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스위치

申请号 KR1020080003853 申请日 2008-01-14 公开(公告)号 KR1020080068551A 公开(公告)日 2008-07-23
申请人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发明人 아사다마코토;
摘要 A multiple function switch is provided to realize a decrease of a mounting area of components and to make a camera thin and small. A multiple function switch(1A) is configured by sequentially overlapping a lower electrode plate(30), an upper electrode plate(40), an insulating cover(50A), a brush(60), a lever(70), and a frame(80) with a main body portion(10), and by connecting nails(21) of the main body portion to corresponding holes(81) of the frame.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fixed contacts for a push switch and a rotary switch. The main body portion receives movable contacts for the push switch and rotary switch. The lower electrode plate and the upper electrode plate serve as the movable contacts for the push switch. The brush serves as the movable contact for the rotary switch.
权利要求
  • 압압조작에 의한 푸시 스위치와 회전조작에 의한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한 복합 스위치로서,
    상기 푸시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푸시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수납하는 본체부와,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고정접점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쪽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과,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탄성력을 가지며, 압압조작 시에 변형해서 상기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을 도통시키는 하부 전극판과,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탄성력을 가지며, 압압조작 시에 변형해서 상기 하부 전극판과 접촉 가능한 상부 전극판과,
    회전조작력을 받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레버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상기 고정접점으로서, 상기 레버의 중립위치로부터 양쪽 회전방향의 적어도 각 2단(段)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쪽 바닥면의 상기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의 외부쪽에 있어서 동일 원둘레상에 형성된 복수의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과,
    상기 레버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에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중의 하나인 공통접점과,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개별접점을 도통시키는 브러시를 구비한 복합 스위치.
  • 제 1항에 있어서,
    외주부에 위치결정부가 형성되고, 해당 위치결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리브와의 접촉에 의해 위치결정되어서 상기 상부 전극판을 덮는 절연커버와,
    상기 절연커버를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판은, 바깥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연신(延伸)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부(脚部)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는, 상기 레버에 고정되어서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원환상(圓環狀)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과 접촉하는 접촉자를 가지며,
    상기 상부 전극판의 상기 각부와, 상기 브러시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푸시 스위치의 압압조작방향으로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 说明书全文

    복합 스위치{MULTIPLE FUNCTION SWITCH}

    본 발명은, 압압조작에 의한 푸시 스위치와 회전조작에 의한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한 복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스위치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부품점수나 실장면적의 삭감을 도모한 복합 스위치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름카메라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있어서, 촬영모드전환스위치나 줌스위치와, 셔터를 이와 같은 복합 스위치를 이용해서 일체화하는 요망이 있다.

    하기에 출전(出典)을 나타낸 특허문헌 1 및 2에는, 이와 같은 복합 스위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복합 스위치는, 택틸(Tactile) 스위치(푸시 스위치)와 로터리 스위치를 복합한 것이다. 복합 스위치의 베이스 본체에는, 택틸 스위치부용 고정접점과, 로터리 스위치부용 고정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용 접점은, 1개의 공통 고정접점과, 9개의 고정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 고정접점은, 베이스 본체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따라서 연재(延在)하고 있다. 나머지 9개의 고정접점은, 공통 고정접점의 기준이 되는 원보다도 큰 직경의 동심원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복합 스위치는, 다방향 스위치와 로터리 스위치를 복합한 것이다.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은, 8개의 접점부 및 1개의 공통 접점부로 구성된다. 8개의 접점부는, 대략 환상(環狀)으로 이간해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공통 접점부는, 이들 8개의 접점부의 내부쪽에 대략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31569호 공보(제18 ~ 26 단락 등 참조)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11-306918호 공보(제12 ~ 23 단락 등 참조)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복합 스위치는, 다른 기능의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에 복합한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이들의 복합 스위치에 탑재된 로터리 스위치는, 공통접점과 다른 접점이 다른 원둘레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쪽 원의 직경에 대응하는 면적이 필요하게 되며, 스위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스위치는, 소형화, 적은 실장 면적화를 목적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는 것이며, 가일층의 소형화가 요망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며, 또한 적은 실장 면적을 실현 가능한 복합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압압조작에 의한 푸시 스위치와 회전조작에 의한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한 복합 스위치는,

