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 전자 기기

申请号 KR1020117001889 申请日 2009-06-26 公开(公告)号 KR1020110036079A 公开(公告)日 2011-04-06
申请人 쿄세라 코포레이션; 发明人 다나카겐사쿠; 이토다카시;
摘要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실히 판단하고, 당해 판단에 따라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101)와, 제어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검출부(101)는,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검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하게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权利要求
  •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와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노출하는 열린 상태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는 압력의 값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초과했다는 것을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3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조작 검출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와 상기 조작 검출부를 노출하는 열린 상태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계측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소정값보다도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당해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2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되면 상기 통지부에 의해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도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한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5에 있어서,
    촬상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상기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전원의 제어를 상기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22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계측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부가 가압된 상태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부가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당해 가압의 힘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와,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는, 소정의 힘 이상의 힘으로의 가압을 받아들이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소정의 힘을 상기 가압의 힘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각각 다른 소정의 힘 이상의 힘으로의 가압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상기 스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0에 있어서,
    통지부와,
    힘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제1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상기 가압의 힘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의 힘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정보에 관련되는 힘을 대비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조작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광조사부에 의한 상기 조작부로의 광의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숫자 키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숫자 키의 각 키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기억부는, 수심과 상기 숫자 키의 각 키에 할당된 숫자가 대응되어진 제2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정보에 관련되는 수심을 대비하여 상기 각 키에 할당된 숫자를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광조사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숫자에 대응하는 숫자 키의 각 키에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수심의 기준치와 상기 숫자 키에 있어서의 숫자 1이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함과 더불어, 상기 수심의 기준치에 자연수를 곱해 얻은 값과 상기 숫자 키에 있어서의 당해 자연수가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조작부, 및 그 조작부에 대한 가압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조작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열린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과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작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따른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를 복수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일정 시간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8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9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5에 있어서,
    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대응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관련되는 압력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계측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9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압력의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9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48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소정 범위의 온도가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 및 상기 계측되었다는 것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소정의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침수 상태를 검출하는 침수 상태 검출부와,
    가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제1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통지부와,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 조작에 따른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는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제1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조작 검출부와, 제2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조작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2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광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에 의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62에 있어서,
    복수의 키를 가지고 구성되는 숫자 키를 가지며,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을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기억부는, 수심과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할당된 숫자가 대응되어진 제2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산출된 수심에 대응하는 숫자를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광조사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숫자가 할당된 키에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청구항 63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2 정보로서, 수심의 기준치와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중 숫자 1이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함과 더불어, 상기 수심의 기준치에 자연수를 곱해 얻은 값과,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중 당해 자연수가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 说明书全文

    휴대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복수 가지는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비나 먼지 등에 의한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서, 방수 기능을 부가한 휴대 단말이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당해 검출부에 의해 부하가 검출되면 제1 제어(통상의 휴대 단말이 발휘하는 착신 등의 제기능)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수심계부착 휴대 전자 기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평7-218662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기기에 있어서는,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실히 판단하고, 당해 판단에 따라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휴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와,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본 발명에서는, (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본 발명에서는, (1) 또는 (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본 발명에서는, (1) 내지 (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본 발명에서는, (1) 내지 (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본 발명에서는, (1) 내지 (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본 발명에서는, (1) 내지 (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본 발명에서는, (1) 내지 (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본 발명에서는, (1) 내지 (8)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0)본 발명에서는, (1) 내지 (8)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와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를 노출하는 열린 상태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본 발명에서는, (1) 내지 (1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는 압력의 값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초과했다는 것을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2)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3)본 발명에서는, (1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본 발명에서는, (12) 또는 (1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1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6)본 발명에서는, (1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1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전자 기기.

    (18)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1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9)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1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1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1)본 발명에서는, (12) 내지 (2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조작 검출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와 상기 조작 검출부를 노출하는 열린 상태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일 때에,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수압을 계측하는 수압 계측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본 발명에서는, (2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소정값보다도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당해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본 발명에서는, (22) 또는 (2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되면 상기 통지부에 의해 소정의 통지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5)본 발명에서는, (22) 내지 (2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허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6)본 발명에서는, (2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보다도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한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7)본 발명에서는, (25) 또는 (2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촬상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을 상기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8)본 발명에서는, (25) 내지 (27)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전원의 제어를 상기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9)본 발명에서는, (22) 내지 (28)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압 계측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계측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부가 가압된 상태를 검출하는 제1 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조작부가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당해 가압의 힘을 검출하는 제2 검출부와, 상기 제1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1)본 발명에서는, (3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부는, 소정의 힘 이상의 힘으로의 가압을 받아들이는 스위치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소정의 힘을 상기 가압의 힘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본 발명에서는, (3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각각 다른 소정의 힘 이상의 힘으로의 가압을 받아들이는 복수의 상기 스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3)본 발명에서는, (30) 내지 (3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와, 힘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제1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상기 가압의 힘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의 힘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1 정보에 관련되는 힘을 대비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4)본 발명에서는, (3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조작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광조사부에 의한 상기 조작부로의 광의 조사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5)본 발명에서는, (3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숫자 키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숫자 키의 각 키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기억부는, 수심과 상기 숫자 키의 각 키에 할당된 숫자가 대응되어진 제2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정보에 관련되는 수심을 대비하여 상기 각 키에 할당된 숫자를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광조사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숫자에 대응하는 숫자 키의 각 키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6)본 발명에서는, (3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수심의 기준치와 상기 숫자 키에 있어서의 숫자 1이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함과 더불어, 상기 수심의 기준치에 자연수를 곱해 얻은 값과 상기 숫자 키에 있어서의 당해 자연수가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7)본 발명에서는, (30) 내지 (36)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8)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작부, 및 그 조작부에 대한 가압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조작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열린 상태와, 상기 제1 하우징과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조작부를 피복하는 닫힌 상태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따른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9)본 발명에서는, (38)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를 복수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본 발명에서는, (39)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일정 시간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1)본 발명에서는, (39) 내지 (4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2)본 발명에서는, (38) 내지 (4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3)본 발명에서는, (39) 내지 (4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4)본 발명에서는, (38) 내지 (4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5)본 발명에서는, (38) 내지 (4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6)본 발명에서는, (45)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대응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관련되는 압력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7)본 발명에서는, (38) 내지 (4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8)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상기 조작부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계측부와,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9)본 발명에서는, (48)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본 발명에서는, (49)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우징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51)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한 압력의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2)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상기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3)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4)본 발명에서는, (49) 또는 (5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상기 복수의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5)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실행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6)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통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통지부에 의한 통지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7)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4)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8)본 발명에서는, (48) 내지 (57)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온도 계측부에 의해 소정 범위의 온도가 계측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 및 상기 계측되었다는 것을 상기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9)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정의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조작 검출부와, 침수 상태를 검출하는 침수 상태 검출부와, 가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제1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통지부와,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 조작에 따른 제1 제어를 행하고,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하는 제2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0)본 발명에서는, (59)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검출부는, 제1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조작 검출부와, 제2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조작 검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1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2 가압력과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1)본 발명에서는, (59) 내지 (60)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2)본 발명에서는, (59) 내지 (61)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상기 광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에 의해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3)본 발명에서는, (62)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키를 가지고 구성되는 숫자 키를 가지며, 상기 조작 검출부는,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을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기억부는, 수심과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할당된 숫자가 대응되어진 제2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수심과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산출된 수심에 대응하는 숫자를 산출함과 더불어, 상기 광조사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숫자가 할당된 키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4)본 발명에서는, (63)의 휴대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2 정보로서, 수심의 기준치와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중 숫자 1이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함과 더불어, 상기 수심의 기준치에 자연수를 곱해 얻은 값과, 상기 숫자 키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키 중 당해 자연수가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 전화 장치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작부측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LED의 소비 전력과 디스플레이의 백 라이트의 소비 전력의 대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숫자 키에 의해 심도를 표시할 때의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8은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XX선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1은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다이버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에 관련되는 블럭도이다.
    도 22는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XX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동작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 휴대 전자 기기의 일례로서 휴대 전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등의 안테나를 구비한 다른 통신 기기여도 된다.

    도 1은,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자 기기의 일례인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2는, 휴대 전화 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이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와 리어 케이스(2c)와 도시를 생략한 리어 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제2 하우징)와, 표면이 프런트 패널(3a)과 프런트 케이스(3b)와 리어 케이스(3c)와 리어 패널(3d)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제1 하우징)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프런트 패널(2a)의 표면에, 조작부(11)와, 휴대 전화 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음성 입력부(1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 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키(15)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측면에는, 외부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덮는 캡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프런트 패널(3a)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와, 통화의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리시버(2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하단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기구(4)(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힌지 기구(4)를 개재하여 연결된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를 상대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 전화 장치(1)의 열린 상태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표면(조작부(11))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표면(표시부)이 외부로 노출되어 서로 열림으로써 조작부(11)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조작부(11)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표시부가 서로 마주하여 접힘으로써 조작부(11)가 피복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조작부(11)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의해 피복되지만, 조작부(11)의 표면측에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와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휴대 전화 장치(1)의 개폐 상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배치되는 자석(도시 생략)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배치되는 홀 소자(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는 개폐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센서에 의해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위치 관계의 차이에 수반하는 자기의 강약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결과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 장치(1)의 개폐 상태를 판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힌지 기구(4)에 의한 접는 식의 휴대 전화 장치(1)의 설명을 하고 있지만, 접는 식이 아닌, 양 하우징(2, 3)을 포갠 닫힌 상태로부터 한쪽의 하우징을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열린 상태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식이나, 포갬 방향에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회전식이나, 양 하우징(2, 3)을, 2축 힌지를 개재하여 연결한 것이어도 된다. 또, 형태가 변화하지 않는 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다만, 이들 어느 경우(스트레이트 타입을 제외하는)라도,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사이에는 외부에 연통되는 간극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사이드 키(30)와, 외부 메모리의 삽입 및 취출이 행해지는 인터페이스용의 캡(31)을 구비하고 있다.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는, 한쪽의 측면에, 슬라이드 키(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리어 패널(3d) 표면에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피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라이트(34)가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33)와 라이트(34)는, 카메라 모듈을 구성한다.

