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国际专利分类库 / 电学 / 基本电气元件 / 电开关;继电器;选择器;紧急保护装置 / 开关位置定位 / .连续操作 /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

申请号 KR1020060011300 申请日 2006-02-06 公开(公告)号 KR101111457B1 公开(公告)日 2012-02-21
申请人 엘지전자 주식회사; 发明人 인희식; 김헌; 임상연; 김현호;
摘要 본 발명은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구성은 플레이트,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각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를 포함하여, 키패드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며, 다단신호를 출력하는 키패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휴대폰, 키패드, 키입력부, 가압, 다단신호, 피드백신호
权利要求
  •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된 키스위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키패드;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기 위한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의 처리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 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접점은,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및
    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및
    상기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의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돔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상기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상기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복수개의 키스위치를 포함하는 키패드에 있어서,
    플레이트;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 및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각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 및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하여 상기 각 스위치접점의 순차적 접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드백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접점은,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및
    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및
    상기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기판 상의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돔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상기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상기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스위치접점으로는,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상기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 (a)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키스위치 신호가 발생하는 키패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스위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b)상기 키스위치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
    (a) 단계는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키스위치의 일 영역과 접촉되는 제1접점으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키스위치의 다른 영역과 접촉되는 제2접점으로부터 제2신호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b) 단계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키입력처리방법.
  • N(N은 3 이상의 자연수)×M(M은 3 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키패드에 배열된 숫자키 중 적어도 4개가 방향키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키패드는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키스위치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른 상기 순차적 접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피드백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를 제외한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3, M은 4이며, 상기 4개의 방향키 기능을 갖는 숫자키의 배열은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핫키는 통화시작, 종료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삭제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说明书全文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KEYPAD AND MOBILE TERMINAL AND KEY INPUT PROCESS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도 1의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의 신호출력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키입력 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스위치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4a의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기능 설정을 예시한 외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피드백신호가 출력되는 이동단말기의 외관 정면도이다.

    <주요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폰 110 : RF모듈

    120 : 키패드 130 : 제어부

    140 : 음성처리부 150 : 표시부

    160 : 메모리 170 : 진동모터

    200 : 키입력부 210 : 기판

    211 : 지지턱 212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20 : 메탈플레이트

    230 : 버튼부 231 : 제1누름턱

    232 : 제2누름턱

    본 발명은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플레이어, PDA를 비롯하여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는 문자, 숫자를 입력하거나 조작을 통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키입력부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키입력부는 PCB 위에 부착된 돔시트(Dome Sheet)(통상 메탈돔으로 형성됨.) 상부에 배치되어 이를 눌러줌으로써 돔시트가 변형되고, 그 변형에 의해 PCB의 통전부와 단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온/오프되어 전기신호를 제어부 등에 보내 어 게임이나 각종 메뉴선택 및 기타 컨텐츠를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각종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컨텐츠들이 탑재되는 추세인 반면, 이와 같은 키입력부들은 단순히 온/오프 기능만을 통하여 호출신호만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로 국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온/오프신호만을 발생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키 입력부를 통해 단말기 상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여러 개의 버튼을 조작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버튼을 잘못 눌러 오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에 가압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다단신호를 출력함으로 버튼 조작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두께를 유지하면서, 다단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오프 기능의 단일신호뿐만 아니라 제어신호와 피드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이동단말기는,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 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된 키스위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키패드,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확인을 위한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의 피드백신호에 따라 음향을 발생하기 위한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패드는, 플레이트,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각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는,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상기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접점은,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버튼부는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는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기판 스위치접점으로는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에는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 이 형성되고,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플레이트는 상기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스위치접점으로는,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키패드는, 플레이트,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각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는 키버튼부와 각 스위치접점 간의 상이한 가압거리에 대응되는 오목, 볼록 또는 요철 형태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접점이 형성된 기판에는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거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에는 스위치접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접점은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하여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점,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플 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하여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버튼부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소정 가압거리만큼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제1접점에 접촉시키는 제1누름턱, 제1누름턱의 가압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이동하여 플레이트를 제2접점에 접촉시키는 제2누름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누름턱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상이함에 따라 가압거리가 상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는 키버튼부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기판 상의 스위치접점으로는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 및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과 접촉되는 제2접점이 마련되며,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돔 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상기 제1접점으로 가압하는 제1누름턱과, 제1누름턱보다 상대적으로 긴 가압거리를 가지고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점을 제2접점으로 가압하는 제2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레이트에는 각각의 스위치접점과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갖는 요철이 형성되고, 키버튼부의 하부면에는 각 스위치접점과 대응되어 플레이트를 스위치접점 측으로 가압하는 누름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플레이트는 기판 측으로 만곡된 돔 형태로 마련되고, 스위치접점으로는, 돔형상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1접점과, 돔형상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접촉되며 제1접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갖도록 돌출된 기판상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2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키 입력 처리방법은,