    상기 푸시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푸시 스위치 및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수납하는 본체부와,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고정접점으로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쪽 바닥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과,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탄성력을 가지며, 압압조작 시에 변형해서 상기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을 도통시키는 하부 전극판과,

    상기 푸시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탄성력을 가지며, 압압조작 시에 변형해서 상기 하부 전극판과 접촉 가능한 상부 전극판과,

    회전조작력을 받는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레버와,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상기 고정접점으로서, 상기 레버의 중립위치에서 양쪽회전방향의 적어도 각 2단(段)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각각 다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쪽 바닥면의 상기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의 외부쪽에 있어서 동일 원둘레상에 형성된 복수의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과,

    상기 레버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에의 회전조작에 따라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의 상기 가동접점으로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중의 하나인 공통접점과,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개별접점을 도통시키는 브러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의 복합 스위치에 있어서의 로터리 스위치에서는,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공통접점과, 다른 접점이 다른 원둘레상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런 연유로, 외부쪽 원의 직경에 대응하는 면적이 필요하게 되며, 스위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이 동일 원둘레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복합 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은 실장 면적을 실현 가능한 복합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체부는, 푸시 스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구비하는 동시에, 푸시 스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수납한다.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본체부에 있어서 위치맞춤되므로, 복합 스위치의 조립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는,

    외주부에 위치결정부가 형성되고, 해당 위치결정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리브와의 접촉에 의해 위치결정되어서 상기 상부 전극판을 덮는 절연커버와,

    상기 절연커버를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연커버의 위치결정부에 본체부의 리브를 접촉시키고, 프레임과 본체부와의 사이에 절연커버를 끼워서, 절연커버를 고정한다. 따라서, 프레임에 의한 절연커버의 압압부를 크게 채용할 필요가 없으며, 복합 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결정부는, 칼집 또는 슬릿으로서 절연커버의 외주부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바깥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의 노치(오목부)로서 절연커버의 외주부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치의 경우에는, 절연커버의 직경방향의 적어도 한쪽인 중심부쪽에서 본체부의 리브에 접촉해서, 절연커버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칼집 또는 슬릿의 경우에는, 절연커버의 직경방향의 복수방향에서 본체부의 리브에 접촉해서, 절연커버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는,

    상기 상부 전극판이, 바깥가장자리부분에서 연신(延伸)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부(脚部)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가, 상기 레버에 고정되어서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원환상(圓環狀)의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과 접촉하는 접촉자를 가지며,

    상기 상부 전극판의 상기 각부와, 상기 브러시의 상기 고정부가, 상기 푸시 스위치의 압압조작방향에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부 전극판의 각부와, 브러시의 고정부가 푸시 스위치의 압압조작방향(상하방향)에 중첩해서 배치된다. 따라서, 복합 스위치를, 로터리 스위치의 직경방향(횡방향)으로 확장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복합 스위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립이 용이하며, 적은 실장면적을 실현 가능한 복합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복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각각, 도 3은 Ⅲ-Ⅲ단면도, 도 4는 Ⅳ-Ⅳ단면도, 도 5는 VV단면도이다.

    복합 스위치(1(1A))는, 압압조작에 의한 푸시 스위치와 회전조작에 의한 로터리 스위치가 복합된 스위치이다. 이 복합 스위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카메라 등의 기판에 실장되고, 외장부품에 의해서 덮어진다. 이 외장부품은, 예를 들면 모드 전환이나 줌 전환의 스위치와, 셔터가 복합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스위치(1(1A))는, 본체부(10)에, 하부 전극 판(30)과, 상부 전극판(40)과, 절연커버(50(50A))와, 브러시(60)와, 레버(70)와, 프레임(80)을 순차적으로 중첩하고, 본체부(10)의 걸어맞춤클로(21)를 프레임(80)의 걸어맞춤구멍(81)에 걸어맞춤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0)는, 푸시 스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구비하는 동시에, 푸시 스위치 및 로터리 스위치의 가동접점을 수납한다. 여기서, 하부 전극판(30) 및 상부 전극판(40)은, 푸시 스위치의 가동접점이다. 또, 브러시(60)는, 로터리 스위치의 가동접점이다.

