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

申请号 KR1020087013768 申请日 2006-11-09 公开(公告)号 KR1020080075166A 公开(公告)日 2008-08-14
申请人 오픈픽 인크.; 发明人 크르지자노스키폴; 플로레스저스틴;
摘要 A system and method are used to provide a user control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 functionality. The system comprises a support structure, control regions, depressible interaction devices, and a controller. The control regions are formed on the support structure. Each of the control regions comprises light emitting areas. The depressible interaction devices cover respective ones of the control regions. The controller is coupled to the control regions and controls which of the emitting areas is output from respective ones of the interaction devices based on one or more modes of operation of the user control interface.
权利要求
  • 다중 장치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이며,
    지지 구조물과,
    지지 구조물 상에 형성되며 발광 영역을 각각 포함하는 제어 구역과,
    각각의 제어 구역을 덮는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와,
    제어 구역에 결합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한 각각의 상호작용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발광 영역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발광 영역은 단색 또는 다색 중 하나인 광원, 발광 다이오드 또는 광 파이프 중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은 제어기와 제어 구역을 결합시키는 회로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는 물리적 버튼인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모드는 휴지 모드, 채널 모드, 이송 모드 및 폰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구역은 각각의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가 가압될 때 작동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스위치의 작동은 작동 모드를 기초로 한 작동을 시작하게 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는 발광 영역의 측방향 출력을 사실상 제거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작동 모드가 휴지 모드일 때,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는 발광 영역의 출력을 사실상 제거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는,
    표면벽과,
    표면벽 상의 필름층과,
    표면벽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1 측벽 내지 제4 측벽과,
    표면벽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적어도 2개의 측벽 사이에 결합되는 적어도 1개의 격벽과,
    적어도 1개의 격벽에 대하여 연장되고 각각의 제어 구역과 상호작용하는 연 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표면벽은,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의 각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발광 영역과 정렬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1개의 격벽은 광 안내부를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발광 장치만이 각각의 개구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표면벽의 개구는 1개 이상의 작동 모드가 휴지 모드가 아닌 동안에만 보이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9항에 있어서,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내에 수용되는 삽입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식 장치는 적어도 1개의 격벽을 표면벽과 제1 측벽 내지 제4 측벽에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공동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각각의 발광 영역과 정렬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2항에 있어서, 각 삽입부의 상부면은 1개 이상의 작동 모드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3항에 있어서, 개구는 1개 이상의 작동 모드가 휴지 모드가 아닌 동안에만 보이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에 결합되어 각각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 동안에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 다중 장치 기능성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작동 모드 동안에 제1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의 제1 개구 세트를 점등시키는 단계와,
    제2 작동 모드 동안에 제1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또는 제2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중 하나의 제2 개구 세트를 점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개구 세트는 제1 개구 세트를 모두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일부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사용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다음 작동 모드 동안에 제1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제2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또는 추가적인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중 하나의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개구 세트를 점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1개 이상의 추가적인 개구 세트는 제1 개구 세트와 제2 개구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모두 또는 일부 포함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사용 방법.
  • 说明书全文

    다기능 제어 인터페이스{MULTI-FUNCTIONAL CONTROL INTERFACE}

    본 발명은 대체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장치 기능성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적은 장치들이 더 많은 능력과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 전자제품(consumer electronics, CE) 산업의 추세이다. 예컨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DA)는 기본적으로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정리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현재는 대체로 음성 전화와 같은 다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PDA에서 전화 기능성의 통합은 장치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PDA와 개별적인 휴대 전화를 둘 다 들고다니지 않게 해준다.

    그러나, "콤보(combo)"나 "통합식(multiple-in-1)"과 같은 장치의 단점은 각 개별적인 부품이나 장치를 작동시키고 제어하는데 다른 인터페이스/제어기 세트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PDA/전화 장치의 경우에, 일 인터페이스는 PDA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하고 다른 인터페이스는 전화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는 작은 CE 장치가 각각의 장치용 개별 전용 제어 인터페이스를 위한 물리적 공간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 실제공간(interface real-estat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방법은 컴퓨터 생성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이다. 단일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는 버튼이 표현된 스크린 상의 구역을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로 가압함으로써 작동될 수 있는 가상의 버튼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은 매우 큰 효율과 적응성을 제공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하드 버튼[예컨대, 물리적 버튼, 오목한 버튼, 가압식(depressible) 버튼 등]에 의한 촉감과 반응을 선호한다. 이러한 이유로 물리적 버튼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익숙하게 학습할 수 있는 독특한 감촉을 가진다. 이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응시하지 않고서도 제어기를 조종하고 작동하도록 한다. 이는 "소프트(soft)" 버튼으로는 실용적이지 않다.