    (a)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키스위치 신호가 발생하는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키스위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b) 키스위치신호가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a) 단계는 상대적으로 짧은 가압거리를 이동한 플레이트의 일 영역과 접촉되는 제1접점으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제1접점보다 긴 가압거리를 이동한 플레이트의 다른 영역과 접촉되는 제2접점으로부터 제2신호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b) 단계는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입력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음향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 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점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제1신호 및 제2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을 피드백하여 입력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입력여부 표시를 위한 진동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른 N(N은 3 이상의 자연수)×M(M은 3 이상의 자연수) 키패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에 배열된 숫자키 중 적어도 4개가 방향키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숫자키를 제외한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핫키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N은 3, M은 4이며, 4개의 방향키 기능을 갖는 숫자키의 배열은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핫키는 통화시작, 종료 기능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키패드는 플레이트와,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접하는 경우 각기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위치접점과, 상기 각 스위치접점에 대해 각기 상이한 가압거리를 가지고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스위치접점을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키버튼부로 구성되는 키스위치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압거리에 따라 각기 상이하게 출력되는 상기 키스위치의 신호가 상기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설정된 제1신호인지 제2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에 설정된 기능을 처리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숫자키입력을 처리하고 상기 제2신호가 추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키스위치에 설정된 방향키 입력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더불어, 이하에서는 이동단말기를 휴대폰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제어블럭도로서, 특히, 휴대폰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0)은 RF모듈(110), 키패드(120), 제어부(130), 음성처리부(140), 표시부(150), 메모리(160), 진동모터(170)를 포함한다.

    RF모듈(110)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을 하며, 외부 기기와 통신을 함에 따라, 외부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다.

    키패드(120)는 사용자의 가압압력에 따라 키버튼 하나에 대해, 1차 푸싱, 2차 푸싱이 가능한 키패드구조를 갖으며, 이에 따라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1입력부와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제2입력부로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상기 RF모듈(110)에 대해 송수신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12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성처리부(140), 표시부(150), 메모리(160), 진동모터(17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음성처리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른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의 신호처리를 거쳐 음성신호는 스피커(141)로 출력하거나, 마이크(142)를 통해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메모리(160)에 저장 가능하도록 소정의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제어부(130)로부터 소정의 신호처리를 거친 영상신호는 표시부(150)로 출력된다. 상기 표시부(150)는 LCD패널(150)이 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가 구비된 LED패널(150)이 될 수도 있다. 더불어,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를 진동모터에 인가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휴대폰이 구동되기 위한 각종 파일,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운로드 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신호출력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폰 키패드의 키입력부를 일정 압력 즉, 50~100g의 압력으로 가압하게 되면(S10), 내부적으로 제1접점이 형성되어, 1차신호를 발생하게 된다(S20). 더불어, 상기 압력보다 높은 170~210g의 압력을 더 가하게 되면(S30), 내부적으로 제1접점과 제2접점이 형성되어, 제1차신호를 포함하여 제2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4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키입력 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 키패드의 키입력부는 일정 입력신호를 수신하게된다(S100). 이때, 제어부에서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신호를 제1입력신호인지, 제2입력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0).

    판단결과에 따라, 제어부에 제1입력신호가 수신(S310)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키를 입력 처리(S320)하여, 이를 출력하고, 숫자키에 기 설정된 기능이 저장되어 있다면, 그에 해당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표시부에 출력한다(S330).

    반면, 제어부에 제2입력신호가 수신(S410)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키 입력 처리(S420)를 하여, 이를 실행하고, 방향키에 해당되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한다(S430). 이때, 피드백신호는 LED를 통한 점멸신호, 진동모터를 통한 진동신호가 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키스위치 분해사시도이고, 도 4b는 도4a의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4a의 설명을 위해 더불어 도 4b,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한다.