    본체부(10)의 내부쪽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고정접점으로서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16, 17)이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16, 17)은, 중앙에 형성된 중앙 접점(17)과, 중앙 접점(17)을 에워싸는 대략 환상의 하부 상접(常接) 접점(1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전극판(30)은, 보울(bowl)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바깥가장자리부분(31)이 하부 상접 접점(16)에 접촉되어 있다. 바깥가장자리부분(31)에서는 직경을 따라서 2개의 걸림부(32)가 연신되어 있다. 걸림부(32)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32a)가 절연커버(50)를 개재해서 프레임(80)에 접촉됨으로써, 하부 전극판(30)의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하부 전극판(30)은, 탄력성을 지니고 있으며, 압압조작 시에 보울형상의 중앙부가 변형해서 중앙 접점(17)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상접 접점(16)과 중앙 접점(17)과의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이 도통한다.

    도 3 ~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전극판(40)은, 하부 전극판(30)의 위쪽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상부 전극판(40)은, 하부 전극판(30)과 같이, 보울형상을 하고 있다. 상부 전극판(40)의 바깥가장자리부분(41)에서는, 사방으로 연신하는 각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각부(42)는 본체부(10)에 있어서 고정접점(상부 상접 접점(18))과 접촉한다.

    상부 전극판(40)은, 탄력성을 지니고 있으며, 압압조작 시에 보울형상의 중앙부가 변형해서 하부 전극판(30)에 접촉된다. 이 압압조작을 제1 단째의 압압조작이라고 일컫는다. 제1 단째의 압압조작에 의해, 상부 전극판(30)과 하부 전극판(40)을 개재해서, 상부 상접 접점(18)과 하부 상접 접점(16)이 도통해서, 복합 스위치(1)는 푸시 스위치의 제1 단째의 출력상태를 나타낸다.

    이 출력상태는, 하부 상접 접점(16)과 도통하는 단자(16t), 상부 상접 접점(18)과 도통하는 단자(18t)를 개재해서 검출할 수 있다(후술하는 도 6 참조).

    또한 압압조작력이 인가되면, 상부 전극판(40)은 하부 전극판(30)과 함께 변형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전극판(30)이 중앙 접점(17)과 접촉한다. 이 압압조작을 제2 단째의 압압조작이라고 일컫는다. 제2 단째의 압압조작에 의해, 상부전극(30)과, 하부전극(40)과, 상부 상접 접점(18)과, 하부 상접 접점(16)과, 중앙 접점(17)이 도통한다. 복합 스위치(1)는 푸시 스위치의 제2 단째의 출력상태를 나타낸다.

    이 출력상태는, 하부 상접 접점(16)과 도통하는 단자(16t), 중앙 접점(17)과 도통하는 단자(17t)를 개재해서 검출할 수 있다(도 6 참조). 물론, 이들에 부가해 서, 상부 상접 접점(18)과 도통하는 단자(18t)를 개재해서 검출할 수도 있다.

    상부 전극판(40)은, 제1 단째의 압압조작 및 제2 단째의 압압조작에 수반해서 변형하기 때문에, 하부 전극판(30)에 비교해서 변동폭이 크다. 이런 연유로, 각부(42)를 형성해서 탄성력의 일부를 각부(42)에 의해서 발휘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전극판(40)은, 하부 전극판(30)과 비교해서, 수명특성이나 동작특성이 열화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전극판(40) 위에는, 상부 전극판(40)을 덮어서 절연커버(50(50A))가 배치된다. 절연커버(50)는, 상부 전극판(40)보다도 큰 직경이며, 상부 전극판(40)의 보울형상을 따르도록 성형되어 있다. 절연커버(50)의 외주부(51)에는 위치결정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에는, 위치결정부(54)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쪽으로 돌출된 리브(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부(54)와 본체부에 형성된 리프와의 접촉에 의해, 절연커버(50)가 위치결정된다.