    그러나, 각 물리적 버튼은 장치 상에 물리적 공간을 차지한다. 소형 휴대 장치의 기본적인 공간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장치는 휴대성을 위한 소형 크기를 포기하지 않은 채, 각 부품을 위한 개별 전용 제어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는 없다. 오히려, 이러한 장치는 일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1개 이상의 기능을 제어 인터페이스의 각 물리적 버튼에 지정해야 한다. 예컨대, PDA 기능성을 제어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상의 "S" 문자 버튼에 대응할 수 있는 물리적 버튼은 전화 기능을 위한 "4" 버튼으로서의 이중 기능도 할 것이다. 이러한 다중 기능 지정은 버 튼에 적절히 표시하여 나타낸다. 그러나, 버튼에 지정되는 기능이 많아질수록, 버튼 상에 표시해야 하는 기호도 많아진다. 이는 매우 "바쁘게 찾도록(busy-looking)" 만들고 버튼 배열을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지 않는 배열을 구비한 물리적 상호작용 장치를 사용하는 다기능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지 구조물, 제어 구역,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중 장치 기능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어 구역은 지지 구조물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어 구역은 발광 영역을 포함한다.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는 각각의 제어 구역을 덮는다. 제어기는 제어 구역에 결합되며,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1개 이상의 작동 모드에 기초한 각각의 상호작용 장치로부터 생성되는 발광 영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중 장치 기능성을 제어하는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1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의 제1 개구 세트는 제1 작동 모드 동안에 점등된다. 제1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또는 제2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 세트 중 하나의 제2 개구 세트는 제2 작동 모드 동안에 점등된다. 제2 개구 세트는 제1 개구 세트를 모두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음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교시에 기초한 추가적인 실시예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면서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다루고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위한 상호작용 장치 또는 버튼의 다양한 점등 구성을 도시한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와 제어 구역의 사시도와 분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장치의 저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작용 장치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10 및 도11은 도9의 상호작용 장치의 다양한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식 장치 주위에 상호작용 장치가 배치되기 전·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부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15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기능하는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다기능 장치를 도시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기술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중의 왼쪽 숫자는 그 도면 부호가 처음 나오는 도면의 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구성과 배열이 논의되지만, 이는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과 배열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전체 인터페이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00)의 다양한 작동 모드를 위한 상호작용 장치(102, 예컨대, 버튼, 물리적 버튼, 오목한 "소프트" 버튼, 가압식 버튼 등)의 다양한 점등 구성을 도시한다.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00)는 음성 전화 기능성도 구비하는 복합 CE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유닛과 같은 다기능 장치와 관련되어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어떤 버튼(102)도 점등되지 않은 휴지 모드의 다기능 장치용 버튼(102)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2는 텔레비전, 케이블 박스, 셋톱(set-top) 박스, 오디오 수신기 등을 작동하기 위한 점등된 버튼(102)의 "채널(channel)" 배열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이 용가능한 작업이, [도면 부호 "102-n"(여기서, n≥1)로 지정된] 각각의 버튼 상의 (도2에서 도면 부호 "104-n"(여기서, n≥1)로 지정된] 한 세트의 점등 영역에서 점등된다. 이러한 예에서, 버튼(102-1)이 가압될 때, 점등 영역(104-1)은 관련 디스플레이 상에 온 스크린(on-screen) 메뉴가 나타나도록 지시하는 "메뉴(MENU)" 기능을 표시한다. 이와 유사하게, 버튼(102-2 내지 102-4)은 점등 영역(104-2 내지 104-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된 쌍방향 시청(viewing)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버튼(102-2) 상의 점등 영역(104-2)은 프로그래밍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가이드(GUIDE)" 기능을 표시하며, 버튼(102-3) 상의 점등 영역(104-3)은 화면 또는 모드를 빠져나가기 위한 "엑시트(EXIT)" 기능을 표시하며, 버튼(102-4) 상의 점등 영역(104-4)은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인포(INFO)" 기능을 표시한다. 버튼(102-1 내지 102-4)은 메뉴 항목을 찾고 선택하기 위한 방향 패드 또는 "디(D)" 패드(101)와 외접한다.