    조작부측 하우징부(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와(도 3에 있어서는 프런트 패널(2a)과 프런트 케이스(2b)는 결합되어 있다), 상술한 조작부(11)를 구비하는 키 시트(40)와, 배선 기판(45)과, 리어 케이스(2c)를 구비한다. 키 시트(40)는, 전체가 러버로 구성되어 있고, 표면에 복수의 키(누름 키)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45)은, 프런트 패널(2a)측의 면에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를 가지며, 각각의 키 스위치(A)는, 그릇 형상으로 만곡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의 메탈 돔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탈 돔은, 그 그릇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면, 배선 기판(45)의 표면에 인쇄된 도시를 생략한 전기 회로에 형성되는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배선 기판(45)은, 복수의 절연 필름의 사이에 배선을 끼워 넣은 것이다.

    또, 프런트 패널(2a)에는, 복수의 키 구멍(16)이 형성된다. 복수의 키 구멍(16) 각각으로부터는,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입력 조작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의 가압면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기능 설정 조작 키(13), 입력 조작 키(14) 및 결정 조작 키(15)의 가압면을 누르듯이 가압함으로써, 대응하는 키 스위치(A) 각각에 있어서의 메탈 돔(그릇 형상)의 정점이 가압되고, 스위치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도 4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와, 통신부(6)에 의해 통신되는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7)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51)와, RF 회로를 포함하고 변조 처리 또는 복조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52)를 구비한다. 또, 통신부(6)는, 충전지(도시 생략)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다.

    메인 안테나(51)는, 제1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로 했지만, 이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51)는, 제1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2㎓)에 대응할 수 있는,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51)는, 제3 사용 주파수대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52)는,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처리부(7)에 공급하고, 처리부(7)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고, 메인 안테나(51)를 통해 외부 장치에 송신한다.

    처리부(7)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와, 음성 입력부(12)와, 디스플레이(21)와, 리시버(22)와,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71)와,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72)와, 소정의 음처리를 행하는 음향 처리부(73)와,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74)와, 일정 주기로 진동하는 모터(75)와, 피사체를 촬상하는 카메라(33)와, 착신음 등이 출력되는 스피커(70a, 70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처리부(7)는, 충전지(도시 생략)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예를 들면, 다이버가 바다에 잠수할 때에 바다 중에 있어도 이용할 수 있도록, 방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당해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예를 들면, 인위적으로 행해진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와 제어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 각각은,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한다.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조작 검출부(101)와 제어부(103)에 의한 수압 검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 각각은, 조작부(11)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에 상당하고, 또, 제어부(103)는, CPU(71)에 상당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유저에 의해 순서대로 조작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균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제어부(103)(CPU(7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복수의 키 스위치(A))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복수의 키 스위치(A)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특수 사용이라고 판단하고, 제2 제어를 행한다. 또, 복수의 키 스위치(A)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통상 사용이라고 판단하고, 제1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이며,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 등)이다. 또, 제2 제어란,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이며, 특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경고를 위한 LED 등의 발광 제어나, 전원을 OFF로 하는 제어 등)이다.

    A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유저의 조작에 의하는 것인지, 수압에 의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기기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면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경우, 높은 확률로 조작 검출부(101)가 균일한 압력을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 경우라도,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지 않으면 수중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하지 않고,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우연히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균일한 압력을 동시에 검출했다고 해도,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은, 휴대 전자 기기가 수중에 놓여져 있는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검출 시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103)는,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은,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되므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는,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는, 수심에 따라 검출 압력이 작은 압력 검출부(102)로부터 순서대로 압력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 중 하나의 압력 검출부(1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하나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 중 2개의 압력 검출부(1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2개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102)의 수는,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104)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103)는, 기능 실행부(104)에 의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 사용 곤란한 기능(수중에서는 소리가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방음을 수반하는 기능(헤드폰 사용 중을 제외한다).)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잠긴 경우에는, 당해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의미가 없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는, 제2 제어에 의해 당해 기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부(10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통지부(105)에 의한 통지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통지부(105)로서의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또, 통지부(105)로서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소정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전원의 억제 동작을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전원의 억제(예를 들면, 전원의 OFF)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는,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하나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모두 사이드 키(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켓 등의 안에서 사이드 키(30)에 대해서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걸리는 경우가 있고, 잘못해서 제2 제어를 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를, 하우징인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1 면으로서의 프런트 패널(2a)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부(11)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2 면으로서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키(30)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하우징의 다른 면에 설치됨으로써, 잘못해서 제2 제어가 행해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106)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1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는 압력의 값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기억부(106)에 상기 초과했다는 것을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가 규격상, 「수심 10m까지의 사용」을 보증하고 있었을 경우에, 10m를 소정값로서 설정한다. 그러면, 10m를 초과하는 수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1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를 기억부(1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수몰했을 때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XX선 단면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대로, 조작부(11)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복수의 키가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몰 상태에 있어서, 직접 수압이 걸리는 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기존의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한 키의 가압 검출과 키 시트(40)의 구조에 의해 수몰 및 수압을 리얼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심(수압)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통상,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이 가압될 때의 무게는 100~150(g)이다. 또한, 당해 무게는, 휴대 전화 장치에 따라 다르고, 100(g) 이하인 경우도 있을 수 있고, 150(g) 이상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단 기준으로서, 조작 키군(11)을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이 가압될 때의 무게를 100~150(g)으로 하고 있다.

    또, 하나의 키 면적을 약 13(㎜)×7(㎜)=91(㎟)라고 하면, 수심 1m에서의 수압은 1(g/㎤)로부터 91(㎟)×1000(㎜)/1000(㎜)3=91(g)이 되고, 수심 2m에서는 91×2=182(g)이 되고, 수심 4m에서는 91×4=364(g)이 되고,......, 수심 20m에서는 91×4=1820(g)이 된다.

    따라서, 수심 2(m)에서는, 모든 키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103)는, 통상 사용에 있어서는 조작 상 모든 키가 가압 조작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모든 키가 동시에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통상은 동시에 가압되지 않는 복수의 키가 동시에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통상의 키 조작보다 약한 힘으로 가압되도록 키 스위치(A)와 러버 두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2(m)보다도 얕은 장소에서 수몰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심 검출 방법>

    다음에, 수심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술의 수몰을 검출하는 키 스위치(A)와는 다른 압력 검출 스위치(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순서대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103)는, 가압되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에 따라, 수심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의 각각에 검출 압력이 다른 키 스위치(A)를 배치하여, 키 스위치(A)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키가 순서대로 눌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키 스위치(A)에서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수심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수심 표시 방법>

    다음에, 수심의 표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키 시트(40)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C)(예를 들면, LE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고, 각 키를 배후로부터 비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이들 복수의 발광부(C)를 레벨 미터와 같이 이용하여, 수심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수심이 2m에서는, LED를 1개 점등하고, 수심이 4m에서는, 2개 점등하고,......, 수심이 20m에서는 10개 점등하는 등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1)에 의해 수심을 표시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는, 약 50㎃의 전류를 소비한다. 또, 백 라이트를 장시간 점등 하면, 전지의 부담이 커져 버린다. 이에 대해서 LED 한 개의 소비 전류는, 2㎃정도로 백 라이트에 비해 소비량이 적고, 또, 장시간의 점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는, 상황에 맞추어 조작부(11)를 바라봄으로써 용이하게 수심을 확인할 수 있다(도 6 참조).

    <수몰 경고>

    다음에, 수몰했을 때의 경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방수 기능을 가지는 장치여도, 그 방수 기능을 초과하는 수몰 등의 환경하에 놓여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검출 기능에 의해 수중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수몰 시간을 기록하는 기능과, 하우징의 표면에 온도 센서를 탑재하고, 수온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수몰 시간을 기록하는 기능과, 수온을 검출하는 기능에 의해 얻어진 정보로부터, 1. 수심(수압)이 설정한 수심을 초과한 경우, 2. 수몰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3. 수온이 설정 온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중 어느 한쪽에 해당하는 경우에 소정의 경고(예를 들면, LED 등의 발광 동작이나, 모터(75)의 구동에 의한 경고)를 행한다.