    본 예의 절연커버(50A)의 외주부(51)에는, 위치결정부(54)로서 칼집(52)이 형성되어 있다. 칼집(52)은, 슬릿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리브(25)는, 이 칼집(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커버(50A)는, 칼집(52)에 리브(25)를 관통시켜서 위치결정된다(도 4 참조). 도 3 ~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커버(50A(50))는, 상부 전극판(40)을 덮은 상태에서 본체부(10)와 프레임(80)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절연커버(50)는,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압압조작에 수반해서 상부 전극판(40)과 함께 변형하고, 복원된다.

    상부 전극판(40), 절연커버(50) 위에는, 브러시(60)가 배치된다. 브러시(60)는, 브러시(60)보다도 더 위쪽에 배치되는 레버(70)에 고정되어서 배치된다. 레버(70)는, 회전조작력을 받아서 브러시(60)를 회전시킨다. 브러시(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상의 고정부(66)와, 이 고정부(66)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 4개의 접촉자(65(61 ~ 64))를 가지고 있다. 또, 브러시(60)의 고정부(66)에는, 레버(70)의 위치결정용 리브(도시하지 않음)와 걸어맞추는 위치결정용 노치(69)도 형성되어 있다.

    레버(70)에 고정된 브러시(60)의 고정부(66)는, 본체부(10)의 플랜지부(27)에 의해서 지지된다(도 2, 도 3, 도 5 참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전극판(40)의 각부(42)와, 브러시(60)의 고정부(66)는, 복합 스위치(1)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중첩한다. 따라서, 복합 스위치(1)의 횡방향(직경방향)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레버(70) 위에는, 프레임(80)이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에, 하부 전극판(30)과, 상부 전극판(40)과, 절연커버(50(50A))와, 브러시(60)와, 레버(70)와, 프레임(80)을 순차적으로 중첩하고, 본체부(10)의 걸어맞춤클로(21)를 프레임(80)의 걸어맞춤구멍(81)에 걸어맞춤으로써 복합 스위치(1(1A))가 조립된다. 즉, 이와 같이 각 부품을 순차적으로 중첩하고, 마지막에 본체부(10)와 프레임(80)을 걸어맞춤으로써, 매우 간단히 복합 스위치(1)를 조립할 수 있다.

    이하, 도 6 ~ 도 11의 설명도를 이용해서,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의 좌측에는, 본체부(10)를 상부면에서 본 경우의 고정접점(11 ~ 18)의 패턴예, 및 각 고정접점(11 ~ 18)에 대응하는 단자(11t ~ 18t)와의 접속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6의 우측에는, 본체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브러시(60)를 상부면에서 본 경우의 형상예가 예시되어 있다. 브러시(60)는, 도 6에 도시한 자세를 중립위치로서, 도 6 좌측의 고정접점 패턴으로 중첩된다. 접촉자(63)가 도 6에 도시한 A위치인 경우에는, 중립위치이다. 접촉자(63)가 도 6에 도시한 B ~ E위치인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B위치가 우회전 제1 단, C위치가 우회전 제2 단, D위치가 좌회전 제1 단, E위치가 우회전 제2 단이다.

    도 7 ~ 도 11에는, 상술한 A ~ E위치에 있어서, 고정접점(11 ~ 18)에 브러시(60)를 중첩한 경우의 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7은, 레버(70)가 중립위치인 경우이며, 브러시(60)도 중립위치이다. 도 8 및 도 9는, 레버(70)를 우회전으로 1단 및 2단 회전시켰을 경우이며, 브러시(60)도 레버(7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레버(70)를 중립위치에서 좌회전으로 1단 및 2단 회전시켰을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브러시(60)도 레버(7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고 있다.