    버튼(102-5 내지 102-13, 102-15)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4)은 입력을 취소하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6)은 화면을 빠져나가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7 및 102-19)은 채널을 상하로 이동하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8)은 화면을 이전 화면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이러한 모든 기능은 대응하는 점등 영역(104-5 내지 104-19)에서 점등된다.

    도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각각의 도3 및 도4는 도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버튼 부호 체계(102-1 내지 102-n)와 점등 영역 부호 체계(104-1 내지 104-n)를 사용한다. 단순성과 편의성을 위해 도3 및 도4에서는 도면 부호가 표기되지 않는다.

    도3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와 같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송(transport)" 모드를 위해 점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 구성에서, 버튼(102-2)의 점등 영역(104-2)은 버튼(102-2)의 작동시 온 스크린 작동 메뉴에 접근하기 위한 "DVR 메뉴(MENU)" 기능을 표시하며, 버튼(102-4)의 점등 영역(104-4)은 TV 튜너(tuner)를 통해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라이브(LIVE) TV"를 표시한다. 버튼(102-5 내지 102-10, 102-12)은 녹화물의 시청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된 기능(예컨대, 되감기, 재생, 빨리감기, 이전/반복(replay), 일시중지, 다음/넘김(skip) 및 정지 등 각각)을 제공한다. 버튼(102-13 및 102-15)은 볼륨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7 및 102-19)은 라이브 TV 동안 채널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한다. 버튼(102-18)은 사용자가 이전에 보던 채널로 복귀하기 위해 작동한다. 이러한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점등 영역(104-n)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도4는 음성 전화 작동용 "폰(phone)" 모드를 위해 점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버튼(102-1 및 102-3)은 전화의 "걸기(picking up)"와 "끊기(hanging up)"를 제어하기 위해 작동하며, 버튼(102-5 내지 102-13, 102-15)은 통상적인 전화 키패드와 상응하게 작동하며, 버튼(102-14 및 102-16)은 통상적인 전화 키패드 상의 별(*) 키와 우물 정(#) 키와 상응하게 작동한다. 이러한 기능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점등 영역(104-n)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지 모드, 채널 모드, 이송 모드 및 폰 모드를 포함하면서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중 모드에서 작동하는 다기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선택적인 점등을 통해 자동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하드(hard) 버튼으로 구성되는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설명적이며, 기능성 제어 및 모드의 수와 유형은 용도에 좌우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지 예시적이다.

    <예시적 제어 구역>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하는 버튼의 특정 구조적 요소의 사시도와 분해도를 각각 도시한다. 각 버튼은 인터페이스(100)에 의해 제어되는 다기능 장치의 부분인 지지층(510) 상에 배열되는 조립체(5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버튼은 지지층(510) 상에 위치하는 불투명한 버팀대(stalk)/스페이서(spacer)(516) 내에 장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514)와 같은 1개 이상의 단색 또는 다색의 광원의 배열을 포함한다. 물리적으로 LED를 수납하는 것 외에도, 버팀대/스페이서(516)는 또한 LED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측방향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유형의 광원 또는 광 파이프 등은 LED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LED가 장치의 단일 기능성을 점등시키는 전용인 경우에, 버튼에 지정된 LED(514)의 수는 다기능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작동의 기능/모드의 수와 일치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광 파이프가 단일 LED의 빛을 다중 점등 영역으로 이송하는 데 사용되어 필요한 LED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버튼에 대하여, 지지층 상에 위치하는 스위치(518)는 다기능 장치의 기저 회로(미도시)에 전기 접속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버튼(102)이 가압될 때, 버튼(102)의 점등 영역(104)에서 표시되는 기능에 대응하는 작동을 시작하도록 각각의 스위치(518)를 작용시킨다. 작용시에 정확한 기능은 다기능 장치의 작동 모드를 따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제1 실시예>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하는 버튼의 추가적인 부품인 하드 캡(cap) 또는 커버(702)의 저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각 하드 캡(702)은 표면벽(720), 4개의 측벽(722, 724, 726 및 728) 및 [2개의 격벽(730, 732)이 도7에 도시되지만] 적어도 1개의 격벽(730)을 포함한다. 격벽(730, 732)은 내부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및 742)을 형성한다. 격벽(730, 732)의 하부면을 지나 연장되는 연장부 또는 돌출부(734)가 적어도 1개의 격벽(730 또는 732)에 대해 위치한다. 일 예에서, 연장부(734)는 표면벽(720)에 결합되고 격벽(730, 732)을 통과하는 스템(stem)인 반면, 다른 예에서는 연장부(734)는 격벽(730 또는 73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드 캡(702)은 도5 및 도6에 도시된 LED 스위치 조립체(512) 위에 장착됨으로써, (i) 하드 캡(702)의 각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및 742)이 광원(514) 및 대응 버팀대/스페이서(516)를 수납하고, (ii) 하드 캡(702)의 연장부(734)는 스위치(518)와 접촉한다. 측벽(722, 724, 726, 728, 730 및 732)에 의해 형성되는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및 742)은 또한 하드 캡(702)의 섹션 또는 공동(736, 738, 740 및 742)의 하나에서 점등되는 광원(514)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다른 섹션 또는 공동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하드 캡(702)은 표면벽(720)에 형성되는 특정 개구(744, 748 및 750)를 구비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하드 캡(702)의 섹션(736)의 개구(744)는 "메뉴(MENU)"라는 단어로 성형된다. 하드 캡(702)의 섹션(740)의 개구(748)는 숫자 "1"로 성형되고, 섹션(742)의 개구(750)는 "재생(play)" 작동을 위한 화살표로 성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하드 캡(702)은 섹션(738)의 영역에서 표면벽(720)에 성형되는 개구가 없다. 개구가 완비되는 대신에, 개구(744, 746 및 750)는 버튼(702)의 표면벽(720)에 물리적으로 삽입되는 투명/반투명 라벨로 덮일 수 있다.