    도 4a, 도 4b,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200)는 우선, 기판(210)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와 개수를 갖는 돌출부(212,213)가 구비되되, 기판 (210)의 중앙에는 타원형상을 갖는 제2돌출부(213)가 배치되고, 그 주위로 높이가 동일한 한 쌍의 제1돌출부(212)와 메탈플레이트(220)가 지지 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턱(211)이 형성된다.

    메탈플레이트(220)는 메탈류를 비롯한 전도성(傳導性)을 띄는 재질로써, 소정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턱(211)에는 상기 메탈플레이트(220)의 양끝단이 지지 되고, 다른 양끝단은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212)에 맞닿지 않으며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메탈플레이트(220)의 상부에는 일정 모양을 갖으며, 하단에는 일정 테두리를 갖는 제1누름턱(231)이 하단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누름턱(231)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누름턱(231)보다 높이가 낮은 제2누름턱(232)이 구비된 버튼부(230)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누름턱(231)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누름턱(231)보다 높이가 높은 제2누름턱(232)이 구비된 버튼부(230)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누름턱(231)과 제2누름턱(232)의 높이가 동일하게 구비된 버튼부(23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태로 결합된 키입력부(200)의 상기 버튼부(230)에 소정의 압력인 1차압력이 가해지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누름턱(231)에 의해 상기 메탈플레이트(220)가 눌리게 되어 메탈플레이트(220)의 양끝단이 한 쌍의 제1돌출부(212)에 맞닿게 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지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보다 높은 2차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30)의 제2누름턱(232)에 의해 메탈플레이트(220)의 중앙부가 눌리게 되어, 메탈플레이트의 하면(下面) 중앙에 배치된 제2돌출부(213)와 맞닿게 되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지점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기판상에 배치된 돌출부의 개수, 모양, 형상 또는 메탈플레이트의 형상, 또는 버튼부의 누름턱 높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조, 적어도 둘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조에 부합되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종래의 키패드나 키입력부 두께와 동일하며, 휴대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키패드에 관한 발명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키입력부(300)는 기판(310)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와 개수를 갖는 돌출부(312,313)가 구비되되, 기판(310)의 중앙에는 일정 모양을 갖는 제2돌출부(313)가 구비되고, 그 주위로 제2돌출부와 높이가 동일한 한 쌍의 제1돌출부(312)와 메탈플레이트(320)가 지지 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턱(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메탈플레이트(320)는 메탈류를 비롯한 전도성(傳導性)을 띄는 재질로써, 소정의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턱(311)에는 상기 메탈플레이트(320)의 양끝단이 지지 되고, 다른 양끝단은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312)에 맞닿지 않으며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탈플레이트(320)의 상부에는 일정 모양을 갖으며, 하단에는 일정 테두리를 갖는 제1누름턱(331)이 하단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누름턱(331)의 안쪽면에는 상기 제1누름턱(331)의 높이와 동일한 제2누름턱(332)이 구비된 버튼부(3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결합된 키입력부(300)의 상기 버튼부(330)에 소정의 압력인 1차압력이 가해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누름턱(331)에 의해 상기 메탈플레이트(320)가 눌리게 되어 메탈플레이트(320)의 양끝단이 한 쌍의 제1돌출부(312)에 맞닿게 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지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보다 높은 2차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30)의 제2누름턱(332)에 의해 메탈플레이트(320)의 중앙부가 눌리게 되어, 메탈플레이트의 하면(下面) 중앙에 배치된 제2돌출부(313)와 맞닿게 되어 제2접지점이 형성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키입력부(400)는 기판(410)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와 개수를 갖는 돌출부(412,413)가 구비되되, 기판(410)의 중앙에는 일정 모양을 갖는 제2돌출부(413)가 구비되고, 그 주위로 상기 제2돌출부(413)보다 높이가 낮은 한 쌍의 제1돌출부(412)가 형성된다.

    더불어, 기판(410)의 중앙에는 일정 모양을 갖는 제2돌출부(413)가 구비되고, 그 주위로 상기 제2돌출부(413)보다 높이가 높은 제2돌출부(413)와 높이가 동 일한 한 쌍의 제1돌출부(412)가 구비되거나, 높이가 동일한 제1돌출부(412), 제2돌출부(413)가 형성 가능하다.

