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기기

申请号 KR1020160084733 申请日 2016-07-05 公开(公告)号 KR1020170009731A 公开(公告)日 2017-01-25
申请人 레노보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发明人 기타무라마사히로; 호리우치미츠오; 시노하라에이지;
摘要 본발명은비용을저감하고케이스를박형화할수 있는전자기기를제공하는것을목적으로한다. 전자기기(10)는, 누름조작을접수하는누름버튼(24a∼24c)의조작방향에서벗어난위치에전자기판인기판플레이트(32)를설치한구성이다. 이전자기기(10)에서는, 누름버튼(24a∼24c)의누름조작을검출하는검출스위치(35a∼35c)가기판플레이트(32)의하면측에설치되고, 누름버튼(24a∼24c)은, 기판플레이트(32)의측부에인접하여설치되고, 누름조작을접수하는상하이동가능한조작면부(50)와, 조작면부(50)의일 가장자리부로부터기판플레이트(32)의하면측으로돌출되고, 조작면부(50)의상하동작과반대방향으로동작함으로써검출스위치(35a∼35c)를압박조작하는검출아암부(52)를갖는다.
权利要求
  •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의 조작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전자 기판이 설치된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상기 전자 기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는, 상기 전자 기판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전자 기판의 측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조작면부와, 상기 조작면부의 일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전자 기판의 하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면부의 상하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 조작하는 검출 아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회동 지점(支點)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면부의 상기 검출 아암부가 설치된 일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측의 타(他)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제1 회동 지점과,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회동 지점과, 상기 제1 회동 지점과 상기 제2 회동 지점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판은, 그 하면측에 형성된 회동 지점을 통해 회동함으로써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에 설치된 기판이고,
    상기 누름 버튼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과,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이 평행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과 상기 검출 스위치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판은,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说明书全文

    전자 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노트형 PC)나 태블릿형 퍼스널 컴퓨터(태블릿형 PC)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터치 패드나 키보드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전자 기판을 설치한 기기의 측부에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을 갖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마우스의 대체가 되는 터치 패드 및 포인팅 스틱을 가지며, 이들 터치 패드 및 포인팅 스틱과 병용됨으로써 마우스의 좌측 버튼이나 우측 버튼에 대응한 클릭 조작 버튼(마우스 버튼)이 되는 누름 버튼을 터치 패드의 앞쪽 및 안쪽에 설치한 노트형 PC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08166호 공보