    다음에, 키 시트(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는 숫자 키(1~9, 0)와, *키와, #키의 12개의 키를 이용하여 수몰 검출 및 수심 검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각 키는, 키를 눌렀다는 감촉(클릭감)을 유저에게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든 키가 같은 가중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이 걸리면, 이 수압에 의해 키 시트(40)에 설치된 각 키가 가압된다. 각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각 키 스위치(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45) 상의 패턴을 메탈 돔 등으로 꽉 눌러 스위칭시키고 있고, 메탈 돔 등에 의해 일정한 가중을 확보할 수 있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에 의해 모든 키 스위치(A), 혹은 결정된 복수의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린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복수의 키 스위치(A)는, 수몰 검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각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상부에 위치하는 키 시트(40)와 프런트 패널(2a)의 사이에도 물이 침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상부에 위치하는 키 시트(40)는, 수압을 균등하게 받는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에 의한 키의 오입력을 막기 위해서,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 후는, 키락을 거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후에 있어서 수중 카메라 등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특정 키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각 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는, 특정 수압으로 눌리도록 각각 설정되고, 수심이 깊어질 때마다 한개씩 눌리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숫자 키 「1」의 키를 182(g)의 가압력으로 설정하고, 숫자 키 「2」의 키를 364(g)의 가압력으로 설정함으로써, 몇 개의 키가 가압되었는지에 의해 무게를 알 수 있고, 당해 무게로부터 수심을 검출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검출한 수심에 따라 숫자 키를 점등 표시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4(m)의 수심에서 「1」키와 「2」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압하되면, 「1」키의 배면 및 「2」키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는 발광부(LED)(C)를 점등시킴으로써, 수심이 4(m)인 것을 유저에게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도 8을 참조).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다른 통지예로서, 디스플레이(21)에 의해 「수심 00m」라고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동작 방법>

    다음에,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1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키의 눌림(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1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1로 되돌아온다.

    단계 S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3의 공정에 의한 수몰을 검출한 후에, 수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있는 수온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경우에는(No),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Yes), 단계 S8 또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6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 온도의 범위 외라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7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그 후,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8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9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4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참조하고, 수몰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로로 한다(n=0).

    단계 S1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되어 있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각 압력 검출 스위치(B)는, 대응하는 키마다 눌려지는 압력이 다르고,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를 감시함으로써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1」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만 눌려 있는 경우에는, 「1」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만 점등 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1개 늘린다(n=n+1).

    단계 S16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가 규정의 수(키의 수+1)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규정의 수에 이르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17로 진행하고,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3으로 되돌아온다.

    단계 S17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한 심도보다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18로 진행하고, 설정한 심도보다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20 또는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 심도보다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19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1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20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1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1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키의 눌림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103)는, 모든 키(또는 특정 복수의 키)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5로 되돌아온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4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미리, 수심, 수온,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놓고,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경고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용의 회로 단자가 물에 젖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몰의 검출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의 가압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수몰을 검출하고 있고, 종래 장치와 같이 회로 내에 물을 침입시킬 필요가 없고, 회로가 물에 젖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수압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량을 처리부(CPU)가 읽을 수 있는 디지털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수심의 검출을 행하고 있고, 외부부착의 센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의 증가로 이어져 있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기존의 부품인 러버 키와 하우징의 구조, 및 키 스위치의 확장, 및 수압이 수심에 비례하여 동일하게 하우징에 작용하는 사상을 이용함으로써 수심을 검출하므로, 제조 코스트를 증가하지 않고 수심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수심을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통지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기존의 부품인 키가 조명하는 부재(키 LED)의 점등 패턴을 수심에 따라 변화시켜, 레벨 미터와 같이 표시 제어함으로써 유저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한눈에 수심을 인식시킬 수 있고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 수심 표시를 시키는 것에 비해서 큰 폭으로 소비 전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몇 초 정도로 소등해 버리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비해, 저소비 전력으로 장시간의 수심 표시가 가능하고, 유저는, 용이하게 수심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이른바 다이버전용의 사양은 아니기 때문에, 대체로 1m정도의 수몰 상태 밖에 상정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휴대 전화 장치를 보다 방수 성능을 향상시켜 다이버전용의 사양으로 하고자한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문제(예를 들면, 키가 수압에 의해 눌려 버려, 오동작을 일으켜 버리는 등)가 예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수몰 판정에 의해 키락을 걸음으로써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다이버 기능을 갖게함으로써, 미리 설정한 범위(예를 들면, 수심)를 초과했을 때에, 수중에 있어도 인식할 수 있는 경고를 유저에게 부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미연에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장치(1)가 닫힌 상태이든 열린 상태이든, 수몰 검출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조작부(11)가 조작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닫힌 상태일 때에 한해서 수몰 검출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로 인해,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우연히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가 균일한 압력을 동시에 검출한 경우의, 의도하지 않는 제2 제어의 실행이 억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제2 실시 형태 이후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주로,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검출부(201)와, 제어부(20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검출부(201)는,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한다.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예를 들면, 수심 5m에 휴대 전자 기기가 놓여진 경우의 수압치)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이상 검출되면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조작 검출부(201) 및 제어부(203)에 의한 수압 검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검출부(201)는, 조작부군(11)을 구성하는 복수의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에 상당한다. 즉, 조작 검출부(201)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부(203)는, CPU(71)에 상당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유저에 의해 순서대로 조작된다. 즉, 소정의 키가 장시간 연속해서 가압되는 일은 거의 없다. 이에 대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조작 검출부(201)가 소정의 압력을 소정 시간 이상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제어부(203)(CPU(71))는, 조작 검출부(201)가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되어 있는 경우라도,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지 않으면 수중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통상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1 제어를 행한다. 또,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수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 등)이다. 또, 제2 제어란,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특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경고를 위한 LED 등의 발광 제어나, 전원을 OFF로 하는 제어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유저의 조작에 의한 것인지, 수압에 의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기기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우연히 조작 검출부(201)가 소정의 압력을 검출했다고 해도, 소정 시간을 기다려 제2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조작 검출부(201)는, 복수 설치되고, 제어부(2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를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즉, 수중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01)가 수압에 의해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을 검출한다.

    그래서, 제어부(2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01)(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수압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203)는,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은, 휴대 전자 기기가 수중에 놓여져 있는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시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은,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201)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2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는,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는, 수심에 따라 검출 압력이 작은 압력 검출부(202)로부터 순서대로 압력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 중 하나의 압력 검출부(2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하나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복수의 압력 검출부(202) 중 2개의 압력 검출부(2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2개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202)의 수는,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204)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203)는, 기능 실행부(204)에 의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로,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연속해서 검출되면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 사용 곤란한 기능(수중에서는 소리가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방음을 수반하는 기능(헤드폰 사용 중을 제외한다))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잠긴 경우에는, 당해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의미가 없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는, 제2 제어에 의해 당해 기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부(20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연속해서 검출되면 통지부(205)에 의한 통지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연속해서 검출된 경우에는, 통지부(205)로서의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또, 통지부(205)로서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상태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소정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상태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전원의 억제(예를 들면, 전원의 OFF나 슬립 모드)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전력 절약화를 도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206)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203)는, 조작 검출부(2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을 기억부(206)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가 규격 상, 「수심 10m까지의 사용」을 보증하고 있던 경우에, 10m를 소정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러면 10m를 넘는 수압이 소정 시간 연속해서 검출된 경우에는,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2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가 기억부(2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203)는, 통상 사용에 있어서는, 조작 상, 소정의 키가 연속적으로 가압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소정의 키가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연속해서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모든 키가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연속해서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또, 통상은 동시에 가압되지 않는 복수의 키가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소정 시간 연속해서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소정의 수압에 의해 소정의 키 스위치(A), 예를 들면, 모든 키 스위치(A), 또는 결정된 복수의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소정 시간 연속해서 눌린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복수의 키 스위치(A)는, 수몰 검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하나의 키 스위치(A)가 소정의 수압에 의해 소정 시간 연속해서 가압된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동작 방법>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2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키의 눌림(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2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키 스위치(A)의 가압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고,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1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2의 공정에 의한 소정의 키 스위치(A)의 눌림을 검출한 후에, 키 스위치(A)의 가압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1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3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제1 타이머를 참조하고, 키 스위치(A)의 가압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또,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1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105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3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제1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5의 공정에 의한 수몰을 검출한 후에, 수몰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108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있는 수온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경우에는(No), 단계 S109로 진행하고,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Yes), 단계 S111 또는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09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설정 온도의 범위 외라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그 후,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10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1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111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1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10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1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112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7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제2 타이머를 참조하고, 수몰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113으로 진행하고,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115로 진행한다.

    단계 S113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제2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단계 S115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로로 한다(n=0).

    단계 S116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설정되어 있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117로 진행하고,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118로 진행한다. 각 압력 검출 스위치(B)는, 대응하는 키마다 눌리는 압력이 다르고, 제어부(2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를 감시함으로써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117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3)는, 「1」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만 눌려 있는 경우에는, 「1」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만 점등 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18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1개 늘린다(n=n+1).

    단계 S119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가 규정의 수(키의 수+1)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120으로 진행하고,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16으로 되돌아온다.

    단계 S120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21로 진행하고,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123 또는 단계 S124로 진행한다.

    단계 S121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설정 심도보다도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122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121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22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123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21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22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121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122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12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키의 압하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2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108로 되돌아온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125로 진행한다.