    박막층(752)은 각 버튼(702)의 표면벽(720)의 상부면 상에 결합되거나 형성된다. 하부의 대응 광원(514)이 점등되지 않을 때, 반 불투명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층(752)은 개구 또는 라벨(744, 746 및 750)을 광학적으로 감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0)가 사용되지 않는 휴지 모드에 있을 때, 층(75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각 버튼에 편평하고 부드럽고 빈 표면(도1 참조)의 외형을 제공한다. 채널, 이송 및 폰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 동안, 광원(514)이 점등될 때 층(752)은 기저 광원(514, 도 5 및 도6)으로부터 빛을 통과시킴으로써, 대응하는 개구 또는 라벨(744, 746 및 750)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의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버튼을 위한 대안적 구조에 대한 이하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12 및 도13을 참조로 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962)은 바닥층으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중공 프롱(prong) 또는 부재(1154, 1156, 1158 및 1160)를 포함한다. 부품(962)은 가요성 반투명의 광 확산 재료로 제조된다.

    도13은 부품(962) 위로 끼워맞추도록 설계된 버튼 캡(902)을 도시한다. 버튼 캡(902)은 단단하고 반 불투명 재료로 제조되며, 부품(962)용 외부 쉘의 역할을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캡(902)으로 삽입되는 부품(962)의 저면도이다. 도10은 버튼 캡(902)과 부품(962)을 포함하는 버튼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962)은 중공동(hollow cavity; 1066)을 구비하는 다수의 부재 또는 프롱(1055)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버튼 캡(902)은 중공동(1036 내지 1042)을 구비한다. 부품(962)은 버튼 캡(902)으로 삽입됨으로써, 프롱(1055)은 버튼 캡(902)의 각각의 또는 대응 섹션(1036 내지 1042) 내에서 수용된다. 도9는 버튼 캡(902)과 적절히 결합시킨 이후의 부품(962)을 도시한다. 스템(934)은 부품(96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기부층(510)의 기저 스위치(518)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11은 내부에 삽입하기 이전에 버튼 캡(902)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품(962)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캡의 표면벽(1120)에 성형된 개구를 구비하는 버튼 캡과는 대조적으로, 도11의 버튼 캡(902)은 어떤 개구 또는 다른 라벨이나 마크(mark)도 구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1144, 1148 및 1150)은 부품(962)의 프롱(1055)의 각 표면(1154, 1158 및 1160) 상에 형성된다. 일 예에서, 각 프롱(1055)의 각 상부면(1154 내지 1160)은 음화(negative image) 기술[예컨대, 실크스크린(silkscreen)]을 이용하여 라벨(1144 내지 1150)로 표시됨으로써, 라벨은 반투명하게 유지되고 주변 영역은 검정으로 덮인다.