    그런데, 종래에서는, 누름 버튼은 그 조작면의 하측에 설치된 팬터그래프 구조의 지지 부재나 러버 돔 등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부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에 의해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누름 버튼의 상하 동작 및 그 검출에 필요한 부품 개수가 많아, 비용이 증가하고, 제조 효율도 저하되며, 또한 노트형 PC 등의 케이스의 박형화의 장벽으로도 되고 있다. 게다가,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이 터치 패드의 측부에 누름 버튼을 병설한 구성에서는, 누름 버튼의 하부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로부터 터치 패드용의 전자 기판까지 배선 케이블을 접속할 필요가 있어, 비용 저감이나 박형화가 한층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용을 저감하고 케이스를 박형화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는,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의 조작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 전자 기판이 설치된 전자 기기로서,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상기 전자 기판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누름 버튼의 하방에 검출 스위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이러한 검출 스위치로부터 전자 기판까지 배선 케이블 등을 접속할 필요도 없다. 즉, 누름 버튼의 검출 스위치를 인접한 전자 기판으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의 하방으로부터 검출 스위치나 배선 케이블 등을 배제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저감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 저감과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스위치는, 상기 전자 기판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전자 기판의 측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조작면부와, 상기 조작면부의 일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전자 기판의 하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작면부의 상하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 조작하는 검출 아암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면, 조작면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검출 아암부가 조작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면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자 기판의 하면측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를 검출 아암부에 의해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회동 지점(支點)을 갖는 구성이면 좋다. 그러면, 조작면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검출 아암부의 압박부를 조작면부와는 반대 방향으로 확실하게 동작시켜, 검출 스위치를 보다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면부의 상기 검출 아암부가 설치된 일 가장자리부와는 반대측의 타(他)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제1 회동 지점과,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상기 검출 스위치를 압박하는 압박부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회동 지점과, 상기 제1 회동 지점과 상기 제2 회동 지점 사이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면부와 상기 검출 아암부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면, 조작면부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검출 아암부가 조작면부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면부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자 기판의 하면측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를 검출 아암부에 의해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방향 변환부에 의해 조작면부와 검출 아암부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조작면부의 누름 위치를 검출 아암부측에 배치한 경우라도 검출 스위치를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판은, 그 하면측에 형성된 회동 지점을 통해 회동함으로써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에 설치된 기판이고, 상기 누름 버튼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과,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이 평행하며,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과 상기 검출 스위치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된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면, 조작 입력부의 검출용의 기판을 그 주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의 검출용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누름 버튼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과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이 평행한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에서 본 경우에 조작 입력부의 회동 지점과 검출 스위치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누름 버튼과 터치 패드의 서로의 누름 조작이 간섭하여, 오조작(誤操作)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판은,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드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기판이어도 좋다. 그러면, 터치 패드의 터치 조작 검출용의 기판을 그 주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의 검출용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 버튼의 검출 스위치를 인접한 전자 기판으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의 하방으로부터 검출 스위치나 배선 케이블 등을 배제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저감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 저감과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에 탑재한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터치 패드를 누름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누름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입력 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로서, 도 6의 (a)는 누름 버튼이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누름 버튼이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키보드 장치의 전자 기판에 누름 버튼의 검출 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태블릿형 PC로 구성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자 기판에 누름 버튼의 검출 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자 기기(10)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사용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앞쪽을 전측(前側)(전방), 안쪽을 후측(후방)이라고 부르고, 전자 기기(10)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14)의 두께 방향을 상하 방향,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불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는, 입력 장치(12) 및 키보드 장치(16)를 갖는 본체 케이스(14)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18a)를 갖는 디스플레이 케이스(18)를 구비한 노트형 PC이다. 디스플레이 케이스(18)는, 좌우 한 쌍의 힌지(19, 19)에 의해 본체 케이스(1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4)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판, 연산 처리 장치, 하드디스크 장치, 메모리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입력 장치(12) 및 키보드 장치(16)는, 본체 케이스(14)의 상면(14a)에서 앞뒤로 배열되어 있다. 키보드 장치(16)의 대략 중앙에는 포인팅 스틱(20)이 설치되어 있다. 포인팅 스틱(20)은 디스플레이 장치(18a)에 표시되는 커서(마우스 포인터)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며, 마우스 대신으로서 조작 가능한 입력 수단이다.

    다음으로, 입력 장치(12)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에 탑재된 입력 장치(1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장치(12)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력 장치(12)의 터치 패드(22)를 누름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누름 버튼(24a)이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2)는, 손끝 등의 접근 또는 접촉에 의한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패드(조작 입력부)(22)와, 터치 패드(22)의 후측부를 따라 배열된 3개의 누름 버튼(24a, 24b, 24c)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22) 및 누름 버튼(24a∼24c)은, 금속제의 판형 부재인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먼저, 터치 패드(22)는, 터치 조작에 더하여 누름 조작에 의한 클릭 동작이 가능한 클릭 패드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22)의 표면인 터치 조작면(22a)의 전측에는, 유사 버튼 영역(28a, 28b)이 설정되어 있다. 유사 버튼 영역(28a, 28b)은, 터치 조작면(22a) 상에서의 각각의 영역이 좌표로 정의된 것이며,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유사 버튼 영역(28a, 28b) 중 어느 하나에 손끝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터치 패드(22)를 누름 조작하면, 그 유사 버튼 영역(28a, 28b)에 대응한 처리나 표시가 행해진다. 예컨대, 2개의 유사 버튼 영역(28a, 28b)은, 각각 일반적인 마우스에서의 좌측 버튼, 우측 버튼에 대응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22)는, 베이스 플레이트(26)에 대면 배치되는 저면판(底面板)이 되는 하우징 플레이트(30)와, 하우징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적층되며, 터치 조작면(22a)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기판 플레이트(32)와, 기판 플레이트(32)의 상부에 적층되며, 그 표면이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조작면(22a)이 되는 패드 플레이트(34)를 갖는 3층 구조이다.