    단계 S125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단계 S107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제2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126에 있어서, 제어부(2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수중에 있어서 조작부(11)가 수압에 의해 눌림으로써 발생하는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술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와, 복수의 수압 계측부(302)와, 제어부(303)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 각각은, 조작부(11)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한다. 복수의 수압 계측부(302) 각각은, 휴대 전화 장치(1)에 걸리는 수압을 계측한다. 제어부(3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의 적어도 1개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의 제어(예를 들면, 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나, 카메라에 의한 촬상시에 있어서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303)는, 복수의 수압 계측부(302)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소정의 동작의 제어의 억제(예를 들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를 락한다)를 행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는, 각각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복수의 수압 계측부(302)는,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또, 제어부(303)는, CPU(71)에 상당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유저에 의해 순서대로 각 키가 조작되어, 키 조작에 따라 제어부(303)는, 소정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그 때문에, 유저가 조작부(11)를 조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키가 가압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는 오조작을 일으켜 버린다.

    그래서, 제어부(303)(CPU(71))는, 수압 계측부(302)(압력 검출 스위치(B))가 소정값(예를 들면, 수심 5m에 휴대 전자 기기가 놓여진 경우의 수압값) 이상인 수압을 계측한 경우에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몰되었다고 판정하고, 조작 검출부(3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행해지는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한다. 또한, 소정의 동작의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이며,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나, 카메라에 의한 촬상시에 있어서의 제어 등)이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제어부(303)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몰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조작 검출부(3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어 행해지는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기 때문에, 수중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11)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수압 계측부(302)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을 계측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조작 검출부(301)는, 1개이어도 되고, 수압 계측부(302)도 1개이어도 된다.

    또, 조작 검출부(301)는, 소정값보다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해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당해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어부(303)는, 조작 검출부(301)(키 스위치(A))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는 수심에 이르기 전에, 휴대 전화 장치(1)의 수몰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검출부(301)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 소정의 동작의 제어의 억제(예를 들면, 키락을 건다)를 행할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오조작의 억제를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의 수몰을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수압의 값(소정값)은, 조작 검출부(301)가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보다 낮게 설정해도 되고, 또, 휴대 전화 장치(1)의 수몰을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수압의 값(소정값)은, 조작 검출부(301)가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부(30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03)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되면, 통지부(305)에 의해 소정의 통지를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통지부(305)로서의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또, 통지부(305)로서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소정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유저에 의한 휴대 전화 장치(1)의 오조작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향상된다.

    또, 조작 검출부(301)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03)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하고, 제2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허가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는, 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억제하여, 통화 기능에 이용되는 키를 락한다. 이로 인해, 제1 부분인 통화 기능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키 스위치(A)가 가압되어도, 통화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

    또, 이 경우, 휴대 전화 장치(1)는, 촬상 기능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허가하고, 촬상 기능에 이용되는 키는 락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2 부분인 촬상 기능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키 스위치(A)가 눌린 경우에는, 촬상 기능은 실행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 있어서, 제1 부분에 의한 오조작(예를 들면, 수중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기능인 통화 기능의 오동작)의 억제가 실현되는 한편으로, 제2 부분에 의한 조작(예를 들면, 수중에서도 사용하는 기능인 촬상 기능에 관련되는 조작)이 허용된다. 따라서, 수중에 있어도 소정의 기능의 실행이 가능해진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제2 부분은, 제1 부분보다 높은 값의 압력에 의한 가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제2 부분인 촬상 기능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키 스위치(A)의 가압 검출 압력을, 제1 부분인 통화 기능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키 스위치(A)의 가압 검출 압력보다 높게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서도 조작이 허용되는 제2 부분(촬상 기능에 이용되는 키 스위치(A))이 수압에 의해 눌리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중에 있어서, 수압에 의해 제2 부분이 가압됨으로써 발생하는 오조작의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부(307)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03)는, 조작 검출부(301)에 있어서의 제2 부분(촬상 기능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한 키 스위치(A))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촬상부(307)에 의한 촬상을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한다.

    또한, 촬상부(307)는, 카메라(33) 및 라이트(34)에 상당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 있어도 조작이 허용되는 제2 부분에 의한 조작에 의해 촬상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수중 촬영이 가능해진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제어부(303)는,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전원의 제어를 소정의 동작으로서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전원의 제어(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의 제어)에 이용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를 제1 부분으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에, 제1 부분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어도 전원의 제어가 억제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의도하지 않는 전원의 제어(전원 온 또는 전원 오프의 제어)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301)를 복수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3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되면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경우, 높은 확률로 모든 조작 검출부(301)가 균일한 압력을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경우에는, 수중에 휴대 전자 기기가 놓여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한 수몰 판정에 더하여,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에 의해서도 수몰 판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수중임의 검지 정밀도가 향상되고, 이로써 오조작의 억제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하우징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는,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3 부분과,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4 부분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가 하나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모두 사이드 키(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켓 등의 안에서 사이드 키(30)에 대해서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걸리는 경우가 있고, 잘못해서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301)를, 하우징인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1 면으로서의 프런트 패널(2a)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부(1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3 부분으로서의 키 스위치(A)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2 면으로서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키(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4의 부분으로서의 키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부분과 제4 부분이 하우징의 다른 면에 설치됨으로써, 잘못해서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306)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303)는, 수압 계측부(3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수압이 계측된 경우, 기억부(306)에 상기 계측되었다는 것을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가 규격 상, 「수심 10m까지의 사용」을 보증하고 있었을 경우에, 10m를 소정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러면 10m를 초과하는 수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3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가 기억부(3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수심 2(m)에서는 모든 키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 중 적어도 1개를, 수심 2(m) 미만의 수압으로 가압되도록 설정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303)는, 수심 2(m)에 있어서, 키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어도, 소정의 동작의 제어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서의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은, 키 스위치(A)가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보다도 낮게 설정해도 되고, 또,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은, 키 스위치(A)가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압력의 값과 같은 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에 의해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 중 소정의 압력 검출 스위치(B)(예를 들면, 가장 작은 압력으로 가압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된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 후는, 수압에 의한 키의 오입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키락을 행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후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예를 들면, 수중 카메라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특정 키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수심 검출 방법>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심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의 각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압력 검출 스위치(B)를 설치하고, 이들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차례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303)는, 가압되는 압력 검출 스위치(B)에 따라, 수심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의 각 키의 각각에 검출 압력이 다른 키 스위치(A)를 배치하여, 키 스위치(A)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키가 차례로 눌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키 스위치(A)를 수압 계측부(302)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동작 방법>

    다음에,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13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3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303)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검출하는 소정의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또, 소정의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203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를 제외한 키를 락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204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를 제외한 키(예를 들면, 전원의 제어에 사용되는 키)를 락하는 제어를 행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키의 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303)는, 키가 가압되고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또, 키가 가압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다시 단계 S205로 되돌아온다.

    단계 S206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가압된 키가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압된 키가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인 경우에는(Yes), 단계 S207로 진행하고, 가압된 키가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와는 다른 키인 경우에는(No), 단계 S205로 되돌아온다.

    단계 S207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촬상 기능을 기동한다. 그리고, 또한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가 가압되면, 촬상부(307)는 촬상을 행한다.

    단계 S208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303)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압력을 검출하는 소정의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205로 되돌아온다. 또, 소정의 압력 검출 스위치(B)가 가압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209로 진행한다.

    단계 S209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단계 S203에 있어서의 표시 및 단계 S205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촬상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키를 제외한 키의 락을 해제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제어부(3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용의 회로 단자가 물에 젖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몰의 검출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종래 장치와 같이 회로 내에 물을 침입시킬 필요가 없고, 회로가 물에 젖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육상에서의 유저에 의한 가압 조작과, 수중에서의 수압에 의한 가압 조작을 판별하여, 각각의 조작에 특유의 소정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하에,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검출부로서의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와, 제2 검출부로서의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와, 제어부(403)와, 통지부(405)와, 기억부(406)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 각각은,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에 상당하고, 조작부(11)가 가압된 상태를 검출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 각각은, 조작부(11)에 대응하여, 또한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하고, 조작부(11)가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가압의 힘을 검출한다. 압력 검출부(402)가, 이와 같이 조작부(11)에 대응하여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작부(11)에 대한 가압을 이용하여 압력을 검출하기 때문에, 수압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스트의 삭감이 적합하게 도모된다.

    제어부(403)는, CPU(71)에 상당한다. 제어부(4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육상에서 유저에 의한 가압 조작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4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의 적어도 1개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이며, 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나, 카메라에 의한 촬상시에 있어서의 제어 등,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이다. 또, 제2 제어란, 검출된 수압에 따라 행해지는 제어이며, 예를 들면, 검출된 수압의 통지 제어, 경고를 위한 LED 등의 발광 제어나, 전원을 오프로 하는 제어 등, 특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이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유저에 의해 순서대로 각 키가 조작되어, 키 조작에 따라 제어부(403)는, 제1 제어를 행한다.