    메탈플레이트(420)는 메탈류를 비롯한 전도성(傳導性)을 띄는 재질로써, 소정의 오목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버튼부(430)는 소정의 모양을 갖으며, 평탄하게 형성된 하단부에 상기 메탈플레이트(420)의 양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양끝단은 버튼부(430)의 하단부에 맞닿지 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태로 결합된 키입력부(400)의 상기 버튼부(430)에 소정의 압력인 1차압력이 가해지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프레이트(420)가 제2돌출부(413)에 눌리게 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지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보다 높은 2차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프레이트(420)가 제1돌출부(412)에 눌리게 되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지점이 형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키스위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키입력부(500)는 기판(510)의 상부에 소정의 크기와 개수를 갖는 돌출부(512,513)가 구비되되, 기판(510)의 중앙에는 일정 모양을 갖는 제2돌출부(513)가 구비되고, 그 주위로 제2돌출부(513)보다 높이가 낮은 한 쌍의 제1돌출부(512)와 메탈플레이트(520)가 지지 되기 위한 한 쌍의 지지턱(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메탈플레이트(520)는 메탈류를 비롯한 전도성(傳導性)을 띄는 재질로써, 소정의 평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턱에는 상기 메탈플레이트(520)의 양끝단이 지지 되고, 다른 양끝단은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512)에 맞닿지 않으며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메탈플레이트(520)의 상부에는 일정 모양을 갖으며, 버튼부(530)의 하단에는 일정 테두리를 갖는 제1누름턱(53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결합된 키입력부(200)의 상기 버튼부(230)에 소정의 압력인 1차압력이 가해지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누름턱(231)에 의해 상기 메탈플레이트(220)가 눌리게 되어 메탈플레이트(220)의 하단 중앙부가 제2돌출부(212)에 맞닿게 되어 제1신호를 출력하는 제1접지점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보다 높은 2차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플레이트(520)의 하단 외면이 제1돌출부(512)에 맞닿게 되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2접점이 형성된다.

    도 9a 내지 도 9c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기능 설정을 예시한 외관 정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외관의 제1정면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슬라이드형 휴대폰을 예시로 도면 설명을 하기로 한다. 휴대폰의 상단면에 구비된 방향키 버튼이 숫자 키버튼에 포함되어 숫자키 즉, '2', '4', '6', '8'이 방향키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키버튼에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면, 숫자키가 입력되고, 상 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키버튼에 해당되는 방향키가 입력된다.

    상기 방향키의 배열은 상기와 같이 반드시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모양으로 배열 가능한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외관의 제2정면도이다. 도 9b을 참조하면, 도 9b의 도면에서 휴대폰의 상단면에 구비된 핫키 즉, '-', 'ok', '-'키 버튼이 숫자 키버튼에 포함되어 숫자키 즉, '1','5','3'이 상기 버튼의 기능을 하게 되며,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면, 각각 숫자키가 입력되고, 상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압하게 되면,상기 키버튼에 해당되는 핫키 즉,'-', 'ok', '-'키 입력이 된다.

    더불어, 도 9b의 변형예는 도 9a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액정을 보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외관의 제3정면도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도 9c의 도면에서 휴대폰의 상단면에 구비된 핫키 즉, '통화' 'C(Clear)','종료' 키버튼이 숫자,문자 키버튼에 포함되어 숫자,문자키 즉, '*','0','#'이 상기 버튼의 기능을 하게 되며,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면, 각각 '*','0','#'가 입력되고, 상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키버튼에 해당되는 핫 키 기능을 하는 '통화' 'C(Clear)','종료'키 입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9b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액정을 보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휴대폰의 상단면에 구비된 외부키가 하단면의 본체 키패드부에 포함됨에 따라, 외관의 간소화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키패드는 3×4 키패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3, 4×3, 4×4 등 다양한 배열의 키패드가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드백신호가 출력되는 실시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b의 도시한 휴대폰 하단부 본체의 일정 위치에 소정개수의 발광소자(LED)(152)가 삽입되어, 키버튼을 가압하여 1차압력이 아닌 1차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가압시 키버튼신호가 인가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시켜주는 피드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폰으로 설명되었지만, 바(bar)형, 폴더(folder)형, 플립(flip)형을 포함하는 휴대폰의 일정 위치에 발광소자(LED)(152)가 구비 가능하며 또한, 진동모터가 구비되어 진동을 발생하거나, 별도의 표시부에 피드백신호를 출력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및 그를 적용한 이동단말기와 키입력 처리방법을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 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키패드의 두께를 늘리지 않으며, 다단신호를 출력하는 키패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효과는, 버튼에 가압되는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다단신호를 출력함으로 버튼 조작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키패드의 버튼부를 최소화함에 따라, 액정의 넓이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