    고정접점(11)은,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브러시(60)를 개재해서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다른 어느 하나와 도통되는 공통접점(예를 들면 그라운드(ground))이다. 고정접점(12)은,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우회전의 1단째의 회전 시에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도통되는 개별접점이다. 고정접점(13)은,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좌회전의 1단째의 회전 시에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도통되는 개별접점이다. 고정접점(14)은,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우회전의 2단째의 회전 시에 브러시(60)를 개재 해서 공통접점(11)과 도통되는 개별접점이다. 고정접점(15)은,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좌회전의 2단째의 회전 시에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도통되는 개별접점이다.

    고정접점(16)은,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의 한쪽이며, 하부 상접 접점이다. 고정접점(17)은,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의 다른 쪽이며, 중앙 접점이다. 고정접점(18)은, 푸시 스위치용 접점의 하나이며, 상부 상접 접점이다. 상부 전극판(40)의 각부(42)와 도통된다.

    고정접점(11 ~ 18)은, 각각 단자(11t ~ 18t)와 도통하고 있다. 단자(11t ~ 18t)는, 본체부(10)의 외부를 향해서 노출되어 있다. 단자(11t ~ 18t)와 프린트기판 등을 접속함으로써, 복합 스위치(1)의 출력이 프린트기판 위의 전자회로에 전달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60)는 접촉자(65(61 ~ 64))를 4개 가지고 있다. 부호(61)는 제1 접촉자, 부호(62)는 제2 접촉자, 부호(63)는 제3 접촉자, 부호(64)는 제4 접촉자이다. 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자는 반구형상의 접촉부(67)를 가지고 있다. 브러시(60)는 탄성력을 가진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브러시(60)의 고정부(66)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된 접촉자(65)는 탄성력을 가진 판스프링이 되며, 접촉부(67)를 고정접점(11 ~ 15)에 압압 접촉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브러시(60)와 고정접점(11 ~ 15)이 도통한다.

    이하, 도 7 ~ 도 11을 이용해서, 브러시(60)와 고정접점(11 ~ 15)과의 접촉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각 접촉자(65)의 접촉부(67) 중,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 유효하게 접촉하는 접촉부(67)는 검게 도포해서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중립위치(A)에 있어서는, 브러시(60)의 제1 접촉자(61)와 제2 접촉자(62)가, 공통접점(11)에 접촉된다. 다른 접촉자(63, 64)는,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도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로터리 스위치는, 초기상태에서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한 우회전으로의 제1 단의 회전 시(B)에는, 브러시(60)의 제1 접촉자(61)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이 유지되지만, 제2 접촉자(62)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이 해소된다. 제3 접촉자(63)가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도 접촉되지 않는 것은 유지되지만, 제4 접촉자(64)는 개별접점(12)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개별접점(12)이 도통하고, 로터리 스위치는 우회전 제1 단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우회전으로의 제2 단의 회전 시(C)에는, 브러시(60)의 제1 접촉자(61)와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은 유지되지만, 제4 접촉자(64)와 개별접점(12)과의 접촉은 해소된다. 또, 제3 접촉자(63)가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도 접촉되지 않는 것은 유지되지만, 제2 접촉자(62)는 개별접점(14)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개별접점(14)이 도통하고, 로터리 스위치는 우회전 제2 단의 출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다시, 중립위치(A)로 되돌아가서, 좌회전으로의 조작 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좌회전으로의 제1 단의 회전 시(D)에는, 브러시(60)의 제2 접촉자(62)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이 유지되지만, 제1 접촉자(61)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이 해소된다. 제4 접촉자(64)가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도 접촉되지 않는 것은 유지되지만, 제3 접촉자(63)는 개별접점(13)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60)을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개별접점(13)이 도통하고, 로터리 스위치는 좌회전 제1 단의 출력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한 좌회전으로의 제2 단의 회전 시(E)에는, 브러시(60)의 제2 접촉자(62)와 공통접점(11)과의 접촉은 유지되지만, 제3 접촉자(63)와 개별접점(13)과의 접촉은 해소된다. 또, 제4 접촉자(64)가 어느 하나의 고정접점과도 접촉되지 않는 것은 유지되지만, 제1 접촉자(61)는 개별접점(15)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브러시(60)를 개재해서 공통접점(11)과 개별접점(15)이 도통하고, 로터리 스위치는 좌회전 제2 단의 출력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브러시(60)의 제1 접촉자(61)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 및 좌회전 제2 단의 개별접점(15)과의 접촉의 2가지의 기능을 겸용하는 접촉자이다. 또, 제2 접촉자(62)는, 공통접점(11)과의 접촉 및 우회전 제2 단의 개별접점(14)과의 접촉의 2가지의 기능을 겸용하는 접촉자이다. 제3 접촉자(63)는, 좌회전 제1 단의 개별접점(13)과의 접촉의 기능을 담당하는 접촉자이다. 제4 접촉자(64)는, 우회전 제2 단의 개별접점(12)과의 접촉의 기능을 담당하는 접촉자이다. 그리고, 이들 4개의 접촉자는 동일한 원둘레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4개의 접촉자를 동일한 원둘레상에 형성하고, 제2 단째의 개별접점과의 접촉기능을 담당하는 접촉자에 공통접점과의 접촉기능을 겸무시킴으로써, 소규모화를 실현하고 있다.