    이에 대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소정의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즉, 조작부(11)는, 유저가 조작부(11)를 조작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키가 가압되게 된다(압력 검출부(402)는, 이 가압의 힘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래서, 제어부(403)는, 복수의(모든, 또는 소정수의, 혹은 소정 위치의) 조작 검출부(401)(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경우에는, 특수(수중)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행해지는 제1 제어를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를 락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또, 수중에 있어서 사용 곤란한 기능(수중에서는 소리가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방음을 수반하는 기능(헤드폰 사용 중을 제외한다) 등)의 실행을 억제하는 제어이어도 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가 동시에 가압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통상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1 제어를 행한다. 또한, 수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서는, 그 외의 방법(예를 들면, 직접적으로 물을 검출하는 수단, 복수의 단자간의 단락 상태에 기초하여 수중을 검출하는 수단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검출된 가압이 유저의 조작에 의하는 것인지, 수압에 의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기기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제어부(403)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몰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어 행해지는 제1 제어를 억제하고, 제2 제어를 행하므로, 기기 상태(육상 또는 수중)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03)는,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서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4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오프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압력 검출부(402)에 의해 검출된 압력은,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되므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03)는, 제2 제어로서, 수심의 통지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검출부(4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검출된 압력과 기억부(406)에 기억된 제1 정보(힘과 수심의 대응)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통지부(405)에 의해 통지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이 때, 통지부(405)는, 광조사부(C)(LED)나 디스플레이(21)나 모터(75)에 상당하고, 제어부(403)에 의해 산출된 수심을 소정의 모양으로 통지한다(예를 들면,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또, 기억부(406)는, 메모리(72)에 상당하고, 수압에 의한 가압의 힘과 수심이 대응된 제1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 장치(1)에는, 상술과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 각각에 근접하여,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도 7의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는, 수심에 따라 검출 압력이 작은 압력 검출부(402)로부터 순서대로 압력을 검지한다.

    즉, 제어부(403)는, 어느 압력 검출부(4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었는지를 감시하고, 검출 압력이 작은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검출된 중에서 가장 큰 검출 압력을, 그 시점에서의 수압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03)는, 기억부(406)에 기억된 수압과 수심의 대응을 참조하고, 수심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403)는, 기억부(406)에 기억된 수심과 조작부(11)의 각 키(숫자 키)의 대응을 참조하고, 수심에 대응되어진 키에 대해서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C)(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402)의 수는, 수심에 비례하여 많아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검출된 압력에 따라 LED 등에 의해 수심을 통지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11)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복수의 압력 검출부(402)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조작 검출부(401)는, 1개이어도 되고, 압력 검출부(402)도 1개이어도 된다.

    또, 제어부(4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되면, 제1 제어를 억제하여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경우, 높은 확률로 조작 검출부(401)가 가압 조작을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가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 경우라도,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지 않으면 수중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압력 검출부(402)에 기초하는 제2 제어를 행하지 않고,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1 제어를 억제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우연히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가 가압 조작을 동시에 검출했다고 해도, 제1 제어가 억제되거나,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지거나 할 우려가 저감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03)는, 수몰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4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오프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401)에 의해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은,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검출 시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03)는, 압력 검출부(402)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경우, 기억부(406)에 상기 검출되었다는 것을 기억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가 규격 상, 「수심 10m까지의 사용」을 보증하고 있었을 경우에, 10m를 소정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러면 10m를 초과하는 수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1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를 기억부(1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403)는, 통상 사용에 있어서는 조작상 모든 키가 가압 조작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모든 키가 동시에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403)는, 통상은 동시에 가압되지 않는 복수의 키가 동시에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서의 제1 제어에 의한 오동작을 억제하고, 수중에 특화한 제2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수압에 의해서만 가압 가능한 위치(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각 키의 사이 등)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어부(403)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소정값(예를 들면, 수심 5m에 휴대 전화 장치(1)가 놓여진 경우의 수압치) 이상의 수압을 검출한 경우에, 휴대 전화 장치(1)가 수몰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이 때,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 중 적어도 1개를, 수심 2(m) 미만의 수압으로 가압되도록 설정한다. 이로 인해, 제어부(403)는, 수심 2(m)에 있어서, 키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기 전에, 제1 제어를 억제하고, 제2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에 의해 모든 키 스위치(A), 혹은 결정된 복수의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린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복수의 키 스위치(A)는, 수몰 검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 후는, 수압에 의한 키의 오입력을 억제하기 때문에, 키락을 행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후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예를 들면, 수중 카메라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특정 키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수심 검출 방법>

    다음에, 수심의 검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의 각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압력 검출 스위치(B)를 설치하고, 이들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다른 압력(소정의 힘) 이상의 압력을 받아들이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차례대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403)는, 가압 되는 압력 검출 스위치(B)에 따라, 검출된 압력의 값이 파악되기 때문에, 이 파악된 압력과 기억부(406)에 기억된 제1 정보(수압과 수심의 대응)를 대응시켜 참조함으로써, 수심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키 스위치(A)와 압력 검출 스위치(B)를 따로 따로 설치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11)의 각 키의 각각 검출 압력이 다른 키 스위치(A)를 배치하여, 키 스위치(A)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수심도마다 한개씩 키가 순서대로 눌리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키 스위치(A)를 압력 검출부(402)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동작 방법>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403)는, 간헐적으로 대개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51)가 대기 상태 시에 간헐적으로 도시를 생략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수몰의 감시를, 메인 안테나(51)의 간헐적인 수신시에 대응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신호가 수신될 때에 소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수몰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단계 S302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키의 눌림(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4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Yes),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303으로 진행한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No), 단계 S3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303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03의 공정에 의해 수몰을 검출한 후에, 수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305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있는 수온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경우에는(No), 단계 S306으로 진행하고,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Yes), 단계 S308 또는 단계 S309로 진행한다.

    단계 S306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설정 온도의 범위 외라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307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403)는, 그 후,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30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0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308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0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0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30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0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309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04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참조하고, 수몰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310으로 진행하고,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312로 진행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311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단계 S312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어느 압력 검출 스위치(B)에서 가압이 검출되고 있는지를 판별한다. 압력 검출 스위치(B)는, 검출하는 압력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1)가 수몰되어 있는 수심에 따라 판별 결과는 변화한다.

    단계 S313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12의 공정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조작부(11)가 가압되고 있는 압력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03)는, 기억부(106)에 기억된 압력과 수심의 대응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 장치(1)의 수심을 산출한다.

    단계 S314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13의 공정에 의해 산출된 수심에 기초하여, 기억부(406)에 기억된 수심과 조작부(11)의 각 키의 대응을 참조하고, 대응하는 키를 조사하는 발광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15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316으로 진행하고,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318 또는 단계 S319로 진행한다.

    단계 S316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설정 심도보다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317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4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31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1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318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1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1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316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317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319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키의 눌림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4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Yes),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305로 되돌아온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No), 단계 S3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04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321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단계 S303의 공정에 의해 제어한 키락을 해제한다.

    단계 S322에 있어서, 제어부(4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미리, 수심, 수온,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고,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경고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용의 회로 단자가 물에 젖는지의 여부에 의해 수몰의 검출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의 가압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수몰을 검출하고 있고, 종래 장치와 같이 회로 내에 물을 침입시킬 필요가 없고, 회로가 물에 젖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당해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예를 들면, 인위적으로 행해진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 상술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와, 제어부(50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 각각은, 가압 조작에 의한 가압을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의 적어도 1개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따른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의 적어도 1개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조작 검출부(501)와 제어부(503)에 의한 수압 검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는, 각각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7 참조)에 상당하고, 또, 제어부(503)는, CPU(71)에 상당한다.

    통상, 접는 식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열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가 조작되고, 닫힌 상태에 있어서 이들 복수의 키가 가압되는 일은 없다.

    한편,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닫힌 상태여도 수압에 의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가압된다. 즉, 수중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장치(1)가 닫힌 상태여도, 조작부측 하우징부(2)과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사이에 형성되고 외부와 연통되는 간극으로부터 조작부(11)의 표면에 물이 침입되기 때문에, 이 조작부(11)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가압된다.

    그래서, 제어부(503)(CPU(7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복수의 키 스위치(A))가 휴대 전화 장치(1)가 열린 상태로 가압되고 있는지, 닫힌 상태로 가압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열린 상태로 가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통상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1 제어를 행한다. 또, 닫힌 상태로 가압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중에서의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 등)이다. 또, 제2 제어란,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특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경고를 위한 LED 등의 발광 제어나, 전원을 OFF로 하는 제어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된 가압이 유저의 조작에 의하는 것인지, 수압에 의하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기기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조작 검출부(501)는, 1개여도 된다.