    기판 플레이트(32)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전자 기판이며,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본체 케이스(14) 내의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 플레이트(32)는, 패드 플레이트(34)에의 터치 조작 및 터치 패드(22)에 대한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누름 버튼(24a∼24c)에 대한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센서이기도 하다.

    기판 플레이트(32)의 후단측 하면에는, 각 누름 버튼(24a∼24c)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35a∼35c)가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검출 스위치(35a∼35c)는, 예컨대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으로부터 팽출된 메탈 돔 스위치이며, 하우징 플레이트(30)의 노치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35a∼35c)는, 누름 버튼(24a∼24c)이 눌려졌을 때에 후술하는 누름 버튼(24a∼24c)의 검출 아암부(52)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온되고, 이 온 신호가 기판 플레이트(32)에 의해 검출된다.

    패드 플레이트(34)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유리판이나 수지판이며, 기판 플레이트(32)의 상면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0)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의 수지판이며, 기판 플레이트(32) 및 패드 플레이트(34)를 유지하는 케이스 부재이다. 하우징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기판 플레이트(32)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0)의 후단측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어느 정도의 탄성이 부여된 캔틸레버 구조의 탄성 클로(claw)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클로부(36)는,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에 대해 고착되지 않고 또한 적어도 그 선단이 기판 플레이트(32)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마련하여 배치됨으로써, 그 상면과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을 잘라 세워 형성한 돌출편(突出片; 40)을 끼워 넣고 있다. 돌출편(40)의 하방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에 형성된 판스프링 형상의 탄성 압박부(41)가 배치되고, 하우징 플레이트(30)의 탄성 클로부(36)를 돌출편(40)과의 사이에 끼워 넣고 있다. 탄성 클로부(36), 돌출편(40) 및 탄성 압박부(41)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30)의 전단측에는 래치부(42)가 좌우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래치부(42)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이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에서 단면 L자 형상으로 기립 형성된 결합용 후크(44)에 결합된다. 이들 래치부(42) 및 결합용 후크(44)는 베이스 플레이트(26)에 대해 하우징 플레이트(30)를 포개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며, 터치 패드(22)의 상승 한도를 규정함과 동시에 상방으로의 빠짐 방지부로서도 기능한다.

    하우징 플레이트(30)는, 각 탄성 클로부(36)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각 돌출편(40)[및 각 탄성 압박부(4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 결합 부분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6)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도 4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플레이트(30)의 하면 대략 중앙의 전단 부근에는, 클릭 검출 스위치(45)가 배치되어 있다. 클릭 검출 스위치(45)는, 터치 패드(22)가 누름 조작되었을 때에 소정의 검출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다. 클릭 검출 스위치(45)는, 예컨대 하우징 플레이트(30)의 하면으로부터 팽출(膨出)된 메탈 돔 스위치이며, 터치 패드(22)가 눌려졌을 때에 베이스 플레이트(26) 상에 접촉함으로써 온되고, 이 온 신호가 기판 플레이트(32)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22)의 터치 조작면(22a)을 누름 조작하면, 하우징 플레이트(30)의 탄성 클로부(36)와 베이스 플레이트(26)의 돌출편(40)의 결합 부분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터치 패드(22)의 전측 부분이 눌러 내려져, 클릭 검출 스위치(45)가 온된다.