    통상은, 특허문헌 1이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환상의 트랙을 증가시킴으로써 로터리 스위치의 고정접점이 배치된다. 그러나, 본원의 복합 스위치(1)에 있어서는, 모든 접촉자가 동일한 원둘레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직경방향으로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비교하면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와, 절연커버(50)의 형상이 상이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도 2와 동일하므로, 절연커버(50)에 대해서만 이하에 설명한다.

    본 예의 절연커버(50B)의 외주부(51)에는, 위치결정부(54)로서 노치(오목부) (5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의 리브(25)는, 이 노치(5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커버(50B)는, 노치(53)에 접촉하는 리브(25)에 안내되어서 위치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조립이 용이하며, 적은 실장면적을 실현 가능한 복합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카메라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있어서, 촬영모드전환스위치나 줌스위치와, 셔터와의 기능을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실장면적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박형화,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단면도

    도 6은 본체부를 상부면에서 본 경우의 고정접점의 패턴예, 및 각 고정접점에 대응하는 단자와의 접속예, 및 본체부에 장착되는 브러시를 상부면에서 본 경우의 형상예를 예시한 설명도;

    도 7은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중립위치)을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우회전 제1 단째)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우회전 제2 단째)을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좌회전 제1 단째)을 도시한 설명도;

    도 11은 로터리 스위치의 동작(좌회전 제2 단째)을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복합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합 스위치 10: 본체부

    11: 고정접점,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공통접점

    12: 고정접점,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개별접점

    13: 고정접점,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개별접점

    14: 고정접점,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개별접점

    15: 고정접점, 로터리 스위치용 접점, 개별접점

    16: 고정접점,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 하부 상접 접점

    17: 고정접점, 푸시 스위치용 접점쌍, 중앙 접점

    18: 고정접점, 푸시 스위치용 접점, 상부 상접 접점

    30: 하부 전극판 40: 상부 전극판

    41: 바깥가장자리부분 42: 각부

    50, 50A, 50B: 절연커버 51: 외주부

    52: 칼집(위치결정부) 53: 노치(위치결정부)

    54: 위치결정부 60: 브러시

    61: 제1 접촉자(접촉자) 62: 제2 접촉자(접촉자)

    63: 제3 접촉자(접촉자) 64: 제4 접촉자(접촉자)

    65: 접촉자 66: 고정부

    70: 레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