    또, 조작 검출부(501)를 복수 가지며, 제어부(5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일정 시간 검출되면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균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가 균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제어를 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제어를 행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경우, 높은 확률로 조작 검출부(501)가 균일한 가압을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 경우라도,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지 않으면 수중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하지 않고,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닫힌 상태에 있어서, 우연히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가 균일한 가압을 동시에 검출했다고 해도,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5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균일한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은, 휴대 전자 기기가 수중에 놓여져 있는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검출 시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503)는,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의 정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된 가압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가압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된 가압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가압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검출된 가압은,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되므로, 가압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조작 검출부(501)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5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또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는,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압력 검출 스위치(B))는, 각각 다른 압력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심에 따라 검출 압력이 작은 압력 검출부(502)로부터 순서대로 가압되어 압력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압력 검출 스위치(B)) 중 하나의 압력 검출부(502)(압력 검출 스위치(B))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하나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복수의 압력 검출부(502) 중 2개의 압력 검출부(5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2개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502)의 수는,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예를 들면, 발광시키는 LED의 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504)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기능 실행부(504)에 의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을 때에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상기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 사용 곤란한 기능(수중에서는 소리가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방음을 수반하는 기능(헤드폰 사용 중을 제외한다).)이 휴대 전화 장치(1)가 닫힌 상태에서 실행되고 있을 때, 이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잠겼을 경우에는, 당해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의미가 없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는, 제2 제어에 의해 당해 기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부(50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통지부(505)에 의한 통지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가압이 검출된 경우에는, 제어부(503)는, 통지부(505)로서의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또, 통지부(505)로서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소정의 통지(예를 들면, LED의 발광에 의한 경고)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대응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06)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조작 검출부(501)에 의해 가압이 검출되면, 당해 가압에 관련되는 압력과 기억부(506)에 기억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통지부(505)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501)가 검출한 가압에 관련되는 압력과 기억부(506)로서의 메모리(72)에 기억된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고, 이 산출한 수심을, 통지부(505)로서의 디스플레이(21)에 의해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산출한 수심을 통지부(505)에 의해 통지하므로, 유저는, 수심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부(503)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전원의 억제(예를 들면, 전원의 OFF)를 행함으로서,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부(11)는, 표시부측 하우징부(3)에 피복되어 있지만,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도, 조작부측 하우징부(2)와 표시부측 하우징부(3)의 사이에는, 외부와 연통한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가 닫힌 상태라도, 수몰시에는, 조작부(11)는 직접 수압을 받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기존의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 장치(1)의 개폐 상태와,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한 키의 가압 검출과, 키 시트(40)의 구조에 의해 수몰 및 수압을 리얼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심(수압)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503)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조작부(11)가 조작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조작 검출부(501)가 소정의 압력을 검출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한다. 이로 인해, 통상의 사용 상태(열린 상태)에서 조작부(11)가 조작된 경우에 제2 제어가 실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검출부(101)가 동시에 가압된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닫힌 상태에 있어서, 수압에 의해 소정의 키 스위치(A)가 눌린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복수의 키 스위치(A)는, 수몰 검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동작 방법>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17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401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5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51)가 대기 상태시에, 간헐적으로 도시를 생략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수몰의 감시를, 메인 안테나(51)의 간헐적인 수신시에 대응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신호가 수신될 때에 소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수몰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단계 S402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의 개폐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503)는, 휴대 전화 장치(1)가 닫힌 상태인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403으로 진행한다. 또, 휴대 전화 장치(1)가 열린 상태인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4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키의 눌림(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503)는, 소정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4로 진행한다. 또, 소정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4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404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405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의 공정에 의한 수몰을 검출한 후에, 수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406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있는 수온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경우에는(No), 단계 S407로 진행하고,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Yes), 단계 S408 또는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7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설정 온도의 범위 외라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408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503)는, 그 후,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407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08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409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07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08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407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08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05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참조하고, 수몰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411로 진행하고,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4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11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412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단계 S413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로로 한다(n=0).

    단계 S414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설정되어 있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415로 진행되고,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416으로 진행한다. 각 압력 검출 스위치(B)는, 대응하는 키마다 눌리는 압력이 다르고, 제어부(5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를 감시함으로써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415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03)는, 「1」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만 눌려 있는 경우에는, 「1」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만 점등 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416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1개 늘린다(n=n+1).

    단계 S417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가 규정의 수(키의 수+1)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418로 진행하고,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414로 되돌아온다.

    단계 S418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419로 진행되고, 설정한 심도보다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421 또는 단계 S422로 진행한다.

    단계 S419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설정 심도보다도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420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5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41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2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421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1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2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419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420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422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키의 눌림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503)는, 소정의 키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406으로 되돌아온다. 또, 소정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4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23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05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424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단계 S404의 공정에 의해 제어된 키락을 해제한다.

    단계 S425에 있어서, 제어부(5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미리, 수심, 수온,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고, 범위를 넘었을 때에 경고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용의 회로 단자가 물에 젖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몰의 검출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1)의 개폐 상태와 키의 가압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수몰을 검출하고 있고, 종래 장치와 같이 회로 내에 물을 침입시킬 필요가 없고, 회로가 물에 젖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다이버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미리 설정한 범위(예를 들면, 수심)를 넘었을 때에, 수중에 있어도 인식할 수 있는 경고를 유저에게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미연에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고를 줄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한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그 초과했다는 것을 기억부(106)에 기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로 인해,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1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의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를, 기억부(1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당해 부하가 수압에 기인하는 것인지, 다른 압력(예를 들면, 인위적으로 행해진 압력)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술한다.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검출부(601)와, 온도 계측부(607)와, 제어부(60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검출부(601)는, 조작부(11)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한 압력을 검출한다. 온도 계측부(607)는, 조작부(11)의 온도를 계측한다.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압력이 검출되면 제1 제어(예를 들면,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예를 들면, 수심 5m에 휴대 전자 기기가 놓여진 경우의 수압치)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예를 들면, 인체의 온도로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30도 미만 및 45도 보다 위)인 경우에는,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예를 들면,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조작 검출부(601), 온도 계측부(607) 및 제어부(603)에 의한 수압 검출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도 1에 나타내는 XX선 단면도이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검출부(601)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 즉, 조작 검출부(601)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온도 계측부(607)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의 적어도 하나의 키에 부착된 온도 센서(D)에 상당한다. 또, 제어부(603)는, CPU(71)에 상당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유저에 의해 순서대로 각 키가 조작된다. 여기서, 유저에 의해 가압되는 키에는, 이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하기 때문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한 키에 설치된 온도 계측부(607)(온도 센서(D))는, 유저의 체온에 가까운 온도를 검출한다.

    이에 대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는, 수압에 의해 가압되므로, 조작부(1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계측부(607)(온도 센서(D))는, 수온에 가까운 온도를 검출한다.

    그래서, 제어부(603)(CPU(71))는, 조작 검출부(601)가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되고 있는 경우라도, 온도 계측부(607)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 범위 외의 온도(예를 들면, 인체의 온도에 가까운 30도~45도)인 경우에는, 이 가압은, 유저의 조작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통상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1 제어를 행한다. 또, 온도 계측부(607)가 검출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예를 들면, 인체의 온도로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30도 미만 및 45도 보다 위)인 경우에는, 유저의 조작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특수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란, 수압 이외의 압력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통상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 등)이다. 또, 제2 제어란, 수압이 검출됨으로써 행해지는 제어로서, 특수 사용에 관련되는 제어(경고를 위한 LED 등의 발광 제어나, 전원을 OFF로 하는 제어 등)이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유저의 조작에 의한 것인지, 수압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기기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우연히 조작 검출부(601)가 소정의 압력을 검출했다고 해도,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검출부(601)는,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압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조작 검출부(601)는, 복수 설치되고, 제어부(6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제1 제어와는 다른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를 특수 사용(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조작부(11)는, 수심에 따른 수압에 의해 모든 키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된다. 즉, 수중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가 수압에 의해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을 검출한다.

    그래서, 제어부(6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 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수압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는, 하우징의 제1 면에 설치되는 제1 부분과, 하우징의 제2 면에 설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가 하나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가 모두 사이드 키(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키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켓 등의 안에서 사이드 키(30)에 대해서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걸리는 경우가 있고, 잘못해서 제2 제어를 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를, 하우징인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1 면으로서의 프런트 패널(2a)의 표면에 설치되는 조작부(11)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키 스위치(A)와,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제2 면으로서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키(3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키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다른 면에 설치됨으로써, 잘못해서 제2 제어가 행해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한 압력의 검출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제2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는 경우, 높은 확률로 조작 검출부(601)가 균일한 압력을 동시에 소정 시간 이상 검출할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가 일정한 압력으로 동시에 가압되고 있는 경우라도,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지 않으면 수중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하지 않고, 당해 가압의 검출 시간이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간)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2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는, 우연히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가 균일한 압력을 동시에 검출했다고 해도, 제2 제어가 잘못해서 행해질 우려가 저감되고, 수압의 검출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의 길이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 또는 하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제2 제어로서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릴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매우 적합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6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 또는 하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이 1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시간이 10분간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상태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동시에 검출된 시간, 또는 하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된 시간은, 휴대 전자 기기가 수중에 놓여져 있는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검출 시간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1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LED 등의 발광 제어에 더하여, 모터(75)에 의한 진동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를 적절히 유저에게 알리 수 있고,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하(압력이 약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고, 당해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 이상(압력이 강한)인 경우에는, 전원 회로를 제어하여 전원을 OFF로 한다. 이러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압의 변화에 수반하는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또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은,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되므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 다른 압력을 검출하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603)는, 복수의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 또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는,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 검출 스위치(B)(도 7 참조)에 상당한다.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는, 수심에 따라 검출 압력이 작은 압력 검출부(602)로부터 순서대로 압력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603)는,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 중 하나의 압력 검출부(6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하나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하고, 복수의 압력 검출부(602) 중 2개의 압력 검출부(602)에 의해 압력이 검출된 경우에는, 복수의 LED 중 2개의 LED의 발광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602)의 수는, 수심에 비례하여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압력에 따라 제2 제어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중에서의 편리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604)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603)는, 기능 실행부(604)에 의해 소정의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기능의 실행의 억제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수중에 있어서 사용 곤란한 기능(수중에서는 소리가 전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특히 방음을 수반하는 기능(헤드폰 사용 중을 제외한다).)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잠긴 경우에는, 당해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 의미가 없고,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비되어 버린다.

