211B)를 구부렸을 때에 대향하는 기판끼리의 간격이 바뀔 우려도 적다. 만일 대향하는 기판끼리의 양 단측을 구속시켜 두면, 스트랩 본체(211A,211B)를 구부린 경우에 필연적으로 대향하는 기판끼리 층이 어긋날 수 없으므로, 구부림의 외측에 위치하는 기판이 구부림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말리게 되어 기판끼리 사이의 간격이 바뀔 우려가 높으며, 기판이 말린 부분에서 스위치 조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런 점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기판끼리 층이 어긋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부린 경우의 스위치 조작의 원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컨트롤러(200)를 목에 걸고 사용하는 경우, 목 뒷측에 제 2 연결부재(216)의 단자박스(273)의 단자(273a)가 존재하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의 접속단자를 이 단자(273a)에 삽입함으로써 휴대형 음향기기(18)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200)에서는 제 2 연결부재(216)가 사용자 귀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접속하기 쉬워 이 접속용 코드들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스위치부재(218∼221)를 조작하여 휴대형 음향기기(18)의 스킵 동작, 백스킵 동작, 음량(볼륨: VOL) 다운, 음량(볼륨) 업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데, 목걸이형이므로, 스위치부재(218)에서의 백스킵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스위치부재(218)의 접점부를 아래로 접촉하거나 부분적으로 파지하는 것만으로 조작할 수 있고, 스위치부재(220)를 아래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음량 다운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트랩은 목에 걸려 아래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므로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반대로, 스킵 동작과 음량 업에는 한손으로 스트랩 일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위치부재(219와 221)를 위로 접촉하거나 부분적으로 파지하는 조작만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목걸이형 또는 리스트형 등의 띠 형상의 스트랩에 예컨대 전자기기의 조작수단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입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들 구성을 구비한 입력장치에 의하면, 우수한 조작성을 유지하며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의 패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쉽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형이며 경량인 입력장치로 할 수 있고, 휴대할 때 및 조작할 때의 번거로움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적층되는 한 쌍의 기판의 타단부측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적층함으로써, 스트랩을 절곡한 경우에 기판끼리 층이 어긋남으로써 기판끼리의 상호 간격, 나아가서는 전극층 간격 또는 저항체층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부의 전극층이나 저항체층에 국소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타측 기판의 선단부를 슬릿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기판의 층 어긋남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두 기판의 외부형상을 직사각형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트랩형 입력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우수한 패션성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에서는 기판을 방수형 포장체로 덮어 둠으로써 입력부를 구성하는 기판을 수분으로부터 방호할 수 있고, 수분 존재에 의한 입력부 근방의 부식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외장체의 단부를 피복체로 덮어 이 피복체로 연결부재에 접속시킴으로써, 외장체와 연결부재가 강고하게 접합되어 내인발성을 뛰어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1 또는 복수개의 노치부를 갖는 스페이서층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각 노치부에 대응하는 평면영역이 이 입력장치의 입력부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입력부에 상기 스페이서층의 노치부와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둘러싸인 간극부 및 이 간극부에 면하는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내면에 각각 형성된 접점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예컨대 휴대용 전자기기의 입력수단으로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의복 등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이 쉽고, 패션성이 우수한 입력수단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서는 적층되는 한 쌍의 기판의 일단부측이 일체화되고, 타단부측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적층됨으로써, 스트랩을 절곡한 경우에 기판끼리 층이 어긋남으로써 저항체층의 상호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저항체층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타측 기판의 선단부를 슬릿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함으로써, 구체적인 기판의 층 어긋남 구조가 실현되어 스트랩을 구부렸을 때의 조작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목걸이형 스트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의 입력부의 조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입력부의 사시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HH선을 따라 자른 단면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제 5 실시형태의 스트랩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제 4 실시형태의 리스트(wrist) 스트랩형 컨트롤러, 도 7B는 제 5 실시형태의 직사각형 컨트롤러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7B에 나타낸 FF선을 따라 자른 단면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에 적용할 수 있는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에 적용할 수 있는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에 적용할 수 있는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7B에 나타낸 스트랩 컨트롤러에 적용할 수 있는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4A는 평면도, 도 24B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일측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멤브레인의 분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트랩 본체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트랩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트랩 본체와 피복체를 나타내는 사시약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스트랩 본체를 연결부재의 저부 케이스체에 접합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연결부재의 상부 케이스체를 나타내는 사시약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관한 스트랩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의 타측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리모콘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40a,40b: 스트랩 컨트롤러

    11,41a,41b: 스트랩 12∼14,44∼48: 입력부

    15,42: 연결부재(접속부) 15a: 버튼스위치

    16: 접속코드(접속수단) 18: 휴대용 음향기기

    21:제 1 기판 22: 저항체층(접점부재)

    24: 제 2 기판 25: 도전체층(접점부재)

    26,52: 스페이서층 26a,52a: 노치부

    27,54: 간극부 50a: 기판부(제 1 기판)

    50b: 기판부(제 2 기판) 55a∼59a,55b∼59b: 전극(접점부재)

    200: 스트랩 컨트롤러(입력장치) 211: 스트랩

    211A,211B: 스트랩 본체 215,216: 연결부재

    217: 접속코드(접속수단) 218,219,220,221: 스위치부재(입력부)

    223: 멤브레인 223A,223B: 적층체

    223a,223b,223c,223d: 기판 223f: 슬릿

    223g: 노치부 223a1∼223d1: 선단부

    227,228: 포장체 229,230: 외장체

    231: 가요성 배선 기판(배선부재) 232,233,234: 피복체

    223E: 접점부 243: 제 1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4: 제 2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7: 제 3 수용부(이중벽 구조부)

    249: 커넥터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