    도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가능 인터페이스의 일 부분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부품(962)은 기부층(510) 상의 LED 스위치 조립체(512) 위로 끼워짐으로써, 부품(962)의 각 프롱(1055)에서 각 공동(1066)은 내부에 각 광원(514)과 스페이서(516)를 수용한다. 따라서, 각 LED(514)는 부품(962)의 프롱(1055)의 각 공동(1066)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어서 부품(962)은 하드 캡(902)으로 삽입됨으로써, 부품(962)의 각 프롱(1055)은 하드 캡(902)의 대응하는 공동(1036 내지 1042)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하드 캡(902)의 연장부(934)는 부품(962)의 개구(964)를 통과하고 기부층(510) 상의 스위치(518)와 정렬되며 접촉한다. 버튼이 가압될 때, 연장부(934)는 기부층(510) 아래의 회로층(미도시)에 접속하는 스위치(518)와 상호작용한다.

    일 예에서, LED(514)가 점등되지 않을 때(예컨대, 도1 참조), 라벨(1144, 1148 및 1150)은 사용자에게 버튼 캡(902)을 통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개의 LED(514)가 점등될 때 이 LED로부터의 빛이 각각의 라벨(1144, 1148 및 1150)과 버튼 캡(902)을 통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라벨이 사용자에게 보이게 된다.(예컨대, 도2 내지 도4 참조) 예컨대, 도12는 하부의 광원에 의해 점등되는 "재생(play)" 화살표(1150)를 구비한 부품(962)의 프롱(1160)을 도시한다. 점등된 재생 라벨(115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불투명 재료로 제조되 는 버튼 캡(902)을 통과하여 버튼 캡(902)을 통해 보인다.

    도15 내지 도17은 인터페이스(1500)와 디스플레이(1572)를 구비하고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기능하는 다기능 장치(1570)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1500)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버튼의 배열체를 포함하는 키보드이다. 도15에서, 장치(1570)의 인터페이스(1500)는 DVR의 제어를 위한 "이송(transport)" 작동 모드에 따라 점등되어 도시된다. 도16에서, 장치(1670)의 인터페이스(1600)는 TV의 제어를 위한 "채널(channel)" 작동 모드에 따라 점등되어 도시된다. 도17에서, 장치(1770)의 인터페이스(1700)는 전화기의 제어를 위한 "폰(phone)" 작동 모드에 따라 점등되어 도시된다.

    또한, 장치(1570)의 디스플레이(1572)는 메뉴 및 장치(1570)의 작동 모드에 관련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송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572)는 "만족(Thumbs up)" 및 "불만족(Thumbs down)"과 같은 시청자 상호작용에 관련된 지시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채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672)는 선호하는 채널의 선택에 관련된 지시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772)는 저장된 전화번호의 선택에 관련된 지시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장치(1570)는 본 발명의 버튼 인터페이스(1500)가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플랫폼이다. 본 발명은 다중 장치 기능성의 제어가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플랫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언어(예컨대, 키릴, 아라비아 또는 그리스 기호)의 사용 또는 특정 용도나 프로그램(사진 편집 또는 그래픽 디자인용 기호)의 작업을 위해 사용자 맞춤식 키를 제공하는 컴퓨터 키보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예시 및/또는 실시예에 따라, 장치는 하드, 오목 또는 물리적 버튼을 사용하며, 각 버튼은 해당 장치 기능성에 따라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점등될 때까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다른 작동 라벨로 구성된다.

    일 예에서, 원격 제어[1570, 1670 및 1770(이후, 모두 1570으로 표기)] 작동 모드는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미도시)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는 기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둘 다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72), 사용자 제어기 인터페이스(1500)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원격 제어부(1570)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작동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때, 프로세서는 각 제어부(512)에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는 각 제어부(512)에서의 광원(514)이 특정 작동 모드에서 점등되는 것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예에서, 원격 제어부(1570)의 기저 기능성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도14를 참조하면, 가압식 상호작용 장치(902)가 가압될 때, 연장부(934)는 스위치(518)와 접촉한다. 스위치(518)는 프로세서에 전송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프로세서는 기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둘 다를 통해 작동을 시작하며, 현재의 작동 모드를 기초로 하는 각 스위치(518)와 관련된다.

    <결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서 제시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형태와 내용의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전술한 어떤 예시적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후술될 청구항과 그 등가물에 따라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요약서 부분보다는 실시예 부분이 청구항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요약서 부분은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예시적 실시예를 발명가가 계획한 대로 설명하지만 모든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할 수는 없으므로,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지 않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