    다음으로, 누름 버튼(24a∼24c)은, 포인팅 스틱(20) 또는 터치 패드(22)에 의한 커서 조작과 연계하여 기능하는 것이며, 각각 일반적인 마우스에서의 좌측 버튼, 중앙 버튼, 우측 버튼에 대응하는 클릭 조작 버튼이다. 누름 버튼(24a∼24c)은 터치 패드(22)의 전측부나 좌우 측부에 배치되어도 좋고, 터치 패드(22)와의 사이에 본체 케이스(14)의 프레임을 개재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누름 버튼(24a)은,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조작면부(50)와, 조작면부(50)의 전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검출 아암부(52)를 구비한다. 한편, 우측의 누름 버튼(24c)은 좌측의 누름 버튼(24a)과 좌우 대칭 구조로서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이며, 중앙의 누름 버튼(24b)은 그 형상이나 크기는 누름 버튼(24a, 24c)과 상이하지만, 그 누름 조작에 대한 상하 이동의 구조 등은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이다. 그래서, 이들 누름 버튼(24b, 24c)에 대해서는, 누름 버튼(24a)의 각 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나타내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조작면부(50)는, 터치 패드(22)의 후측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버튼 부분이다. 조작면부(50)는, 그 후단부에 후방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포인팅 스틱(20)을 집게손가락으로 조작하면서 엄지손가락으로 양호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다. 검출 아암부(52)는, 조작면부(50)의 전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 하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터치 패드(22)의 하면측에 끼워 넣어진다. 검출 아암부(52)의 선단측(전단측)의 상면에는, 기판 플레이트(32)의 검출 스위치(35a)를 압박하는 돌기 형상의 압박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 형상의 압박부(52a)를 설치하지 않고, 검출 아암부(52)의 상면을 압박부로서 이용해도 물론 좋다.

    누름 버튼(24a)은,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압박부(52a) 사이가 되는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연결 부분에 상기 누름 버튼(24a)의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54)가 설치된 시소 구조이다. 회동축부(54)는,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착지한 돌출부이다. 회동축부(54)를 베이스 플레이트(26)측에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 누름 버튼(24a)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24a)은, 회동축부(54)가 베이스 플레이트(26) 상에 착지하고, 검출 아암부(52)가 베이스 플레이트(26)와 터치 패드(22)[기판 플레이트(3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6)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24a(24b, 24c)]의 조작면부(50)를 누름 조작하면, 회동축부(54)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조작면부(50)가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는 한편, 회동축부(54)의 반대측에 있는 검출 아암부(52)가 조작면부(50)와는 반대 방향, 즉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압박부(52a)에 의해 기판 플레이트(32) 하면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가 압박되어, 온된다.