    그래서,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는, 제2 제어에 의해 당해 기능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지부(605)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통지부(605)에 의한 통지를 제2 제어로서 행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소정 범위의 온도가 계측된 경우에는, 통지부(605)로서의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또, 통지부(605)로서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소정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검출된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며,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경우에는, 전원의 억제 동작을 제2 제어로서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일정 이상의 수심에 이른 경우에, 전원의 억제(예를 들면, 전원의 OFF나 슬립 모드의 기동)를 행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1)의 파손을 회피하고,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606)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603)는, 조작 검출부(601)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압력이 검출되고, 또한 온도 계측부(607)에 의해 소정 범위의 온도가 계측된 경우에는, 검출되었다는 것 및 계측되었다는 것을 기억부(606)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가 규격 상, 「수심 10m까지의 사용」을 보증하고 있던 경우에, 10m를 소정값으로서 설정한다. 그러면 10m를 넘는 수압이 검출되고, 또한 소정 범위의 온도가 계측된 경우에는,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6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가 기억부(6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대로, 조작부(11)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조작부(11)가 키 시트(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11)는, 수몰 상태에 있어서, 직접 수압이 걸리는 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기존의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한 키의 가압 검출과, 키 시트(40)의 구조와,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에 설치된 온도 센서(D)에 의해 수몰 및 수압을 리얼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심(수압)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술과 같이, 통상,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심 2(m)에서는 모든 키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가압된 키에 설치된 온도 센서(D)는, 수온에 가까운 온도를 계측한다.

    여기서, 통상 사용에 있어서는, 가압된 키에 설치된 온도 센서(D)는, 유저의 체온에 가까운 온도를 계측하기 위해, 제어부(603)는, 소정의 키가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또한 이 소정의 키의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예를 들면, 인체의 온도로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30도 미만 및 45도 보다 위)인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603)는, 모든 키가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또한 모든 키의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또, 통상은 동시에 가압되지 않는 복수의 키가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또한 당해 복수의 키의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상태를 수몰 상태로 판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을 검출하는 기구를 직접 물로 적시지 않고 수몰 상태를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압이 걸리면, 이 수압에 의해 키 시트(40)에 설치된 각 키가 가압된다. 각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각 키 스위치(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45) 상의 패턴을 메탈 돔 등으로 꽉 눌러 스위칭 시키고 있고, 메탈 돔 등에 의해 일정한 가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에 설치된 온도 센서(D)는, 가압된 키의 온도를 계측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소정의 수압에 의해 소정의 키 스위치(A), 예를 들면, 모든 키 스위치(A), 또는 결정된 복수의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또한 온도 센서(D)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즉, 복수의 키 스위치(A)는, 수몰 검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하나의 키 스위치(A)가 소정값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또한 온도 센서(D)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인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수몰 경고>

    다음에, 수몰되었을 때의 경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방수 기능을 가지는 장치라도, 그 방수 기능을 초과하는 수몰 등의 환경 하에 놓여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검출 기능에 의해 수중에 있는 것을 검출하고, 수몰 시간을 기록하는 기능과, 조작부(11)에 온도 센서(D)를 탑재하고, 수몰한 경우의 수온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수몰 시간을 기록하는 기능과, 수온을 검출하는 기능에 의해 얻어진 정보로부터, 1. 수심(수압)이 설정한 수심을 초과한 경우, 2. 수몰 시간이 설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3. 수온이 설정 온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중 어느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소정의 경고(예를 들면, LED 등의 발광 동작이나, 모터(75)의 구동에 의한 경고)를 행한다.

    <동작 방법>

    다음에,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20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50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1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키의 눌림(가압)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1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압하된 키의 온도의 계측을 행하고, 단계 S503으로 진행한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압하되어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5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50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온도 센서(D)에 의해, 눌린 키의 온도를 계측한다.

    단계 S50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03의 공정에 의해 계측한 키의 온도가, 미리 설정해 두는 제1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설정 온도의 범위 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수몰을 검출하고, 단계 S505로 진행한다. 또, 제1 설정 온도의 범위 외라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5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505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506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05의 공정에 의한 수몰을 검출한 후에, 수몰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한다.

    단계 S507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온도 센서(D)에 의해 측정되어 있는 수온을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온도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경우에는(No), 단계 S508로 진행하고, 설정 온도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Yes), 단계 S510 또는 단계 S511로 진행한다.

    단계 S508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제2 설정 온도의 범위 외인 것을 표시한다.

    단계 S509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그 후, 제2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0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510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0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0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제2 설정 온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508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09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51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06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참조하고, 수몰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해 두는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512로 진행하고,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514로 진행한다.

    단계 S51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51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단계 S51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로로 한다(n=0).

    단계 S515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되어 있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516으로 진행하고,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가 눌려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517로 진행한다. 각 압력 검출 스위치(B)는, 대응하는 키마다 눌리는 압력이 다르고,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를 감시함으로써 수심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16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3)는, 「1」키에 대응하는 압력 검출 스위치(B)만 눌려 있는 경우에는, 「1」키에 대응하는 발광부(LED)(C)만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517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를 1개 늘린다(n=n+1).

    단계 S518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눌려 있는 압력 검출 스위치(B)의 수(n)가 규정의 수(키의 수+1)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519로 진행하고,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15로 되돌아온다.

    단계 S519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한 심도보다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520으로 진행하고,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522 또는 단계 S5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20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설정 심도보다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계 S521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2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522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2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52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52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523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키의 눌림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103)는,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는 것,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단계 S7로 되돌아온다. 또, 모든 키 스위치(A)(또는 특정 복수의 키 스위치(A))가 동시에 눌려 있지 않다고, 또는 특정 하나의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524로 진행한다.

    단계 S524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단계 S506의 공정에 의해 구동한 타이머를 리셋한다.

    단계 S525에 있어서, 제어부(1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미리, 수심, 수온, 시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고,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경고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종래 구성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용의 회로 단자가 물에 젖는지의 여부에 따라 수몰의 검출을 행하고 있었다. 한편으로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의 가압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수몰을 검출하고 있고, 종래 장치와 같이 회로 내에 물을 침입시킬 필요가 없고, 회로가 물에 젖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을 부하로서 검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수압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수심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하에, 휴대 전화 장치(1)에 관련되는 당해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술한다.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검출부(701)와, 침수 상태 검출부(702)와, 기억부(706)와, 통지부(705)와, 제어부(70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검출부(701)는, 조작부(11)에 대한 소정의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한다. 침수 상태 검출부(702)는, 휴대 전화 장치(1)가 물에 젖은 것을 검출한다. 이 침수 상태 검출부(10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표면에 노출한 2개의 단자부(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2개의 단자부간이 수분에 의해 도통하여 단락됨으로써 물을 검출한다. 기억부(706)는, 가압력과 수심이 대응되어진 제1 정보를 기억한다.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7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가압 조작에 따른 제1 제어(예를 들면, 통화시에 있어서의 제어나, 메일의 송수신에 있어서의 제어나, 카메라에 의한 촬상시에 있어서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7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가압력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통지부(705)에 의해 통지하는 제2 제어를 행한다.

    통지부(705)는, 제어부(703)에 의해 산출된 수심을 소정의 형태로 통지한다(예를 들면, LED나 디스플레이(21)의 백 라이트를 발광시키거나, 모터(75)를 구동시키거나 한다).

    여기서, 수압 검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 검출부(701)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도 22 참조)에 상당한다. 침수 상태 검출부(702)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에 설치된 2개의 단자부(도시를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외부 단자와 접속 가능한 충전 단자나 접속 커넥터)를 구비하는 침수 상태 검출부에 상당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는, 2개의 단자부간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단락 상태를 검출하고, 단락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휴대 전화 장치(1)의 침수 상태를 검출한 것으로 간주한다.

    기억부(706)는, 메모리(72)에 상당한다. 통지부(705)는, 광조사부(C)(LED)(도 22 참조)나 디스플레이(21)나 모터(75)에 상당한다. 제어부(703)는, CPU(71)에 상당한다.

    또한, 침수 상태 검출부(702)는, 물을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나, 키 스위치(A)의 가압 상태(예를 들면, 복수의 키 스위치(A)의 가압이 동시에 검출된 상태)를 판정하는 수법이어도 된다.

    휴대 전화 장치(1)가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수중 이외의 장소(예를 들면, 육상)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가 침수 상태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유저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703)는, 키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 검출부(701)(키 스위치(A))가 가압 조작을 검출하면, 제1 제어를 행한다.

    한편,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키는, 수압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되어, 조작 검출부(701)(키 스위치(A))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한다. 또, 침수 상태 검출부(702)는, 2개의 단자부가 수분에 의해 도통됨으로써 단락 상태가 되고, 휴대 전화 장치(1)의 침수 상태를 검출한다. 그래서,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가 침수 상태를 검출한 상태로 조작 검출부(701)가 가압 조작을 검출한 경우에는, 이 가압 조작은 수압에 의한 가압(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이라고 판단하여, 제2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2 제어란, 예를 들면, 조작 검출부(701)가 검출한 가압 조작에 수반하는 가압력과, 기억부(706)에 기억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 장치(1)가 위치하는 장소의 수심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통지부(705)에 의해 통지하는 제어이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 장치(1)에 의하면, 제어부(703)는, 휴대 전화 장치(1)가 수중에 있어서의 사용에 제공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조작 검출부(701)에 의해 수심을 산출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에 별도 수압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를 증가시키지 않고 수심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검출부(701)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상당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11)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조작 검출부(701)는, 1개이어도 된다.