    즉, 검출 아암부(52)는 그 동작 방향이 조작면부(50)의 상하 동작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됨으로써 기판 플레이트(32) 하면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압박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누름 버튼[24a(24b, 24c)]의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54)는, 조작면부(50)와 압박부(52a)를 시소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 즉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압박부(52a)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10)에서는,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24a(24b, 24c)]의 조작 방향에서 벗어난 위치, 즉 누름 버튼[24a(24b, 24c)]의 상하 동작 범위 이외에 전자 기판인 기판 플레이트(32)를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 누름 버튼[24a(24b, 24c)]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기판 플레이트(32)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24a(24b, 24c)]의 조작면부(50)의 하방에 검출 스위치나 그 압박 조작을 보조하는 러버 돔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이러한 검출 스위치로부터 기판 플레이트(32)까지 배선 케이블 등을 접속할 필요도 없다. 즉, 누름 버튼[24a(24b, 24c)]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인접한 기판 플레이트(32)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24a(24b, 24c)]의 하방으로부터 검출 스위치나 배선 케이블 등을 배제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저감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용 저감과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환언하면, 누름 버튼[24a(24b, 24c)]의 조작면부(50)의 하방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베이스 플레이트(26)를 잘라내기 등을 하면, 상기 전자 기기(10)의 배터리 등의 다른 기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검출 스위치[35a(35b, 35c)]는,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누름 버튼[24a(24b, 24c)]은 기판 플레이트(32)의 측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누름 조작을 접수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조작면부(50)와, 조작면부(50)의 일 가장자리부로부터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측으로 돌출되고, 조작면부(50)의 상하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압박 조작하는 검출 아암부(52)를 갖는다. 이에 의해, 조작면부(50)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검출 아암부(52)가 조작면부(50)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면부(50)의 누름 조작에 의해 기판 플레이트(32)의 하면측에 설치한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검출 아암부(52)에 의해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 버튼[24a(24b, 24c)]은,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압박하는 압박부(52a) 사이가 되는 위치에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54)를 갖는다. 이에 의해, 조작면부(50)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검출 아암부(52)의 압박부(52a)를 조작면부(50)와는 반대 방향으로 확실하게 동작시켜,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보다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누름 버튼[24a(24b, 24c)]의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54)의 축선 방향과, 터치 패드(22)의 회동 지점[탄성 클로부(36)와 돌출편(40)의 결합 부분]의 축선 방향이 모두 좌우 방향에서 평행한 구성이며(도 3 내지 도 5 참조), 터치 패드(22)의 회동 지점의 축선 방향(좌우 방향)에서 본 경우에 상기 터치 패드(22)의 회동 지점과 검출 스위치[35a(35b, 35c)]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터치 패드(22)의 회동 지점이 되는 탄성 클로부(36)와 돌출편(40)의 결합 부분의 측방에 검출 스위치[35a(35b, 35c)]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누름 버튼[24a(24b, 24c)]과 터치 패드(22)의 서로의 누름 조작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누름 버튼[24a(24b, 24c)]을 누름 조작했을 때에 터치 패드(22)가 종동적으로 동작하여 오조작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터치 패드(22)를 누름 조작했을 때에 누름 버튼[24a(24b, 24c)]이 종동적으로 동작하여 오조작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10)에 탑재되는 입력 장치(12)의 변형예에 따른 입력 장치(12A)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로서, 도 6의 (a)는 누름 버튼(60a)이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누름 버튼(60a)이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2A)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입력 장치(12)의 누름 버튼(24a∼24c)과 구조가 상이한 누름 버튼(60a∼60c)을 구비한다. 한편, 이 입력 장치(12A)에 있어서도, 누름 버튼(60a∼60c)의 누름 조작에 대한 상하 이동의 구조 등은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이기 때문에, 누름 버튼(60b, 60c)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60a)은,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 사이가 힌지부(62)에 의해 연결되고, 조작면부(50)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제1 회동축부(64)가 설치되며, 검출 아암부(52)의 후단측에 제2 회동축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회동축부(64)는, 조작면부(50)의 후단 가장자리부를 되접어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6)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세워져 형성된 후크 형상의 지지편(66)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조작면부(50)의 회동 지점(제1 회동 지점)이 된다. 제2 회동축부(65)는, 힌지부(62)와 검출 아암부(52)의 압박부(52a) 사이가 되는 위치,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 아암부(52)의 후단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그 선단이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에 착지한 돌출부이다. 제2 회동축부(65)를 베이스 플레이트(26)측에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 누름 버튼(24a)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힌지부(62)는,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부가 되는 부분이며, 예컨대 가요성을 가진 수지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누름 버튼(60a)은, 조작면부(50)의 후측에 설치한 제1 회동축부(64) 및 전측에 설치한 제2 회동축부(65)의 2개의 회동 지점을 이용하여 조작면부(50) 및 검출 아암부(52)가 상하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 버튼[60a(60b, 60c)]의 조작면부(50)를 누름 조작하면, 제1 회동축부(64)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조작면부(50)의 전단측이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는 한편, 검출 아암부(52)의 후단측이 조작면부(50)와 함께 힌지부(62)에 의해 눌러 내려짐으로써, 검출 아암부(52)의 전단측이 제2 회동축부(65)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조작면부(50)와는 반대 방향, 즉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압박부(52a)에 의해 기판 플레이트(32) 하면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가 압박되어, 온된다.

    이러한 누름 버튼[60a(60b, 60c)]의 경우에도, 검출 아암부(52)는 그 동작 방향이 조작면부(50)의 상하 동작의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됨으로써 기판 플레이트(32) 하면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압박 조작 가능하다. 그래서, 누름 버튼[60a(60b, 60c)]의 제1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64)는 조작면부(50)의 검출 아암부(52)가 설치된 전측 가장자리부보다 후측이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2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축부(65)는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압박부(52a)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되고, 힌지부(62)는 2개의 회동축부(64, 65)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이러한 힌지부(62)를 설치한 누름 버튼[60a(60b, 60c)]을 구비한 구성이어도, 상기한 누름 버튼[24a(24b, 24c)]을 구비한 구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용을 저감하고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누름 버튼[60a(60b, 60c)]에서는, 방향 변환부가 되는 힌지부(62)에 의해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면부(50)의 누름 위치를 검출 아암부(52)측(전단측)에 설정한 경우라도 검출 스위치[35a(35b, 35c)]를 확실하게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12A)의 변형예에 따른 입력 장치(12B)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2B)는, 도 6에 도시된 입력 장치(12A)의 누름 버튼(60a∼60c)과 구조가 상이한 누름 버튼(70a∼70c)을 구비한다. 이 누름 버튼[70a(70b, 70c)]은,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 사이에 힌지부(62)를 설치하고 있지 않고, 조작면부(50)의 전단부가 검출 아암부(52)의 후단부를 누를 수 있는 상태로 접촉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70a(70b, 70c)]의 경우에도, 조작면부(50)를 누름 조작하면, 제1 회동축부(64)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조작면부(50)의 전단측이 하방으로 눌러 내려지는 한편, 검출 아암부(52)의 후단측이 조작면부(50)의 전단부에 의해 눌러 내려짐으로써, 검출 아암부(52)의 전단측이 제2 회동축부(65)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조작면부(50)와는 반대 방향, 즉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압박부(52a)에 의해 기판 플레이트(32) 하면의 검출 스위치[35a(35b, 35c)]가 압박되어, 온된다. 즉, 조작면부(50)의 전단부와 검출 아암부(52)의 후단부의 접촉 위치가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동작 방향을 변환하는 방향 변환부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누름 버튼[70a(70b, 70c)]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 사이에 힌지부(62)를 설치하지 않고 조작면부(50)와 검출 아암부(52)의 동작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어, 부품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단, 누름 버튼[70a(70b, 70c)]의 경우에는 조작면부(50)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빠지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면부(50)의 하면(이면)에 결합 후크(72)를 돌출시켜 설치하고, 이 결합 후크(72)를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면에 문 형상으로 기립 형성한 결합 구멍(74)에 결합하여, 누름 버튼[70a(70b, 70c)]의 상승 한도를 규정함과 동시에 상방으로의 빠짐 방지부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물론, 이들 결합 후크(72) 및 결합 구멍(74)으로 이루어지는 빠짐 방지부 구조는,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화도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한 누름 버튼(24a∼24c, 60a∼60c)의 조작면부(50)에 적용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패드(22)의 측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24a) 등의 누름 조작을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35a) 등을 터치 패드(22)측의 기판 플레이트(32)에 설치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누름 버튼(24a, 24b)을 키보드 장치(16)의 측부에 배치하고, 그 검출 스위치(35a, 35b)를 키보드 장치(16)의 키 조작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 기판(80)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노트형 PC인 전자 기기(10)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형 PC인 전자 기기(10A)에 적용해도 좋다. 이 전자 기기(10A)에서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82)의 측부에 누름 버튼(24a)을 배치하고, 그 검출 스위치(35a)를 디스플레이 장치(82)의 터치 조작 검출용의 전자 기판(84)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전자 수첩, 터치 조작면 상을 펜형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입력 조작하는 펜형 입력 수단(펜 태블릿) 등의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10, 10A: 전자 기기 12, 12A, 12B: 입력 장치
    14: 본체 케이스 16: 키보드 장치
    18: 디스플레이 케이스 18a, 82: 디스플레이 장치
    20: 포인팅 스틱 22: 터치 패드
    22a: 터치 조작면
    24a∼24c, 60a∼60c, 70a∼70c: 누름 버튼
    26: 베이스 플레이트 30: 하우징 플레이트
    32: 기판 플레이트 34: 패드 플레이트
    35a∼35c: 검출 스위치 36: 탄성 클로부
    40: 돌출편 41: 탄성 압박부
    45: 클릭 검출 스위치 50: 조작면부
    52: 검출 아암 52a: 압박부
    54: 회동축부 62: 힌지부
    64: 제1 회동축부 65: 제2 회동축부
    66: 지지편 80, 84: 전자 기판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