    또, 조작 검출부(701)는, 제1 가압력(예를 들면, 수심 2m에 있어서의 수압)에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조작 검출부와, 제2 가압력(예를 들면, 수심 4m에 있어서의 수압)에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2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제1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이 제1 조작 검출부가 검출한 제1 가압력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하고, 제2 조작 검출부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이 제2 조작 검출부가 검출한 제2 가압력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다른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검출하는 제1 조작 검출부 및 제2 조작 검출부를 가지므로, 보다 정확하게 수심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검출부(701)는, 제1 조작 검출부와, 제2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구성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검출부(701)는, 3 이상의 다른 가압력으로의 가압 조작을 각각 검출하는 3 이상의 조작 검출부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제어부(703)는, 제2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제어를 억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통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억제하여, 복수의 키를 락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키에 대응하여 배치된 키 스위치(A)가 수압에 의해 가압되어도, 통화 기능이나 메일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중에 있어서, 수압에 의해 복수의 키가 가압되어 발생하는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통지부(705)는, 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C)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어부(703)는, 산출된 수심의 결과를 광조사부(C)에 의한 광의 조사에 의해 통지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키를,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함과 더불어, 통지부(705)를, 조작 검출부(701)에 대응하여 배치한 광조사부(C)(LED)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7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 검출부(701)가 검출한 가압력으로부터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가압 조작을 검출한 조작 검출부(701)에 대응하여 배치된 광조사부(C)를 발광시켜 이 조작 검출부(701)를 향해 광을 조사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조사부(C)(LED)로부터 조작 검출부(701)(키 스위치(A))를 향해 조사된 광은, 이 조작 검출부(101)(키 스위치(A))에 겹쳐 배치되는 키를 투과하여 외부에 도달한다. 이로 인해, 가압 조작을 검출한 조작 검출부(701)(키 스위치(A))에 대응하는 키를 통해, 광조사부(C)(LED)로부터 조사된 광을 유저에게 확인시킬 수 있으므로, 산출된 수심을 유저에게 시각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는, 복수의 키를 가지고 구성되는 숫자 키(입력 조작 키(14) 중 1~9 및 0의 숫자가 할당된 키)를 가지며, 조작 검출부(701)는, 숫자 키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대한 가압 조작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고, 광조사부(C)는, 숫자 키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을 조사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기억부(706)는, 수심과 숫자 키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각각에 할당된 숫자가 대응되어진 제2 정보를 기억하고, 제어부(703)는, 조작 검출부(701)가 검출한 가압력과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수심과,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산출된 수심에 대응하는 숫자를 산출함과 더불어, 광조사부(C)에 의해, 산출된 숫자가 할당된 키에 광을 조사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조작 검출부(701)를, 숫자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해 구성하고, 광조사부(C)를, 이들 복수의 키 스위치(A)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LED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702)에 의해 침수 상태가 검출된 상태에서 조작 검출부(701)에 의해 가압 조작이 검출되면, 이 조작 검출부(701)가 검출한 가압력으로부터 수심을 산출함과 더불어, 산출한 수심에 대응하는 숫자가 할당된 키에 광조사부(C)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산출한 수심에 대응되어진 숫자가 할당된 키를 광조사부(C)에 의해 조사하여 점등시키므로, 유저는, 점등한 키를 확인함으로써, 수심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기억부(706)는, 제2 정보로서, 수심의 기준치와, 숫자 키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중 숫자 1이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함과 더불어, 수심의 기준치에 자연수를 곱해 얻은 값과, 숫자 키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 중 당해 자연수가 할당된 키를 대응시켜 기억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수심의 기준치를 「2m」로 설정한 경우, 기억부(706)는, 제2 정보로서 「수심 2m」와 「1」키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 「수심 4m」와 「2」키를, 「수심 6m」와 「3」키를, ......, 「수심 18m」와 「9」키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1)는, 광조사부(C)에 의해 조사되어 점등하는 키의 숫자에 수심의 기준치를 곱해 얻어진 값이 산출된 수심을 나타내므로, 유저는, 점등한 숫자 키(14)를 확인함으로써, 수심을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수몰 검출 방법>

    여기서,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 있어서의 수몰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표면에 노출한 2개의 단자부를 가지는 침수 상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침수 상태 검출부는, 조작부측 하우징부(2)의 표면에 수분이 부착하고, 이 부착한 수분에 의해 2개의 단자부간이 도통하여 단락함으로써 물을 검출한다.

    <수심 검출 방법>

    다음에, 수심의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조작부(11)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키가 키 시트(40)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11)는, 수몰 상태에 있어서, 직접 수압이 걸리는 상태에 있다.

    또,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를 구성하는 복수 키의 각각에 대응하여, 키 스위치(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키 스위치(A)와 키 시트(40)의 러버 두께를 적절히 조합하여 설정하고, 소정의 압력마다(소정의 수심도마다) 한개씩 키 스위치(A)가 차례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휴대 전화 장치(1)는, 기존의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침수 상태 검출부(102)와, 복수의 키 스위치(A)에 의해, 수압을 리얼타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수심(수압)계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 전화 장치(1)는, 수압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수심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는, 침수 상태 검출부를 구성하는 2개의 단자부간이 수분에 의해 도통하여 단락된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되어 있다고 판정한 후는, 수압에 의한 키의 오입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키락을 행한다.

    여기서, 하나의 키 면적을 약 13(㎜)×7(㎜)=91(㎟)라고 하면, 수심 1m에서의 수압은 1(g/㎤)보다 91(㎟)×1000(㎜)/1000(㎜)3=91(g)이 되고, 수심 2m에서는 91×2=182(g)이 되고, 수심 4m에서는 91×4=364(g)이 되고,......, 수심 20m에서는 91×4=1820(g)이 된다.

    기억부(106)는, 이러한 가압력(무게)과 수심을 대응시켜 제1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다.

    따라, 예를 들면, 숫자 키 「1」의 키에 눌리는 키 스위치(A)를 182(g)의 가압력으로 설정하고, 숫자 키 「2」의 키에 눌리는 키 스위치(A)를 364(g)의 가압력으로 설정함으로써, 몇 개의 키가 가압되었는지에 의해 가압력(무게)을 알 수 있고, 당해 가압력으로부터 수심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수몰 후에 있어서 소정의 기능(예를 들면, 수중 카메라의 기능)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특정 키만 조작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동작 방법>

    다음에,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 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 23에 나타내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계 S601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수몰의 감시를 개시한다. 제어부(703)는, 간헐적으로 대기 수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되고,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임의의 타이밍에 수몰의 감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51)가 대기 상태시에, 간헐적으로 도시를 생략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수몰의 감시를 메인 안테나(51)의 간헐적 수신시에 대응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인 안테나(51)에 의해 신호가 수신될 때에 소비되는 전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수몰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단계 S602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의 2개의 단자부가 도통하여 단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몰을 검출한 것으로 하여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또, 침수 상태 검출부의 2개의 단자부가 도통하고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601로 되돌아온다.

    단계 S603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수몰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압에 의한 키 눌림의 오동작을 억제하기 위해서, 키락의 제어를 행한다.

    단계 S604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눌려 있는 키 스위치(A)의 수(n)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제로로 한다(n=0).

    단계 S605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설정되어 있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가 눌려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하고,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가 눌려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607로 진행한다. 각 키 스위치(A)는, 대응하는 키마다 눌리는 압력(눌림력)이 다르다. 따라서, 제어부(703)는, 압하되는 키 스위치(A)를 감시함으로써, 키 스위치(A)에의 눌림력을 검출할 수 있고, 이 검출한 눌림력과 기억부(706)에 기억되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심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06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n번째의 키에 대응하는 광조사부(LED)(C)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703)는, 「1」키에 대응하는 키 스위치(A)만 눌려 있는 경우에는, 「1」키에 대응하는 광조사부(LED)(C)만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S607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눌려 있는 키 스위치(A)의 수(n)를 1개 늘린다(n=n+1).

    단계 S608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눌려 있는 키 스위치(A)의 수(n)가 규정의 수(키의 수+1)에 이르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609로 진행하고, 규정의 수에 이르러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605로 되돌아온다.

    단계 S609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Yes), 단계 S610으로 진행하고, 설정한 심도보다도 깊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No), 단계 S612 또는 단계 S6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10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설정 심도보다도 깊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심도가 설정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그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이력으로서 기억부(706)에 기억해도 된다. 이로 인해 규격 외의 사용이 이루어진 것이 기억부(706)에 기억되기 때문에, 통상의 고장인지, 규격 외 사용에 기인하는 고장인지를 기억부(706)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고, 고장의 원인을 찾는 실마리로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고장을 미연에 억제하기 위해서 전원을 오프로 해도 된다.

    단계 S611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경고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703)는, 그 후,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오면, 단계 S61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61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612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단계 S61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61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로서, 설정 심도의 범위 내로 되돌아온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S610에 있어서의 표시와, 단계 S611에 있어서의 경고 동작을 해제한다.

    단계 S613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에 의해 침수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제어부(703)는, 침수 상태 검출부의 2개의 단자부가 도통하여 단락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계속 수몰되어 있는 것을 판단하고, 단계 S604로 되돌아온다. 또, 침수 상태 검출부의 2개의 단자부가 도통하고 있지 않다고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614로 진행한다.

    단계 S614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단계 S603의 공정에 의해 개시한 키락의 제어를 해제한다.

    단계 S615에 있어서, 제어부(703)는, 수몰의 감시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는, 유저가 미리, 수심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 두고, 범위를 초과했을 때에 경고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1: 휴대 전화 장치 2: 조작부측 하우징부
    3: 표시부측 하우징부 101: 조작 검출부
    102:압력 검출부 103: 제어부
    104: 기능 실행부 105: 통지부
    106: 기억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